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758A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758A
KR20090090758A KR1020080016200A KR20080016200A KR20090090758A KR 20090090758 A KR20090090758 A KR 20090090758A KR 1020080016200 A KR1020080016200 A KR 1020080016200A KR 20080016200 A KR20080016200 A KR 20080016200A KR 20090090758 A KR20090090758 A KR 2009009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hair
hair loss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근
Original Assignee
최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근 filed Critical 최효근
Priority to KR102008001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758A/ko
Publication of KR2009009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조릿대, 솔잎, 탈모, 발모

Description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eneration}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탈모란, 생리적으로 털이 빠지는 일로 휴지기에 들어간 털은 색소가 엷으며 윤기가 없고 모근(毛根)도 가늘며, 샴푸나 빗질로 쉽게 빠지나, 발열성 질병, 임신,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성장기의 털이 갑자기 휴지기에 들어가 많이 빠지는 일이 있다.
머리털뿐만 아니라 털은 모두 일정한 성장기간이 지나면 성장이 정지되고 휴지기에 들어가서 탈모하여 다시 털이 나는 일을 되풀이한다. 이것을 털의 성장주기라고 한다. 눈썹 ·속눈썹 ·솜털 등은 6개월 이하인데, 머리털은 성장기가 길고(2∼6년 이상) 휴지기가 짧다(2∼3개월 이하). 그리고 1개씩 독립된 성장주기를 가지 며, 성인은 머리털의 2∼5% 이하가 휴지기에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탈모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지,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이 복합적인 작용 등이 탈모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 대머리의 치료를 위해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는데, 먼저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두피피판술, 탈모부위축소술 및 조직 확장술에 의한 두피성형술과 최근에 발전 된 자가 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상기의 외과적 방법은 비록 그 효과 면에서는 우수하더라도 수술에 대한 환자의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므로 널리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두발의 탈모방지 및 증모를 위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증모제의 도포, 모근이 있는 피부에 대한 물리적자극 등의 방법이 있다. 현재 탈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증모제로는 각종 제제, 예를 들면 부신피질호르몬, 여성호르몬, 비타민, 아미노산, 생약 추출물, 여러 가지 살균제, 각질용해제, 피부기능항진제 및 멘톨과 같은 말초신경자극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 여성호르믄 제제는 장기 사용시에 각종 암을 유발할 유려가 있으며, 생약추출물로는 머위 또는 머위민들레의 추출물을 함유한 것(일본국 특허공고(소) 58-11923호), 다목나무, 시호, 물거머리 등의 추출물을 함유한 것(일본 특허공고 (소) 58-40923호)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들은 원료생약의 입수가 상당히 곤란하고, 그 밖의 상기 다른 방법들도 탈모증을 예방, 치료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만족 스럽지 못하였다.
한편, 1980년대에 들어와 항고혈압제로 널리 사용되던 미녹시딜에 발모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효과는 종전의 육모제가 내분비계와 관련되어 작용을 나타내는 것과는 달리 피부의 혈류를 증가시키는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참조 : Weiss,V.C., et al., J. Am. Acad. Dermatol. 5, 224-226 (1981)]. 그러나, 미녹시딜을 육모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녹시딜의 항고혈압작용, 즉 혈관확장효과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이 유발되는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어 장기 사용시에는 적합한 약물이 될 수 없다.
한편,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 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15667호); 누에 등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0-2757호); 만병초 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1-106호) 등이 공개된 바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기존의 육모제들이 갖고 있는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육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탁월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가지면서도 부작용을 거의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된 조성물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조성물의 경우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수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재료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릿대는 벼과에 속하고, 생약명이 산죽(山竹)인 작은 대나무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2m, 지름 3∼6mm이고 포는 2∼3년간 줄기를 싸고 있으며 털과 더불어 끝에 바소꼴의 잎 조각이 있다. 마디 사이는 역모(逆毛)와 흰 가루로 덮이지만 4년째 잎집 모양의 잎이 벗겨지면서 없어진다. 잎은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10∼25cm이고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거나 꼬리처럼 길다. 잎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밑동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잔 톱니가 있으며 잎집에 털이 있다.
꽃이삭은 털과 흰 가루로 덮여 있고 밑동이 자주색 포로 싸여 있다. 작은 이삭은 2∼3개의 꽃으로 되며 밑부분에 2개의 포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길이 4mm 정도이다. 꽃은 4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잎을 치열(治熱)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얼룩조릿대(S. veitchii)는 일본산이며 조릿대와 비슷하지만 겨울 동안 잎 가장자리에 흰 무늬가 생겼다가 마르며 때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조릿대의 잎에는 카로틴, 비타민A, B1, B2, B12, 아스파라긴산 등의 성분이 풍부한 영양가치가 높은 식품이며, 최근에는 섬조릿대의 잎을 진공포장하여 냉동보존하거나, 가루로 만들어 식품에 첨가하여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도 진행중에 있다.
조릿대의 약효는 열을 풀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두드러진다. 최근에는 당뇨와 고혈압, 위염과궤양, 만성간염, 암에 까지 효력이 있다는것이 밝혀지고 있다. 암에는 정상세포는 그냥두고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 한다는 것이 밝혀 지기도 했는데, 암의 킬러라 할만하다. 조릿대 추출물을 이용한 약이 수입되어 비싼값에 거래되고 있기도 하다.
솔잎(Pine needle)은 소나무의 잎으로 그 주요성분은 터펜틴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 등과 엽록소, 단백질,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및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은 민간요법 등에서 피부손상 회복과 관련된 효능이 전해오고 있으며, 한방의학서인 명의별록에는 솔잎을 사용하면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목초강목에는 모발이 잘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 하며, 머리를 맑게 해주어 건망증에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편하게 해주고, 고혈압, 여성의 미용, 불면증, 냉 대하증 등 부인병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솔잎은 동의보감에서는 오랫동안 생식하면 늙지 않고 원기가 왕성해지며 머리가 검어지고 추위와 배고픔도 모른다고 기재하고 있다. 향약집성방에서는 솔잎 적당량을 좁쌀처럼 잘게 썰어 보드랍게 갈아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힘이 솟으며 추위를 타지 않는다는 효능을 소개하고 있다.
솔잎 성분 가운데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공기중으로 날아가버리는 휘발성 성분인 테르펜(terpene)이다. 현재 솔잎의 테르펜은 밝혀진 것만 40종이 넘는다. 가장 많은 성분은 알파-피넨, 베타-피넨, 베타-펠란드렌, 베타-카료필렌, 미르센, 캄페인, 알파-테르피놀렌 등이다. 활엽수도 저마다 독특한 테르펜을 갖지만 침엽수가 훨씬 풍부한 테르펜을 가지고 있다. 한방적으로는 솔잎은 맛이 쓰지만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으며, 주로 심경과 비경에 작용한다. 최근의 중국과 북한의 약리 실험에서는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 작용, 수렴성 염증 없애기작용, 피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솔잎추출물을 두피에 사용할 경우 생체조직의 산화환원 촉진 기능에 의해 두피 내의 세포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약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 식물성 물질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화학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줄였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2가지 생약성분을 우선, 베드밀(Eead Mill)을 이용하여 분말화 한 다음, 200g의 분쇄물을 80%의 에탄올 3L에 약 24시간 침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해 낸다.
상기 조릿대 추출물, 솔잎 추출물은 그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그것이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가지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진다.
상기 방법에서와 같이, 에탄올에 침지 추출하여 조릿대 추출물, 솔잎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지만. 상기의 추출 방법이나 추출 용매 등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 상기 추출 방법이나 추출 용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에, 조릿대 추출물, 솔잎 추출물 이외에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앞으로 알려질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갖는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남성형 탈모증 및 여성의 탈모증에 투여하였을 때 탈모수가 감소할 뿐 아니라 새로운 성장기 상태의 모가 발생한다거나 탈모와 관련된 다른 증상들 도 완화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도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다는 점에서 그 이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샴푸 조성물, 비누 조성물, 모발 영양제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샴푸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또는 솔잎 추출물 이외에 샴푸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그러한 담체로서는 계면 활성제, 기포증진제, 유화제, 검증제, 향수(向水)제(hydrotrope), 방부제, pH조절제, 살균제, 토닉제, 보습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에테르황산염S(Alcohol Ethoxy Sulfate; Sodium Laury Ethoxylated Sulfate), 알킬황산염(Alcohol Sulfate), 아실싸르코신산염, 아실그루민산염, 인산에스테르, 슈크로스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증진제로는 알카놀아미드와 아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점증제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전분, 텍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수제로는 에칠알콜, 부칠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조릿대 추출물 또는 솔잎 추출물이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샴푸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또는 솔잎 추출물 이외에 비누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비누 기재,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향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는 천연 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예컨대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또는 솔잎 추출물 이외에 모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조릿대 추출물 또는 솔잎 추출물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 내지 약 99.999 증랭 %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두피에 자극이 적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에 있어 하기 실험 예에서 보여주듯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조릿대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조릿대 추출물의 제조예 1
조릿대를 분쇄한 분쇄물 200g을 80%의 에탄올로 약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결과물을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진공 상태에서 감압 농축하여 조릿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솔잎 추출물의 제조예 2
솔잎을 분쇄한 분쇄물 200g을 80%의 에탄올로 약 24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결과물을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진공 상태에서 감압 농축하여 솔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샴푸 조성물의 제조예
아래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비교예는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어느 것도 첨가되지 않은 샴푸 조성물이다.
샴푸 조성물의 성분 및 그 함량
성분/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1
라우릴황산염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황산암모늄 10 10 10 10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민 2 2 2 2
세틸 알코올 0.3 0.3 0.3 0.3
라우릴산글리세린 0.3 0.3 0.3 0.3
조릿대추출물 1 - 1 -
솔잎추출물 - 1 1 -
향료,색소 0.2 0.2 0.2 0.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상기 성분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음.
<실시예 4> 모발 크림 조성물의 제조예
아래 <표 2>의 성분 및 함량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비교예는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어느 것도 첨가되지 않은 모발 크림 조성물이다.
모발 크림 조성물의 성분 및 그 함량
성분/구분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비교예 2
경납 4g 4g 4g 4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g 6g 6g 6g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g 6g 6g 6g
폴리에틸렌글리콜 3.5g 3.5g 3.5g 3.5g
글리세롤 19.2g 19.2g 19.2g 19.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90mg 90mg 90mg 90mg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90mg 90mg 90mg 90mg
조릿대 추출물 1.5g - 1.5g -
솔잎 추출물 - 1.5g 1.5g -
< 실험예 >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임상 평가
<실험예 1> 삼푸 조성물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임상 평가
탈모 증상이 심한 30대 이상의 남자 40명을 선정하여, 각각 10명씩으로 그룹을 나누어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샴푸 조성물 및 비교예의 샴푸 조성물을 1일 1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5점 척도법에 따라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하여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
구분 평가
그룹1 (<제조예 1>) 3.4
그룹2 (<제조예 2>) 3.1
그룹3 (<제조예 3>) 4.2
그룹4 (<비교예 1>) 1.3
상기 <표 3>에서 보여지듯이,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이 포함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모발 크림 조성물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임상 평가
30대 이상의 대머리를 갖는 남자 40명을 선정하여, 각 10명씩을 그룹을 나누어 <제조예 4 내지 6>의 크림 조성물과 <비교예 2>의 크림 조성물을 1일 1회 3개월 동안 두피에 도포하여 사용한 후, 5점 척도법에 따라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하여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
구분 평가
그룹5 (<제조예 4>) 3.5
그룹6 (<제조예 5>) 3.7
그룹7 (<제조예 6>) 4.6
그룹8 (<비교예 2>) 1.1
상기 <표 5>에서 보여지듯이, 조릿대 추출물 및/또는 솔잎 추출물이 포함된 모발 크림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릿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모발 크림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조릿대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위한 조성물.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크림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16200A 2008-02-22 2008-02-22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090090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00A KR20090090758A (ko) 2008-02-22 2008-02-22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00A KR20090090758A (ko) 2008-02-22 2008-02-22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758A true KR20090090758A (ko) 2009-08-26

Family

ID=4120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00A KR20090090758A (ko) 2008-02-22 2008-02-22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7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970A (ko) * 2019-09-05 2021-03-15 김효정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7878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죽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호르몬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970A (ko) * 2019-09-05 2021-03-15 김효정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7878A (ko) * 2019-11-29 2021-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죽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호르몬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65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0761660B1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2296279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126146A (ja) 皮膚外用剤
WO2017052269A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및 항염증 조성물
KR20090090758A (ko)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00060754A (ko) 경피 흡수를 통한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030062605A (ko) 자연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비듬방지 및모발성장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20040031407A (ko)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샴푸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20220096277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066595A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42135A1 (en)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