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089B1 -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089B1
KR102398089B1 KR1020210053096A KR20210053096A KR102398089B1 KR 102398089 B1 KR102398089 B1 KR 102398089B1 KR 1020210053096 A KR1020210053096 A KR 1020210053096A KR 20210053096 A KR20210053096 A KR 20210053096A KR 102398089 B1 KR102398089 B1 KR 10239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ound wave
requ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아이티
이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아이티, 이주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05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도움요청자가 구비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변조방법에 따라 상기 도움요청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변조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sound wave)들이 동시에 방출되어 형성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장치; 및 단말 통신부;와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도움요청음파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전파(radio waves)신호이며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생성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와 같은 구조기관을 포함하는 대응기관이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음파분석부;를 가지는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System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Disclosure)은,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음파신호를 이용한 구조신호를 인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도움요청자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간편한 방법으로 장소에 상관없이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도움요청음파신호는 자동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대응기관에 전송될 수 있는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고령 인구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령자에 대한 다양한 케어 서비스가 소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의 노인들이나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비상벨은, 고출력의 음향신호를 방출함으로써, 인근의 사람들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함을 알린다.
또한 응급호출버튼은,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소방서, 응급의료기관 또는 복지기관과 같이 다양한 공공 또는 민간 구조기관에 사용자가 비상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린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또는 장치들은,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완전하게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사용가능한 장소가 특정한 범위 내에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응급버튼은 주로 고령의 독거노들이 주거하는 가정에서 비치되거나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중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장치들은, 발달된 통신환경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원리로서, 신호의 전달성능은 매우 우수하지만, 유선통신을 이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범위의 제한을 가지며, 무선통신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움을 요청하는 도움요청자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의 위치를, 기지국과 같이 해당 단말기가 접속한 AP(Access Point)의 위치를 기반으로 추적한다. 그러나, 이는 넓은 범위의 수색 영역을 제공할 뿐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지 않아, 흔히 의학적 관점 또는 범죄 대응 관점에서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들을 보호하는 가족들을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마련을 준비중이다.
그러나, 엄청난 재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치매로 고통받는 현시점의 보호자들이 즉각적인 도움을 받기 어렵다.
치매로 길을 잃은 노인들을 빨리 찾기 위해 치매 노인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신상정보를 가지고 다니게 하는 경우가 있으나 범죄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신상정보가 노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에는 매우 일상적인 상황에서 심정지 상황의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높아진 시민의식으로 인해서 인근의 시민들 도움으로 생명을 잃지 않는 경우가 뉴스에 소개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고령의 노인이나 지병을 앓고 있는 중장년층이나 치매노인과 같이 평상시 또는 비상시에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사람들, 보호자가 없는 독거노인 또는 보호자가 상시 보호할 수 없는 노약자가 의학적 도움을 필요로 할 때, 또는 범죄 상황에 노출되어 치안력에 의한 구조가 긴박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위치 파악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관련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5036호
본 발명(Disclosure)은, 다양한 환경의 도움요청자가 장소에 상관없이 쉽게 구조요청할 수 있는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도움요청자가 구비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변조방법에 따라 상기 도움요청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변조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sound wave)들이 동시에 방출되어 형성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장치; 및 단말 통신부;와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도움요청음파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전파(radio waves)신호이며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생성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와 같은 구조기관을 포함하는 대응기관이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음파분석부;를 가지는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대응기관은, 상기 도움요청자의 병력(病歷, medical history) 및 보호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요청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분석부; 및 상기 식별정보에 매칭하는 상기 요청자정보를 상기 구조기관에 제공하는 서버 통신부;를 가지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자의 상기 보호자에게 상기 도움요청자의 상기 발신장치가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장치는, 상기 도움요청자가 상기 음파들을 가청 주파수 또는 비가청 주파수 중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시청각 정보 표시장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는,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에서 동일한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복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의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상기 구조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음파를 이용하는 발신장치를 가짐으로써, 급박한 비상상황에서 도움요청자는 짧은 시간에 간결한 동작으로 자신의 도움요청의사를 알림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식별정보를 정확히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구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움요청자가 장소에 제한 없이 직면한 비상상황을 알릴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보급률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긴급 구조 신호 송신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전자기기 사용이 어려운 도움요청자가 쉽게 구조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움요청자 인근의 행인 또는 주민을 포함하는 제3자의 적극적인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밀한 구조요청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발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를 포함한다.
발신장치(100)는, 도움요청자(1)가 구비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변조방법에 따라 도움요청자(1)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101)가 변조된 조합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sound wave)들(101a)이 동시에 방출되어 형성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발신한다.
수신장치(200)는, 단말 통신부와 마이크 및 음파분석부를 포함한다.
음파분석부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도움요청음파신호(102)로부터 식별정보(101)를 추출하고, 전파(radio waves)신호이고 식별정보(101)를 포함하는 도움요청전파신호(103)로 생성하고, 소방서 및 경찰서와 같은 구조기관(310)을 포함하는 대응기관(3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도움요청전파신호(103)를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발신장치(100)는 음향신호(acoustic signal)로 구성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외부로 방출하고, 수신장치(200)는 도움요청음파신호(102)로부터 추출된 식별정보(101)를 를 추출하여 전파(radio waves)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움요청음파신호(102)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들(101a)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101a)는 동일한 시점(t0, t1)에 동시에 방출된다.
각각의 음파(101a)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법에 따라, 식별정보(101)에 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101)가 다수의 음절로 구성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이룰 때 각각의 음절을 특정한 주파수에 매칭하고, 이렇게 변조된 음파(101a)를 일시에 방출한다.
즉 식별정보(101)가 가지는 정보(information)를 음파(101a)들이 가지는 각각의 주파수 값으로 변환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전파통신에서 진폭변조(AM, Amplitude Modulation) 방식보다 잡음9이나 손실에 강한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방식의 특징을 차용한 것이다.
그러나, 주파수변조방식은 정보를 주파수 값에 매칭시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출하지만, 본 발명의 도움요청음파신호는 전송하는 모든 정보 즉, 식별정보의 모든 내용을 동일한 시점에 방출한다는 점에서 서로 차별화 될 수 있다.
이때, 발신장치(100)는 무전원 휘슬이거나 또는 전원사용 전자휘슬일 수 있다.
무전원 휘슬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들을 생성하는 다수의 관을 조합하여 도움요청자(1)가 구강으로 1회 불때 마다 상술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들이 동시에 방출됨으로써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생성한다.
전원사용 전자휘슬은, 스피커와 같은 음파발신장치를 가지고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들을 전기적 신호로 생성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일시에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음파분석부는 다수의 대역필터(band pass filter)를 구비하여 상술한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분석함으로써 상술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101a)들 및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상술한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이용하여 식별정보(101)를 외부로 알림하기 때문에, 긴박한 비상상황에서도 도움요청자(1) 도움요청의지 및 신상정보를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외부로 알림할 수 있다.
특히 무전원 휘슬 및 전원사용 전자휘슬을 이용하기 때문에, 도움요청자(1)가 가지는 발신장치(100)의 전원 소모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무전원 휘슬은 스스로의 호흡으로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장치의 작동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움요청음파신호(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시점에 방출되는 복수의 음파(101a)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도움요청자(1)는 휘슬을 단 1회 불어도 자신의 식별정보를 정확히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휘슬을 사용할 경우에도, 다른 기기와 페어링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다.
또한 시계열적으로 방출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102)들의 주기 및 방출길이를 또 다른 변조방식, 예를 들어 모스 부호의 규칙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면, 특정 시점의 도움요청음파신호(102)는 도움요청자(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도움요청음파신호(102)의 시계열적 조합으로 도움요청자(1)가 비상상황의 종류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신장치(100)는, 건물 내외벽에 거치되거나 또는 열차 대합실, 강의실, 스포츠 시설등 많은 대중이 모일 수 있는 건물 내부 넓은 공간에 비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적이 드문 도시 외곽이나 산악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발신장치(100)는 와이파이, LTE 또는 5G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술한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외부장치 또는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대응기관(300)은, 관리서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320)는 저장부, 서버 분석부 및 서버 통신부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도움요청자(1)의 병력(病歷, medical history) 및 보호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요청자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분석부는 도움요청전파신호(103)를 수신하고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서버 통신부는 식별정보(101)에 매칭하는 요청자정보(104)를 구조기관(31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구조기관은 도움요청자(1)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외에 도움요청자(1)의 비상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하여 구조활동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움요청자의 병력, 즉 협심증, 치매, 당료 신체 장애등의 정보를 구조기관이 제공받는다면, 특별한 범죄 발생 상황이 아니라면, 의학적 구조활동을 미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20)는, 도움요청자(1)의 보호자(3)에게 도움요청자의 발신장치(100)가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발신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움요청자(1)의 보호자는 도움요청자(1)의 상황을 즉시 알림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3)는 구조기관(310)등에 도움요청자(1)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구조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발신장치(100)는, 음파신호를 가청 주파수 또는 비가청 주파수중 어느 하나 선택할 수 있다.
도움요청자(1)가 납치 또는 감금 상태에 있을 때는 본인의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범죄자들에게 노출하지 말아야 한다. 이때 발신장치가 방출하는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생성하면,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외부에 도움요청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수신장치는, 스마트폰(21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스마트폰(210)은 도움요청자(1)가 소유하고 구비할 수도 있으며, 도움요청자(1) 주변 제3자(2)의 소유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10)에 탑재된 음파분석부는 각종 앱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용앱일 수 있다.
최근의 스마트폰(210)은 119 또는 112와 같은 구조 또는 치안기관에 자동으로 구조요청 문자를 발송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의 노인이나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어려우며, 긴급 구조요청 문자를 발송하는 절차를 쉽게 숙지하기 어렵다.
특히 심정지 또는 저혈당 쇼크와 같이 신체 작용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는, 전자기기 조작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는, 도움요청자(1)가 무전원 휘슬 또는 전자휘슬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발신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짧은 시간에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210)은, 발신된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언제든지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전용앱으로 탑재되는 음파분석부가 최근 스마트폰(210)의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소유자의 별도 조작없이 도움요청음파신호(102)의 수신이 가능하고, 나아가 도움요청전파신호(103)의 생성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마이크를 항상 작동모드로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폰(21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소유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210)은 항상 외부의 음파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파분석부는 스마트폰(210)에 탑재되어 음성인식 기능에 연동되어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210)을 활성화 하며, 도움요청전파신호(103) 생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움요청음파신호(102)는 음파분석부로 하여금, 도움요청자(1)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는, 활성화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정보는 상술한 미리 정해진 변조방법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음파분석부에도 포함됨으로써, 스마트폰(210)의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음파신호로 부터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단순한 소음으로 폐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최근 1인 1단말기 시대를 가능하게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움요청자(1)가 직접조작하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포함하는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수단으로 제공된다.
촘촘한 네트워크망에 접속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도움요청음파신호(102) 수신이 불가능한 공백지역이 매우 좁다.
일반적인 도움요청자(1)는 이동거리가 멀지않거나, 보호자(3)와 떨어진 거리가 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움요청자(1)의 인근에 보호자가 없더라도, 주변에 또 다른 주민 또는 행인들이 위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은, 보호자(3) 외의 제3자(2)들의 스마트폰(210)을 통신망 접속을 위한 터미널로 사용하기 때문에, 도움요청자(1)의 도움요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의 도움요청자(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급률이 높고 안정적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폰을 대응기관에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전송하는 접속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도움요청자(1)에 대한 구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식별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시청각 정보 표시장치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상술한 전용앱으로 제공되는 음파분석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전용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이 제3자(2)의 소유일 때, 제3자(2)는 음파분석부의 작동은 물론이고 도움요청음파신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인지할 수 없다.
이는 도움요청자(1)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101)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치매노인이나, 미취학 아동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이 본인의 신상정보가 기록된 목걸이등을 착용하여, 미아방지 가출 치매노인 방지는 물론이고, 조속히 가족을 찾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왔다.
그러나,이러한 착용물들은, 신상정보를 이용한 범죄에 노출시키는 부작용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도움요청자(1)가 발신장치(100)를 이용하여 발신하는 도움요청음파신호(102)는, 설령 가청 주파수대역의 음파들로 생성된다고 하더라도, 포함된 식별정보(101)를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신상정보를 노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심장마비나 각종 쇼크상태의 도움요청자(1)는 의학적 골든타임이내에 전문의료인이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도움요청자(1) 주위의 제3자(2)의 적극적인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 다양한 공공장소에 비치된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이용하거나, 다양한 교육을 통해 익힌 심폐소생술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일면식이 없는 행인의 생명을 구한 경우는 이제 드물지 않다.
이와 같이 범죄 의도가 없는 시민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또 다른 시민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현명한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형태에 다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알림부는, 이와 같은 높은 시민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알림부를 통해 도움요청자(1)의 식별정보를 알림받은 도움요청자(1)는 도움요청자(1)의 이름 또는 식별정보에 포함된 도움요청자(1)의 또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기관에 음성통화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음파분석부를 통하여 도움요청전파신호가 대응기관에 전송된 후에라도, 추가적인 통화를 통해 구조인력이 도착하기전, 해당 도움요청자(1)에게 필요한 응급처치 또는 구조활동에 필요한 행동들을 선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도움요청자(1)의 구조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도울 수 있다.
물론, 알림부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본인의 신상정보를 제공함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치되거나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범죄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도움요청전파신호(103)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은 GPS를 포함하는 단말기 위치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단말기 위치정보를 도움요청전파신호(103)에 포함하여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기지국 주변으로 수색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움요청자(1)에 대한 구조활동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에서 관리서버는, 위치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서버 통신부는 위치산출부에서 산출된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구조기관(310)에 제공한다.
위치산출부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으로부터 수신된 도움요청전파신호(103)에서 동일한 식별정보(101)가 추출되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복수의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하여, 도움요청자(1)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는 발신장치로부터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수신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00) 각각의 위치를 이용하여 발신장치(100)가 도움요청음파신호(102)를 발신한 위치, 즉 도움요청자(1)의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한 명의 도움요청자(1) 주위에 다수의 제3자(2)가 위치하고 다수의 제3자(2) 다수의 스마트폰을 구비하며, 다수의 스마트폰이 도움요청자(1)가 작동한 발신장치(100)로 부터 동일한 도움요청음파신호(101)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스마트폰이 동일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도움요청전파신호(103)를 생성하여 관리서버(320)에 전송하면, 관리서버는 다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Claims (8)

  1. 도움요청자가 구비할 수 있으며,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를 이용한 미리 정해진 변조방법에 따라 상기 도움요청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변조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sound wave)들이 동시에 방출되어 형성되는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장치; 및
    단말 통신부;와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도움요청음파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전파(radio waves)신호이며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생성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를 포함하는 구조기관을 포함하는 대응기관이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는 음파분석부;를 가지는 수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움요청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음파를 이용하여 자신의 도움요청의사를 알림할 수 있고, 동일한 시점에 상기 식별정보를 모두 알림할 수 있고,
    상기 발신장치는 상기 도움요청자가 상기 음파들을 가청 주파수 또는 비가청 주파수 중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대응기관은 상기 도움요청자의 병력(病歷, medical history) 및 보호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요청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분석부; 및 상기 식별정보에 매칭하는 상기 요청자정보를 상기 구조기관에 제공하는 서버 통신부;를 가지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자의 상기 보호자에게 상기 도움요청자의 상기 발신장치가 도움요청음파신호를 발신했음을 통지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시청각 정보 표시장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알림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는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움요청전파신호에서 동일한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복수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의 상기 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하여, 상기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도움요청자의 위치를 상기 구조기관에 제공하는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53096A 2021-04-23 2021-04-23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KR10239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096A KR102398089B1 (ko) 2021-04-23 2021-04-23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096A KR102398089B1 (ko) 2021-04-23 2021-04-23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089B1 true KR102398089B1 (ko) 2022-05-17

Family

ID=8180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096A KR102398089B1 (ko) 2021-04-23 2021-04-23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0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36B1 (ko) 2006-12-07 2008-07-09 현대통신 주식회사 비상 알림 월패드 및 시스템
KR20120056478A (ko) * 2010-11-25 2012-06-04 (주)에스웨어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228781B1 (ko) * 2019-09-16 2021-03-17 주식회사 시큐웍스 음장 정보를 이용한 보안 감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36B1 (ko) 2006-12-07 2008-07-09 현대통신 주식회사 비상 알림 월패드 및 시스템
KR20120056478A (ko) * 2010-11-25 2012-06-04 (주)에스웨어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228781B1 (ko) * 2019-09-16 2021-03-17 주식회사 시큐웍스 음장 정보를 이용한 보안 감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KR101583378B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U2642044C2 (ru) Способ содействия оказанию помощи в бедственных ситуациях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US201401209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ultiple coordinated safety responses
JP2018531460A (ja) 通知装置及び通知方法
JP2018531460A6 (ja) 通知装置及び通知方法
CN104123814A (zh) 主动报警方法、装置及系统
JP2003110753A (ja) 緊急災難対応方法
US11743703B2 (en) Personal help button and administrator system for a low bandwidth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PERS)
US8682284B2 (en) Localiz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1031732B1 (ko) 위기 관리 시스템
KR102398089B1 (ko) 비상상황 알림 시스템
JP2001291180A (ja) 救護要請通報装置
US10878686B1 (en) Badge holder with one touch communication
JP4021445B2 (ja) 近隣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近隣セキュリティ方法
KR101170733B1 (ko)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Mody et al. Distress–an application for emergency response and disaster management
AU2018100039A4 (en) A system and a method that identifies and tracks, either indoors or outdoors, a person or persons causing a threat to public safety. It provides emergency personnel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or groups of individuals relative to the threat either indoors or outdoors. It provides individual users with their location relative to the threat. It further provides dynamic and updated visual and audible information to users of an evacuation route away from the threat.
Sankar et al. Women safety app
KR101031703B1 (ko) 위기 관리 시스템
KR200188857Y1 (ko) 위치확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im et al. An alarm and response tracking system for the patient-centric perspective
Ren et al. Wireless assistive sensor networks for the deaf
Mensinkai et al. An intelligent safety system for individual's security
JP2007019933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