KR20090092115A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115A
KR20090092115A KR1020080017438A KR20080017438A KR20090092115A KR 20090092115 A KR20090092115 A KR 20090092115A KR 1020080017438 A KR1020080017438 A KR 1020080017438A KR 20080017438 A KR20080017438 A KR 20080017438A KR 20090092115 A KR20090092115 A KR 2009009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terilization
chamber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동
Original Assignee
남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동 filed Critical 남기동
Priority to KR102008001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2115A/ko
Publication of KR2009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5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other treatment phases, e.g. steam or sterilizing pha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포함되고 외형을 갖도록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되어 초음파의 발진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에 발생된 물의 와류진동을 이용하여 채소 또는 과일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채소 또는 과일을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1 세척살균부와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물의 분사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2 세척살균부와 제 1 세척살균부와 제 2 세척살균부의 외곽부분에 각각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와 제 2 세척살균부를 보호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 보호부 및 보호부에 각각 위치되어 제 1 세척살균부 및 제 2 세척살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제 1 세척살균부 및 상기 제 2 세척살균부를 제어하여 세척과 살균 또는 배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싱크대{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싱크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빠른 시간내에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기는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세척시키는 제품이었다. 이러한, 세척기는 가정이나 음식점등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이때, 세척기는 가정이나 음식점등의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와 장착되도록 설치되었다. 또한, 세척기는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주방의 일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되었다.
특히, 세척기는 소비자들이 흔히 찾는 대형 음식점에서 많은 양의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에 묻은 이물질들을 빠른 시간내에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시키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다.
여기서, 세척기는 초음파의 발진에 의해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에 묻은 이물질들이 제거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방법과,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회전시켜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에 묻은 이물질들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회전을 이용한 세척방법등으로 출시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세척도중에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의 외형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에 묻은 이물질들을 빠른 시간내에 깨끗하게 세척시키기 위한 개선된 세척기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포함되고 외형을 갖도록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되어 초음파의 발진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에 발생된 물의 와류진동을 이용하여 채소 또는 과일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채소 또는 과일을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1 세척살균부와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물의 분사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2 세척살균부와 제 1 세척살균부와 제 2 세척살균부의 외곽부분에 각각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와 제 2 세척살균부를 보호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 보호부 및 보호부에 각각 위치되어 제 1 세척살균부 및 제 2 세척살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제 1 세척살균부 및 제 2 세척살균부를 제어하여 세척과 살균 또는 배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세척살균부는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된 제 1 물공급수단과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물공급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물공급수단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회전용 세척실과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하측면에 위치하되, 일부분에 배수를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제 1 개폐수단이 포함되어 설치된 제 1 회전용 세척판과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와류 발생수단과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와류 발생수단과 체결되도록 설치된 제 1 회전용 모터와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와류 발생수단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와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외곽부분 및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1 고정대와 제 1 고정대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제 1 지지대와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제 1 개폐수단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1 배수펌프와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살균처리실과 제 1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살균처리실의 상측면에 설치된 제 1 자외선 램프 및 제 1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자외선 램프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히팅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2 세척살균부는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된 제 2 회전용 모터와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 2 회전용 모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제 2 분사용 세척실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일부분에 배수를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제 2 개폐수단이 포함되어 설치된 제 2 분사용 세척판과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일부를 관통하고 제 2 회전용 모터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제 2 물공급수단과 제 2 물공급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2 분사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2 고정대와 제 2 고정대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제 2 지지대 및 제 2 세척살균부의 하부 상측면에 위치하되, 제 2 개폐수단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2 배수펌프와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2 살균처리실과 제 2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살균처리실의 상측면에 설치된 제 2 자외선 램프 및 제 2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2 자외선 램프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2 히팅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개폐수단과 제 2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개폐수단 및 제 2 개폐수단은 제 1 회전용 세척판 및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초음파 진동자 사이에 공기방울 배출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위치하되, 제 1 지지대의 상부에 수위조절용 감지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싱크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대상체의 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의 외형이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을 동시에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이물질들을 빠른 시간내에 깨끗하게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용 세척실과 와류 발생수단을 구비하므로, 채소 또는 과일등의 이물질을 더욱 빠른 시간내에 깨끗하게 세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X~X'영역을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700 : 싱크대 102 : 케이스
102a : 물을 공급하는 장치 102b : 수조
104 : 제 1 세척살균부 104a : 제 1 물공급수단
104b, 404, 504, 604 : 제 1 회전용 세척실
104c : 제 1 회전용 세척판 104c1 : 제 1 배수홀
104c2 : 제 1 개폐수단 104d : 공기방울 배출부
104e : 와류 발생수단 104f : 제 1 회전용 모터
104g, 404g, 504g, 604g : 초음파 진동자 104h : 제 1 고정대
104i : 제 1 지지대 104j : 제 1 배수펌프
104k : 제 1 살균처리실 104m : 제 1 자외선 램프
104n : 제 1 히팅수단 106 : 제 2 세척살균부
106a : 제 2 회전용 모터
106b : 제 2 분사용 세척실
106c : 제 2 분사용 세척판 106c1 : 제 2 배수홀
106c2 : 제 2 개폐수단 106d : 제 2 물공급수단
106d1 : 제 2 토출홀 106e : 제 2 고정대
106f : 제 2 지지대 106g : 제 2 배수펌프
106h : 제 2 살균처리실 106i : 제 2 자외선 램프
106j : 제 2 히팅수단 108a : 제 1 보호부
108b : 제 2 보호부 110 : 컨트롤러부
110a1, 110b1 : 조작수단 110a2 110b2 : 조작수단
712a, 712b : 수위조절용 감지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X~X'영역을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케이스(102), 제 1 세척살균부(104), 제 2 세척살균부(106), 보호부(108), 컨트롤러부(110)등을 포함한다.
케이스(102)는 수도꼭지등과 같은 물을 공급하는 장치(102a)가 포함되고 소정의 외형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102)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102a)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물을 담는 수조(102b)를 포함한다.
제 1 세척살균부(104)는 케이스(102)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되어 초음파의 발진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에 발생된 물의 와류진동을 이용하여 채소 또는 과일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채소 또는 과일을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1 세척살균부(104)는 제 1 물공급수단(104a),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 공기방울 배출부(104d), 와류 발생수단(104e), 제 1 회전용 모터(104f), 초음파 진동자(104g), 제 1 고정대(104h), 제 1 지지대(104i), 제 1 배수펌프(104j), 제 1 살균처리실(104k), 제 1 자외선 램프(104m), 제 1 히팅수단(104n)등을 포함한다.
제 1 물공급수단(104a)은 제 1 세척살균부(104)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은 제 1 세척살균부(104)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물공급수단(104a)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물공급수단(104a)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1 물공급수단(104a)은 물을 토출하기 위한 제 1 토출홀(104a1)이 형성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은 채소 또는 과일들을 수납하여 제 1 물공급수단(104a)에 의해 토출된 물로 세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은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하측면에 위치하되, 일부분에 배수를 위한 제 1 배수홀(104c1)과 제 1 배수홀(104c1)을 통하여 공급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개폐가능하도록 제 1 개폐수단(104c2)이 포함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 1 개폐수단(104c2)은 이후에 진술할 제 1 컨트롤러부(110a1, 110a2 )에 의해 전자동식으로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동식으로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개폐가능한 다른 밸브를 이용하여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방울 배출부(104d)는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이후에 진술할 초음파 진동자(104g)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방울 배출부(104d)는 공기방울을 발생하여 세척중에 크기가 큰 이물질이나 점성이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와류 발생수단(104e)은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중앙부분에 설치되고, 제 1 회전용 모터(104e)는 제 1 세척살균부(104)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와류 발생수단(104e)과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와류 발생수단(104e)은 일방향중 좌우방향으로 360°회전하고, 제 1 회전용 모터(104f)는 와류 발생수단(104e)을 동작시키기 위해 와류 발생수단(104e)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와류 발생수단(104e)은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에 담겨진 물을 와류진동으로 유도하여 식기 또는 과일등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들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설치된다.
초음파 진동자(104g)는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와류 발생수단(104e)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초음파 진동자(104g)는 두개로 설치되고, 와류 발생수단(104e)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104g)는 소정 주파수대의 초음파를 발진하여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내부에 초음파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에 담겨진 물에 캐비테이션이 발생되어 채소 또는 과일등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제 1 고정대(104h)는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1 회전용 세척판(104c)의 외곽부분 및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지지대(104i)는 제 1 고정대(104h)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제 1 배수펌프(104j)는 제 1 세척살균부(104)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제 1 개폐수단(104c2)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지지대(104i)는 채소 또는 과일등이 와류 발생수단(104e)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류 발생수단(104e)에 의한 와류진동을 공급받기 위하여 그물망과 같은 메쉬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 1 배수펌프(104j)는 개방된 제 1 개폐수단(104c2)을 통하여 이물질들이 포함된 물이 펌핑에 의해 배수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살균처리실(104k)은 제 1 세척살균부(104)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1 살균처리실(104k)은 제 1 자외선 램프(104m)와 제 1 히팅수단(104n)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자외선 램프(104m)는 제 1 살균처리실(104k)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 1 살균처리실(104k)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제 1 히팅수단(104n)은 제 1 살균처리실(104k)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1 자외선 램프(104m)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자외선 램프(104m)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살균처리실(104k)은 반복과정을 거쳐 세척된 채소 또는 과일등을 건조 및 살균처리하여 채소 또는 과일등을 신선하게 유지시키도록 설치된다.
제 2 세척살균부(106)는 케이스(102)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104)의 하부에 위치되어 물의 분사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2 세척살균부(106)는 제 2 회전용 모터(106a),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 제 2 물공급수단(106d), 제 2 고정대(106e), 제 2 지지대(106f), 제 2 배수펌프(106g), 제 2 살균처리실(106h), 제 2 자외선 램프(106i), 제 2 히팅수단(106j)등을 포함한다.
제 2 회전용 모터(106a)는 제 2 세척살균부(106)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고,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은 제 2 세척살균부(106)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 2 회전용 모터(106a)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은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일부분에 배수를 위한 제 2 배수홀(106c1)과 제 2 배수홀(106c1)을 통하여 공급된 이물질이 포함된 물을 개폐가능하도록 제 2 개폐수단(106c2)이 포함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 2 개폐수단(106c2)은 이후에 진술할 제 2 컨트롤러부(110b1, 110b2)에 의해 전자동식으로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동식으로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개폐가능한 다른 밸브를 이용하여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물공급수단(106d)은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과 제 2 분사용 세척판(106c)의 일부를 관통하고 제 2 회전용 모터(106a)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2 물공급수단(106d)은 물을 토출하기 위한 제 2 토출홀(106d1)이 형성된다.
제 2 고정대(106e)는 제 2 물공급수단(106d)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제 2 지지대(106f)는 제 2 고정대(106e)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지지대(106f)는 식기를 수납하고 식기가 제 2 물공급수단(106d)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 2 물공급수단(106d)에 의해 토출된 물로 세척시키기 위해 선반으로 설치된다.
제 2 배수펌프(106g)는 제 2 세척살균부(106)의 하부 상측면에 위치하되, 제 2 개폐수단(106c2)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배수펌프(106g)는 개방된 제 2 개폐수단(106c2)을 통하여 이물질들이 포함된 물이 펌핑에 의해 배수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제 2 살균처리실(106h)은 제 2 세척살균부(106)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분사용 세척실(106b)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2 살균처리실(106h)은 제 2 자외선 램프(106i)와 제 2 히팅수단(106j)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자외선 램프(106i)는 제 2 살균처리실(106h)의 내부에 위치하되 제 2 살균처리실(106h)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제 2 히팅수단(106j)은 제 2 살균처리실(106h)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자외선 램프(106i)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2 자외선 램프(106i)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살균처리실(106h)은 반복과정을 거쳐 세척된 식기를 건조 및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다.
보호부(108: 108a, 108b)는 제 1 세척살균부(104)와 제 2 세척살균부(106)의 외곽부분에 각각 위치하되, 제 1 세척살균부(104)와 제 2 세척살균부(106)를 보호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레일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보호부(108)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세척살균부(104)에 설치되는 것을 제 1 보호부(108a)로, 제 2 세척살균부(106)에 설치되는 것을 제 2 보호부(108b)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부(110: 110a, 110b)는 제 1 보호부(108a)와 제 2 보호부(108b)에 각각 위치되어 제 1 세척살균부(104) 및 제 2 세척살균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제 1 세척살균부(104) 및 제 2 세척살균부(106)를 제어하여 세척과 살균 또는 배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컨트롤러부(110: 110a, 110b)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보호부(108a)에 설치되는 것을 제 1 컨트롤러부(110a)로, 제 2 보호부(108b)에 설치되는 것을 제 2 컨트롤러부(110b)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1 컨트롤러부(110a)와 제 2 컨트롤러부(110b)는 각각 조작수단(110a1, 110b1)과 구동수단(110a2, 110b2)등을 포함한다.
조작수단(110a1, 110b1)은 제 1 보호부(108a)와 제 2 보호부(108b)의 전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채소 또는 과일 및 식기에 따라 기능 및 시간별로 원하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조작수단(110a1, 110b1)은 헹굼기능, 급수기능, 세척기능, 살균기능, 배수기능, 예약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작수단이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세척 또는 살균 및 배수처리의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조작수단의 기능이면 모두 가능하다.
구동수단(110a2, 110b2)은 제 1 보호부(108a)와 제 2 보호부(108b)의 배면에 위치되고 조작수단(110a1, 110b1)과 제 1 세척살균부(104) 및 제 2 세척살균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10a2, 110b2)은 조작수단(110a1, 110b1)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세척살균부(104)와 제 2 세척살균부(106)를 제어하여 조작수단(110a1, 110b1)에 해당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대상체의 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의 외형이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식기나 채소 또는 과일등을 동시에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이물질들을 빠른 시간내에 깨끗하게 세척 및 살균처리를 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과 와류 발생수단(104e)을 구비하므로, 채소 또는 과일등의 이물질을 더욱 빠른 시간내에 깨끗하게 세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3, 4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404, 504, 604)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104)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404, 504, 604)의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104)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도록 설치되고,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관계 및 각각의 기능들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404, 504, 604)은 초음파 진동자(404g, 504g, 604g)가 4개 이상으로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404, 504, 604)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전용 세척실(104)보다 초음파 진동자가 많이 설치되므로, 채소 또는 과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들을 더욱 치밀하게 세척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은 더욱 향상된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7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700)의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도록 설치되고, 그것들간의 유기적인 관계 및 각각의 기능들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700)는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내부면에 위치하되, 제 1 지지대(104i)의 상부에 더 설치된 수위조절용 감지부(712: 712a, 712b)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위조절용 감지부(712: 712a, 712b)는 수위가 높으면 수위를 낮춰주거나, 수위가 낮으면 수위를 높혀 주므로, 제 1 회전용 세척실(104b)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7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보다 물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포함되고 외형을 갖도록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되어 초음파의 발진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에 발생된 물의 와류진동을 이용하여 채소 또는 과일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채소 또는 과일을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1 세척살균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 일부분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물의 분사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된 식기를 살균처리하도록 설치된 제 2 세척살균부와;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와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의 외곽부분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와 상기 제 2 세척살균부를 보호하고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 1 세척살균부 및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세척살균부 및 상기 제 2 세척살균부를 제어하여 세척과 살균 또는 배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척살균부는,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된 제 1 물공급수단과;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물공급수단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물공급수단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회전용 세척실과;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하측면에 위치하되, 일부분에 배수를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제 1 개폐수단이 포함되어 설치된 제 1 회전용 세척판과;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와류 발생수단과;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와류 발생수단과 체결되도록 설치된 제 1 회전용 모터와;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와류 발생수단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외곽부분 및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1 고정대와;
    상기 제 1 고정대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개폐수단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1 배수펌프와;
    상기 제 1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실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살균처리실과;
    상기 제 1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살균처리실의 상측면에 설치된 제 1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제 1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자외선 램프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싱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척살균부는,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된 제 2 회전용 모터와;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2 회전용 모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실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일부분에 배수를 위해 개폐가능하도록 제 2 개폐수단이 포함되어 설치된 제 2 분사용 세척판과;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일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회전용 모터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제 2 물공급수단과;
    상기 제 2 물공급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 2 고정대와;
    상기 제 2 고정대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의 하부 상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 2 개폐수단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2 배수펌프와;
    상기 제 2 세척살균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실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2 살균처리실과;
    상기 제 2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살균처리실의 상측면에 설치된 제 2 자외선 램프; 및
    상기 제 2 살균처리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자외선 램프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2 자외선 램프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2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싱크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수단과 상기 제 2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수단 및 상기 제 2 개폐수단은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 및 상기 제 2 분사용 세척판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판의 상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 사이에 공기방울 배출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용 세척실의 내부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부에 수위조절용 감지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KR1020080017438A 2008-02-26 2008-02-26 싱크대 KR20090092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38A KR20090092115A (ko) 2008-02-26 2008-02-26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438A KR20090092115A (ko) 2008-02-26 2008-02-26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15A true KR20090092115A (ko) 2009-08-31

Family

ID=4120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438A KR20090092115A (ko) 2008-02-26 2008-02-26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1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791A (zh) * 2018-07-26 2018-12-18 刘宗群 一种具有加热烘干和消毒功能的厨房水槽
CN109846209A (zh) * 2018-12-28 2019-06-07 厦门理工学院 可自动收纳清洗茶盘的茶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791A (zh) * 2018-07-26 2018-12-18 刘宗群 一种具有加热烘干和消毒功能的厨房水槽
CN109846209A (zh) * 2018-12-28 2019-06-07 厦门理工学院 可自动收纳清洗茶盘的茶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231B1 (ko) 농산물 자동세척 및 탈수장치
KR101757580B1 (ko) 초음파 세척기능이 구비된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기
CA2934977C (en) Sink-type washing machine
WO2012033350A2 (ko) 다기능 부엌싱크
US11882974B2 (en) Ultrasonic spoo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57058A (ko)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KR100842370B1 (ko) 다기능 식기세척함체
CN105455758A (zh) 清洗消毒一体机
KR20090092115A (ko) 싱크대
KR100339371B1 (ko) 초음파 세척겸용 식기세척기
CN205286272U (zh) 清洗消毒一体机
KR20090092122A (ko) 싱크대
KR100795337B1 (ko) 초음파 세척기
KR20060124260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316685Y1 (ko) 식기 및 야채 겸용 세척기
KR100753389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0604381B1 (ko) 음식물 세척기
KR102275427B1 (ko) 식기 세척장치
KR102060143B1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KR200292079Y1 (ko) 초음파식기세척장치
KR960000240B1 (ko) 야채 세척기
KR200386224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초음파세척기
KR100747703B1 (ko) 초음파살균세척기
KR102369233B1 (ko) 개수대용 식기세척기
KR200220897Y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