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079Y1 - 초음파식기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식기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79Y1
KR200292079Y1 KR2020020021300U KR20020021300U KR200292079Y1 KR 200292079 Y1 KR200292079 Y1 KR 200292079Y1 KR 2020020021300 U KR2020020021300 U KR 2020020021300U KR 20020021300 U KR20020021300 U KR 20020021300U KR 200292079 Y1 KR200292079 Y1 KR 200292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water
ultrasonic
washing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아
Original Assignee
홍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아 filed Critical 홍은아
Priority to KR2020020021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79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음파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할 식기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와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빼어내는 배수구를 가지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내에 공급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키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고,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부에 배수구를 갖는 씽크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에 의하면, 식기등의 세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세척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며,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싱크볼을 조리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급배수관의 설치에 추가적인 노고가 필요치 않으며, 좁은 주방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식기세척장치{Dishwasher using ultrasonic waves}
본 고안은 초음파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이나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한 초음파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식기세척기는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 구비되어 식기나 과일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초음파를 발생시켜 식기 등이 담겨 있는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세척을 행하므로, 세제가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세척에 소요되는 물의 양도 기존의 세척방법보다 적게 드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진 세척기이다.
따라서, 물을 뿌리고 세제를 사용한 후 다시 물을 뿌려 헹구고 마지막으로 열풍을 가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기존 방식의 식기세척기를 대신하여 그 수요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식기세척기는, 주방의 씽크볼(Sink Bowl)의 저면에 초음파발생기를 설치하여, 식기나 과일 등을 씽크볼의 물에 담근 다음 초음파를 발생시켜 식기 등을 세척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식기세척기의 경우에는, 세척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씽크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발생시 소음이 발생하며, 또한 세척을 위해서는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50도 정도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열손실로 인해 세척작업의 효율도 떨어지고 소요되는 시간도 상당히 걸리게 된다.
또한, 초음파식기세척기가 설치되어 있는 씽크볼은 주방에서는 식기 등의 세척에 필요할 뿐 아니라, 음식의 조리 중에도 여러 가지 용도에 계속 필요하다. 따라서, 씽크볼을 식기세척기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식기등의 세척시, 씽크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없게 되어, 여러 가지 불편을 야기 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초음파발생기를 설치한 씽크볼옆에 추가적으로 별도의 씽크볼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냉장고의 대형화, 김치냉장고의 보급등으로 인해 주방의 필요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통상의 주방의 경우 급수관과 배수관이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므로 새로운 씽크볼의 설치에는 별도의 노고가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등의 세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세척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며,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씽크볼을 조리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급배수관의 설치에 추가적인 노고가 필요치 않으며, 좁은 주방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초음파식기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4 및 도 1에 도시된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분사노즐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음파식기세척장치 10 ... 프레임
20 ... 세척조 21 ... 급수구
22 ... 배수구 23 ... 도어
30 ... 초음파식기체척기 40 ... 씽크볼
50 ... 트레이 60 ... 분사노즐
61 ... 분사공 70 ... 수도꼭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할 식기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와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빼어내는 배수구를 가지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내에 공급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키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고,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부에배수구를 갖는 씽크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들이 수납되고,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세척조의 수용공간 내외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와 상기 세척조의 급수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급수구와 연결된 다수의 분사공을 가지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공들은 그 분사공들을 통해 물이 유출될 때, 상기 분사노즐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방향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식기세척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는, 프레임(10)과 세척조(20)와 초음파발생기(30)와 씽크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척조(20)는 프레임(2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 세척조(20)의 내에는 세척할 식기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척조(20)에는 트레이(50)와 급수구(21)와 배수구(22)와 도어(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수용공간내에 구비되며, 식기들이 수납되고, 상기 도어(23)를 통해 수용공간 내외로 이동 가능하다. 트레이(50)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나 과일 야채등에 맞춰 적절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어(23)가 열린 상태(도 1참조)에서 트레이(50)를 세척조(20)의 외부로 꺼낸 후, 세척하고자하는 식기 등을 트레이(50)에 담은 다음, 다시 세척조(20)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이 때, 세척조(20)의 내부 측면벽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와, 트레이(50)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트레이(50)가 세척조(20)내외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와 가이드레일의 형상에 관하여는 기존에 잘 알려진 형상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고안의 핵심적인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급수구(21)는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급수관(21b)을 통하여 세척조(2)의 내부에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설치되며, 세척조(2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급수구밸브(21a)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구밸브(21a)는 프레임(10)의 전면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부(11)의 컨트롤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미도시), 컨트롤판넬(13)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급수구밸브(21a)의 개폐가 동작되어 세척조(50) 내부로 들어가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22)는 세척조(50)의 내부로부터 세척에 사용한 물을 외부로 빼내도록 설치되며, 세척조(5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배수구밸브(22a)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구밸브(21a)는 프레임(10)의 전면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부(11)의 컨트롤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미도시), 컨트롤판넬(13)의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배수구밸브(21a)의 개폐가 동작되어 세척조(50)로부터 외부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도어(23)는 세척조(20)의 앞부분에 설치되는데, 도어힌지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23)의 상단에는 도어(23)를 사용자가 잡고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2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24)는 힌지축(2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7)에는 걸림쇠(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조(20)에는 상기 걸림쇠(25a)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림턱(25b)이 구비되어 있어서, 닫혀진 도어(23)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가 도 3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와 같이 되었을 때, 이를 다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인장코일스프링(2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물이 담겨져 있는 동안에, 담겨져 있는 물이 새지 않도록 도어(23)를 세척조(50)에 밀착시키기 위해, 도어(23)에는 시일(28a)이 세척조(50)에는 시일홈(28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일(28a)은 도어(23)를 손잡이(27)를 사용해 닫는 경우, 시일홈(28b)사이에 견고히 끼워지고, 손잡이(27)의 걸립쇠(25a)가 걸림턱(25b)에 걸리며 시일(28a)이 시일홈(28b)애 끼워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세척조(50)내부의 담겨진 물이 새어 나오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의 손잡이(27)의 잠김구조와 세척조(20)를 밀페시키기 위한 시일(28a)과 시일홈(28b)의 구조는, 기존에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 또는 구조로 대처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척조(20) 내부의 상부에는 급수구(21)와 연결되어 있는 분사노즐(6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60)은 급수구(2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급수구베어링(62)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세척조(2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급수구(21)와 연통되어 있는 다수의 분사공(61)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1)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분사노즐(60)의 일단부측의 분사공(51)들과 타단부측의 분사공(61)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구(21)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다수의 분사공(61)들을 통해서 세척조(20)로 유출될 때, 서로 다른 방향의 분사공(61)들을 빠져나오는 물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분사노즐(60)은 급수구(21)를 중심으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30)는 초음파발진부(31)와 초음파발진회로(32)로 이루어져 있다. 초음파발진부(31)는 세척조(20)의 저면에 위치하며 세척조(20)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초음파발진회로(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발진회로(32)는 초음파발진부(31)에 발진신호를 인가하는 부분으로서, 세척조(20)의 하측에 위치하며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고정된다. 또한, 초음파발진회로(32)는 컨트롤부(11)와 연결되어 컨트롤판넬(13)의 조작으로 작동여부가 컨트롤된다.
다만, 이러한 초음파발생기(30)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2094호 등을 통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21b)에 연결되어, 프레임(10)의 상면 뒤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수도꼭지(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도꼭지(70)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므로 그 형상과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씽크볼(40)은 프레임(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도꼭지(7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거나, 그 밖에 조리시에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씽크볼(40)의 저면에는 씽크볼배수구(41)와 씽크볼배수구마개(41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씽크볼배수구(41)는 씽크볼배수관(41b)에 연결되어 외부로 씽크볼(40)의 물을 배출하게 된다.
특히, 씽크볼(40)의 깊이는, 하측에 마련된 세척조(20)의 높이를 감안하여 기존 주방의 씽크볼 보다 작게, 예를 들어 2cm 내지 10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초음파식기세척장치(1)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등의 세척을 위해서는 통상, 식기등에 남아 있는 음식물을 제거하는 초벌세척을 한 후, 세척기 내부로 넣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초음파식기세척장치(1)는 상부에 씽크볼(40)을 구비하고 있어, 수도꼭지(70)를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식기 등의 초벌세척을 씽크볼(40)에서 행한 후, 바로 아래에 마련된 세척조(20)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세척시의 동선이 짧아 세척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씽크볼(40)이 세척조(2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씽크볼에 초음파발생기를 장착해서 쓰던 기존의 초음파식기세척장치들이 세척시에는 요리등을 위한 용도로 씽크볼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했던 것과는 달리, 세척조(20)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도 자유롭게 요리등을 위해 씽크볼(40)을 사용할 수 있다.
초벌세척을 마친 식기등을 세척조(20)의 내부로 넣기 위해, 도어(23)의 손잡이(24)를 잡고 당기면,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25a)와 걸림턱(25b)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도어(23)가 도 1과 같이 열릴 수 있다.
그 다음, 세척조(20)의 내부에 있는 트레이(50)를 꺼낸 후, 트레이(50)에 초벌세척을 마친 식기등을 수납한다.
초벌세척이 필요치 않은 경우, 또는 야채나 과일등의 세척을 위해서는 초벌세척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트레이(50)에 수납하는 과정을 행하면 될 것이다.
그 후, 트레이(50)를 세척조(20)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23)를 닫는다. 이 때, 도어(23)의 시일(28a)이 세척조(20)의 시일홈(28b)에 끼워지고, 걸림쇠(25a)가 걸림턱(25b)에 걸리게 되어, 세척조(2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된다.
그리고,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 과일 야채등의 종류와 양에 맞추어, 컨트롤판넬(13)를 조작하여, 원하는 물의 양과 세척에 필요한 시간 및 과정을 정한다.
밀폐된 세척조(20)의 내부로 분사노즐(6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데, 이 때 필요한 경우 본격적인 세척에 앞서, 간단한 예비세척을 행할 수도 있다. 본격적인 세척은 세척조(20)에 의도된 양의 물이 담기고, 초음파발생기(30)에서 세척조(20)에 담겨진 물에 초음파를 발생하며 이루어진다.
이 때, 물의 온도는 보통 식기세척의 경우 50도 정도로 유지하며 이루어져야 효과적으로 빠른 시간에 만족할 정도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초음파식기세척장치(1)의 경우에는 세척조(20)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어 한번 가열된 물이 쉽게 식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초음파를 이용한 식기세척장치들에 비해 월등히 빠른 시간에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렇게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중에 발생하는 소음의 상당부분이 차단되어 외부에서 들리는 소음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세척이 끝난 후에는 배수구밸브(22a)가 개방되어, 세척조(20)에 담겨있던 물이 배수구(22)에 연결된 배수관(22b)을 거쳐 외부로 버려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어(23)를 열고 트레이(50)를 세척조의 외부로 옮긴 후, 세척이 된 식기등을 꺼내면 세척은 끝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초음파식기세척장치(1)는, 세척조(20)가 내부에 밀폐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세척조(20)에 담겨져 있는 물의 온도를 세척에 필요한 온도로 유지하기에 유리하여 식기등의 세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세척시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씽크볼(40)이 세척조(20)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조(20)내에서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씽크볼(40)을 조리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씽크볼(40)과 세척조(20)가 동일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배수관의 설치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한번에 가능하여 추가적인 노고가 필요치않으며, 좁은 주방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조(20)의 내부에 트레이(5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트레이(50)를 구비하지 않고, 직적 식기등을 세척조(20)의 내부로 집어넣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조(20)의 급수구(21)에 다수의 분사공(61)을 가지는 분사노즐(6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분사노즐(60) 없이, 급수구(21)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씽크볼(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꼭지(7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수도꼭지(7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식기세척장치에 의하면, 식기등의 세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세척시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며,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씽크볼을 조리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급배수관의 설치에 추가적인 노고가 필요치 않으며, 좁은 주방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할 식기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와 바닥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빼어내는 배수구를 가지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내에 공급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키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기;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고,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부에 배수구를 갖는 씽크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식기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들이 수납되고,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세척조의 수용공간 내외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와
    상기 세척조의 급수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급수구와 연결된 다수의 분사공을 가지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공들은 그 분사공들을 통해 물이 유출될 때, 상기 분사노즐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방향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식기세척장치.
KR2020020021300U 2002-07-16 2002-07-16 초음파식기세척장치 KR200292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00U KR200292079Y1 (ko) 2002-07-16 2002-07-16 초음파식기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00U KR200292079Y1 (ko) 2002-07-16 2002-07-16 초음파식기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079Y1 true KR200292079Y1 (ko) 2002-10-18

Family

ID=7305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300U KR200292079Y1 (ko) 2002-07-16 2002-07-16 초음파식기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373B1 (ko) * 2002-07-31 2005-06-07 김훈 주방용품 살균소독장치
KR100859461B1 (ko) * 2002-12-06 2008-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210065497A (ko) 2019-11-27 2021-06-04 임병구 콤보형 식기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373B1 (ko) * 2002-07-31 2005-06-07 김훈 주방용품 살균소독장치
KR100859461B1 (ko) * 2002-12-06 2008-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210065497A (ko) 2019-11-27 2021-06-04 임병구 콤보형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KR101757580B1 (ko) 초음파 세척기능이 구비된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기
KR20060124297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50057058A (ko)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KR102257534B1 (ko)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200292079Y1 (ko) 초음파식기세척장치
KR20010077130A (ko) 초음파 세척겸용 식기세척기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100604381B1 (ko) 음식물 세척기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JPH10180212A (ja) 噴射式洗浄機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0862325B1 (ko) 탑마운트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0454054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0758525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0386224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초음파세척기
KR102481975B1 (ko) 가정용 식기 세척기
KR20090092115A (ko) 싱크대
KR200316632Y1 (ko) 초음파 세척기능을 갖는 이동식 세척기
KR102623193B1 (ko) 탑마운트 구조로 인덕션 레인지가 장착된 초음파 세척장치
KR101507350B1 (ko) 마이크로파 세척장치가 구비된 부엌용 싱크다이
KR200256115Y1 (ko) 싱크대용 식기 세척기
CN210871378U (zh) 具有洗碗蒸烤功能的厨房用具
JPH09289963A (ja) 食器洗浄機
KR200332586Y1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결합된 싱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