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542A -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 Google Patents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542A
KR20090090542A KR1020080015817A KR20080015817A KR20090090542A KR 20090090542 A KR20090090542 A KR 20090090542A KR 1020080015817 A KR1020080015817 A KR 1020080015817A KR 20080015817 A KR20080015817 A KR 20080015817A KR 20090090542 A KR20090090542 A KR 2009009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neral
mineral water
concentrated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메이오붓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오붓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오붓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1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542A/ko
Publication of KR2009009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Magnes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미네랄워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이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버리는 일이 없고, 그대로 균일한 성분상태로 농축 및 분말화 할 수 있는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건조시킨다. 그 경우, 미네랄워터에 함유되는 미네랄성분 1mol에 대해 0.1mol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한다. 아미노산은 글리신(glycine)이고,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는 해양심층수이다. 둘째,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 및 물엿 또는 환원물엿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스프레이드라이어 등의 기지의 방법으로 건조시켜서 분말화한다.

Description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MINERAL WATER AND POWDER THEREOF}
본 발명은 농축된 미네랄워터 또는 미네랄워터의 분말에 관한 것이다.
전국적인 수도물의 수질악화에 따라서 미네랄워터(mineral water)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미네랄워터는 단지 맛이 좋다는 것뿐 아니라 산지에 따라서는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미량원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있다.
한편, 해수(海水), 특히 해양심층수에는 각종의 이온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원수(原水) 또는 각종 처리가 이루어진 해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농업, 수산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덧붙여 말하면, 하기 표 1은 해양표층수 및 해양심층수의 분석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심층수는 저온이고, 생균수가 적으며, 영양염류가 많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각종 이온에 대해서는 표층수 및 심층수 사이에서 큰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Figure 112008012984387-PAT00001
상기 해양심층수로부터 미네랄워터(물)를 얻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여러가지가 제안이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9-2902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1-8776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 2003-9405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은 염수(鹽水)를 역침투막에 의해 투과수 및 농축해수로 분리하고, 농축해수를 전기투석법에 의해 농축해수 및 탈염수로 분리하여 농축해수의 수분을 증발시킨 증발수 및 역침투막의 투과수를 음료수로서 공급하는 음료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해양심층수를 역침투법에 의해 탈염처리해서 탈염수를 생성하고, 탈염수를 이용하여 전기투석법에 의해 해양심층수를 탈염처리하는 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해수를 탈염처리하여 탈염처리수와 농축해수를 생성하는 탈염공정과, 상기 공정으로 생성된 상기 농축해수로부터 소금을 분리하여 농축미네랄워터를 생성하는 농축미네랄워터 생성공정과, 상기 농축미네랄워터 생성공정으로 생성된 농축미네랄워터를, 상기 탈염공정으로 생성된 상기 탈염처리수로 도전율을 측정하면서 희석하여 미네랄워터를 생성하는 미네랄워터 생성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미네랄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해수를 남김없이 미네랄워터(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수가 함유하는 칼슘, 마그네슘 등이나 질소, 인 등의 영양염(榮養鹽), 세린(serine), 아연, 망간, 요소 등의 미량원소를 균형있게 함유하는 미네랄성분이 풍부한 미네랄워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은 제안되어 있으나, 제조된 미네랄워터(물)는 그대로의 형태로 유통되는 것이며 운반성 등이 비효율적인 것이었다.
또 미네랄워터(물)에는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미량원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해도, 1리터내의 함유량은 고작 50~100마이크로그램 정도이며 다량의 물을 마시지 않으면 효과는 적다.
그래서 미네랄워터를 농축하여 미네랄성분의 농도를 높여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미네랄워터를 농축 또는 건조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페이스트(mineral paste) 또는 미네랄분말이나 미네랄워터, 미네랄페이스트 및/또는 미네랄분말을 음료, 분말음료, 가공식품, 두부응고제, 피부외용제수(皮膚外用劑水), 식물생육조정제 또는 동물생육조정제의 원료에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조성물을 함유하는 가공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명세서의 단락번호 [0033]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된 원수 및 투석수는 모두 특정한 조성을 갖는 이온수로 이루어지므로 쌍방 모두 제품 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얻어진 이온수는 더욱 농축, 고화, 건조 등의 조작을 함으로써 미네랄 페이스트나 미네랄분말로서 이용해도 된다.」고 되어 있으나 이 농축, 고화의 구체적인 방법은 나타나 있지 않다.
투석장치를 이용한 통상의 농축방법에서는 염농도의 비율을 변경한 농축은 가능하지만 미네랄성분을 다량으로 손상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농축하면, 예를 들면 해양심층수 등의 황산이온을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의 경우 미네랄워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특히 Mg나 Ca 등의 알칼리토류금속(alkali土類金屬)이 황산이온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버린다. 이와 같이 침전물이 발생해 버리면 침전물은 재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네랄워터의 액(液) 중의 미네랄성분이 감소해버린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불량도 생긴다. 즉, 농축한 미네랄워터를 스프레이드라이어로 건조시켜서 분말로 하면 더욱 취급이 용이해지고 운반의 편리성도 좋아지지만, 농축한 미네랄워터 내에 침전물이 있으면 스프레이 드라이어가 막힘을 일으켜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전에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해도 농축에 의해 노즐 또는 분무기(atomizer) 내에서 고화가 발생하여 관이 막혀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미네랄워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이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 버리는 일이 없이 그대로 균일한 성분상태로 농축 및 분말화 할 수 있는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네랄워터는, 첫째,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농축한 것, 둘째, 미네랄워터에 함유된 미네랄성분 1mol에 대하여 0.1mol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농축시키는 것, 셋째, 아미노산은 글리신인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또 넷째,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는 해양심층수인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또한, 미네랄워터의 분말로서는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 및 물엿 또는 환원물엿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스프레이 드라이어 또는 기지의 방법으로 건조시켜서 분말화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네랄워터내의 미네랄성분인 금속이온과 아미노산에 의한 킬레이트(chelate)화합물이 형성되고, 금속이온은 아미노산분자에 의한 킬레이트고리의 사이에 트랩(trap)되기 때문에 농축한 후에 건조해도 미네랄워터내의 황산이온에 의해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 버리는 일이 없으며, 그대로의 균일한 성분상태로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용에 더하여 미네랄워터에 함유되는 미네랄성분 1mol에 대해 첨가하는 아미노산을 0.1mol 이상으로 함으로써, 그 후의 농축에 의해 침전물이 발생할 위험성을 충분히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아미노산으로서는 발린(valine), 로이신(leucine), 이소로이신(isoleucine),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달타민, 리신(lysine), 아스파라긴산(asparagine acid)), 달타민산, 프롤린(proline), 시스테인(cysteine), 트레오닌(threonine), 메티오닌(methionine), 히스티딘(histid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 트립토판(tryptophan), 아스파라긴, 글리신, 세린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그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도 가장 적은 글리신이 분자량 및 분자의 형상의 면에서 가장 적합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농축하면 미네랄성분과 황산이온에 의해 불용성의 침전이 발생하기 쉽다는 해양심층수의 약점을 극복하면서 생균수가 적고 영양염류가 많다는 해양심층수의 이점을 살린 미네랄워터가 얻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네랄워터 내의 미네랄성분인 금속이온과 아미노산에 의한 킬레이트 화합물이 형성되고, 금속이온은 아미노산 분자에 의한 킬레이트고리의 사이에 트랩되기 때문에 농축한 후에 건조해도 미네랄워터 내의 황산이온에 의해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 버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농축된 미네랄워터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시켜도 스프레이 드라이어의 노즐에 침전물이 막히거나 스프레이 드라이어 내부에서 미네랄성분이 고화하여 막히는 일이 없어 그대로 균일한 성분상태의 분말이 얻어진다. 또 첨가한 물엿 또는 환원물엿에 의해 깨끗한 분말형상이 이루어진다.
이상 논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에 의하면, 미네랄워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이 불용성의 침전물을 생성해 버리는 일 없이 그대로의 균일한 성분상태로 농축 및 분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제조공정도, 도 2는 도 1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제조공정도이고, 도 1은 해양심층 미네랄워터를 사용하는 경우, 도 2는 해양심층미네랄염수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양쪽을 함유하는 경우도 많다) 미네랄워터로서의 해양심층 미네랄워터 또는 해양심층미네랄염수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55℃로 혼합하고 농축기로 농축한다(고형률 25%).
상기 미네랄워터를 해수로부터 얻는 경우에 원수(原水), 해양심층 미네랄워터, 해양심층 미네랄염수, 염수를 얻는 방법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양심층수(26)를 취수관(36)을 통하여 취수펌프실(37)의 취수펌프(37a)로 가라앉게 하여 1차 저장탱크(38)로 보낸 후, 이 물을 피처리수로서 다시 송수펌프(38a)에 의해 각 처리라인으로 보낸다. 처리방법에 따라서 원수(21), 미네랄워터(208), 염수(209), 담수(18), 미네랄염수(19) 등 다수의 종류의 물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담수(18) 및 미네랄염수(19)를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역침투막(이하, RO막이라 한다)을 마련한 RO막 분리장치(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RO막 분리장치(13)에서 RO막으로서 예를 들면, 초산셀룰로오스막이나 합성고분자막(폴리비닐계, 가교아라미드계, 가교폴리아미드계 등)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RO막은 중공계형, 스파이럴(spiral)형 등, 각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듈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급수탱크(39)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급수펌프(39a)에 의해 각각의 급수스탠드(28)로 송출하도록 하고, 급수스탠드(28)로부터 취출하지 않는 때는 순환시켜서 UV살균장치(29)에 의해 정기적으로 살균하도록 한다.
상기 RO막 분리장치(13)의 RO막에 공급하여 물(17) 속의 소금 등의 용질을 막분리에 의해 제거하고, RO막을 투과하여 이들의 용질이 절감된 물을 담수(투과수)(18)로서 얻고, 이들의 용질이 RO막을 투과하지 않고 농축된 물을 미네랄염수(비투과수)(19)로서 얻는다.
다음에 미네랄워터(208) 및 염수(209)를 얻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수를 전기투석장치(203)에 걸러서 생성하여 희석화된 미네랄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것이 미네랄워터(208)이고, 농축 측의 것이 염수(209)이다.
상기 전기투석장치(203)는 이온교환막으로 구분된 방으로 이루어지고, 이온교환막은 양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양이온막과, 음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음이온막이 서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투석장치(203)를 통과하는 해수 등으로부터 나트륨이온이나 염소이온 등을 극력 탈염하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유용한 미네랄은 탈염하지 않고 가능한한 많이 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소망의 금속이온을 투과시키지 않고 잔류시키는 양이온막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양이온막으로서 1가 이온 선택성막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해수 등으로부터 나트륨, 칼륨, 염소이온 등의 1가 이온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며, 2가 이상의 이온은 제거되지 않고 원수내에 존재하는 것이 대부분 잔류한다.
전기투석장치(203)에서 사용하는 이러한 1가 이온 선택성막으로서 예컨대, (주)아스톰사제의 품번 k-192를 예로 들 수 있다. 또 음이온교환막(안이온막)으로서는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컨대, (주)아스톰사제의 품번 A-501을 예로 들 수 있다.
전기투석장치(203)는 탈염이용률을 적당히 조정하여 탈1가 이온화수(207) 내의 미네랄성분을 소망과 같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을 얻지 않고 그대로의 원수(原水)(21)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각 종류의 물은 일시적으로 급수탱크(39)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급수펌프(39a)에 의해 각각의 급수스탠드(28)로 송출하도록 하며, 급수스탠드(28)로부터 취출하지 않는 때는 순환시켜서 UV살균장치(29)에 의해 정기적으로 살균하도록 한다.
이들의 각종 물 중, 특히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는 미네랄워터(208)와 미네랄염수(19)(이하, 해양심층 미네랄워터(20))는 도 1, 도 2에 도시하도록 하여 농축을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니더(Kneeder)(32)에 해양심층 미네랄워터(20)를 10,000.00(㎏)에 대해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30)을 70.00(㎏)의 비율로 첨가하고, 상기와 같이 55℃로 혼합하여 순환식 감압농축기(33)에 의해 약 800L/H의 증발량으로 건조시켜서 농축한다. 농축중에 액온은 60~70℃까지 상승한다.
최종 액량이 적어지고, 순환식 감압농축기(33)로 농축할 수 없게 되면 1000L 감압농축기(34)로 마무리농축을 한다. 그 후 이들의 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써 농축시킨 것을 85℃, 10분간 살균·과열·교반하고, 60메시의 체로 걸러서 이물을 제거하여 농축미네랄워터(22)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농축미네랄워터(22)는 해양심층 미네랄워터(20)의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고, 또한 미네랄성분 중에서도 특히 인체에 유용한 성분인 Mg나 Ca을 침전물로서 손상하는 일 없이 함유하는 것이다.
글리신은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도 가장 적은 아미노산이고 적당한 것이지만, 아미노산으로서 상기 글리신 대신에 발린(valine), 로이신(leucine), 이소로이신(isoleucine), 알라닌(alanine), 아르기닌(arginine), 달타민, 리신(lysine), 아스파라긴산(asparagine acid), 글루타민산, 프롤린(proline), 시스테인(cysteine), 트레오닌(threonine), 메티오닌(methionine), 히스티딘(histid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 트립토판(tryptophan), 아스파라긴, 글리신, 셀린(serine)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미네랄염수(19)의 경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니더(Kneeder)(32)에 미네랄염수(19)를 5,000.00(㎏)에 대하여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30)을 100.00(㎏) 의 비율로 첨가하여 상기와 같이 55℃로 혼합하고, 순환식 감압농축기(33)에 의해 약 800L/H의 증발량으로 건조시켜서 농축한다. 농축중에 액온은 60~70℃까지 상승한다.
최종 액량이 적어지고 순환식 감압농축기(33)로 농축할 수 없게 되면, 1000L 감압농축기(34)로 마무리농축을 한다. 그 후 이들 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써 농축시킨 것을 85℃, 10분간 살균·과열·교반하고, 60메시의 체로 걸러서 이물을 제거하여 농축미네랄염수(22´)를 얻는다.
또 더욱 분말화할 경우에는, 상기 해양심층미네랄워터(20)를 10,000.00(㎏)에 대해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30)을 70.00(㎏)의 비율로 첨가한 것에 물엿 또는 환원물엿(31)(환원물엿으로서는 상품명 PO-10이 적당하다.)을 160.00(㎏)의 비율로 첨가하고, 상기와 같이 55℃로 혼합하여 순환식 감액농축기(33) 및 1000L 감악농축기(34)로 건조시킴으로써, 당분농도가 Bx=25가 될 때까지 농축시킨 것을 85℃, 10분간 살균·과열·교반하고 60메시의 체로 걸러서 이물을 제거한 후에 스프레이 드라이어(35)로 건조시켜 20메시의 체로 걸러서 마그넷패스(Magnet pass)로 거른다. 이것에 의해 분말 미네랄 워터(27)를 얻는다.
또는, 미네랄염수(19)를 5,000.00(㎏)에 대해 아미노산으로서 글리신(30)을 100.00(㎏)의 비율로 첨가한 것에, 물엿 또는 환원물엿(31)(환원물엿으로서 상품명 PO-10이 적당하다)을 115.00(㎏)의 비율로 첨가하고, 상기와 같이 55℃로 혼합하여 순환식감압농축기(33) 및 1000L 감압농축기(34)로 건조시킴으로써 농축시킨 것을 85℃, 10분간 살균·과열·교반하여 60메시의 체로 걸러서 이물을 제거한 후에, 스 프레이 드라이어(35)로 건조시켜서 20메시의 체로 걸러서 마그넷패스로 걸른다. 이것에 의해 분말미네랄염수(27´)를 얻는다.
이때 상기와 같이 농축미네랄워터(22) 또는 농축미네랄염수(22´)는 Mg나 Ca 등의 미네랄성분을 그대로 함유하면서 미네랄성분이 침전물은 되지 않기 때문에 미네랄성분을 그대로 함유한 분말미네랄워터(27), 분말미네랄염수(27´)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분말 미네랄워터(27) 또는 분말미네랄염수(27´)는 수분을 제거한 것이므로 가볍고, 또 고체이므로 운반이 용이하다. 또 이 분말미네랄워터(27) 또는 분말미네랄염수(27´)는 물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용해된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원수(原水)(21)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 및 물엿 또는 환원물엿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스프레이드라이어로 건조시켜서 분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농축수 또는 분말은, 음료, 분말음료, 가공식품, 두부등고제, 피부외용제수, 식물생육조정제 또는 동물생육조정제의 원료에 배합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해수, 특히 해양심층수에는 각종의 이온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원수 또는 각종 처리가 이루어진 해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농업, 수산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최근에는 미네랄보급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습관병예방을 목적으로 한 건강음료가 주목되고 있으며, 이 원료로서도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로서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의 제조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서 미네랄염수 및 그 분말의 제조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해양심층수로부터 얻어진 각종 물의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1…피처리수 12…전처리장치
13…RO막분리장치 14…충전탑
15…킬레이트형성성 섬유바닥 16…여과수
17…물 18…담수
19…미네랄염수 20…해양심층미네랄워터
21…원수(原水)
22…농축미네랄워터 22´…농축미네랄염수
26…해양심층수
27…분말미네랄워터 27´…분말미네랄염수
28…급수스탠드 29…UV살균장치
30…글리신 31…물엿 또는 환원물엿
32…니더(kneeder) 33…순환식감압농축기
34…1000L감압농축기 35…스프레이드라이어
36…취수관 37…취수펌프실
37a…취수펌프 38…1차저장탱크
38a…송수펌프 39…급수탱크
39a…급수펌프
203…전기투석장치
207…물 208…미네랄워터
209…염수

Claims (5)

  1.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워터.
  2. 제 1항에 있어서,
    미네랄워터에 함유되는 미네랄성분 1mol에 대하여 0.1mol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농축시키는 미네랄워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워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는 해양심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워터.
  5. 적어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미네랄워터에, 아미노산 및 물엿 또는 환원물엿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스프레이드라이어 또는 기지의 방법으로 건조시켜서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워터의 분말.
KR1020080015817A 2008-02-21 2008-02-21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KR20090090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17A KR20090090542A (ko) 2008-02-21 2008-02-21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17A KR20090090542A (ko) 2008-02-21 2008-02-21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542A true KR20090090542A (ko) 2009-08-26

Family

ID=4120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17A KR20090090542A (ko) 2008-02-21 2008-02-21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5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848B1 (ko) Nf/ro/ed 분리막 연계시스템을 이용한 먹는 물 수질기준 적합 고경도 먹는 물 제조공정
Alkhatim et al. Treatment of whey effluents from dairy industries by nanofiltration membranes
KR100732066B1 (ko) 해양심층수로부터 저온진공결정법을 이용한 고순도미네랄의 효율적 추출방법
CN102665447B (zh) 用于制备富含天然原硅酸的水的方法
JPH07505828A (ja) 分散体の膜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44538B1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함유 고경도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Eliseeva et al. Transport of basic amino acids through the ion-exchange membranes and their recovery by electrodialysis
JP2006192422A (ja) 水中のホウ素含有量を低減させて飲用に適した水を製造する方法
KR101643146B1 (ko) Fo 하이브리드 미네랄수 제조 장치
KR101367477B1 (ko) 해수 전기분해 알칼리 수로부터 마그네슘염과 칼슘염을 포함한 미네랄 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음료의 제조방법
KR101689059B1 (ko) 해수 중 음이온 제거 및 탄산이온 전환을 이용한 미네랄 농축수 제조방법
JP3587102B2 (ja) 海洋深層水による水の製造方法、海洋深層水の処理方法、その装置
KR20140145309A (ko) Nf/ro/ed 분리막 연계시스템을 이용한 해수(해양심층수) 처리수 제조공정 개발
CN101611131B (zh) 用于处理物质料流的方法
WO2017142494A1 (en) A method for high volume recovery of process- water and economic product acquisition from whey
KR20070030440A (ko) 액상 소금의 제조방법
JP5090657B2 (ja) ミネラル水の粉末
Kaya et al. Demineralization of cheese whey by sequential nanofltration (NF) and electrodialysis (ED) processes
JP2002172392A (ja) 海水からミネラル含有液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90542A (ko) 미네랄워터 및 그 분말
DK146200B (da) Fremgangsmaade til energibesparende oparbejdning af spildevand, der stammer fra regenereringen af de til behandling af sukkersafter anvendte ionbytter- og adsorptionsharpikser
KR101574327B1 (ko) 용암해수로부터의 고순도 미네랄 분리방법
TWI591021B (zh) 礦泉水及其粉末
KR101039130B1 (ko) 기능성 드라이 막걸리 제조방법
JPH11169850A (ja) 海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