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299A - 차량용 휠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299A
KR20090091299A KR1020097012434A KR20097012434A KR20090091299A KR 20090091299 A KR20090091299 A KR 20090091299A KR 1020097012434 A KR1020097012434 A KR 1020097012434A KR 20097012434 A KR20097012434 A KR 20097012434A KR 20090091299 A KR20090091299 A KR 2009009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 suspension
link
senso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700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게르트너
미하엘 클랑크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9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차량용 휠 서스펜션은 차체(7), 휠(8), 상기 휠(8)을 상기 차체(7)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2), 상기 링크(2)를 하나 이상의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7)에 지지시키는 베어링(3), 및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하는 차체(7)에 대한 링크(2)의 선회를 검출할 수 있는 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3)의 내부 부분(9)이 상기 차체(7)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 측정 장치는 신호 발생기(25)로서 형성된 소자 및 센서(18)로서 형성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들 중 하나의 소자는 외부에서 상기 링크(2)에, 그리고 상기 소자들 중 다른 소자는 상기 차체(7)에 고정된 홀더(15)에 상기 링크(2)에 대해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차체, 휠, 링크, 베어링, 각도 측정 장치, 신호 발생기, 센서, 홀더.

Description

차량용 휠 서스펜션{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서스펜션으로서, 차체, 휠, 상기 휠을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 상기 링크를 하나 이상의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시키는 베어링, 및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차체에 대한 링크의 선회를 검출할 수 있는 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부 부분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 측정 장치는 신호 발생기로서 형성된 소자 및 센서로서 형성된 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휠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차축에 있는 레벨 센서 시스템에서, 볼-앤드-소켓 조인트 내에 통합된 각도 센서들이 개발되었다. 이 센서들은 그 밖의 레벨 센서에 비해 훨씬 더 안정적이고, 더 양호한 신호 품질을 제공하며 더 경제적이다. 대부분의 차량에서 볼-앤드-소켓 조인트가 조립되지 않는, 차량의 후차축에서는 고무 베어링 내에서의 레벨 측정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측정 방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베어링의 고무 트랙 내에 자석이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는 베어링의 설치 공간을 확대시킨다. 또한, 특별한 자화 방식의, 플라스틱 결합된 자석, 자기 저항 센서, 외부 증폭기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볼-앤드-소켓 조인트 내의 각도 센서에 비해 비용을 증가시킨다.
DE 102 21 873 A1에는 편향 센서를 구비한 고무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고무 베어링은 내부 링, 외부 링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고무 링을 포함한다. 외부 링에는 홀 센서가 홀딩 장치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홀 센서는 2개의 자석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들은 고정 부품에 의해 내부 링에 고정된다. 내부 링이 외부 링에 대해 회전되면(이는 편향에 상응함), 홀 센서는 좌측 또는 우측 자석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홀 센서의 영역에서 자계가 변한다. 자계의 변화는 후속 접속된 전자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EP 1 707 922 A1은 외부 부싱, 내부 부싱 및 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 중합체 바디를 포함하는 부싱 베어링을 공개한다. 탄성 중합체 바디는 2부분으로 분할되고, 2개의 탄성 중합체 바디 부분들 사이의 사이 공간 내에 영구 자석 및 전류 자기(galvanomagnetic) 센서가 자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내부 부싱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이 챔버 내에 자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이 배치되고, 상기 링은 자기 직렬 회로를 둘러싸고, 양 측면에 상기 직렬 회로에 대한 갭을 갖는다. 상기 링은, 내부 부싱에 대한 외부 부싱의 회전이 갭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된다. 부싱 베어링에 의해, 휠 안내 링크가 차체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해결책의 단점은 베어링의 고무 바디 내에 자석 및/또는 센서가 삽입된다는 것이며, 이는 베어링의 설치 공간을 확대시키고 비교적 복잡한 제조를 야기한다.
또한, DE 44 29 856 C1은 차체, 휠, 상기 휠을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상기 링크를 하나 이상의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시키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부 부분이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을 공개한다. 또한, 각도 측정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각도 측정 장치에 의해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차체에 대한 링크의 선회가 검출될 수 있다. 각도 측정 장치는 신호 발생기(6a)로서 형성된 부품 및 센서로서 형성된 부품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기와 센서를 구비한 각도 측정 장치는 링크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한편으로는 장치가 불리하게 조립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의 외부에 배치된 추가 부품, 즉 센서의 구동 또는 홀드를 위한 판 스프링 형태의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의 구성이 각도 측정 장치에 의해 가급적 적은 영향을 받도록, 전술한 방식의 휠 서스펜션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휠 서스펜션 및 청구항 제 9항에 따른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휠 서스펜션은 차체, 휠, 상기 휠을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 상기 링크를 하나 이상의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시키는 베어링, 및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차체에 대한 링크의 선회를 검출할 수 있는 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부 부분이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 측정 장치는 신호 발생기로서 형성된 소자 및 센서로서 형성된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들 중 하나의 소자는 외부에서 링크에 그리고 상기 소자들 중 다른 소자는 차체에 고정된 홀더에 상기 링크에 대해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또한, 신호 발생기는 링크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센서는 신호 발생기의 바로 근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에서, 신호 발생기 및 센서는 베어링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베어링이 센서 시스템에 매칭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베어링으로서 탄성 중합체 베어링 또는 고무 베어링이 통합된 센서 시스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는, 센서가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링크의 선회 각 또는 회전 각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거나 변형하도록, 센서와 협동하거나 협동할 수 있다.
휠 서스펜션 내의 자기 각도 측정 장치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신호 발생기는 바람직하게 자석으로 형성되고 센서는 자계 감지 센서 또는 자기 센서로서 형성된다. 특히 신호 발생기는 영구 자석으로 형성됨으로써, 신호 발생기에 전기 라인이 공급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서, 신호 발생기가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은 상기 자석을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플라스틱 케이싱이 충분히 크면, 자석은 이것에 의해 링크에 고정, 특히 니벳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예컨대 자석 및/또는 플라스틱 케이싱을 링크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는 특히 박판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홈 내로 슬롯의 에지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2개의 서로 마주 놓인 홈들 또는 원형 또는 부분 원형 홈을 가지므로, 2개의 서로 마주 놓인 슬롯 에지들은 홈 또는 홈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홈 또는 홈들의 폭은 박판의 두께보다 약간 더 작기 때문에, 센서 하우징은 슬롯을 따른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에 대항해서 박판에 넌포지티브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센서는 간단히 홀더에 장착될 수 있고 홀더로부터 다시 풀려질 수 있다. 홀더는 바람직하게 차체에 고정되고 슬롯과 함께 계단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가 그 하우징과 함께 계단의 영역에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라, 홀더는 내부 부분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홀더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그들 사이에 내부 부분이 배치된다. 센서는 2개의 레그를 서로 연결하는 홀더의 바닥에 배치된다.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내부 부분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레그들 중 하나 이상의 레그가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내부 부분에 제공된 홈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홈 내로 삽입된 돌출부는 홀더용 비틀림 방지부를 형성한다.
베어링은 부싱 베어링, 볼 부싱 조인트 또는 다른 베어링 또는 조인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 또는 고무 베어링으로 형성된다. 특히, 베어링은 내부 부분을 둘러싸는 외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부분은 예컨대 링크로 형성되거나 또는 링크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 사이에는 탄성 중합체 바디가 배치된다.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은 탄성 중합체 바디의 중간 접속 하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부분은 특히 링크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중공 실린더형 외부 슬리브를 형성한다. 또한,내부 부분은 연속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볼 슬리브로서 또는 원통형 내부 슬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부분은 특히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내부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탄성 중합체 바디가 중간 접속되면, 상기 회전은 탄성 중합체 바디의 변형 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석은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된 링크의 차체 측 단부에 장착되고, 기계적 보호를 위해 자석은 플라스틱 케이싱을 포함한다. 자석은 컨트롤 암에 접착될 수 있거나 또는 더 큰 플라스틱 부품 또는 더 큰 플라스틱 케이싱의 사용시 니벳 고정될 수 있다. 자계 감지 센서는 지지판에 의해 컨트롤 암의 푸트에 고정된다. 즉, 지지판은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결합에 의해 내부 슬리브에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서브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 경우, 센서는 보조 프레임에 대한 컨트롤 암의 각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볼-앤드-소켓 조인트에서와 동일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센서는 물량 효과(quantity effect)에 의해 더 저렴해진다. 실시예에 따라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베어링은 변경될 필요가 없으며 설치 공간은 거의 유지된다. 센서는 지지판 구성의 특성에 의해 손상의 경우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자석과 센서 사이의 특정 거리 범위 내에서, 센서에 의해 송출되는 측정 신호와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링크의 회전 각 사이의 관계는 선형이다. 링크가 베어링 또는 고무 베어링의 중간 접속 하에 휠에 고정되고, 자석 중심점이 2개의 고무 베어링의 중심점을 통해 연장하는 축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컨트롤 암의 회전은 센서 신호(대칭 축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시뮬레이션 결과, 대칭 축선에 대해 수직인 축선(특히, 차량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은 센서 신호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석과 센서 사이의 간격 변화에 의한 영향은 주행 작동 중에 나타나는 범위에서는 검출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또한 차체 및 하나 이상의 휠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휠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이고, 상기 모든 실시예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특히, 휠 서스펜션의 구성은 차체 또는 차체와 연결된 보조 프레임 또는 서브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각도 측정 장치에 의해, 차체에 대한 휠의 편향이 측정된다.
차량은 특히 전차축 및 후차축을 갖는다. 상기 하나 이상의 휠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는 후차축에 제공된다. 휠 서스펜션의 하나 이상의 링크는 차체, 보조 프레임 및/또는 서브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링크는 컨트롤 암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석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자석 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조립 전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변형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평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컨트롤 암(2)은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의 중간 접속 하에 차량(5)의 보조 프레임(4)(도 8 참고)에 연결된다. 컨트롤 암(2)은 탄성 중합체 베어링(3)에 의해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보조 프레임(4)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보조 프레임(4)은 차량(5)의 차체(7)(도 8 참고)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컨트롤 암(2)은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차체(7)에 대해 선회 가능하다. 보조 프레임(4)은 차체(7)에 포함될 수 있고, 보조 프레임 대신에 서브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링크(2)를 탄성 중합체 베어링(3)에 의해 보조 프레임 또는 서브 프레임의 중간 접속 없이 차체(7)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 암(2)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단부는 차량 휠(8)(도 8 참고)에 연결된다. 특히, 링크(2)는 조인트 또는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중간 접속 하에 차축 저널에 연결되고, 상기 차축 저널에는 차량 휠(8)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은 내부 부분(9)과 상기 내부 부분(9)을 둘러싸는 외부 부분(10)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9)과 외부 부분(10) 사이에는 탄성 중합체 바디(11)가 배치된다. 외부 부분(10)은 링크(2)의 리세스(12) 내에 상대 회전 불가 능하게 배치되고, 내부 부분(9)은 보조 프레임(4)의, 특히 박판으로 형성된 2개의 캐리어들(1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들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내부 부분(9)은 연속하는 리세스 또는 보어를 가지며, 탄성 중합체 베어링(3)을 보조 프레임(4)에 고정하기 위해 박판 캐리어(13)를 관통하는 볼트가 상기 리세스 또는 보어 내에 삽입된다.
홀더(15)가 나사 또는 니벳(16)에 의해 보조 프레임(4)에 고정되고, 홀더(15)는 박판으로 형성되며 슬롯(17)을 갖는다. 박판(15)이 계단형으로 휘어지므로, 슬롯(17)도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홀더(15)에는 자계 감지 센서(18)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는 부분적으로 환형의 홈(20)을 가진 하우징(19) 내에 배치되며, 박판(15)의 슬롯 에지가 상기 홈(20) 내로 삽입된다. 조립을 위해, 센서(18)는 계단의 영역에서 슬롯(1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센서(18)는 홀더(15)로부터 다시 분해될 수 있고 손상의 경우 교체될 수 있다. 센서(18)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전기 라인(21)에 의해 전자 평가 장치(22)(도 8 참고)에 연결되고, 상기 평가 장치에 의해 센서(18)의 전기 정보가 처리될 수 있다.
센서(18)의 영역에서 장착 장치(23)가 링크(2)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 장치(23)는 플라스틱 케이싱(24)을 구비한 영구 자석(25)을 갖는다(도 3 참고).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케이싱(24)은 2개의 연속하는 홀(26)을 가지며, 링크(2)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장치(23)를 링크(2)에 고정하기 위해 니벳이 상기 홀들을 관통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플라스틱 케이싱(24) 및/또는 자석(25)이 링크(2)에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자석(25)의 자계는 센서(18)의 지점에서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하는 링크(2)의 선회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센서(18)는 특히 홀 소자의 배치에 의해 수직 홀 원리에 따라 동작한다.
도 7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15)의 변형예가 평면도로 도시된다. 홀더(15)는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슬롯(17)을 가지므로, 도 7에 도시된 변형예는 도 1에 도시된 홀더(15)를 대체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1)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특징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베어링(3)의 내부 부분(9)에는 홀더(15)가 고정되고, 상기 홀더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U-형으로 형성되며 2개의 평행한 레그들(27, 28)을 포함한다. 상기 레그들은 바닥(29)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홀더(15)는 슬롯(17)(도 5 참고)을 가지며, 자계 감지 센서(18)가 상기 슬롯(17) 내로 삽입됨으로써 홀더(15)에 고정된다. 센서(18)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링크(2)의 외부면에 고정된 영구 자석(25)과 협동한다. 홀더(15)는 2개의 연속하는 홀들(39)을 갖는다.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홀들(39), 및 내부 부분(9) 내에 제공된 연속하는 리세스 또는 보어(30)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에 의해 내부 부분(9)은 보조 프레임(4)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홀더(15)가 내부 부분(9)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홀(39)의 영역에서 레그(27)에 돌출부(31)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31)는 내부 부분(9) 상에 또는 내부 부분(9) 내에 제공된 홈 또는 내부 홈 내로 삽입되어 비틀림 방지부를 형성한다. 도 5에는 장착 전 상태에 서 홀더(15)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2개의 레그들(27, 28)은 아직 바닥(29)으로부터 휘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돌출부(31)도 아직 레그(27)로부터 휘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특징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영구 자석(25)은 바디(32)의 중간 접속 하에 링크(2)의 리세스(33) 내에 배치되고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플라스틱 케이싱에 의해 직접 커버되지 않는다. 오히려, 영구 자석(25)은 밀봉 벨로우즈(34)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고, 상기 밀봉 벨로우즈(34)는 바디(32)로부터 센서(18)의 하우징(19)까지 연장된다. 센서(18) 또는 센서 하우징(19)은 직접 보조 프레임(4)상에 배치되고, 거기서 꺽여진 홀더(15)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홀더는 보조 프레임(4)에 나사 결합된다.
도 8에는 차량(5)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차량(5)은 2개의 휠들(40, 41)을 가진 전차축(35) 및 후차축(36)을 포함한다. 후차축(36)은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1)을 포함한다. 후차축(36)의 제 2 차량 휠(37)은 휠 서스펜션(1)에 상응하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38)을 통해 차체(7)에 연결된다. 도 8에 따른 차량(5)이 제 1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차량(5)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용 휠 서스펜션으로서, 차체(7), 휠(8), 상기 휠(8)을 상기 차체(7)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2), 상기 링크(2)를 하나 이상의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차체(7)에 지지시키는 베어링(3), 및 상기 선회 축선(6)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차체(7)에 대한 상기 링크(2)의 선회를 검출할 수 있는 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3)의 내부 부분(9)이 상기 차체(7)에 고정되고, 상기 각도 측정 장치는 신호 발생기(25)로서 형성된 소자 및 센서(18)로서 형성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들 중 하나의 소자는 외부에서 상기 링크(2)에, 그리고 상기 소자들 중 다른 소자는 상기 차체(7)에 고정된 홀더(15)에 상기 링크(2)에 대해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25)는 상기 링크(2)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센서(18)는 상기 신호 발생기(25)의 바로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25)는 자석(25)으로서 그리고 상기 센서는 자계 감지 센서(18)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25)은 플라스틱 케이싱(24)을 가지며 상기 링 크(2)에 접착되거나 또는 상기 링크(2)에 니벳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5)는 슬롯(17)을 가지며, 상기 센서(18)는 하나 이상의 홈(20)을 가진 하우징(19)을 갖고, 상기 홈 내로 상기 슬롯(16)의 에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5)는 상기 차체(7)에 고정되고 상기 슬롯(17)과 함께 계단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5)는 상기 내부 부분(9)에 고정되고, 2개의 레그(27, 28)를 가지며, 상기 레그들 사이에 상기 내부 부분(9)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18)는 상기 2개의 레그들(27, 28)을 서로 연결시키는, 상기 홀더(15)의 바닥(29)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3)은 상기 내부 부분(9)을 둘러싸는 외부 부분(10)을 가지며, 상기 외부 부분(10)은 상기 링크(2)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링크의 리세스(1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부분(10)과 상기 내부 부분(9) 사이에 탄성 중합체 바디(1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휠 서스펜(1) 및 차체(7)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의 구성이 상기 차체(7) 또는 상기 차체와 연결된 보조 프레임(4) 또는 서브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8항에 있어서, 전차축(35) 및 후차축(36)이 제공되고, 상기 휠 서스펜션(1)은 상기 후차축(36)에 제공되며, 상기 링크(2)는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KR1020097012434A 2006-12-21 2007-12-17 차량용 휠 서스펜션 KR101434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61976A DE102006061976B4 (de) 2006-12-21 2006-12-21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6061976.5 2006-12-21
PCT/DE2007/002269 WO2008074309A1 (de) 2006-12-21 2007-12-17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299A true KR20090091299A (ko) 2009-08-27
KR101434700B1 KR101434700B1 (ko) 2014-08-26

Family

ID=3926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434A KR101434700B1 (ko) 2006-12-21 2007-12-17 차량용 휠 서스펜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9128B2 (ko)
JP (1) JP5198469B2 (ko)
KR (1) KR101434700B1 (ko)
CN (1) CN101563246A (ko)
DE (1) DE102006061976B4 (ko)
WO (1) WO2008074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429A (ko) * 2017-07-04 2020-03-03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각도 측정 장치의 배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0406B4 (de) 2010-06-23 2017-10-26 Zf Friedrichshafen Ag Verbundlenkerachse für ein Fahrzeug
CN103460802B (zh) 2011-04-08 2016-08-17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驱动负载特别是led组件的驱动器设备和驱动方法
DE102014016435B4 (de) * 2014-11-06 2020-08-27 Audi Ag Sensoranordnung an einer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11393B4 (de) * 2017-07-04 2019-10-24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zur Verbindung eines Fahrwerkslenkers mit einem Radträger
DE202020106260U1 (de) * 2020-11-02 2022-02-08 Dana Italia S.R.L. Fahrzeugaufhängungssystem mit einem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49Y2 (ko) * 1988-04-12 1993-05-18
GB2229006A (en) 1989-03-10 1990-09-12 Jaguar Cars Rotary position transducer
US5115194A (en) * 1990-09-27 1992-05-19 Kearney-National Inc. Hall effect position sensor with flux limiter and magnetic dispersion means
DE4429856C1 (de) * 1994-08-23 1995-09-07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m Erkennen des Fahrzeugniveaus
DE19831248C2 (de) * 1998-07-11 2002-09-19 Daimler Chrysler Ag Sensoranordnung an einer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21873A1 (de) * 2002-05-15 2003-11-27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Gummilager mit Einfederungssensor
JP2004270832A (ja) * 2003-03-10 2004-09-30 Advics:Kk サスペンション用防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機構
EP1489385B1 (de) * 2003-06-11 2016-07-20 FTE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r Sensierung der axialen Stellung eines ersten Bauteils, das relativ zu einem zweiten Bauteil bewegbar ist
DE10339126B4 (de) * 2003-08-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Winkelsensor
US20050068024A1 (en) * 2003-09-29 2005-03-31 Byram Robert James Rotary position sensor
JP4679192B2 (ja) * 2005-03-22 2011-04-27 Ntn株式会社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装置
US20060220638A1 (en) * 2005-03-31 2006-10-05 Urquidi Carlos A Angular position sensor
JP2008111788A (ja) * 2006-10-31 2008-05-15 Nagano Keiki Co Ltd 検出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429A (ko) * 2017-07-04 2020-03-03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각도 측정 장치의 배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9128B2 (en) 2012-05-15
JP5198469B2 (ja) 2013-05-15
JP2010513116A (ja) 2010-04-30
WO2008074309A1 (de) 2008-06-26
CN101563246A (zh) 2009-10-21
KR101434700B1 (ko) 2014-08-26
DE102006061976A1 (de) 2008-07-10
DE102006061976B4 (de) 2010-09-16
US20100013173A1 (en)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044B2 (ja) 旋回角度センサを備えたボールジョイント
KR101434700B1 (ko) 차량용 휠 서스펜션
US20040190805A1 (en) Rubber bearing with a jounce sensor
US7063480B2 (en) Ball-and-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KR101310990B1 (ko) 전자기계식 트랜스듀서 장치
CN100422579C (zh) 用于汽车的球窝关节
CN101750100B (zh) 旋转角度传感器
CN110831792B (zh) 角度测量装置的布置方式
US20040100357A1 (en) Ball joint with integrated angle sensor
JP2007503553A (ja) 角度センサを備えたボールジョイント
EP3490858A1 (en) Magnetic brake pad wear sensor
US8890515B2 (en) Device for detecting a rotational angle of a rotatable part
JP2019536952A (ja) ブレーキパッド摩耗センサ
US10337576B2 (en) Brake pad wear sensor
JP4617316B2 (ja) ボールスリーブジョイント
JP2011513108A (ja) 車両用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3746674A1 (en) Damper assembly
US20040174159A1 (en) Securement feature for rotary position sensor
FI102013B (fi) Voima-anturijärjestelmä vetovoimien tunnistamiseksi
DE59904959D1 (de) Befestigung eines lenkwinkelsensors
KR20030000870A (ko) 자동차의 휠허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