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016A -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016A
KR20090092016A KR1020080017275A KR20080017275A KR20090092016A KR 20090092016 A KR20090092016 A KR 20090092016A KR 1020080017275 A KR1020080017275 A KR 1020080017275A KR 20080017275 A KR20080017275 A KR 20080017275A KR 20090092016 A KR20090092016 A KR 2009009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le
interlayer noise
adhesiv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준
Original Assignee
케이씨씨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씨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씨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2016A/ko
Publication of KR2009009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실리카 파우더, 규조토 등을 2~3종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에멀젼류를 합성한 후, 결합 향상제를 함께 사용하여 접착을 강력하게 하고, 심한 진동이나 반복되는 열 등에도 강력한 부착력, 소음방지 효과 및 팽창수축에 의한 타일의 박리 또는 균열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며, 상기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는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회색 포틀랜트 시멘트 30~45중량%, 무기계 파우더 30~40중량%, 규사 6, 7, 8호의 혼합물 20~30중량%, 메틸셀룰로오스 1~5중량% 및 소포제 0.1~0.5중량%를 포함하는 충전제와, 합성수지 40~60중량%, 실란화합물 0.5~2.0중량%, 증점제 2~5중량%, pH 조절제 0.1~0.5중량%, 물 35~55중량% 및 기타 첨가제 0.05~0.1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제:결합제의 비율이 100:30~50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Adhesive agent for tile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 접착제를 제조함에 있어 규조토 및 다공성 실리카 등과 같은 공극이 크고 많은 무기계 파우더와 시멘트를 혼합하고, 여기에 특수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 탄성도가 좋은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2액형 구조의 바닥 타일전용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이며, 본 발명에 의한 타일 접착제는 뛰어난 탄성으로 구조물 하부면의 진동으로부터 타일의 깨짐이나 박리를 막을 수 있으며, 다공성 구조의 무기계 파우더를 이용하여 타일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일정부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온돌이라는 특수한 난방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온돌은 히터 등에서 데워진 물을 이용하여 바닥에서 난방을 하는 시스템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난방 방법이다.
현재 중소형 평수의 아파트 및 공동 주택의 경우에는 대두분 마루 및 장판을 바닥에 깔고 있으나, 대형 평수의 경우는 실내 곳곳에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을 깔고 있다. 이러한 자재들의 경우 초기에는 대부분 압착 시멘트를 이용하여 시공하여 왔으나, 온돌 난방으로 인한 바닥의 잦은 온도 변화로 딱딱하게 굳은 압착 시멘트가 타일 및 대리석의 팽창수축 계수를 이기지 못하고, 균열 및 박리가 일어나 시공 하자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었으며, 나무나 그 밖의 장판 등에 비해 딱딱한 타일이나 대리석을 바닥에 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층간 소음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993-0009347호에서는 시멘트계 타일접착제에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를 소량 첨가하여 일정부분 타일의 팽창수축에 대응할 수 있는 응력을 가진 제품을 출시하였으나, 이는 균열 및 박리의 문제점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나, 아래쪽으로 전달되어지는 층간 소음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등록 제10-0789104호에서와 같이 아크릴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값을 낮추어 일정 부분 탄성계수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 역시도 부착성을 높이고 균열 및 박리의 문제점을 제어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소음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크릴이나 그 밖의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1액형 접착제의 경우, 부착 및 기타 역할은 충분히 수행하나, 내수성이 크게 덜어져 건조 후 수분 또는 물과 접촉하면 접착력을 상실해 타일의 박리로 이어지기 때문에 물이 닿는 곳이나 기타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장소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일에 상용되는 무기계 파우더의 일정부분을 다공성의 공극이 넓고 많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위쪽에서 전달되는 소음의 일정부분을 상기 무기계 파우더의 수많은 공극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합성수지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아크릴 수지에 국한하지 않고, 스틸렌부타디엔라버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상기 각 합성수지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 접착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제조된 접착제는 콘크리트 바닥면 뿐만 아니라 우레탄, 에폭시 등의 유기용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바닥재로 도장된 바닥면에서도 뛰어난 부착성능 및 소음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는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회색 포틀랜트 시멘트 30~45중량%, 무기계 파우더 30~40중량%, 규사 6, 7, 8호의 혼합물 20~30중량%, 메틸셀룰로오스 1~5중량% 및 소포제 0.1~0.5중량%를 포함하는 충전제와, 합성수지 40~60중량%, 실란화합물 0.5~2.0중량%, 증점제 2~5중량%, pH 조절제 0.1~0.5중량%, 물 35~55중량% 및 기타 첨가제 0.05~0.1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제:결합제의 비율이 100:30~50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는 다공성 실리카 등과 같은 공극이 크고 많은 무기계 파우더와 시멘트를 혼합하고, 여기에 특수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 탄성도가 좋은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2액형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이므로, 강력한 부착력, 뛰어난 작업성 및 내수성 뿐만 아니라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특징이 장시간 지속되어 타일의 박리 및 균열을 없앰은 물론, 근래의 가장 큰 환경 문제인 층간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는 2액형 접착체로서, 크게 충전제와 결합제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제는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회색 포틀랜트 시멘트 30~45중량%, 무기계 파우더 30~40중량%, 규사 6, 7, 8호의 혼합물 20~30중량%, 메틸셀룰로오스 1~5중량% 및 소포제 0.1~0.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제는 합성수지 40~60중량%, 실란화합물 0.5~2.0중량%, 증점제 2~5중량%, pH 조절제 0.1~0.5중량%, 물 35~55중량% 및 기타 첨가제 0.05~0.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전제와 결합제를 충전제:결합제의 비율이 100:30~50이 되도록 혼합하여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를 얻는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구성성분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시멘트는 KS L 5201 1종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며, 시멘트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전체적인 부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4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접착제의 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무기계 파우더는 일반적으로 공극이 크고 많은 원료인 규조토, 제올라이트, 필라이트, 다공성 실리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무기계 파우더의 평균입도는 2~100㎛인 것이 좋다. 무기계 파우더가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음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4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접착제의 부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규사는 1호사 내지 8호사 중 가능하면 입도가 작은 6~8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규사의 배합비율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혼합된 규사는 20~30중량% 첨가하는 것이 접착제의 작업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상기 메틸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계 유도체로서 접착력 및 일정 부분의 증점력, 보습력 등을 보강시켜주는 원료로서, 메틸셀룰로오스가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보습력 및 기타 바닥면에 물 빨림 현상을 증가시켜 시공 하자의 원인을 제공하며, 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올라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스틸렌 또는 메틸메타클레이트와 2-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에멀젼의 유리전이온도(tg)를 조정하여 사용하거나, 스틸렌 또는 메틸메타클레이트와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수지를 사용하기도 하며, 상기 아크릴 에멀젼과 분말수지를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합성수지가 4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접착제의 원하는 부착력이나 탄성을 얻기 힘들며, 6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건조속도 및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실란화합물은 경도 증진 및 접착력 강화를 위해서 첨가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사용하며, 이러한 원료는 타일의 밀착성 및 접착성 향상에 큰 작용을 한다.
상기 증점제는 카본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을 사용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그릴산 등의 카본산과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에멀젼으로 pH 2~3, 평균입자 사이즈 100~200㎛, 고형분 15~30, 점도 150~300cps의 수성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로는 방부제 등을 첨가하며, 방부제는 온도가 습도가 높을 경우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해 접착제가 부패 및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벤조산 및 실리실산을 0.05~0.1중량% 첨가하도록 한다.
상기 물은 희석용매로 사용되는 것이며, 물은 그 첨가량에 따라 접착제의 점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제조한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에서는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35중량%, 규사 6, 7, 8호의 혼합물 25중량%, 다공성 실리카 10중량%, 규조토 10중량%, 제올라이트 18.7중량%, 메틸셀룰로오스 1.2중량% 및 소포제 0.1중량%를 혼합한 충전제와, 아크릴수지 45중량%, 실란화합물 0.5중량%, 증점제 2.0중량%, pH 조절제 0.1중량% 및 물 52.4중량%를 혼합한 결합제를 제조한 후, 상기 충전제와 결합제의 비율이 충전제:결합제가 100:40이 되도록 최종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충전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를 상기 실시예 1 보다 5중량% 많은 40중량% 첨가하였으며, 대신 규사 혼합물은 실시예 1 보다 5중량% 적은 20중량% 첨가하였다. 또한, 무기계 파우더 중 규조토를 실시예 1 보다 10중량% 많은 20중량% 첨가한 반면 제올라이트는 실시예 1보다 10중량% 적은 8.7중량% 첨가하였다. 이 밖의 다른 충전제 구성성분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결합제를 구성하는 성분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 수지 대신에 스틸렌부타디엔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결합제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혼합된 충전제와 결합제의 비율이 충전제:결합제가 100:40이 되도록 최종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본 비교예 1에서는 충전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무기계 파우더를 전혀 첨가하지 않고, 대신 규사 혼합물을 73.7중량% 첨가하였다. 이 밖의 다른 충전제 구성성분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결합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혼합된 충전제와 결합제의 비율이 충전제:결합제가 100:40이 되도록 최종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본 비교예 2에서는 충전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를 상기 실시예 1 보다 10중량% 적은 25중량% 첨가하였으며, 대신 규사 혼합물은 실시예 1 보다 10중량% 많은 35중량% 첨가하였다. 이 밖의 다른 충전제 구성성분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결합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혼합된 충전제와 결합제의 비율이 충전제:결합제가 100:40이 되도록 최종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본 비교예 3에서는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30중량%, 규사 혼합물 35중량%, 다공성 실리카 15중량%, 규조토 10중량%, 제올라이트 8.7중량%, 그리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의 메틸셀룰로오스 1.2중량% 및 소포제 0.1중량%를 혼합한 충전제와, 결합제로서 물 100중량% 만을 사용하여, 상기 충전제와 물의 비율이 충전제:물이 100:40이 되도록 최종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아래의 표 1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한 접착제의 구성성분 및 그 혼합비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충전제 백색 시멘트 35 40 35 25 30
규사(6,7,8호) 25 20 73.7 35 35
다공성실리카 10 10 - 10 15
규조토 10 20 - 10 10
제올라이트 18.7 8.7 - 18.7 8.7
메틸셀룰로오스 1.2 1.2 1.2 1.2 1.2
소포제 0.1 0.1 0.1 0.1 0.1
합계 100 100 100 100 100
결합제 아크릴수지 45 - 45 45 -
스틸렌부타디엔수지 - 45 - - -
실란화합물 0.5 0.5 0.5 0.5 -
증점제 2 2 2 2 -
pH 조절제 0.1 0.1 0.1 0.1 -
52.4 52.4 52.4 52.4 100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접착제의 인장강도, 내수성, 냉온반복시험을 통한 부착성, 소음방지기능, 탄성 및 작업성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인장강도 kgf 100 120 75 90 55
내수성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부착성 좋음 좋음 좋음 좋음 탈락
소음방지기능 -10db -9db 0 -5db 0
탄성 좋음 좋음 낮음 좋음 없음
작업성 좋음 좋음 나쁨 좋음 나쁨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는 탁월한 부착력과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인 소음방지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 2 및 3의 경우는 부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음방지기능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실험예 2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를 타일 접착제 관련 시험방법인 ks l 1592(도자기질 타일시멘트의 시험방법) 및 ks l 1593(도자기질 타일접착제의 시험방법)과 소음방지 관련 시험방법인 ks F 2810-1(바닥충격음 차단 성능평가방법) 및 ks F 2863-1(바닥충격음 시험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가능시간, 길이변화율, 보수율, 접착강도 및 층간소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본 실험예 2에 사용된 표준용구 및 재료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험예에 사용한 석면슬래트는 KS L 5115에 규정하는 플랙시블 판을 사용한다.
또한, 모르타르 판은 모르타르의 배합을 무게비로 시멘트 1 당 표준모래 2, 물 0.65로 한다. 즉, 혼련한 시멘트 520g, 표준모래 1040g, 물 338g으로 하고 KS L 5109에 의해 혼합한 모르타르를 안쪽치수 70×70×20mm인 금속제 형틀을 사용하여 성형한 후, 온도 20±3℃, 습도 80% 이상의 조건에서 24시간 양생하여 탈형하고, 그 후 온도 20±2℃의 물속에서 양생한다. 그리고, 다시 7일 동안 양생실에서 양생한 후, KS L 6003에 규정하는 150번 연마지로 아랫면을 충분히 연마하여 시험용 기판으로 사용한다.
또한, 타일은 KS L 1001에 규정하는 내장 도자기질 타일로서 100mm 각 뒷면 무처리 타일, KS L 1001에 규정하는 도기질 시유 내장 타일로서 100mm 각 뒷면 무처리 타일 및 KS L 1001에 규정하는 석기질 무유 바닥 타일로서 100mm 각 뒷면 무처리 타일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유리판은 KS L 2012에 규정하는 것을 사용하며, 표준빗, 철편 및 지그는 KS D 3503에 규정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 실험예 2에 의한 실험은 온도 20±2℃, 습도 60±5%의 조건의 실내에서 실시하며, 실험 전 시료는 24시간 동안 상기와 같은 온도 및 습도하에 방치하도록 한다.
이하, 본 실험예 2에서 실시되는 접착제의 접착가능시간, 길이변화율, 보수율, 접착강도 및 층간소음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착가능시간은 온도 20±2℃, 습도 60±5%의 실내에서 표준빗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를 모르타르판에 도포하고 양생한 후, 표준접착강도를 만족하는 최장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길이변화율은 용량 1000g의 저울, 250㎖의 메스실린더, KS L 5107의 규정에 따른 틀과 길이 측정용 콤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제품을 형틀에 넣은 채로 72시간 동안 온도 23±2℃, 상대습도 95% 이상의 습기함이나 습기실에 넣어 저장한다. 상기 저장시간이 지난 후, 틀을 분해하여 제품을 꺼내 측정용 콤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길이(L1)을 0.01mm까지 측정하고, 다시 이를 온도 23±2℃, 상대습도 50±5%의 항온항습기에 넣고 7일이 지난 후 시험편의 길이(LS)를0.01mm까지 측정한다.
이때, 길이변화율의 계산은 아래와 같다.
또한, 보수율은 200×200×5mm의 판유리를 시험판으로 하고, KS M 7602에서 규정하는 거름종이 및 안지름 50mm, 높이 10mm의 황산구리 링 형틀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우선 유리판 위에 거름종이를 올려놓고, 그 가운데에 링 형틀을 설치한 후, 제품을 모르타르 주걱으로 반죽하여 상기 링 형틀에 채워넣는다. 그리고, 상기 유리판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바닥과 같은 모양의 유리판으로 덮고 상하로 반복하여 뒤집어준 후, 거름종이가 윗부분으로 올라오게 한다. 보수율의 측정은 60분 후 기름종이에 배인 수분의 가장 큰 부분을 버어니아 캘리퍼스로 측정하고, 이의 직각 방향의 크기를 0.1mm까지 측정한다.
이때, 보수율의 계산은 아래와 같다.
또한, 접착강도의 측정방법은 표준 시험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르타르에 도자기질타일, 도기질 시유 내장타일, 석기질 바닥 타일 등을 40mm×40mm 크기로 절단한 후, 표준빗을 사용하여 접착시킨다. 그리고, 이를 온도 23±2℃, 습도 50±10%의 조건에서 168시간 동안 표준 양생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시험기에 장치한 후, 인장속도 3mm/min으로 인장시험을 하여 최대하중을 측정하고 끊어진 상태를 기록한다.
이때, 접착강도의 계산은 아래와 같다.
또한, 층간소음의 측정은 600mm×600mm 크기의 자기질 및 석기질 바닥용 타일을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5mm 두께로 시공하고, 24일 후 소음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측정대상 세대가 1개 동의 경우에는 중간층과 최상층의 측벽에 면한 각 1세대 이상과 중간층의 중간에 위치한 1세대 이상을 선정하며, 평형이 다를 경우에는 평형별로 3개 세대를 선정한다. 측정대상 세대가 2개 동 이상일 경우에는 평형별로 1개 동 이상을 대상으로 중간층과 최상층의 측벽에 면한 각 1세대 이상과 중간층의 중간에 위치한 1세대 이상을 선정한다.
측정대상 공간은 각 단위세대의 거실에서 측정하며, 거실과 침실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장 넓은 공간을 선정하도록 한다.
측정위치는 중앙점을 포함한 벽에서 0.75m 이격 지점의 4개소 이상에서 측정하며, 이때, 수음실 바닥면적이 14m2 미만일 경우에는 0.5m 이격 지점에서 측정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의 높이는 1.2m로 설치한다.
측정주파수대역은 1/1 옥타브밴드 측정의 경우, 125~2000Hz의 5개 대역(125Hz, 250Hz, 500Hz, 1kHz, 2kHz)에서 측정하고, 1/3 옥타브밴드 측정의 경우, 100~3150Hz의 16개 대역에서 측정한다.
측정시간은 1/1 옥타브밴드의 경우, 3초 이상의 등가음압레벨을 측정하고, 1/3 옥타브밴드의 경우, 6초 이상의 등가음압레벨을 측정한다.
그리고, 바닥충격음 레벨(Li)을 산출하고,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이때, 음압레벨차가 6dB 이상이면 보정한다.) 규준화 바닥충격음 레벨(L'n)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가능시간, 길이변화율, 보수율, 접착강도 및 층간소음을 측정한 결과가 아래 표 3에 나타나 있다.
구분 KS 기준 본 발명
접착가능시간 20분 전후 40분
길이변화율 0.1 이하 N/mm2 0.08 N/mm2
보수율 50 이상 N/mm2 81 N/mm2
접착강도 58.8 N/cm2 107.3 N/cm2
층간소음 경량 2 48dB 44dB
경량 3 53dB 49dB
경량 4 58dB 50dB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는 모든 실험항목에 있어서 KS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회색 포틀랜트 시멘트 30~45중량%, 무기계 파우더 30~40중량%, 규사 6, 7, 8호의 혼합물 20~30중량%, 메틸셀룰로오스 1~5중량% 및 소포제 0.1~0.5중량%를 포함하는 충전제와,
    합성수지 40~60중량%, 실란화합물 0.5~2.0중량%, 증점제 2~5중량%, pH 조절제 0.1~0.5중량%, 물 35~55중량% 및 기타 첨가제 0.05~0.1중량%를 포함하는 결합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제:결합제의 비율이 100:30~50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파우더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다공성 실리카 및 필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스틸렌 또는 메틸메타클레이트와 2-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에멀젼, 스틸렌 또는 메틸메타클레이트와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고무 라텍스계,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화합물은 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카본산과,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가 혼합된 카본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벤조산 또는 실리실산인 방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KR1020080017275A 2008-02-26 2008-02-26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KR20090092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75A KR20090092016A (ko) 2008-02-26 2008-02-26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75A KR20090092016A (ko) 2008-02-26 2008-02-26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16A true KR20090092016A (ko) 2009-08-31

Family

ID=4120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75A KR20090092016A (ko) 2008-02-26 2008-02-26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0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65B1 (ko) * 2010-03-09 2010-10-18 ㈜한성엠씨 콘크리트 수조의 패널 접착용 조성물
KR101641038B1 (ko) * 2016-04-08 2016-07-19 주식회사 태림산업 은폐성이 우수한 접착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65B1 (ko) * 2010-03-09 2010-10-18 ㈜한성엠씨 콘크리트 수조의 패널 접착용 조성물
KR101641038B1 (ko) * 2016-04-08 2016-07-19 주식회사 태림산업 은폐성이 우수한 접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7790B1 (ko) 수용성 합성고무라텍스를 사용한 자기 수평 바닥마감재조성물
KR101416841B1 (ko) 빠른 경화를 위한 고강도 황토 모르타르
KR20150139842A (ko)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물품
KR101170307B1 (ko) 탄성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타일접착제
CN108083706A (zh) 一种彩色透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176823B1 (ko) 분말수지 및 폴리파이버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N100334031C (zh) 水泥基稀薄固结灰浆
KR100730787B1 (ko) 고침투성의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598859B2 (en) Sound reducing underlayment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KR20090092016A (ko) 층간 소음방지용 타일 접착제
CN112321234B (zh) 一种复合保温铺装板及其制备方法
KR20120127798A (ko) 수용성 고무칼라 아스팔트 몰탈 및 그 시공방법
KR101106986B1 (ko) 무기질계 수경성 불연마감재 조성물
KR100573726B1 (ko) 고기능성 결로 저감용 마감 모르타르 조성물
JP560831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47084B1 (ko) 마그네시아를 이용한 시멘트 테라죠 조성물
KR100811699B1 (ko) 건축내장용 코팅 마감재
JP3136232B2 (ja) 木質セメント板
KR102181565B1 (ko) 외벽단열용 하이접착 몰탈 조성물
KR101239626B1 (ko)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개선용 혼합 모르타르
CN111591389A (zh) 一种浮动地板结构及其施工工艺
KR20060104461A (ko) 폐타이어고무를 함유하는 건조 폴리머 코팅재의 제조방법
WO2002016282A1 (en) Static-dissipative composition and panel manufactured therewith
KR100528133B1 (ko) 단열접착제 또는 바탕바름재로 사용되는 건축용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