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907A -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907A
KR20090087907A KR1020097011661A KR20097011661A KR20090087907A KR 20090087907 A KR20090087907 A KR 20090087907A KR 1020097011661 A KR1020097011661 A KR 1020097011661A KR 20097011661 A KR20097011661 A KR 20097011661A KR 20090087907 A KR20090087907 A KR 2009008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wireless endpoint
channel
group
dynam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로렌스 코슬로브
웬 가오
익 청 우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9008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5Variable feedback
    • H04B7/0647Variable feedback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speed of the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접속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은 기지국(BS)과, 다수의, 즉, N명의 사용자들을 서빙하기 위한 N개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한다. BS는 N명의 사용자들을 L개의 이동성 그룹으로 나누고, 각 이동성 그룹은 특정 범위의 채널 다이내믹스와 연관된다. 보다 낮은 채널 다이내믹스 - 즉, 채널 다이내믹스가 보다 덜 신속하게 변경함 - 를 갖는 이동성 그룹은 보다 높은 다이내믹스 - 즉, 채널 다이내믹스가 보다 더 신속하게 변경함 - 를 갖는 이동성 그룹 보다 덜 빈번하게 빔형성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기지국, 사용자 장치, 제어 채널,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성 그룹, 채널 상태 행렬

Description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REDUCTION OF OVERHEAD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은 무선 엔드포인트(wireless endpoints)가 다중 안테나를 갖는 무선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례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UE)와 통신하는 다중 송신/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BS)이며, 각 UE는 다중 송신/수신 안테나를 갖는다.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장점은, 공간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성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수개의 UE는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BS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BS는 여전히 각 UE로부터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총 용량(overall capacity)은, 송신기에서 유효한 채널 상태 정보(CSIT)가 있는 경우 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가 각 UE와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접속한 경우, BS는 이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할 특정 UE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한가지 공지된 기술은,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순시(instantaneous) 채널 SNR(signal- to-noise ratio)을 이용한다.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BS와 특정 UE 간의 순시 채널 SNR의 인디케이터는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norm)에 의해 측정되는, "채널 구현(channel realization)"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이 N 명의 사용자(각 사용자는 연관된 UE를 가짐)를 갖는 경우, 채널 구현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on"이 되는 k명의 사용자를 선택하는데, 여기서, k ≤ N 이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의 통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빔형성 정보(beamforming inform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는 업스트림(UE->BS)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UE에 빔형성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피드백 비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BS로부터 다수의 'on" 사용자들로의 빔형성 정보가 결합되어 동시에 송신되는 VQ(vector quantization) 기술이 제안되었다.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로의 송신을 위한 빔형성 정보의 생성은 사용자 모집단(population) 가운데 이동성(mobility)의 차이(differences)를 고려하지 않음이 관측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공정하게 정적 채널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 즉, 이동중이 않을 수 있음 - 반면, 다른 사용자는 동적 채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 즉, 신속하게 이동중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UE로의 모든 빔형성 정보는 가장 동적인 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레이트로 업데이트 및 송신된다. 불행히도, 이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 송신 오버헤드의 증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어 정보(예를 들어, 빔형성 정보)는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의 기능으로서 무선 엔드포인트로 송신된다. 따라서,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전체 송신 오버헤드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서,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은 BS와, 다수의, 즉, N명의 사용자들을 서빙하기 위한 N개의 UE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는 빔형성 정보이다. BS는 N명의 사용자들을 L개의 이동성 그룹으로 나누고, 각 이동성 그룹은 이동성 그룹의 상이한 레벨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이동성의 레벨은 채널 다이내믹스(channel dynamics)의 상이한 범위와 연관된다. 보다 낮은 채널 다이내믹스 - 즉, 채널 다이내믹스는 보다 덜 신속하게 변경함 - 를 갖는 이동성 그룹은 보다 높은 다이내믹스 - 즉, 채널 다이내믹스가 보다 더 신속하게 변경함 - 를 갖는 이동성 그룹 보다 덜 빈번하게 빔형성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형성에 사용되는 전체 다운링크 송신 오버헤드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해서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의 실시예에서, 다중-사용자(multi-user) MIMO 시스템은 BS와, 다수의, 즉, N명의 사용자들을 서빙하기 위한 N개의 UE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는 빔형성 정보이다. BS는 N명의 사용자들을 L개의 이동성 그룹으로 나누고, 각 이동성 그룹은 이동성 그룹의 상이한 레벨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이동성의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벨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벨을 포함하며, 각 UE는 이동성 레벨 중 하나에 먼저 할당된다. 고정 이동성 그룹에 할당된 임의의 UE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벨에 할당된 UE 보다 덜 빈번하게 빔형성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상술된 견지에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 및 특징이 또한 가능하며 본 발명의 원리 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일례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일례의 무선 엔드포인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도 1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일례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일례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플로우챠트에서 사용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쥴링 간격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다른 일례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플로우챠트에서 사용되기 위한 스케쥴링 간격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일례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개념 이외에, 도면에 도시된 소자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또한, MIMO 시스템을 구비한 군(familiarity)이 가정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 이외에, 채널 상태 행렬, 채널 상태 행렬로부터의 Frobenius 놈(norm)의 결정, 및 VQ 빔형성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개념 이외에, OFDM(orthogonal f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OFDMA(orthogonal f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무선 송신 개념, 및 RF 프론트-엔드 등의 수신기 컴포넌트, 또는 저잡음 블록, 튜너, 및 복조기, 코릴레이터(correlators), 리크 적분기 및 스퀘어러(squarers) 등의 수신기 섹션이 가정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개념 이외에, 트랜스포트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IEEE 802.16, 802.11h 등의 기술을 네트워킹하기 위한 포매팅 및 인코딩 방법(예를 들어,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 시스템 표준(ISO/IEC 13818-1))을 갖는 군이 가정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은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는 중첩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도면의 유사 부호는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통신은 빔형성 정보의 사용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빔형성은 방사(radiation) 패턴의 방향성 또는 민감성(sensitivity)을 제어하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 어레이로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술이다. 예를 들어, BS는 업스트 림(UE->BS)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UE에 빔형성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피드백 비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BS로부터 다수의 "on" 사용자로의 빔형성 정보가 결합되어 동시에 송신되는 VQ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로의 송신을 위한 빔형성 정보의 생성은 사용자 모집단 가운데 이동성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음이 관측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공정하게 정적 채널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 즉, 이동중이 않을 수 있음 - 반면, 다른 사용자는 동적 채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 즉, 신속하게 이동중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UE로의 모든 빔형성 정보는 가장 동적인 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레이트로 업데이트 및 송신된다. 불행히도, 이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 송신 오버헤드의 증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어 정보(예를 들어, 빔형성 정보)는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의 기능으로서 무선 엔드포인트로 송신된다. 따라서, 제어 정보에 사용되는 전체 송신 오버헤드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일례의 다중-접속 MIMO 시스템(100)(이후부터 간단히 시스템(100)이라고 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0)은 기지국(BS)(110)과, UE(105-1 내지105-N)로 표현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한다. BS(110), UE(105-1) 및 UE(105-N)는 무선 엔드포인트를 나타내고,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각 UE는 고정형이거나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을 위해, 각 UE는 사용자와 연관된다고 가정된다. 즉, 시스템(100)은 N명의 사용자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각 UE는 둘 이상의 사용자와 연 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둘 이상의 UE와 연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무선 엔드포인트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 다중 안테나를 갖는다. 이는 j개의 안테나(101-1 내지 101-j)를 갖는 BS(110)에 대해 도시된다. 여기서, j > 1 이다. 따라서, 업링크 방향으로, BS(110)는 점선 화살표 형태(예를 들어, UE(105-N)와 BS(110) 사이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화살표(106)를 참조)로 표현된 바와 같이 각 UE로부터 다수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편의상, BS(110)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방향으로의 대응 통신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후자는 BS(11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각 UE에 전달한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은 피드백 채널 또는 피드백 링크로서 본 명세서는 지칭된다. 본 발명의 개념 이외에, MIMO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채널의 사용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설명을 위해, 업링크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을 통해 BS(110)로부터 각 UE로 제공된다고 가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BS(110)가 업링크 채널을 종료하기 때문에, BS(110)는 업링크 채널에 대한 총 정보(full knowledge)를 가지며,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을 통해 각 UE에 업링크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고 가정된다. 실제로, 채널 상태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의 일부 제어 필드(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캐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 UE에 전달될 수 있는 채널 정보의 양은 제한된 레이트이며, 각 UE는 각 업링크 채널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인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선 엔드포인트의 일례의 부 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념과 관련된 무선 엔드포인트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무선 엔드포인트는 BS(110)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이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무선 엔드포인트, 예를 들어, 도 1의 UE(105-1) 등에 적용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S(110)는 프로세서-기반 시스템이며, 프로세서(290) 및 메모리(295)(점선 형태로 도시됨)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연관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29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메모리(295)에 기억된다. 프로세서(290)는 하나 이상의 저장된-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를 나타내고, 임의의 하나의 특정 기능에 전용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9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BS(110)의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95)는 임의의 저장 장치, 예를 들어,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등을 나타내며; 프로세서(290)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이다. BS(110)는 또한 복수의 안테나(101-1 내지 101-j), 및 트랜시버 섹션(285)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섹션(285)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UE와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101-1 내지 101-j) 각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트랜시버 섹션(285)은 물리적으로 개별적인 트랜시버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필수적인 트랜시버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트랜시버 섹션(285)을 제어하고, 시그널링 경로(289)를 통해 트랜시버 섹션(285)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후자는 시그널링/데이터 버스를 나타내 고, 프로세서(290)를 트랜시버 섹션(285)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원리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일례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제어 정보는 빔형성 정보이고, 이동성 레벨은 통신 채널의 다이내믹스(채널 다이내믹스)의 상이한 측정치와 연관된다. 이제 도 3을 상세히 참조하면, 시스템(100)에는 총 N명의 사용자들이 있다고 가정된다. 단계(305)에서, 프로세서(290)는 각 사용자의 이동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90)는 각 사용자에 대한 채널 다이내믹스의 측정치로서 각 사용자에 대한 채널 상태 행렬 Hk을 사용한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채널 상태 행렬, H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로의 채널 벡터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상이한 송신 스트림들 간의 내부-스트림 간섭을 나타낸다. BS(110)는 업링크 채널을 사용해서 추정에 의해 채널 상태 행렬 H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UE가 고속으로 이동중이면(예를 들어, 차로), 각 채널 상태 행렬 Hk의 값은 시간에 따라 신속하게 변한다 - 즉, 사용자는 매우 이동적이다. 그러나, UE가 저속으로 이동중이면(예를 들어, 사람이 걷고 있으면), 각 채널 상태 행렬 Hk의 값은 고속으로 이동중인 UE에 대해 훨씬 느리게 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적절하게 이동한다. 유사하게, UE가 고정적이면, 각 채널 상태 행렬 Hk의 값은 저속으로 이동중인 UE에 대해 훨씬 느리게 변 하고, 채널 상태 행렬 Hk의 값은 심지어 정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고정적, 즉, 이동중이지 않다고 생각된다.
각 사용자의 이동성이 결정되면, 프로세서(290)는 그 후 단계(310)에서 분할하거나; 또는 각 사용자를 L개의 이동성 그룹 중 하나에 할당한다. 여기서, L≤N 이다. 각 이동성 그룹은 특정 범위의 채널 다이내믹스와 연관된다. 단계(305, 310)가 개별 단계로서 도시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이 단계들은 조합될 수도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즉, 사용자의 이동성이 결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성 그룹에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단계(315)에서, 프로세서(290)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111)을 통해 할당된 이동성 그룹의 기능으로서 각 UE에 VQ 빔형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트랜시버(285)를 제어한다. 이는 도 4의 메시지 플로우챠트에 도시되어 있다. UE가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스케쥴링되면, BS(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메시지(501)의 VQ 빔형성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빔형성 정보를 특정 UE에 제공하는 레이트는 이동성 그룹의 이동성 레벨과 직접 관련되고, 예를 들어, 하이 레벨의 이동성을 갖는 이동성 그룹의 UE는 보다 낮은 레벨의 이동성을 갖는 이동성 그룹의 UE 보다 더 자주 빔형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예에 이어서, 도 3의 플로우챠트는 L = 2 이동성 그룹과 관련하여 도시되며, 이동성 그룹 2는 이동성 그룹의 고정 레벨과 연관되고, 이동성 그룹 1은 임의의 레벨의 이동성과 연관된다. 단계(305)에서, 프로세서(290)는 채널 상태 행 렬, Hk가 시간의 기간, 즉, 정적 채널 상태 행렬에 따라 변하지 않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단계(310)에서, 프로세서(290)는 정적 채널 상태 행렬을 갖는 UE를 이동성 그룹 2에 할당하고, 모든 다른 UE를 이동성 그룹 1에 할당한다. 다시 말해서, 본 예에서, 이동성 그룹 1에 할당된 UE는 이동성 그룹 2에 할당된 UE 보다 더 많이 이동적이다. 단계(315)에서, 프로세서(290)는 할당된 이동성 그룹의 기능으로서 각 UE에 다시 VQ 빔형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트랜시버(285)를 제어한다. 이는 도 5의 타임라인에 더 도시되고, 할당된 이동성 그룹의 기능으로서 제어 정보를 UE에 제공하기 위한 스케쥴링 간격(scheduling intervals)을 도시한다. 이동성 그룹 1에 할당된 UE는 1/T1의 레이트로 VQ 빔형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성 그룹 2에 할당된 UE는 1/T2의 레이트로 VQ 빔형성 정보를 수신하며; T2 > T1 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성 그룹 1과 연관된 UE는 이동성 그룹 2와 연관된 UE 보다 3배 더 자주 VQ 빔형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스케쥴링된다.
사용자의 이동성이 임의의 수의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행렬, Hk의 상술된 이용 보다 덜 정확할 수 있지만, 채널 상태 행렬의 함수인 Frobenius 놈은, 이동성의 측정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성의 상이한 레벨에 미리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의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벨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성 레벨을 포함한다. 고정 이동성 그룹에 할당된 임의의 UE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벨에 할당된 UE 보다 덜 자주 빔형성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특정 이동성 그룹으로의 할당(도 3의 단계(305) 및 단계(310))은, 예를 들어, 등록시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사용자 지정 기호(user specified preference)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랩탑, 셀 폰 등, 등록 시간의 UE의 타입의 기능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의 전체 용량은 송신기에서 유효한 채널 상태 정보(CSIT)가 있는 경우 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가 각 UE와 연관된 채널 상태 정보에 액세스한 경우, BS는 이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할 특정 UE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과 관련해서, 임의의 선택 기술이 사용되어 송신할 특정 UE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한가지 공지된 기술은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순시 채널 신호 대 잡음비(SNR)를 이용한다. 다중-접속 MIMO 시스템에서, BS와 특정 UE 간의 순시 채널 SNR의 인디케이터는 "채널 구현"이고, 이는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에 의해 측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중-접속 MIMO 시스템이 N명의 사용자(각 사용자는 연관된 UE를 가짐)를 갖는 경우, BS는, 채널 구현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on"이 되는 k명의 사용자를 선택한다. 여기서, k ≤ N 이다.
송신기를 선택하는 다른 방법은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BS(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시간 간격 마다 사용자 스케쥴링을 실행한다고 가정된다. 이제 도 6을 상세히 참조하면, 시스템(100)에는 총 N명의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된다. 각 스케쥴링 (시간) 간격(예를 들어, 도 7의 간격 m) 마다, 프로세서(290)는 단계(605)에서 각 사용자에 대한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을 결정한다. 여기서, k는 1 내지 N의 범위이다. 특정 사용자 의 경우, 시간 간격 m 마다의 Frobenius 놈은 Fk[m]으로서 표기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의 결정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되지 않는다. 그 후, 단계(610)에서, 프로세서(290)는 사용자, k 마다 Fk[m]의 평균을 결정한다. 상기 평균은 Tk[m]으로 표기된다. 특히, Tk[m]은 이하의 일례의 지수 가중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된다.
Figure 112009034149734-PCT00001
Tk[m+1] = (1-α)Tk[m] + αFk[m] 은 k번째 사용자가 턴 온된 경우이고, Tk[m+1] = (1-α)Tk[m], 그 외의 경우이다.
수학식 1에서, 파라미터 α는 가중 팩터이며, 예를 들어, α = 0.1 이다. 수학식 1로부터 관측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90)는 k번째 사용자가 현재 턴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계산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290)는 현재 턴 "온"인 사용자를 나타내는 표를, 예를 들어, 메모리(295)(표는 도시되지 않음)에 유지한다. 이제 단계(6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90)는 스케쥴링 간격 m 마다 각 사용자, k에 대해,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과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의 평균 간의 비율(ratio)을 결정한다. 이 비율은 Normalized(정규화) SNR로 나타난다.
Figure 112009034149734-PCT00002
마지막으로, 단계(620)에서, 프로세서(290)는 Normalized SNR의 함수로서 턴 "온"되는 K 명의 사용자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BS(110)는 Normalized SNR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BS(110)는 스케쥴링 간격 m 마다 나머지 N-K 명의 사용자들 보다 더 큰 Normalized SNR k 값을 갖는 K명의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K > 0 이다. K에 대한 특정 값은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620)의 선택 처리의 부분으로서, 또는 상기 처리 후에, BS(110)는 각 UE에게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라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의 메시지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UE가 턴 "온"으로 선택되면, BS(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온" 메시지(701)를 송신한다. 한편, UE가 턴 "온"으로 선택되지 않으면, BS(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오프" 메시지(702)를 송신한다. 특정 UE가 턴 "온"으로 선택되지 않고 이미 턴 "오프"되어 있으면, BS(110)는 턴 "오프"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 UE가 턴 "온"으로 선택되고 UE가 이미 턴 "온"되어 있으면, BS(110)는 턴 "온"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어떤 선택 처리가 사용되든지 간에, 특정 UE만이 턴 "온"되는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개념은 쉽게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사용자 MIMO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두개의 이동성 그룹으로 나누어진다고 가정해 보자. 제1 이동성 그룹은 고 채널 다이내믹스를 갖는 N1 명의 사용자를 포함하고, 제2 이동성 그룹은 저 채널 다이내믹스를 갖는 (N-N1) 명의 사용자를 포함한다. 또한, BS가 이용한 선택 처리(예를 들어,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처리)는 시스템에서 l 명의 사용자를 턴 온한다고 가정하자. 공정한 스케쥴링의 경우, 도 2의 프로세서(290)는 제1 이동성 그룹에서
Figure 112009034149734-PCT00003
명의 사용자를 턴 온하고, 제2 이동성 그룹에서는
Figure 112009034149734-PCT00004
명의 사용자를 턴 온한다.
일례의 빔형성 정보를 이용하는 상술된 통신 처리의 결과로서, 제어 정보에 이용되는 전체 송신 오버헤드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해서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상술된 예에서는 제어 정보를 무선 엔드포인트에 피드백 하는 레이트가 직접 그룹의 이동성 레벨과 관련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어 정보를 피드백하는 레이트가 그룹의 이동성 레벨의 임의의 기능일 수 있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에서, 보다 낮은 이동성 레벨을 갖는 사용자가 보다 높은 이동성 레벨을 가진 사용자들 보다 더 자주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고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이한 송신율이 이동성 레벨과 직접 대응하지 않는 경우, 각 이동성 레벨은 제어 정보의 상이한 송신율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이동성 그룹 1, 2, 3이 있다고 생각하라. 여기서, 이동성 그룹 1로부터 이동성 그룹 3으로 갈수록 이동성 레벨은 증가한다. 즉, 이동성 그룹 3이 이동성 그룹 2 보다 더 이동적이고, 이동성 그룹 2는 이동성 그룹 1 보다 더 이동적이다. 그러나, 제어 정보를 피드백하는 레이트는, 이동성 그룹 2가 다른 두개의 이동성 그룹의 UE 보다 더 자주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해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이동성 그룹이 할당되는 임의의 UE를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음을 주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모든 UE가 동일한 이동성 그룹에 할당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이 이동성 그룹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용어 "이동성 그룹"은, 예를 들어, "피드백 그룹"과 동등하며, 여기서, 피드백 그룹은 단지 제어 정보의 송신율을 특정 무선 엔드포인트에 연관함을 또한 주지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도면의 일부, 예를 들어, 도 2의 무선 엔드포인트가 도 1의 BS(110)와 관련해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UE(105-1)에도 적용됨을 주지해야만 한다.
상술된 견지에서, 상술된 바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며,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며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다수의 대안 양상을 고안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 기능 소자와 관련해서 기술되었지만, 상기 기능 소자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개별 소자들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소자들 중 임의의 소자 또는 모든 소자는 저장된 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들에 대응하는 연관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는 MIMO 시스템으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타입의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Wi-Fi(Wireless-Fidelity)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실시예에 다수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양상이 고안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18)

  1. 제1 무선 엔드포인트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이동성(mobility) 그룹 중 하나에 제2 무선 엔드포인트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이동성 그룹의 기능으로서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결정된 이동성의 기능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성 그룹 중 하나에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엔드포인트와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 간의 통신 채널의 다이내믹(dynamic)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다이내믹은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을 나타내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채널 상태 행렬(channel state matrix)의 변경율을 측정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norm)의 변경율을 측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성 그룹 각각은 상이한 송신율과 연관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각 이동성 그룹은 이동성 레벨과 연관되고, 보다 높은 이동성 레벨을 갖는 이동성 그룹은 보다 낮은 이동성 레벨을 가진 이동성 그룹 보다 더 높은 송신율과 연관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빔형성 정보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엔드포인트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의 일부인 방법.
  10. 제1 무선 엔드포인트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제2 무선 엔드포인트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와,
    복수의 이동성 그룹 중 하나에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이동성 그룹의 기능으로서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에 상기 제어 정보가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결정된 이동성의 기능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성 그룹 중 하나에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를 할당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엔드포인트와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 간 의 통신 채널의 다이내믹을 측정해서 상기 이동성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다이내믹은 상기 제2 무선 엔드포인트의 이동성을 나타내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상태 행렬의 변경율을 측정해서 상기 통신 채널의 다이내믹을 측정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상태 행렬의 Frobenius 놈의 변경율을 측정해서 상기 통신 채널의 다이내믹을 측정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성 그룹 각각은 상이한 송신율과 연관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각 이동성 그룹은 이동성 레벨과 연관되고, 보다 높은 이동성 레벨을 갖는 이동성 그룹은 보다 낮은 이동성 레벨을 가진 이동성 그룹 보다 더 높은 송신율과 연관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빔형성 정보인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엔드포인트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의 일부인 장치.
KR1020097011661A 2006-12-06 2006-12-06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 KR20090087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6/046653 WO2008069796A1 (en) 2006-12-06 2006-12-06 Reduction of overhead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907A true KR20090087907A (ko) 2009-08-18

Family

ID=3832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661A KR20090087907A (ko) 2006-12-06 2006-12-06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67601A1 (ko)
EP (1) EP2097993A1 (ko)
JP (1) JP2010512110A (ko)
KR (1) KR20090087907A (ko)
CN (1) CN101548480A (ko)
WO (1) WO2008069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385A (ko) * 2013-09-13 2015-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형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5600B (zh) * 2007-04-30 2013-04-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在多用户多输入多输出系统中提供预编码信息的方法
KR101626124B1 (ko) * 2009-03-13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지 무선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준 분산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085504A1 (en) * 2009-10-14 2011-04-14 Chia-Chin Chong Adaptive beam-forming and space-frequency block coding transmission scheme for mimo-ofdma systems
EP2337235B1 (en) * 2009-12-21 2013-04-17 Fujitsu Limited Feedback interval control in MIMO-systems
KR101710515B1 (ko) 2010-06-25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이동 환경에서 액세스 포인트 그룹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US8194687B2 (en) * 2010-07-23 2012-06-05 Intel Corporation Access point configured for station group management and method for managing station-management groups
JP2014525697A (ja) * 2011-08-09 2014-09-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セルラ無線通信におけるモビリティ情報の交換
EP3097654B1 (en) * 2014-01-23 2020-05-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ing array of antennas and associated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528A (en) * 1994-04-28 2000-01-25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pectral efficiency using time-frequency-code slicing
US6385460B1 (en) * 1998-05-26 2002-05-07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unit by reduced neighbor cell scanning
JP2000270330A (ja) * 1999-03-18 2000-09-29 Fujitsu Ltd 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映像配信方法
US6298092B1 (en) * 1999-12-15 2001-10-02 Iospan Wireless, Inc. Methods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parameters of wireless systems
JP2001177864A (ja) * 1999-12-15 2001-06-29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制御局
WO2003067916A1 (fr) * 2002-02-07 2003-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de decision de debit de transfert
US7245598B2 (en) * 2002-02-21 2007-07-17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of channel quality information
US8179864B2 (en) * 2002-08-06 2012-05-15 Rockstar Bidco Lp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s link
US6763013B2 (en) * 2002-09-0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ncluding neighbor discovery in a mobile ad hoc network
JP4421935B2 (ja) * 2004-04-30 2010-0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KR101023366B1 (ko) * 2004-10-27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60264184A1 (en) * 2005-02-17 2006-11-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beam combination of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s
KR20060096365A (ko) * 2005-03-04 2006-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통신시스템의 사용자 스케줄링 방법
US20070004465A1 (en) * 2005-06-29 2007-01-04 Aris Papasakellariou Pilot Channel Design for Communication Systems
KR100895992B1 (ko) * 2005-09-16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안테나 개수를확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450944B2 (en) * 2005-11-03 2008-11-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JP4841235B2 (ja) * 2005-11-30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914015B2 (en) * 2006-03-20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of users for MIMO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23487B2 (en) * 2006-05-24 2009-11-24 Nortel Networks Limited OFDM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wide range of mobility spee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385A (ko) * 2013-09-13 2015-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형성 방법 및 장치
US9426668B2 (en) 2013-09-13 2016-08-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7601A1 (en) 2010-03-18
WO2008069796A1 (en) 2008-06-12
CN101548480A (zh) 2009-09-30
JP2010512110A (ja) 2010-04-15
EP2097993A1 (en)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907A (ko)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의 오버헤드의 감소
KR100575993B1 (ko)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사용자를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US8103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93436B2 (ja)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CN109478970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传输dmrs的方法和设备
US11265889B2 (en) Scheduling user equipment in the unlicensed band
KR20080073260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방식 선택 장치 및 방법
US10340986B2 (e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in MU-MIMO systems
CN107079463B (zh) 向通信设备分配部分重叠的资源
KR20070111559A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변화량을 이용한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1481549B1 (ko) 다중사용자 mimo에서 전송 전력값 전달 및 확인 방법
CN109150477A (zh) 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827538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0024475A (zh) 移动通信中信道访问方法及其装置
CN103312444A (zh) 指示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CN101960794B (zh) 无线通信网络中的干扰虑及调度
KR101765546B1 (ko) 송신 파라미터들을 결정
KR20080039714A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090079480A (ko) 다중사용자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한장치 및 방법
CN111543011B (zh) 用于生成扩展序列码本的方法和装置
CN116584140A (zh)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08069794A1 (en) A selection technique for use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KR100911957B1 (ko)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슬롯 할당 방법
CN116017497A (zh) 信道状态信息csi测量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00072213A (ko) 비직교 다중 접속 시스템 및 그의 다중 유저 스케줄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