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858A -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858A
KR20090090858A KR1020080016376A KR20080016376A KR20090090858A KR 20090090858 A KR20090090858 A KR 20090090858A KR 1020080016376 A KR1020080016376 A KR 1020080016376A KR 20080016376 A KR20080016376 A KR 20080016376A KR 20090090858 A KR20090090858 A KR 2009009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isually impaired
fire alarm
butt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술
정형태
정호성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제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천시 filed Critical 제천시
Priority to KR102008001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858A/ko
Publication of KR2009009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기와, 상기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신기를 포함하므로, 시각장애인이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화재경보장치 측으로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Fire alarm apparatus for blind individuals}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장애인이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고,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아파트, 빌딩, 공장 등의 실내에는 화재를 알리기 위해서, 소화전 등과 같은 화재경보장치가 계단 또는 복도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 소화전이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소화전(100)은 상부함(11)과 하부함(12)으로 구성된 케이스(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는 벽면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부함(11)에는 화재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20)와, 상기 경보기(20)를 작동시키는 버튼(30)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함(12)에는 화재 진압용 소방호스(13)가 보관되어 있다. 또한 경보기(20)의 경보음을 외부에서 들을 수 있도록, 상부함(11)의 상부도어(40)에는 경보음이 발산되는 다수의 관통공(4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함(12)의 하부도어(50)에는 잠금장치(5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소화전(100)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인식한 사람이 그 화재를 알리기 위해서 소화전(100)에 설치된 상기 버튼(30)을 눌러 경보기(20)를 작동시키면, 상기 경보기(20)가 화재를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음은 화재발생 사실을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림으로써, 사람들을 신속하게 대피시켜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며,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화재발생 사실을 최대한 빨리 알리는 것이 중요하므로, 누구든지 실내에 설치된 소화전(100)등과 같은 화재경보장치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정상인의 경우에는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어서 화재경보장치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에 설치된 화재경보장치에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재경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기와, 상기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신기는 1데시벨 내지 15데시벨 크기의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발생사실을 소방서에 알리기 위한 호출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방서에 화재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전화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상기 버튼과 상기 호출버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자표시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신하는 신호발신기를 구비하여, 시각장애인이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인식하고, 용이하게 화재경보장치로 접근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의 소화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일례의 소화전(200)은, 상기한 종래의 소화전(100)과 마찬가지로, 상부함(11)과 하부함(12)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에 경보기(20)와, 버튼(30)과, 소방호스(13)가 마련되며, 상부도어(40)에 관통공(41)이 마련되고, 하부도어(50)에 잠금장치(5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에 도시된 종래 소화전(1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의 소화전(200)은 종래 소화전(100)과는 달리, 신호발신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발신기(60)는 케이스(1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미도시)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호발신기(60)는 소화전(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신호발신기(60)는 일정한 음을 생성하여 발신하며, 예를 들어 음파발신기 또는 음성발신기와 같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 또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발신기(60)의 신호음은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발신되며, 상기 신호음은 케이스(10)에 마련된 관통공(41)을 통하여 케이스(10) 밖으로 발산된다. 상기 신호발신기(60)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1데시벨(dB) 내지 120데시벨(dB) 사이의 크기의 소리를 발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정상인보다 청력이 예민하여, 정상인이 인식하는 소리의 크기보다도 작은 크기의 소리를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신호발신기(60)는 정상인에게는 잘 들리지 않지만 시각장애인에게는 잘 들리는 크기의 신호음을 발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발신기(60)는 1데시벨 내지 15데시벨 사이의 크기의 신호음을 발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200)은, 호출버튼(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호출버튼(70)은 화재발생사실을 소방서에 알리기 위해서, 케이스(10)에 마련된다. 상기 호출버튼(70)은, 예컨대 화재발생시 점등되도록 소방서에 마련된 화재발생경고등(미도시)을 점등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호출버튼(70)을 누르면, 상기 화재발생경고등이 점등되어 소방서에 화재발생사실이 직접적으로 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200)은, 점자표시부(80)를 더 구비한다. 점자표시부(80)는 경보기(20)를 작동시키는 버튼(30)과, 소방서에 화재사실을 알리 기 위한 호출버튼(70)을 시각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에 각각 마련된다. 점자표시부(80)에는 시각장애인이 인식가능한 점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이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점자표시부(80)는, 예컨대 점자가 형성된 알루미늄판을 이용하여 케이스(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200)은, 전화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화기(90)는 상기 소방서에 화재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된다. 상기 전화기(90)는 소방서로의 통화만이 가능하도록, 통화가능한 번호를 119번으로 제한하여 사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하,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화전(200)의 작동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이 긴급히 소화전(200)으로 접근하여야 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은 신호발신기(60)로부터 발신되고 있는 신호음을 이용하여 소화전(20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신호음을 이용하여 소화전(200)으로 접근한 시각장애인은 소화전(200)의 상부도어(40)를 열고, 경보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30)을 눌러 화재발생사실을 알리며, 호출버튼(70)을 눌러 소방서에 화재발생사실을 알린다. 이때, 시각장애인은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에 마련된 점자표시부(80)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을 구별하여 누를 수 있다. 또한 소화전(200)에 마련된 전하기(90)를 사용하여, 소방서에 화재 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신호발신기(60)를 구비하므로, 상기 신호발신기(60)로부터 발신되는 신호음을 들은 시각장애인은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의 긴급한 상황에서, 화재경보장치 측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화재발생사실을 신속히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신기(60)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신호음을 발신하므로, 시각장애인은 실내에 설치된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평상시에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호발신기(60)는 정상인에게는 잘 들리지 않으면서, 시각장애인에게는 잘 들릴 수 있는 크기의 신호음이 발신되므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정상인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시각장애인이 화재경보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호출버튼(70)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사실을 휴대폰 등의 별도의 연락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소방서에 신속히 알릴 수 있으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에 시각장애인이 읽을 수 있는 점자표시부(80)를 구비하여, 긴급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상기 버튼(30)과 상기 호출버튼(70)을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는, 전화기(90)를 구비하므로, 화재발생사실을 소방서에 알리기 위해서 별도의 연락수단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그리하여 화재의 초기 진압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 소화전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호스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의 화재경보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화재경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종래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의 소화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소화전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일례로서의 소화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동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소화전 10... 케이스
11... 상부함 12... 하부함
20... 버튼 30... 경보기
40... 상부도어 41... 관통공
50... 하부도어 51... 잠금장치
60... 신호발신기 70... 호출버튼
80... 점자표시부 90... 전화기

Claims (5)

  1.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기와, 상기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화재경보장치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소화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신기는 1데시벨 내지 15데시벨 크기의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화재발생사실을 소방서에 알리기 위한 호출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서에 화재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전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상기 버튼과 상기 호출버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자표시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KR1020080016376A 2008-02-22 2008-02-22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KR20090090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76A KR20090090858A (ko) 2008-02-22 2008-02-22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376A KR20090090858A (ko) 2008-02-22 2008-02-22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58A true KR20090090858A (ko) 2009-08-26

Family

ID=412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376A KR20090090858A (ko) 2008-02-22 2008-02-22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8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94B1 (ko) * 2010-07-13 2013-02-12 박우봉 소화전 설치방법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94B1 (ko) * 2010-07-13 2013-02-12 박우봉 소화전 설치방법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088B1 (en) Extended smoke alarm system
US1055310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ity crisis locations and notifications
CN108780598A (zh)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US7839290B2 (en) Sonic building rescue beacon
KR101585969B1 (ko)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US7701355B1 (en) Extended smoke alarm system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JP2018124954A (ja) 防災システム
KR20090090858A (ko) 시각장애인용 화재경보장치
US7714734B1 (en) Extended smoke alarm system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2032333B1 (ko) 건설현장용 비상유도 경보장치
KR20170091327A (ko) 노약자 및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화재 경보 및 대피 시스템
KR101902976B1 (ko)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JPH09108382A (ja) 消防用設備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CN203247905U (zh) 一种具有报警和定位功能的紧急避难装置
CN114202887A (zh) 多元濒危示警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358354Y1 (ko) 소화기 지지대 음성 전달 장치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KR102398089B1 (ko)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KR102253149B1 (ko) 화재 발신기 비상통화장치
CN221008389U (zh) 应急救灾监测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