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654A -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654A
KR20090089654A KR1020080014942A KR20080014942A KR20090089654A KR 20090089654 A KR20090089654 A KR 20090089654A KR 1020080014942 A KR1020080014942 A KR 1020080014942A KR 20080014942 A KR20080014942 A KR 20080014942A KR 20090089654 A KR20090089654 A KR 2009008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grades
grade
personality
colle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광
신수호
Original Assignee
신재광
신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광, 신수호 filed Critical 신재광
Priority to KR102008001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9654A/ko
Publication of KR2009008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은, 회원의 학교 성적을 입력받는 일반 성적 입력부 및, 진학 희망 학교를 입력받는 희망 학교 입력부, 경시 대회 수상 경력, TOEIC, TOEFL과 같은 특수 성적을 입력받는 특수 성적 입력부로 이루어진 성적 입력모듈; 학교의 입시요강 및 합격자의 성적을 과목 별, 기간 별, 학교 별로 분류하여 통계 분포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수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성적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회원의 성적 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하여 진학 성적 수치로서 산출한 다음 이 진학 성적 수치를 근거로 회원의 특정 학교 진학 가능성을 예측하되, 진학 가능성이 낮게 산출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부족 원인을 특정 수치인 민감 수치로서 산출하는 진학 예측모듈; 상기 민감 수치를 근거로 하여 회원의 부족한 성적을 파악함으로, 보충강좌 소개 내지 학습자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족 성적에 대한 대안 자료를 제공하는 추천모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한 회원의 성적을 입력받아 기존 진학 성적 수치와 신규 진학 성적 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회원의 성적 변동을 파악하는 진학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학 상담, 진학 지도, 학습 관리, 경시대회 입상, 온라인 교육 지도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ENTERING UPON STUDIES THROUGH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온라인을 통하여 특정 학교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성적과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관리하여 특정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가능성 여부 및 대안 내지 성적 보강 정보 등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 학생이 특정 학교 진학의 꿈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진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전 세계에서 가히 최고 수준을 자랑할 정도로 대단한바, 이는 인구에 비하여 자원이 한정되어 있고 전통적으로 입신양명의 꿈을 좋은 학교에 진학하는 것으로 이룬다고 생각하는 사회적인 풍조가 만연되어 있는 고유 특성이 있는 등의 고유 특색이 있기 때문일 것이며 이를 입증이나 하는 듯이 다양한 종류의 입시학원과 입시 시스템이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상당 수 존재하고 있다.
현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고 있는 입시 관리 시스템을 보면, 학 생의 성적을 파악하고 부족한 과목을 보강하거나 내신 성적 자료 및 모의고사 성적 자료를 통하여 진학이 가능한 학교를 예상하고 해당 학교에 지원하도록 지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학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오프라인 입시 시스템은 과외 가격을 비롯하여 값 비싼 교육비로 직결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렇게 특수한 오프라인 입시 시스템에서만 제공하는 특수 지도를 폭넓게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고, 더불어 온라인 진학 시스템은 시스템 자체적으로 보유한 문제은행 내지 합격자 분석 자료가 풍부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학생의 성적을 입력받아 내신 성적을 산출하고 성적 고저에 따라 특정 학교 진학 가능 여부를 단편적으로 알려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프라인 진학 시스템에 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생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 결과만을 제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공보를 참조하면 온라인을 통하여 학생의 진학을 관리하는 시스템 내지 방법이 게시되어 있는바 그 예로서는 특허출원 제 10-2000-0043497호, 특허출원 제 10-2000-0019669호, 특허출원 제 10-2000-0032607호와 같은 것이 있다.
이 중, 특허출원 제 10-2000-0032607호 "진학 맞춤 상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참조하면, 회원이 진학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 자료에 따라 진학상담을 위한 참고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참고자료를 통해 진학 학과/학교 등을 선택하는 단계, 상담원과 추가 상담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따르면 인터넷 기반을 통하여 편리하게 진학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구체적인 상담 내용이 단순히 자료가 입력된 순간에 근거하여 평가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회원 변화에 대한 특성을 파악할 수 없다는 단편적인 문제가 있고 더불어 진학 여부에 대한 가부 판단만을 하는 수준이라 특정 학교 진학을 위한 대안 내지 방법을 추가로 제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정 학교의 경우 성적만을 입시조건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사회활동 내역, 경시 대회 수상 내역을 비롯하여 인성 평가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성적 이외의 기타 자료를 통해 종합적인 진학 상담 내지 맞춤 상담을 하기에 상당히 역부족하다는 문제가 엿보인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하여 진학 상담을 하되, 온라인의 전통적인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진학 지도의 단편적인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학교 성적 이외의 TOEIC, TOEFL 및 올림피아드 등 특수 성적 및 인성 등의 복합적인 학생 평가 자료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진학 가능성 여부 제시 및 진학을 위한 대안과 노력 방안을 알기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새로운 온라인 진학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원의 학교 성적은 물론 각종 경시 대회 성적까지 입력을 받아 학교 성적 이외의 성적에 가중 치를 두는 학교 진학에 대한 진학 가능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진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생의 성적은 물론 인성 상태까지 평가하여 인성 평가를 입시요강으로 하는 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회원에게 적합한 사회봉사활동을 추천하거나 인성 상태를 분석하여 보다 종합적인 진학 상담 결과를 마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학 가능성 분석 결과에서 진학 가능성이 떨어지는 직접적인 성적 요인 등이 있는 경우 이를 특별 관리하여 보완할 수 있는 대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진학까지 일정 시간이 남아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시로 변동되는 성적을 입력하도록 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진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지속적인 성적 관리를 의무적으로 이루고자 성적 입력 예상 시점을 파악하여 해당 시점에 성적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강제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은, 회원의 학교 성적을 입력받는 일반 성적 입력부 및, 진학 희망 학교를 입력받는 희망 학교 입력부, 경시 대회 수상 경력, TOEIC, TOEFL과 같은 특수 성적을 입력받는 특수 성적 입력부로 이루어진 성적 입력모듈; 학교의 입시요강 및 합격자의 성적을 과목 별, 기간 별, 학교 별로 분류하여 통계 분포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수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성적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회원의 성적 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하여 진학 성적 수치로서 산출한 다음 이 진학 성적 수치를 근거로 회원의 특정 학교 진학 가능성을 예측하되, 진학 가능성이 낮게 산출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부족 원인을 특정 수치인 민감 수치로서 산출하는 진학 예측모듈; 상기 민감 수치를 근거로 하여 회원의 부족한 성적을 파악함으로, 보충강좌 소개 내지 학습자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족 성적에 대한 대안 자료를 제공하는 추천모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한 회원의 성적을 입력받아 기존 진학 성적 수치와 신규 진학 성적 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회원의 성적 변동을 파악하는 진학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성적 입력모듈은, 대인관계, 사회봉사활동, 성향 등으로 대별되는 회원의 주관적 인성 조건을 회원 자체 내지 관리자의 평가에 의하여 계층분석 인성 수치로서 생성하되, 상기 계층분석 인성 수치는 각 주관적 인성 조건 중 2개의 조건을 병합한 다음 쌍대 비교 형식으로 이루어진 설문이 수록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수치로서 산출되는 인성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학 관리모듈은, 회원의 성적 입력 시점 이후의 성적 입력 시점을 예측하여 해당 성적 입력 시점에 추가 성적 입력이 되지 않았을 경우 회원에게 이메일 내지 SMS를 통보하는 성적 입력 기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1) 단순 학교 성적 이외에 특수 목적 학교에서 요구하는 특수 성적까지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을 가진 상위 학교로의 진학 가능성을 보다 폭넓고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 성적 이외에 학생에 대한 인성까지 파악하여 입시 요강 중 하나인 사회활동내역을 추천하거나 학교 적응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 진학 가능성이 낮게 평가된 경우 합격 가능성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 처리하여 과목 별로 분석하여 원인 별 내지 합격 가능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순서에 의하여 리스트 처리를 하여 집중 관리를 하거나 부족분을 보강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함으로, 단순 진학 가능성 분석 이상의 지도 편달 능력까지 가질 수 있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지며,
4)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진학 지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성적 입력 예측 시점을 기산하여 성적 입력을 회원에게 강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성적 입력모듈(110), 진학 예측모듈(120), 추천모듈(130), 진학관리모듈(140) 및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51)를 비롯한 성적 산출 근거가 되거나 성적 보충 추전 자료가 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각 구성요소 별로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적 입력모듈(110)은 진학 희망 예정자인 학생, 즉 유저 회원이 자신의 현재 다양한 성적 및 인성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입력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성적 입력모듈(110)은 기본정보 입력부(111), 희망 학교 입력부(112), 일반성적 입력부(113), 특수성적 입력부(114), 인성 입력부(115)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 정보 입력부(111)는 회원에게 학년, 나이, 성별과 같은 진학 및 진학 관리 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원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까지의 넓은 범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기본 정보 입력부(111)에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회원의 구분이 이루어지고, 만일 진학이 코앞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후술하겠지만 성적 산출 근거가 되는 구체적인 데이터베이스와 회원의 성적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타이트한 관리가 이루어지며 그 외 학년인 경우에는 수준별 맞춤형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자발적 내지 강제적인 성적 입력 방식에 따라 성적의 지속적 관리를 도모하게 된다.
희망학교 입력부(112)는 회원이 진학을 희망하는 상위학교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희망 학교 입력부(112)는 선택적으로 구비가 가능하여, 이를 통해 구체적인 희망 학교 이름을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나 아직 정보가 부족하여 희망 학교를 모르거나 정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희망 학교 입력을 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입력이 된 희망 학교는 지역별, 수준별로 구분이 된 학교입시요강 데이터베이스(152) 및 기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처리가 되어 학교 별로 진학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는 전제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일반성적 입력부(113)는 회원의 최근 모의고사 성적, 누적된 시험 성적, 내신 성적과 같이 의무 교육을 수행한 회원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게 되는 성적 자료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일반 성적자료는 과목별, 등수 별 등과 같이 세분화되고 다양한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회원에게 구체적으로 입력을 받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특수성적 입력부(114)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일명 특목고) 등과 같이 특수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기존 선행기술과 차별적으로 구비한 것으로, 예를 들어 TOEIC, TOEFL 성적과 취득 기간, 심지어 각종 과목별 경시대회 성적/등수, 기타 대회에서의 수상경력, 사회활동 경력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각 구분 별 입력창을 구비하여 회원에게 각종 특수 성적을 입력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인성 입력부(115)는 회원에 대한 인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성 질문을 회원에게 수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회원 각각에 대한 기본적인 성격, 성향, 자질 등을 수치로서 입력 평가하도록 하여 회원에 대한 '계층분석 인성 수치'(A)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층분석 인성 수치(A)는 회원이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실제 특정 회원의 성격을 잘 알고 있는 주변인, 즉 교사 내지 부모에게 평가를 받아 진학 인성 수치(A')로 변환이 된 다음 후술할 진학 성적 수치(B)를 보충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활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진학 인성 수치(A')가 필요한 이유는, 예를 들어 특수목적 고등학교 내지 특정 대학교에서는 성적 이외의 사회활동 경력, 봉사현황 등의 자료를 입시생에게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물론 사회활동 경력이 자료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수성적 입력부(114)를 통해 입력을 받으면 되나 아직 그러한 사회활동 경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에는 추후 어느 사회활동이 적합할지 여부를 추천할 필요성이 있거나 더불어 기숙사 활동을 기본으로 하는 지방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같은 경우에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학교 진학 시에 대인 관계를 비롯한 회원의 인성 특성도 충분히 고려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다시 말해 이러한 성적 이외의 기타 성품에 대한 근거 자료를 추출하기 위하여 막연한 성품 조사를 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를 겸비함으로 성적 이외의 요소까지도 회원에게 진학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계층분석 인성 수치'(A)는 다분히 평가자, 회원 자신의 주관이 가미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계층분석 인성 수치(A)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성 처리부(115)의 설문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인성 결과를 산출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인성 처리부는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51)에 의한 설문 자료와 설문 방법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설문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은 의사결정의 계층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를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직면한 의사결정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나열하여 계층의 형태로 만든 다음 그 계층을 이루고 있는 요소를 1 대 1로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도출된 비교 결과를 선형대수학의 고유 벡터법에 의하여 요소들의 가중치를 구하고 각 계층에서 구한 요소들의 가중치를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곱하게 되면 의사결정 대안의 최종 가중치가 구해지고 결론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일련의 방법을 말한다.
즉, 이러한 계층분석방법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근거는, 일반적으로 회원의 인성 정보 내지 성품을 측정할 때 내지 구체적인 회원의 능력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회원의 성격을 결정하는 질문으로 '성격이 원만함' 유무에 동그 라미 표시를 하고 '대인 관계가 좋음' 여부에 동그라미 표시를 하는 단편적인 방식으로 성격의 정도가 결정이 되고, 회원에 대한 사회봉사활동 성향을 결정하는 질문에서도'고아 봉사를 좋아한다.', '쓰레기 처리를 잘 할 수 있다.'라는 단편적이고 직관적인 답변을 통하여 회원의 개별 성향을 입력받고, 만일 이러한 판단에 대해 동그라미(yes)- 1점, 가위표(no)- 0점 등으로 개별 설문에 대하여 단순 수치화한 다음 이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학 인성 수치가 결정되면 결국 어느 설문에서 점수가 높고 낮은지가 분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합산된 수치만을 보았을 때 모든 회원 간의 종합 수치가 비슷비슷해져 그 개별적인 특성이 평준화되어 서로 인성에서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 결정이 되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종합적인 인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이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층분석방법 - 즉 특수목적학교의 진학 상담을 위하여 사회활동 자료의 근거를 추출하기 위한 회원의 성격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층별로 분류하는 방법- 은 사회봉사활동 분야, 대인관계, 기타 성격 등에 대한 자신 및 상대방의 조건을 결정할 때 하나의 분리된 단순 조건(예를 들어, 성격 관련 질문에서는 성격의 좋은 정도 자체 만에 관련된 질문을 하는 일반적인 설문 방법)에 대해 질의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여러 타입의 설문을 마련하여 각 설문별로 2가지의 조건에 대해 서로 비교될 수 있는 질의를 1:1 방식으로 쌍대 비교를 함으로써 양 조건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됨과 동시에 각 조건에 대해 계층화를 하여 계층 간의 점수(수치)를 가중치 부여를 통해 최적의 조건 분석을 할 수 있는 방식을 따르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 방식에 의할 경우 성격과 사회활동 성향의 비교 설문에서는, "A 질문: 나는 성격은 원만하나, 봉사단체에서 봉사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고 싶다. B 질문: 나는 독단적이기는 하나, 어린이는 좋아해서 고아원에서 봉사를 할 기회가 있으면 하고자 한다."라고 성격과 사회활동(봉사활동) 성향에 대한 2가지 조건을 종합한 설문 A, B를 서로 쌍대 비교를 하여 "1-왼쪽이 아주 좋다. 2-왼쪽이 대체로 좋은 편이다. 3-왼쪽이 조금 더 좋다. 4-비슷하다. 5-오른쪽이 조금 더 좋다. 6-오른쪽이 일반적으로 좋은 편이다. 7-오른쪽이 아주 좋다."라는 7개의 답변을 객관식으로 마련하게 되고 이로써 얻어진 점수가 각 설문별로 차별화되어 미리 선정된 가중치를 통해 설문별 점수 산정이 특화되고 최종적으로 종합적인 각 조건별 특정 회원의 종합적인 인성 내지 성향이 구체적으로 도출/평가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분석 데이터베이스(151)는 바로 상기와 같은 종합적인 계층분석 방식에 따른 양자 조건 에 대해 1:1 쌍대 비교를 한 복수 개의 질문을 수록한 독특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51)는 상기 언급한 계층분석방법(AHP)에 토대하여 각 설문을 예를 들어 대인 관계 대 봉사활동 성향, 대인 관계 대 잠재 자질, 잠재 자질 대 성격 등과 같이 쌍대비교 형식으로 팀원을 평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매니저 등의 평가자에게 디스플레이(display)된 설문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성 입력부(115)를 통해 회원의 인성을 평가하여 각 설문 별 또는 종합적으로'계층분석 인성 수치'(A)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게 되고, 이러한 계층분석 인성 수치(A)는 후술할 진학 인성 수치 산출부(121)에서 진학 희망 학교 별 내지 특정 요소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적인 인성 자료로서 활용될 진학 인성 수치(A')로서 산출이 된다.
이러한 성적 입력모듈(110)은 후술할 진학 관리모듈(140)과도 연동이 되어, 단순히 진학 가능성을 당장 평가하기 위하여 1 회성으로만 회원의 성적을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성적이 도출되는 시점마다 성적 입력을 받아 장기간 지속적인 회원의 각종 성적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학 예측모듈(120)은 상기 성적 입력모듈(110)을 통해 회원의 성적, 인성 등이 입력된 자료를 별도로 구비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처리를 하고 특정 계산식과 통계 분석 방식에 의하여 특정 수치를 도출하고 이 수치의 고저에 따라 특정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기능을 한다.
우선, 회원의 성적을 객관적으로 비교 처리하기 위하여 비교 대상이 존재해야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학교 입시요강 데이터베이스(152),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스(153), 커트라인 데이터베이스(155), 경시대회 입상 성적 데이터베이스(154)와 같은 진학 성적 수치(또는 종합 진학 수치) 산출을 위해 비교 대상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와, 후술하겠지만 추천 모듈에서 사용되는 부족 성적 내지 사회활동 점수 보충을 위한 강좌 추천 데이터베이스(156), 사회봉사 추천 데이터베이스(157)를 구비하고 있다.
학교 입시요강 데이터베이스(152)는 특정 진학 희망 학교 별로 마련된 데이터로서, 학교 요강, 즉 내신 성적 상위 퍼센테이지, 경시 대회 성적, 기타 요구 조건 등을 각 비율 별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된 자료를 말하고,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스(153)는 특정 학교에 합격한 학생의 학년, 기간별의 성적 내지 각 과목 별 특수 성적을 특정 요소(팩터/파라미터)와 특정 통계 방식에 의한 분포 별로 정리한 자료를 의미한다.
특히, 합격자 성적분포 데이터베이스(153)는 각 학교마다 복수 명의 합격자 성적을 수렴하여 정규분포, 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을 다양하게 이용하여 여러 기준 별 자료 도출을 하도록 함으로써 자료의 객관적 신뢰성을 최대한 담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트라인 데이터베이스(155)는 각 학교 별로 수집된 커트라인을 통해 진학 희망 학생의 성적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물론 모든 학교가 커트라인을 공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상 커트라인 수준을 추정치로 산출한 예상 커트라인 자료까지 포함하여 진학 희망 학생의 성적을 비교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비교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경시대회 입상 성적 데이터베이스(154)는 특정 경시 대회에서 입상한 학생의 성적 내지 진학한 상황 등을 추적한 데이터를 집산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특정 경시 대회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알맞은 학교를 추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학 예측모듈(120)은 크게 진학 인성수치 산출부(121), 진 학 성적수치 산출부(122), 종합 진학수치 산출부(123), 진학 가능성 예측부(124), 민감 수치 산출부(125)로 구성이 되어 있다.
진학 인성 수치 산출부(121)는 상기 인성 입력부의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51)에 대해 구해진 답변을 통해 얻어진 계층분석 인성수치(A)를 특정 요소 내지 파라미터 별로 가중치를 부여함과 동시에 학 학교의 입시 요강과 비교 분석을 병행하여 종합한 새로운 수치, 즉 '진학 인성 수치'(A')를 도출하는 것으로, 특히 진학 인성 수치 산출부(121)는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51)에서 양대 비교 설문으로 이루어진 양자의 조건에서 상대적인 선호도를 예측하되 구체적으로는 각 수치에 따른 고저(高低)에 따라 각각의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조건이 타 조건에 비하여 얼마나 선호되고 그렇지 않은가를 합리적이고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회원은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가 이루어진 자신의 진학 인성 수치(A')를 각 분야별(사회봉사 활동 영역, 대인 관계에 의한 집단 활동 수준 영역 등)로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진학 인성 수치(A')는 궁극적으로 각 설문마다 존재하는 상기 계층분석 인성수치(A)를 수렴하여 각 분야별로 가중치 부여의 방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한 종합 인성 수치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학 인성 수치(A')는 각 회원에게 평가자료, 평가 그래프, 진단 설명 등의 글과 함께 다양한 진단 방식으로서 해석되어 디스플레이가 되는 것이 가능하고 추후에 인성 테스트 내지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적응력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 용도로도 활용이 될 수 있다.
진학 성적 수치 산출부(122)는 회원이 입력한 각종 성적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미리 준비한 상기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스(153), 커트라인 데이터베이스(155) 등과 비교하여 특정 학교에 합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각종 통계 분석방법 내지 계산방법을 통하여 각 팩터 별, 영역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종합 처리함으로 확률 수치로서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스(153) 등의 제 1 비교대상과 회원이 입력한 성적 등의 제 2 비교대상은 단순히 직렬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에 진학 성적 수치 산출부(122)는 먼저 제 1 비교대상에서 추출한 자료인 합격자 성적 분포를 모집단으로 하여 분포도를 조사하고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함과 동시에 이러한 제 1비교 대상에서 얻은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의 성적 등에 의한 제 2 비교대상을 제 1 비교대상 분포 데이터에 유의한 수준에 의거하여 샘플링을 하고 각 영역별, 팩터(factor) 내지 파라미터 별로 데이터 비교 및 가중치 부여를 특정 편차 이하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 다음 유의 수준의 검정 기준에 따라 가능성 여부를 확률 수치(예를 들어, 퍼센트 단위)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회원으로 목적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학교와 비교 없이 종합적으로 진학 성적 수치(B)를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진학 성적 수치(B)는 인성 평가 내지 사회봉사 활동과 같은 특수 행위를 입학 기준으로 삼지 않는 학교에서는 진학 여부를 판가름하게 되는 직접적인 수치 및 진학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되며, 진학 성적 수치(B)는 각 과목별, 가중치 부여 근거별, 평균 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되어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복수 개의 수치로서 도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종합 진학 수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종합 진학 수치 산출부(123)는 상기 진학 성적 수치(B) 및 진학 인성 수치(A')를 특정 학교의 입시 요강에 따라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조합 처리한 종합 진학 수치(C)를 산출하여 특정 학교의 입시 요강 및 해당 학교의 합격자 성적 자료(이 역시 수치화가 가능)와 비교 처리함(합격자 성적에 의한 수치와 비교하여 크고 작음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최종적인 진학 가능성을 확률 수치로서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합 진학 수치 산출부(123)는 특히 진학 인성 수치(A')가 진학 성적 수치(B)와 합산되어 처리된 종합 수치, 즉 종합 진학 수치(C)를 산출함으로, 이 종합 진학 수치(C)가 인성(사회활동 평가)을 가산점으로 부여하거나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학교 진학을 위한 판단 자료로서 활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메인으로 하게 되며 만일 인성에 대한 능력 등이 입학 기준에 없는 학교인 경우에는 상기 진학 성적 수치 산출부(122)에서 산출한 진학 성적 수치(B)만으로도 진학 가능성의 평가가 가능하다.
진학 가능성 예측부(124)는 상기 3가지의 수치 산출부(121,122,123)에서 산출된 수치(A',B, C)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회원이 목적하는 학교 내지 이에 유사한 수준의 학교에 진학할 수 있을지 여부를 그래프, 상담 글, 각 과목 평가와 같은 부 가 자료와 함께 회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학 가능성 예측부(124)를 통하여, 회원은 현재까지의 자신의 성적 등을 통해 실제 자기가 희망하는 학교에 진학할 수 있을지 여부를 객관적이고 신뢰도 있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민감 수치 산출부(125)는 상기 진학 인성 수치(A'), 진학 성적 수치(B) 내지 종합 진학 수치(C)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특정 과목 내지 특정 조건이 특별히 편차 수준 이상으로 크거나 아니면 반대로 작은 조건 내지 요소를 추출하여 해당 요소 별로 추출한 다음 이를 종합 분석하여 특정 수치로서 처리, 즉 민감 수치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민감 수치는 진학 가능성이 낮을 경우에는 각 과목 성적 별, 특수 성적 별로 가능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순서에 의하여 리스트 처리가 가능하여 이러한 리스트 순서에 의하여 집중적인 대안 자료 제시 내지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진학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도 진학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 순서에 의하여 리스트 처리를 하여 리스트 순위가 낮은 경우를 좀 더 보강할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민감 수치는 특히 특정 학교에서 예를 들어 수학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아니면 과학 경시대회 성적에 큰 의미를 두는 등으로 학교에서 파악된 학생의 종합 성적보다 특정 성적 내지 행위에 의미를 두는 경우를 대비하거나 아니면 진학 가능성이 낮을 때 그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한 수치로서, 이러한 민감 수치는 회원이 입력한 성적 자료를 통해서는 물론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 스(153)에서도 산출되어 양자 비교가 가능하거나 특정 특수목적 고등학교 진학 대비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추천모듈(130)은 상기 진학 예측모듈(120)을 통해 진학 가능성 여부가 없거나 부족한 회원에게 특별히 보충하거나 더 준비해야 할 과목의 성적, 행위 등의 추전 내용을 별도의 데이터 자료로서 회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학 가능 학교 추천부(131), 수치 보충 방법 제공부(132), 직접 상담 제공부(133)로 구성되어 있다.
진학 가능 학교 추천부(131)는 상기 종합 진학 수치(C) 내지 진학 성적 수치(B)가 가령 회원이 진학 목적으로 하는 A라는 학교 이외에 다른 B, C 등의 학교의 진학 가능성을 확률로서 회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회원은 수학 경시 대회 입상 경력이 있어 이를 특별 기준으로 설정한 A라는 학교를 진학 목적으로 두었는데 A라는 학교의 진학 가능성은 떨어지나 알고 보니 A와 유사한 수준 또는 특수목적이 다른 B, C 등의 학교에서는 진학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A 이외의 B, C에서의 진학 가능성을 알려주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회원의 객관적 실력을 기준으로 진학 가능성이 있거나 회원이 복수 개의 학교를 비교하면서 진학을 목표로 할 경우를 대비할 경우 아주 유용한 기능을 회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 진학 가능 학교 추천부(131)는 회원의 각종 수치를 각 학교 별 합격자 성적 분포 데이터베이스(153) 등의 종합적인 비교 대상과 비교하여 각 학교마다 진학 가능성을 확률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치 보충 방법 제공부(132)는 상기 진학 가능성 분석 결과 또는 민감 수치 분석 결과에서 특히 떨어지는 과목 성적이 있어 이를 집중적으로 보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즉 진학 가능성이 낮게 나오게 된 요인(특정 과목의 성적, 경시 대회 성적 유무, TOEIC 성적의 고저 여부 등)을 나타내는 민감 수치를 통하여 해당 과목에 대한 집중적인 성적 향상 내지 보충을 할 수 있는 제안 자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과학 고등학교에 진학하기를 희망하는 장길산이라는 회원의 경우 종합 평균 성적은 높은데 상대적으로 과학 과목의 성적이 두드러지지 않을 경우에 장길산의 민감 수치는 과학 성적에 치중하여 나타나게 될 것이고, 이 경우 장길산 학생 수준에 맞는 과학 과목 강좌 소개 내지 과학 전문 학원 수강 내용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수치 보충 방법 제공부(132)에서 의미하는 제안 자료는 상기에서 잠시 언급하였지만 강좌 추천 데이터베이스(156), 사회봉사 추천 데이터베이스(157)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미리 준비된 학원 자료를 각 과목별, 수준별, 지역별로 수록하거나 사회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기관 자료를 수록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회원에게 알맞은 것을 하나 내지 그 이상 추천하여 안내문 내지 그래프 등의 형식으로 준비된 제안 자료로서 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입시 학원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연동되어 시스템 운영자는 입 시학원과 제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입시학원과 이해관계에 의하여 제안 자료의 신빙성을 잃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안 자료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특히 특정 강좌에 대한 제안 자료를 제공할 경우에는 해당 강좌의 교사에 대한 특성을 평가한 합격자의 후기 내지 평가 글과 더불어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접 상담 제공부(133)는 채팅창 내지 게시판을 통하여 시스템 운영자 내지 시스템에서 배치되어 있는 상담교사 또는 진학 희망 학교에 합격한 합격생과 채팅을 하거나 게시판을 통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직접 상담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채팅창은 각 과목별로 별도의 채팅 카테고리로 제공이 되어 있어 회원이 상담교사에게 채팅을 신청한 경우 해당 회원의 3가지 수치가 해당 상담교사에게 자동 전송이 되어 상담교사가 이를 근거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시판 역시 학교 별, 과목 별로 구분되어 보다 구체적인 질의/응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학 관리모듈(140)은 당장 특정 학교 진학을 해야 할 상태(예를 들어 고3, 중3 등)가 아닌 회원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진학 관리를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성적 변동 파악부(141), 성적 입력 기산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성적 변동 파악부(141)는 시간이 흐르면서 수시로 변화되는 회원의 성적이 추가적으로 상기 성적 입력모듈(110)에 입력되었을 때 과거의 진학 성적 수치(B)와 현재의 성적 수치(C)를 비교하여 변동된 성적 분포를 파악하여 예를 들어 수학성적의 편차가 심하거나 국어 과목이 계속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에 이르지 못하였을 때 이를 별도의 민감 수치로서 생성하여 추가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렇게 지속적인 성적 변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성적 입력이 이루어져야 보다 객관적인 결과 파악이 가능하고 만일 간헐적이거나 아니면 불규칙한 주기로 성적 입력이 되었을 경우에는 지속적인 회원 흐름 특성을 판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적 입력을 주기적으로 할 것을 의무로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성적 입력 기산부(142)는 성적, 특히 주기적으로 도출되는 일반 성적(학교 성적)을 입력한 시점부터 입력 기산이 기산되어 예측되는 추가 입력 기산 시점(예를 들어 중간고사 이후 기말고사의 성적이 중간고사 이후의 입력 예상 시점이 될 것임)까지 추가 성적 자료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회원의 핸드폰 내지 이메일로 입력요청 신호를 통보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 성적 입력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회원에게 페널티(가령, 합격자 자료 분석을 볼 수 없도록 하거나 과거부터 현재까지 관리된 성적 분포를 초기화하는 등)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성적 입력 기산부(142)의 타이밍 기능 및 통보 기능에 의하여 회원의 성적 관리를 지속적으로 이루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주기적으로 회원의 진학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 이외에, 진학학교의 특성에 대한 자료 내지 합격자의 수기 내지 기출예상문제와 같은 문제은행 등의 부속 데이터베 이스를 제공하여 굳이 성적을 입력하는 시점 이외에도 회원이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진학 포탈사이트와 같은 역할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설문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종합 진학 수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스템 131: 진학 가능학교 추천부
110: 성적 입력모듈 132: 수치보충방법 제공부
111: 기본정보 입력부 133: 직접상담 제공부
112: 희망학교 입력부 140: 진학 관리모듈
113: 일반성적 입력부 141: 성적변동 파악부
114: 특수성적 입력부 142: 성적 입력 기산부
115: 인성 입력부 151: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
120: 진학 예측모듈 152: 학교 입시요강 데이터베이스
121: 진학 인성수치 산출부 153: 합격자 성적분포 데이터베이스
122: 진학 성적수치 산출부 154: 경시대회 입상성적 데이터베이스
123: 종합 진학수치 산출부 155: 커트라인 데이터베이스
124: 진학 가능성 예측부 156: 강좌추천 데이터베이스
125: 민감 수치 산출부 157: 사회봉사 추천 데이터베이스
130: 추천 모듈

Claims (6)

  1.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으로서,
    회원의 학교 성적을 입력받는 일반 성적 입력부 및, 진학 희망 학교를 입력받는 희망 학교 입력부, 경시 대회 수상 경력, TOEIC, TOEFL과 같은 특수 성적을 입력받는 특수 성적 입력부로 이루어진 성적 입력모듈;
    학교의 입시요강 및 합격자의 성적을 과목 별, 기간 별, 학교 별로 분류하여 통계 분포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수록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성적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회원의 일반 성적 및 특수 성적 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하여 진학 성적 수치로서 산출한 다음 이 진학 성적 수치를 근거로 회원의 특정 학교 진학 가능성을 예측하되, 진학 가능성이 낮게 산출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부족 원인을 특정 수치인 민감 수치로서 산출하는 진학 예측모듈;
    상기 민감 수치를 근거로 하여 회원의 부족한 성적을 파악함으로, 보충강좌 소개 내지 학습자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족 성적에 대한 대안 자료를 제공하는 추천모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한 회원의 성적을 입력받아 기존 진학 성적 수치와 신규 진학 성적 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회원의 성적 변동을 파악하는 진학 관리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적 입력모듈은,
    대인관계, 사회봉사활동, 성향 등으로 대별되는 회원의 주관적 인성 조건을 회원 자체 내지 관리자의 평가에 의하여 계층분석 인성 수치로서 생성하되, 상기 계층분석 인성 수치는 각 주관적 인성 조건 중 2개의 조건을 병합한 다음 쌍대 비교 형식으로 이루어진 설문이 수록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수치로서 산출되는 인성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학 예측모듈은,
    상기 계층분석 수치를 종합하여 회원의 인성을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진학 인성 수치를 산출하는 진학 인성 수치 산출부;
    상기 진학 인성 수치 및 진학 성적 수치를 합산하여 종합 진학 수치를 산출하는 종합 진학 수치 산출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종합 진학 수치를 근거로 학생의 인성 상황을 입시요강으로 반영하는 특정 학교의 진학 가능성을 추가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모듈은,
    상기 진학 성적 수치를 통해 회원이 희망하는 학교 이외의 복수 개의 다른 학교에 대한 진학 가능성을 예측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진학 가능학교 추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모듈은,
    상담자와 대화 연결이 가능한 채팅창 내지 게시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회원의 채팅 내지 질의 요구에 의하여 상담자와 대화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직접 상담 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학 관리모듈은,
    회원의 성적 입력 시점 이후의 성적 입력 시점을 예측하여 해당 성적 입력 시점에 추가 성적 입력이 되지 않았을 경우 회원에게 이메일 내지 SMS를 통보하는 성적 입력 기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KR1020080014942A 2008-02-19 2008-02-19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KR20090089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942A KR20090089654A (ko) 2008-02-19 2008-02-19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942A KR20090089654A (ko) 2008-02-19 2008-02-19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654A true KR20090089654A (ko) 2009-08-24

Family

ID=412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942A KR20090089654A (ko) 2008-02-19 2008-02-19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965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693B1 (ko) * 2011-10-14 2013-06-24 박수한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1318562B1 (ko) * 2012-06-15 2013-10-16 김근진 진학 정보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7511A (ko) * 2014-04-10 2015-10-20 김민호 가산점 분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71878A (ko) * 2018-12-06 2020-06-22 엄신조 딥러닝 기반으로 구성된 대학 학과별 표준 모델 및 인공 지능을 이용한 입시 합격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200207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진진에듀컨설팅 진로진학 교육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693B1 (ko) * 2011-10-14 2013-06-24 박수한 합격률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1318562B1 (ko) * 2012-06-15 2013-10-16 김근진 진학 정보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WO2013187721A1 (ko) * 2012-06-15 2013-12-19 Kim Keun Jin 진학 정보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7511A (ko) * 2014-04-10 2015-10-20 김민호 가산점 분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71878A (ko) * 2018-12-06 2020-06-22 엄신조 딥러닝 기반으로 구성된 대학 학과별 표준 모델 및 인공 지능을 이용한 입시 합격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200207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진진에듀컨설팅 진로진학 교육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ter et al. The effects of employee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n job performance: a longitudinal field study
Duffy et al. Examining how aspects of vocational privilege relate to living a calling
Allen et al. Sport event volunteers' engagement: management matters
Dumay et al. The multilevel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 commitment: Cognitive and motivational pathways
Acton et al. Teacher wellbeing in neoliberal contex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sai et al.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ase study of the Banking Industry in Taiwan
Fuller et al.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as a predictor of undergraduate GPA: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xamination
Goh et al. Emotional intelligence as a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in hospitality higher education
White Higher education emotions: A scale development exercise
Montgomery et al. Graduation rates at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An underperforming performance measure for determining institutional funding policies
Galbraith et al. Faculty research productivity and standardized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a university teaching environment: A Bayesian analysis of relationships
De Haro et al. Personality and salary at early caree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Smyth et al. School effects and subject choice: The uptake of scientific subjects in Ireland
Kelly et al.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barriers in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van Geel et al. Schoo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a data-based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Sancho-Vinuesa et al. Continuous activity with immediate feedback: A good strategy to guarantee student engagement with the course
Barrow et al. The determinants of undergraduate degree performance: how important is gender?
Bengmark et al. Success-factors in transition to university mathematics
Goštautaitė et al. The role of work characteristics in enhancing older employees' performance: evidence from a post-Soviet country
Montt et al. Combining achievement and well-being in the assessment of education systems
Selwyn ‘Just playing around with Excel and pivot tables’-the realities of data-driven schooling
KR20090089654A (ko) 온라인을 통한 진학 관리 시스템
KR20140078089A (ko) 대학 입시 관리 및 컨설팅 시스템
Mahajna Emerging adulthood among Palestinian minority in Israel: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s
Breil et al. Measuring distinct social skills via multiple speed assess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