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889A -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889A
KR20090089889A KR1020097013382A KR20097013382A KR20090089889A KR 20090089889 A KR20090089889 A KR 20090089889A KR 1020097013382 A KR1020097013382 A KR 1020097013382A KR 20097013382 A KR20097013382 A KR 20097013382A KR 20090089889 A KR20090089889 A KR 2009008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onnecting arm
head portion
tip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095B1 (ko
Inventor
자일스 애쉬비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는 헤드부(102), 제1 축(A-A)을 중심으로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연결 아암(106), 및 제2 축(B-B)을 중심으로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지지 몸체(104)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기(10)용 바닥 공구(100)를 제공한다. 헤드부(102)는 흡입 평면(S)에 놓여있는 흡입 개구(114)를 포함한다. 연결 아암(106)은, 흡입 개구(114)에 연통하고 바닥 처리 기기(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방출구(124)를 포함한다. 연결 아암(106)은 지지 몸체(104)와 결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사용 시에,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연결 아암(106)이 헤드부(102)에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로써, 바닥 공구(100)는,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된 "진동" 움직임을 달성하면서, 지금까지 달성할 수 있었던 것보다 감소된 깊이로 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 헤드부, 연결 아암, 흡입 개구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A FLOOR TOOL HAS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SUCH AS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특히 진공 청소기용 바닥 공구에 관한 것이며, 다만 이것에만 관한 것은 아니다.
광범위한 진공 청소기가 시장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직립형 청소기(uplight cleaner), 원통형 청소기(cylinder cleaner), 및 파지형 청소기(hand-held cleaner)를 포함한다. 원통형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공기 흐름을 주몸체부 내로 흡인하기 위한 모터와 팬의 조립체, 및 공기 흐름으로부터 먼지와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를 갖는다. 분리 장치는 예컨대 사이클론 분리기(cyclonic separator), 백(bag) 또는 필터의 형태를 취할 것이다. 주몸체부에는 호스 및 봉 조립체(hose and wand assembly)가 연결되며, 주몸체부에서 먼쪽의 봉의 선단에 청소 공구가 장착되어, 이 청소 공구가 청소할 표면을 가로질러 조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청소 작업에 적합한 공구, 예컨대 크레비스 툴(crevice tool) 또는 브러시 툴(brush tool)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일정 범위의 청소 공구가 제공된다. 일반적인 바닥 위에서의 청소(on-the-floor cleaning)를 위해서는, 원통형 진공 청소기에 바닥 공구가 제공된다.
다수의 직립형 진공 청소기는 분리 가능한 호스 또는 봉이 제공되어, 원통형 기기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닥 공구는 직립형 기기에 제공되기도 한다.
바닥 공구는 일반적으로 바닥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는 헤드부를 갖는다. 헤드부는 흔히 바닥판(soleplate)으로 알려져 있는 하부면을 갖는다. 바닥판에는 흡입 개구가 형성되어, 사용 시에 이 흡입 개구를 통해 바닥 표면으로부터 바닥 공구 내로 먼지 또는 오염물이 흡인된다. 헤드부가(또는 어떤 경우에는 바닥판만이) 바닥 공구의 나머지 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바닥 공구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밀 때와 당길 때에 헤드부 또는 바닥판이 앞뒤로 진동(rocking)할 수 있다. 바닥 공구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밀거나 당길 때에, 이러한 진동 움직임에 의해 흡입 개구가 바닥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되어, 바닥판이 바닥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 공구의 "스킵(skipping)"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진동 움직임에 의해 바닥판의 일부가 카페트를 흔들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움직임은 카페트 표면에 대해서는 특히 이롭다. 이러한 종류의 바닥 공구의 예가 WO 02/26098에 도시되어 있다.
피봇되는 바닥판을 갖는 바닥 공구를 예시하는 또 다른 구성이 EP 0353546, EP 0304609, 및 WO 03/039315에 도시되어 있다. EP 0353546는 바닥 접촉 바퀴(floor-engaging wheel) 및 바닥판의 세트를 갖는 바닥 공구를 개시한다. 헤드부를 봉에 연결하는 관(duct)은 바퀴의 축 바로 위에 위치된 피봇 포인트를 가지며, 이로써 사용자가 봉을 앞쪽으로 밀 때에, 바퀴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방 작 용 모멘트가 바닥판을 바단면 상으로 밀게 된다. EP 0304609는, 바닥 공구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앞뒤로 밀 때에 바닥 공구의 헤드부에 힘을 가하여 앞뒤로 진동하는 복잡한 피봇 구성을 갖는 바닥 공구를 개시하고 있다. WO 03/039315는 바닥판에 관련하여 2곳의 위치에서 피봇되는 연결관을 갖는 바닥 공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바닥 공구는 청소 동작의 백스트로크(backstroke) 시에 바닥판이 바닥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 모두는,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바닥판에서 어느 정도 거리 위에 위치되는 피봇 포인트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충분하게 큰 모멘트가 바닥판에 대해 작용하도록 발생되어 바닥판이 사용자의 불필요한 수고 없이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바닥 공구가 상당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예컨대 높이가 낮은 가구 또는 장(cupboard) 등의 낮은 표면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공지의 바닥 공구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외형을 갖지만 우수한 청소 효율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낮은 표면 아래를 청소할 수 있는 바닥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봇 포인트와 바닥판 사이에 커다란 수직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바닥 공구의 나머지에 관련하여 용이하게 피봇할 수 있는 헤드부를 갖는 바닥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닥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는 헤드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연결 아암,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지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흡입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흡입 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바닥 처리 기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지지 몸체와 결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사용 시에, 상기 바닥 공구를 상기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상기 연결 아암이 상기 헤드부에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러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헤드부는 상방향 힘에 의해 회전되어 바닥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수직으로 오프셋된 피봇 포인트(vertically-offset pivot point)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바닥 공구의 높이가 감소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지지 몸체에 대하여 피봇 포인트와 동일한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에 있는 지점에 힘이 가해지게 한다. 이로써, 청소 동작 동안 헤드부를 전방으로 밀 때에 헤드부를 적합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진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몸체와 상기 연결 아암 사이에 펄크럼(fulcrum)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펄크럼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몸체에 대하여 피봇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아암은 제1 선단 및 제2 선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선단은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선단은 상기 헤드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펄크럼은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바닥 공구를 상기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상기 연결 아암의 상기 제2 선단이 상기 바닥 표면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1 선단이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바닥 공구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발생하는 하향 움직임은 바닥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상방 움직임으로 될 수 있다. 즉, 연결 아암은 헤드부에 대해 힘을 가하기 위한 레버(lever)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아암이 헤드부의 후방을 향해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컴팩트한 구성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연결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다. 상기 펄크럼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될 것이다. 연결 아암을 위한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연결 아암은 지지 몸체 내로 후퇴될 수 있어, 바닥 공구의 외관을 감소시킨다. 펄크럼을 채널 내에 제공함으로써, 연결 아암이 지지 몸체 내로 후퇴될 때에 헤드부가 전방으로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바닥 공구의 일부분을 상기 바닥 표면 위에 지지하여 바닥 표면을 따라 이동하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퀴 또는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 기기"라는 표현은, 넓은 의미를 갖는 것이며, 여러 방식으로 표면을 청소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표면 위를 주행하기 위한 헤드부를 갖는 넓은 범위의 기기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진공 청소기(건식, 습식 및 건식-습식 겸용)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흡인하기 위해 표면에 흡입력을 가하는 기기뿐만 아니라, 연마/광택 기기 및 헹굼 기기 등과 같은 표면에 물질을 가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한다.
도 1은 공지의 진공 청소기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공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공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닥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닥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구성의 도 2의 바닥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방으로 밀 때의 제1 구성의 도 2의 바닥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후방으로 당길 때의 제2 구성의 도 2의 바닥 공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사이클론 실린더 진공 청소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14) 및 한 쌍의 바퀴(16)를 포함하는 주몸체부(12)를 갖는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14)는 고효율 다운스트림 사이클론이 후속되는 저효율 업스트림 사이클론의 형태를 취한다. 주몸체부(12)에는 호스(18) 및 봉(20)이 연결되며, 봉(20)의 선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공구(100)가 연결된다.
사용 시, 모터 및 팬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봉(20) 및 호스(18)를 통해 주몸체부(12) 내로 흡인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공기 흐름은 그 후에 사이클론 분리 장치(14)에 통과된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14)에서는, 업스트림 사이클론이 공기 흐름으로부터 커다란 입자의 먼지 및 오염물을 분리하고, 그 후에 다운스트림 사이클론이 공기 흐름으로부터 더 작은 입자의 먼지 및 오염물을 분리한다. 그리고나서, 청소된 공기 흐름은 모터 전방 필터(도시하지 않음), 모터와 팬 유닛, 및 모터 후방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주몸체부(12)로부터 배출된다.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는 봉(20)의 상단 끝을 잡고,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바닥 공구(100)를 조종한다. 진공 청소기(10)의 주몸체부(12)는 한 쌍의 바퀴(16)를 통해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내의 여러 곳을 이동할 때에 호스(18)에 의해 함께 끌려지게 된다. 이것에 대한 세부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사항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항은 바닥 공구(100)에만 연관된다.
도 2 및 도 3은 바닥 공구(100)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제1 구성의 바닥 공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바닥 공구(100)는 헤드부(102), 지지 몸체(104) 및 연결 아암(106)을 포함한다. 연결 아암(106)은 제1 축 A-A을 중심으로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몸체(104)는 제2 축 B-B를 중심으로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축 A-A와 제2 축 B-B는 서로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이 둘은 평면 P(도 3에 도시됨)에 놓여져 있다.
헤드부(102)는 상위면(108) 및 바닥판(110)을 포함한다. 헤드부(102)의 상위면(108) 상의 중앙에는 돌출부(112)가 위치된다. 돌출부(112)는 2개의 피봇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피봇은 연결부(106)가 헤드부(102)에 연결되는 중심이 되는 축 A-A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피봇은 지지 몸체(104)가 헤드부(102)에 연결 되는 중심이 되는 축 B-B를 형성한다. 피봇은 헤드부(102)에 대해 고정된 관계에 있으며, 헤드부가 회전될 때에 헤드부(102)와 함께 이동한다.
바닥판(110)은 사용 시에 바닥 표면을 마주보며, 흡입 개구(114)를 포함한다. 흡입 개구(114)는 측벽(116, 118)의 하위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116, 118)의 하위 에지는 흡입 평면 S(도 3을 참조)를 형성한다. 흡입 평면 S는 평면 P에 평행하게 놓여 있다. 즉, 축 A-A 및 B-B가 놓여 있는 평면 P는 흡입 개구(114)가 놓여 있는 흡입 평면 S에 평행하다. 축 A-A 및 B-B를 중심으로 하는 피봇 포인트가 헤드부(102)에 고정되므로, 이들 축이 놓여 있는 평면 P는 흡입 개구(114)가 놓여 있는 흡입 평면 S에 대해 고정된 관계에 있다.
연결 아암(106)은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22)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0)은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제2 부분(122)은 제3 축 C-C를 중심으로 제1 부분(120)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제2 부분(122)은 진공 청소기(10)의 봉(20) 또는 호스(18)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방출구(124)를 포함한다. 방출구(124)는 연결 아암(106)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관(126)을 통해 흡입 개구(114)와 연통한다. 흡입관(12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몸체(104)는 베이스(128)를 포함하며, 한 쌍의 이격 아암(130)을 통해 헤드부(1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이격 아암(130)은 제2 축 B-B를 형성하는 피봇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부(112)의 양측면에서 헤드부(102)의 상위면(108) 위를 통과하며, 헤드부(102)의 후위에서 베이스(128)와 만나게 된다. 베이스(128) 및 이격 아암(130)은, 제1 구성에 있을 때에는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이 그 안으로 후퇴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몸체(104)의 후단에는 한 쌍의 바퀴(132)가 위치된다. 바퀴(132)는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 위에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제4 축 D-D를 중심으로 지지 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구성에서, 제1 부분(114)과 제2 부분(116)이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중심이 되는 제3 축 C-C는 한 쌍의 바퀴(132)의 제4 축 D-D와 일치하게 된다(도 3을 참조).
도 4 및 도 5는 바닥 공구(100)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바닥 공구(100)는 제1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닥 공구(100)는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어질 때에는 제1 구성에 있을 것이다. 제1 구성에서,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은 하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채널 내의 베이스(128)의 상위면 상에는 펄크럼(fulcrum)(13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이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부분(120)은 펄크럼(134)에 맞닿아 머무르게 된다. 사용 시, 사용자가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기 위해 바닥 공구(100)에 힘을 가할 때, 제1 부분(120)은 펄크럼(134)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펄크럼(134)의 후방측의 연결 아암(106)의 부분은 바닥 표면에 관련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펄크럼(134)의 전방측의 연결 아암(106)의 부분은 바닥 표면에 관련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 5에는 제2 구성의 바닥 공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바닥 공구(100)는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후방으로 잡아 당겨질 때에 제2 구성에 있을 것이다. 제2 구성에서,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은 상승된 위치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의 이동은 바닥 공구(100)가 후방으로 잡아 당겨질 때에 흡입 개구(114)를 바닥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바닥 공구(100)를 후방으로 잡아당길 때에 사용자가 약간의 상방향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바닥 공구(100)가 바닥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멀어지게 될 가능성을 제 1 부분(120)의 이동이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사용 시, 바닥 공구(100)는 봉(20)의 입구부(mouth)에 부착된다. 진공 청소기(10)는 흡입 개구(114)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을 봉(20) 내로 흡인하고, 호스(18)를 통해 진공 청소기(10)의 주몸체부(12) 내로 흡인한다. 사용자는 바닥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바닥 공구(100)를 밀고 잡아당기도록 봉(20)의 끝을 조종한다. 도 6 및 도 7은 사용 시의 바닥 공구(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바닥 공구를 전방으로 밀었을 때의 제1 구성의 바닥 공구(10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 사용자는 힘 F를 봉(20)에 가하며, 이 힘은 연결 아암(106)의 제2 부분(122)을 통해 작용한다. 힘 F는 제3 축 C-C을 중심으로 피봇 포인트에 작용한다. 힘 F는 수평 성분 FH 및 수직 성분 FV로 분해될 수 있다. 힘 F의 수평 성분 FH은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할 것이다. 힘 F의 수직 성분 FV는 제3 축 C-C를 중심으로 피봇 포인트에 대해 하방으로 작용하여,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의 선단이 바닥 표면을 향해 하 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펄크럼(134)이 제3 축 C-C과 제1 축 A-A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되므로, 펄크럼(134)의 전방의 제1 부분(120)의 타단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제1 축 A-A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될 것이며, 이로써 헤드부(102)가 도 6에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제2 축 B-B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봉(20) 및 청소기 헤드부(102)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바닥 공구(100)의 구성은 헤드부(102)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헤드부(102)의 전면이 바닥 표면으로 아래로 힘을 받게 된다. 헤드부(102)의 이러한 "다이빙(diving)" 동작은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바닥 표면을 가로지르는 바닥 공구(100)의 스킵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7은 후방으로 잡아 당겨질 때의 제2 구성의 바닥 공구(1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사용자는 봉에 힘 F를 가한다. 힘 F는 수평 성분 FH 및 수직 성분 FV로 분해될 수 있다. 힘 F의 수평 성분 FH은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후방으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힘 F의 수직 성분 FV는 제3 축 C-C를 중심으로 피봇 포인트에 대해 상방으로 작용하여, 연결 아암(106)의 제1 부분(120)이 제1 축 A-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바닥 공구(100)를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후방으로 잡아당길 때에, 바닥 공구(100)가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잡아 당겨지지 않고서도, 봉(20)이 약간 들리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본 발명에 대한 변형이 충분할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펄크럼은 지지 몸체 상에 위치되지 않아도 된다. 중요한 것은, 펄크럼이 연결 아암과 지지 몸체의 사이에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예컨대, 펄크럼은 연결 아암 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연결 아암과 지지 몸체 사이에 위치된 별도의 부재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축과 제2 축이 놓여있는 평면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흡입 평면과 정확하게 평행이 되지 않아도 되며, 평행에 근접하는 정도이면 된다.
흡입 평면은 한 쌍의 측벽의 에지에 의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흡입 개구는 예컨대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플레이트의 평면은 흡입 평면을 형성할 것이다. 또한, 흡입 개구가 복수 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흡입 개구 중의 하나 이상이 제1 축 및 제2 축이 놓여있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연결 아암의 제3 축은 어떠한 지점에서도 바퀴 배열의 제4 축과 일치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연결 아암은 2개의 섹션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단일 피스의 연결 아암이 이용되어도 되고, 추가의 섹션이 제공되어도 된다.
바퀴 배열은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며, 하나의 바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바닥 공구의 조종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지지 표면을 갖는 롤링 지지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바닥 공구는 예컨대 카페트 청소기(carpet sweeper), 진공 청소기, 산업용 흡입 장치 또는 탱크 진공 장치 등의 다양한 청소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바닥 공구가 가정용 진공 청소기에 사용되는 경우, 예컨대 직립형 진공 청소기, 원통형 진공 청소기, 또는 스틱형 진공 타입 기기 등의 적합한 유형의 진공 청소기가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에 있어서,
    바닥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는 헤드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연결 아암;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지지 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흡입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흡입 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바닥 처리 기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지지 몸체와 결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사용 시에, 상기 바닥 공구를 상기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상기 연결 아암이 상기 헤드부에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헤드부에 상기 바닥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와 상기 연결 아암 사이에 펄크럼(fulcrum)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펄크럼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몸체에 대하여 피봇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제1 선단 및 제2 선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선단은 상기 헤드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선단은 상기 헤드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펄크럼은 상기 제1 선단과 상기 제2 선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 공구를 상기 바닥 표면을 가로질러 전방으로 밀 때에, 상기 연결 아암의 상기 제2 선단이 상기 바닥 표면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1 선단이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상기 연결 아암의 상기 제1 선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지지 몸체에 관련하여 회전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연결 아암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펄크럼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상기 흡입 개구와 상기 방출구 사이의 유체 흐름을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배치된,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바닥 공구의 일부분을 상기 바닥 표면 위에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퀴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10.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바닥 공구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 형태를 갖는, 표면 처리 기기.
KR1020097013382A 2006-12-22 2007-11-29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KR10114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625804A GB2444898A (en) 2006-12-22 2006-12-22 A vacuum cleaner nozzle
GB0625804.0 2006-12-22
PCT/GB2007/004573 WO2008078065A1 (en) 2006-12-22 2007-11-29 A floor tool has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such as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889A true KR20090089889A (ko) 2009-08-24
KR101148095B1 KR101148095B1 (ko) 2012-05-23

Family

ID=377589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442A KR101021161B1 (ko) 2006-12-22 2007-11-29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KR1020097013382A KR101148095B1 (ko) 2006-12-22 2007-11-29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442A KR101021161B1 (ko) 2006-12-22 2007-11-29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720004B2 (ko)
EP (2) EP2096970B1 (ko)
JP (2) JP4753106B2 (ko)
KR (2) KR101021161B1 (ko)
CN (2) CN101568286B (ko)
AT (2) ATE469592T1 (ko)
AU (2) AU2007337858B2 (ko)
DE (2) DE602007007356D1 (ko)
GB (1) GB2444898A (ko)
WO (2) WO20080780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512A (ko) * 2010-11-05 2012-05-15 세브 에스.아. 회전식으로 고정된 소울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KR20200119882A (ko) * 2018-03-05 2020-10-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진공 청소기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4898A (en) * 2006-12-22 2008-06-25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nozzle
SE533482C2 (sv) * 2009-02-20 2010-10-05 Electrolux Ab Dammsugarmunstycke
GB2471112B (en) * 2009-06-17 2013-05-29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DE102011077286A1 (de) * 2011-06-09 2012-1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augdüse mit Fahrwerksanordnung
GB2504675B (en) * 2012-08-03 2014-11-26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510111B (en) * 2013-01-23 2016-05-25 Scotflow Renewable Energy Ltd Vacuum cleaner head
EP2773252B1 (en) * 2013-02-04 2014-11-05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DE102014107812A1 (de) * 2014-06-03 2015-12-0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aubsaugerdüse für einen Staubsauger
EP3047769A4 (en) * 2014-08-13 2018-05-16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Vacuum cleaner and upright vacuum cleaner
GB2532961B (en) * 2014-12-02 2017-03-22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DE102015102587B4 (de) * 2015-02-24 2019-10-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ls Vorsatzgerät ausgebildete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GB2542420B (en) * 2015-09-21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KR102496980B1 (ko) 2016-04-27 2023-02-06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 시스템
GB201616598D0 (en) * 2016-09-30 2016-11-16 Grey Technology Limited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CN111417331A (zh) * 2017-12-15 2020-07-14 伊莱克斯公司 地板工具单元、表面处理器具和真空吸尘器
CN111491545B (zh) 2017-12-15 2023-03-28 伊莱克斯公司 真空吸尘器
CN110710928A (zh) * 2018-07-11 2020-01-21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一种表面清洁头
CN110876579A (zh) * 2018-12-29 2020-03-13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9648C2 (de) * 1980-03-13 1983-03-17 Hans 5226 Reichshof Wessel Staubsaugerdüse mit einem Anschlußelement und einer Gleitsohle
FR2546054B1 (fr) * 1983-05-17 1985-08-30 Olivier Ets Georges Suceur d'aspirateur a galet
EP0304609A1 (de) * 1987-07-28 1989-03-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ubsaugermundstück mit einem kippbar angeordneten Mundstückkörper
DE8809802U1 (ko) * 1988-08-01 1989-11-3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JPH08289861A (ja) * 1995-04-21 1996-11-05 Hitachi Ltd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吸口部
US6334234B1 (en) * 1999-01-08 2002-01-01 Fantom Technologies Inc.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0023731D0 (en) 2000-09-28 2000-11-08 Notetry Ltd A floor tool
GB0126494D0 (en) * 2001-11-03 2002-01-02 Dyson Ltd A floor tool
GB2391459A (en) * 2002-08-09 2004-02-11 Dyson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increased manoeuverability
GB2402047B (en) * 2003-05-29 2006-07-19 Dyson Ltd A cleaning head
GB2444898A (en) * 2006-12-22 2008-06-25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nozz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512A (ko) * 2010-11-05 2012-05-15 세브 에스.아. 회전식으로 고정된 소울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KR20200119882A (ko) * 2018-03-05 2020-10-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진공 청소기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8286B (zh) 2011-09-14
WO2008078065A1 (en) 2008-07-03
JP2010512896A (ja) 2010-04-30
ATE469592T1 (de) 2010-06-15
AU2007337860A1 (en) 2008-07-03
GB0625804D0 (en) 2007-02-07
DE602007007356D1 (de) 2010-08-05
GB2444898A (en) 2008-06-25
WO2008078063A1 (en) 2008-07-03
JP4753106B2 (ja) 2011-08-24
EP2096971A1 (en) 2009-09-09
AU2007337858B2 (en) 2011-03-24
CN101568286A (zh) 2009-10-28
CN101578063A (zh) 2009-11-11
US20100058554A1 (en) 2010-03-11
JP4770986B2 (ja) 2011-09-14
EP2096971B1 (en) 2010-06-23
DE602007006987D1 (de) 2010-07-15
US8720004B2 (en) 2014-05-13
KR20090089890A (ko) 2009-08-24
KR101021161B1 (ko) 2011-03-15
ATE471685T1 (de) 2010-07-15
EP2096970A1 (en) 2009-09-09
AU2007337860B2 (en) 2011-03-17
US8141203B2 (en) 2012-03-27
EP2096970B1 (en) 2010-06-02
KR101148095B1 (ko) 2012-05-23
US20100011534A1 (en) 2010-01-21
AU2007337858A1 (en) 2008-07-03
JP2010512894A (ja)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95B1 (ko)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JP5165027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のためのツール
KR100734955B1 (ko) 청소기 프레임에 진공청소기 본체의 착탈이 가능한진공청소기
KR101315876B1 (ko) 표면 처리 헤드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JP5232195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のためのツール
JP2010201170A (ja) 床用ツール
KR101064029B1 (ko) 진공 청소기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KR10105211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83198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US9999329B2 (en) Aspira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KR10129146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68129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JP2005334209A (ja) 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60018715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10069964A (ko) 복수의 핸들부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28

Effective date: 2012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