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394A -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394A
KR20090087394A KR1020080028755A KR20080028755A KR20090087394A KR 20090087394 A KR20090087394 A KR 20090087394A KR 1020080028755 A KR1020080028755 A KR 1020080028755A KR 20080028755 A KR20080028755 A KR 20080028755A KR 20090087394 A KR20090087394 A KR 2009008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dimensional image
sampling
image fil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영
Original Assignee
이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영 filed Critical 이관영
Priority to PCT/KR2008/0027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02090A1/en
Priority to US12/866,553 priority patent/US20110093274A1/en
Publication of KR2009008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생물의 소리(사람의 소리 포함)에 대한 음성 파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켜 그에 상응하는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는, 음성 파형에 기초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후에 다시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후,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파일의 형상으로 형상물을 제작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은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생성한 샘플링 파형에 기초하여 형상물을 제작함으로써, 단순화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샘플링, 파형, 형상물

Description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oods using sound}
본 발명은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소리를 포함하여 생물의 각종 소리에 근거한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물이 내는 소리(사람의 목소리를 포함)는 진동으로 발화되는 순간에 대기중으로 사라진다. 그에 따라, 사람은 사라지는 소리를 활용하기 위해 글로써 기록해 두거나 녹음기에 녹음시켜 둔다.
글이란 서로 정해진 약속에 의해 소리의 일정한 패턴을 기호로 형상화한 것으로서, 진정한 의미에서 소리 자체를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그리고 녹음기는 소리를 저장하고 재현시켜 줄 수는 있지만, 녹음된 소리 자체를 볼 수 있게 해주지는 못한다.
소리를 본다는 것은 물체의 진동에 의하여 생긴 음파를 본다는 것이다. 음파를 볼 수 있게 된 것은 최근 컴퓨터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리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음향업계에서는 소리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고 편집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광고 음악, 영화 음악 등의 제작에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작에 사용되는 소리는 보통 웨이브(wav) 파일 형태로 저장되며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2차원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소리는 아직까지 형상물로 만들어진 사례가 없다. 다시 말해서, 특정인이 발화한 단어나 문장이 갖는 음파를 정확히 형상물로 만들어 손으로 만지고, 보고, 실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조형물이 제작된 사례가 없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생물의 소리(사람의 음성 포함)를 3차원의 입체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내용을 2006년 9월 28일자로 특허출원하여 2007년 11월 22일자로 특허등록하였다(등록번호 10-0780467 참조).
등록번호 10-078046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생물의 소리를 3차원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이를 근거로 3차원의 입체물을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등록번호 10-0780467에 기재된 발명은 초기 단계의 발명으로서, 생물의 소리 자체를 아무런 가감없이 3차원의 입체물로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작된 3차원의 입체물은 소리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도 1과 같이 굉장히 복잡한 형상(주로 길이가 상호 다른 다수의 가시를 갖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등록번호 10-0780467에 기재된 발명은 생물의 소리 자체를 그대로 반영하였을 뿐, 소리의 특징적인 부분을 부각시킨다거나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생물의 소리(사람의 소리 포함)에 대한 음성 파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켜 그에 상응하는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는,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음성 파형 생성부; 음성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 및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2차원 형상 제작부를 포함한다.
음성 파형 생성부에서의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생성부에서의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음성 파형, 샘플링 파형,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저장부에 저장될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를 추가로 포함 한다.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및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르게는,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음성 파형 생성부; 음성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2차원 형상 제작부;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 및 3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3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3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3차원 형상 제작부를 포함한다.
음성 파형 생성부에서의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생성부에서의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3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음성 파형, 샘플링 파형, 2차원 이미지 파일,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저장부에 저장될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2차원 이미지 변환부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2차원 형상 제작부는, 2차원 이미지를 물체의 표면에 직접 인쇄한다.
2차원 형상 제작부는,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한다.
음성을 채집하여 음성 파형 생성부로 입력하는 음성 채집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은, 음성 파형 생성부가,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샘플링 파형 생성부가,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제2과정;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3과정; 및 2차원 형상 제작부가, 2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4과정을 포함한다.
표시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제5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저장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및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색상 변환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및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르게는, 음성 파형 생성부가,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샘플링 파형 생성부가,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제2과정;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3과정; 2차원 형상 제작부가, 2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4과정; 3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5과정; 및 3차원 형상 제작부가, 3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3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6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표시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의 이미지 파일 및 3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화면 표시하는 제7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저장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색상 변환부가,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과정에서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제4과정에서는, 2차원 형상 제작부가 2차원 이미지를 물체의 표면에 직접 인 쇄한다.
제4과정에서는, 2차원 형상 제작부가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은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생성한 샘플링 파형에 기초하여 형상물을 제작함으로써, 단순화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은 샘플링 파형을 2차원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변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의 구성도로서, 음성 채집부(10), 음성 파형 생성부(15), 샘플링 파형 생성부(20), 색상변환부(27)를 포함하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 2차원 형상 제작부(30),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 3차원 형상 제작부(40), 제1저장부(45)와 제2저장부(50)와 제3저장부(55) 및 제4저장부(60)를 포함하는 저장부(65), 키입력부(70), 표시부(75),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음성 채집부(10)는 동물의 음성 또는 사람이 발화한 단어 또는 문장 등을 채집한다. 음성 채집부(10)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채집부(10)는 동물의 음성 또는 사람이 발화한 단어 또는 문장 등의 녹음(또는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 녹음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음성 채집부(10)를 디지털 녹음기로 구성시켰을 경우에는 후술할 제1저장부(45)가 필요 없게 된다.
음성 파형 생성부(15)는 음성 채집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음성 파형(예컨대, 웨이브(wav) 파일 형태)을 생성한다. 여기서, 웨이브 파일은 아날로그 오디오를 디지털화한 사운드 파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편집도 가능하다. 음성 파형 생성부(15)는 음성 채집부(10)로부터의 음성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회로(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음성 파형 생성부(15)는 음성 채집부(10)로부터의 음성을 증폭시키는 증폭기(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파형 생성부(15)는 생성시킨 디지털 음성 파형(예컨대, 웨이브(wav) 파일 형태)을 웨이브 랩 또는 사운드포지 등의 프로그램(내장된 프로그램임)을 활용하여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음성 파형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다.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음성 파형 생성부(15)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파형(즉, 웨이브(wav) 파일의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디지털 음성 파형은 소리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 파형이다. 디지털 음성 파형은 소리에 따라 정해진 복잡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단순화하고 다양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한 전처리과정으로서의 샘플링 파형 생성을 행한다. 즉,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디지털 음성 파형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구간에 속한 파형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각각의 구간에 대한 파형의 평균값을 해당 구간의 파형으로 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한다.
또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디지털 음성 파형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구간에 속한 파형의 피크투피크(Peak to peak) 값을 구하고, 각각의 구간의 피크투피크 값을 해당 구간의 파형으로 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피크투피크 값은 각각의 구간에 속한 파형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간격값이다. 예를 들면,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구간의 최대값이 "8"이고, 최소값이 "-3"이면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간격값인 "11"을 피크투피크 값으로 한다.
또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디지털 음성 파형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구간에 속한 파형 중에서 선택된 순번(예를 들면, 각 구간의 첫번째 파형, 각 구간의 두번째 파형, 각 구간의 최대값 파형, 각 구간의 최소값 파형 등)에 위치한 파형으로 샘플링 파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샘플링 파형생성부(20)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샘플링 방법을 통해 샘플링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디지털 음성 파형을 샘플링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표시부(75)에 디스플레이되는 샘플링 파형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4의 (a)는 도 3의 음성 파형을 100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생성한 샘플링 파형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음성 파형을 50개의 구간으로 생성한 샘플링 파형이다.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예를 들면, JPG, JPEG, BMP, GIF, TIF 등의 이미지 파일형식)로 변환한다. 여기서, 샘플링 파형은 디지털 음성 파형을 샘플링한 파형인데, 샘플링 파형 자체로는 입체화를 직접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입체화 작업을 위한 전처리과정으로서의 2차원 이미지 파일 생성을 행한다.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부(27)를 포함한다. 색상 변환부(27)는 일반적으로 검정색으로 생성되는 샘플링 파형을 다양한 색상(예컨대,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 등)으로 변환한다. 즉, 색상 변환부(27)는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샘플링 파형을 조작자의 키입력신호(예컨대, 색상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색상을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색상 변환부(27)를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 포함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음성 파형 생성부(15), 샘플링 파형 생성부(20),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 중 어느 하나에 포함시켜도 무방하다. 한편으로는 색상 변환부(27)를 음성 파형 생성부(15), 샘플링 파형 생성부(20),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와는 별개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색상 변환부(27)를 음성 파형 생성부(15)와 샘플링 파형 생성부(20)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 색상 변환부(27)는 음성 파형 생성부(15)로부터의 음성 파형의 색상을 변환하여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 보낸다. 색상 변환부(27)를 샘플링 파형 생성부(20)와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 색상 변환부(27)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의 색상을 변환하여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 보낸다. 색상 변환부(27)를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와 2차원 형상 제작부(30)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 색상 변환부(27)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의 색상을 변환하여 2차원 형상 제작부(30)로 보낸다. 색상 변환부(27)를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와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 색상 변환부(27)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의 색상을 변환하여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로 보낸 다. 색상 변환부(27)를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와 3차원 형상물 제작부(40)의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 색상 변환부(27)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로부터의 3차원 이미지의 색상을 변환하여 3차원 형상물 제작부(40)로 보낸다.
특히,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도형(예를 들면, 원, 하트, 다이아몬드, 별 등)의 이미지를 매칭하여 다양한 형태의 2차원 이미지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칭은 파형의 종단점과 도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외곽선의 한 점을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 의한 2차원의 이미지는 표시부(75)에 디스플레이된다. 표시부(7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이미지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다. 도 5의 (a)는 도 4의 (a)에 도시된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원을 매칭하여 변환한 2차원 이미지이고, 도 5의 (b)는 도 4의 (b)에 도시된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원을 매칭하여 변환한 2차원 이미지이다. 여기서, 표시부(7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이미지는 예로 든 도 5의 (a),(b) 이외에도, 샘플링 파형 생성부(20)에서의 샘플링 결과 및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서 매칭되는 도형 이미지(예를 들면, 원, 하트, 다이아몬드, 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의 출력결과(즉, 2차원 이미지)를 근거로 하여 그에 상응하는 2차원 형상물을 제작한다. 2차원 형상 제작 부(30)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제품에 인쇄할 수 있는 출력장치(예를 들면, 프린터, 스크린 인쇄기, 고무 인쇄기, 전사 인쇄기 등)로 구성된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를 물체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한다. 즉,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의류, 주방용품, 액세서리, 문구, 스포츠 용품, 가전제품, 가구, 취미 용품, 명판, 책, 가방 등의 물체 표면에 2차원 이미지를 직접 인쇄한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하여도 된다.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는, 추후에 사용자가 의류, 주방용품, 액세서리, 문구, 스포츠 용품, 가전제품, 가구, 취미 용품, 명판, 책, 가방 등의 물체 표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에서 제작된 2차원 형상물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6의 (a)는 출력장치에 의해 흑백의 스티커 형태로 출력된 2차원 형상물이고, 도 6의 (b)는 도형 이미지에 색상을 지정하여 스티커 형태로 출력된 2차원 형상물이고, 도 6의 (c)는 파형 이미지에 색상을 지정하여 스티커 형태로 출력된 2차원 형상물이고, 도 6의 (d)는 파형 이미지 및 도형 이미지에 색상을 지정하여 스티커 형태로 출력된 2차원 형상물이다. 또한, 도 6의 (e)는 티셔츠에 2차원 이미지를 직접 출력한 2차원 형상물이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예시된 형상물 외에도 생성한 2차원 이미지를 다양한 물체에 직접 인쇄하거나,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인쇄하여 다양한 형상의 2차원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부터 제공되는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3차원의 물체를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예컨대, 쥬얼 캐드, 3D 캐드 등)을 내장하고 있다.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2차원의 이미지에 단순히 두께(또는, 높이)를 추가하여 3차원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고, 2차원의 이미지를 X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함으로써 비대칭적인 원뿔 형 또는 원통형 등의 3차원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2차원의 이미지를 X축을 기준으로 Y축의 (+),(-) 영역의 값에 대해 (+)영역의 값은 그 위치에서 일정값만큼 상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고 (-)영역의 값은 그 위치에서 일정값만큼 하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 후에 180도 회전시켜 가운데 공간이 빈 원통형과 같은 3차원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다.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생성되는 3차원의 이미지 파일은 원하는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는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데,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이미지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다. 도 7은 도 5의 (b)의 샘플링 파형에 두께(또는 높이)를 추가하여 90도 회전시켜 세로방향으로 놓은 이미지이다. 도 7의 (a)는 도 5 (b)의 샘플링 파형을 상부에서 바라본 경우의 이미지이고, 도 7의 (b)는 도 5 (b)의 샘플링 파형을 원근 투시적(입체적)으로 바라본 경우의 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7의 (c)는 도 5의 (b)의 샘플링 파형을 정면에서 바라본 이미지(즉, 세워서 본 정면도)이고, 도 7의 (d)는 도 5의 (b)의 샘플링 파형을 오른쪽에서 바라본 경우의 이미지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생성한 3차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의 출력결과(즉, 3차원 이미지)를 근거로 하여 그에 상응하는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한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는 다양한 형태의 형틀, 주형, 프레스 금형, 왁스 모형 등과 같은 몰드를 만들 수 있는 몰드 형성기(도시 생략)를 갖춘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출력된 3차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그에 적절한 몰드를 만들어 몰드를 통해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하게 된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에서 제작된 3차원 형상물은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 디자인으로 활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의 (a)와 같은 열쇠고리로 활용가능하고, 도 8의 (b)와 같은 액세서리로 활용가능하다. 또한, 도 8의 (c)와 같은 핸드폰 걸이로 활용가능하고, 도 8의 (d)와 같은 조각형상으로 활용가능하다.
저장부(65)는 음성 파형 생성부(15)에서 출력되는 음성 파형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45), 샘플링 파형 생성부(20)에서 출력되는 샘플링 파형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50),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서 출력되는 2차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제3저장부(55), 및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출력되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제4저장부(60)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저장부(65)에 제1저장부(45)와 제2저장부(50)와 제3저장부(55) 및 제4저장부(60)가 각각 별도의 저장부로 구성되었으나, 하나의 저장부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키입력부(70)는 다수의 키를 갖추고서 필요한 동작 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75)에 화면표시되는 음성 파형을 삭제 또는 저장시키도록 하는 명령, 표시부(75)에 화면표시되는 샘플링 파형을 삭제 또는 저장시키도록 하는 명령, 표시부(75)에 화면표시되는 2차원 이미지를 삭제 또는 저장시키도록 하는 명령, 및 표시부(75)에 화면표시되는 3차원 이미지를 삭제 또는 저장시키도록 하는 명령 등을 입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70)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서 생성된 2차원의 이미지 또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서 생성된 3차원의 이미지를 원하는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키 조작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다.
특히, 음성 파형은 예를 들어 각 글자를 발성하는 환경에 따라 상이한 파형이 되므로, 키입력부(70)의 키 입력에 의해 여러 개의 음성 파형(즉,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여러 개의 음성 파형) 중에서 어느 한 음성 파형이 선택되기도 한다. 즉, 발성자가 조용한 곳에서 발성하는 경우와 시끄러운 곳에서 발성하는 경우 잡음의 혼입 정도에 따라 상이한 파형이 된다. 이외에도, 발성자가 오전에 발성하는 경우와 오후에 발성하는 경우, 또는 추운 곳에서 발성하는 경우와 따뜻한 곳에서 발성하는 경우에도 상이한 파형이 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70)는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음성 파형을 분할하기 위한 수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입력부(70)에 의해 "100"이 입력되면,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음성 파형을 100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구간의 샘플링 파형을 생성한다.
표시부(75)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이 음성 파형, 샘플링 파형, 2차원 이미지, 3차원 이미지를 화면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80)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람이 발화하는 단어를 이용하여 형상물을 제작하기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발화자가 음성 채집부(10)를 향하여 예컨대, "꿈"이라는 단어를 발성하게 되면, 음성 채집부(10)는 "꿈"이라는 음성을 채집하여 음성 파형 생성부(15)에게로 전송한다.
음성 파형 생성부(15)는 입력된 음성을 웨이브 랩 또는 사운드포지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지털 음성 파형(예컨대, 웨이브(wav) 파일 형태)을 생성하여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표시부(75)에는 도 3에서와 같은 음성 파형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발화자가 "꿈"이라는 단어에 대하여 각 글자의 발성시간을 달리한 여러 개의 음성을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표시부(75)에는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여러 개의 음성 파형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음성 파형에 대하여 키입력부(70)로부터의 선택신호가 제어부(80)로 입력되면 제어부(80)는 음성 파형 생성부(15)를 제어하여 선택된 음성 파형을 제1저장부(45)에게로 저장시킨다. 여기서, 음성 파형을 제1저장부(45)에 저장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음성 파형을 제1저장부(45)에 저장시키게 되면 이전의 음성채집 및 음성 파형 생성 과정을 다시 거치지 않고서도 저장된 음성 파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샘플링 파형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음성 파형을 제1저장부(4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선택된 음성 파형을 기초로 샘플링 파형을 생성시켜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저장부(50)에게로 저장하도록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를 제어한다.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는 생성한 샘플링 파형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5) 상에 표시하고, 제2저장부(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샘플링 파형을 제2저장부(50)에 저장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샘플링 파형을 제2저장부(50)에 저장시키게 되면 이전의 음성채집과 음성 파형 생성 및 샘플링 파형 생성 과정을 다시 거치지 않고서도 저장된 샘플링 파형을 이용하여 이전에 제작하였던 2차원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음성 파형을 제1저장부(4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은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생성한 샘플링 파형에 기초하여 형상물을 제작함으로써, 단순화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80)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를 제어하여 2차원 이미지 변환을 수행시킨다. 즉,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입체화 작업을 위한 이미지 추출이 용이하도록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부터 샘플링 파형을 입력받아 2차원의 이미지 파일(예를 들면, JPG, JPEG, BMP, GIF, TIF 파일 등)로 변환한다. 여기서,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각각의 샘플링 파형 종단에 도형(예를 들면, 원, 하트, 다이아몬드, 별 등)의 이미지를 매칭하여 2차원 이미지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칭은 파형의 종단점에 도형의 형태를 형성하는 외곽선의 한점을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색상변환부(27)를 이용하여 샘플링 파형 생성부(20)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물론,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에서 변환된 결과(2차원 이미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원 이미지는 제3저장부(55)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2차원 이미지를 제3저장부(55)에 저장시키게 되면 이전의 이미지 변환과정을 다시 거치지 않고서도 저장된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전에 제작하였던 2차원의 형상물과 동일한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은 샘플링 파형을 2차원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변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2차원 이미지 파일을 2차원 형상 제작부(3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2차원 이미지에 상응하는 형상의 2차원 형상물을 제작한다. 즉, 2차원 형상 제작부(30)에서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를 다양한 물체의 표면에 직접인쇄한다. 여기서, 2차원 형상 제작부(30)는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인쇄할 수도 있다. 2차원 형상 제작부(30)에 의해 제작된 2차원 형상물은 도 6과 같은 형상이다. 즉, 도 6의 2차원 형상물은 사람이 "꿈"이라는 단어를 발성하였을 경우에 만들어진 2차원 형상물의 일례이다. 여기서, 제작되는 2차원 형상물에 대해서 컬러의 지정도 가능하다.
이후, 2차원 이미지 변환부(25)는 2차원 이미지 파일을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2차원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파일로 변환시킨다. 즉,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작업자의 키 입력에 따라 프로그램에 정의된 변환기법으로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시키게 되는데,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에 의해 변환되는 이미지는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표시부(7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이미지는 도 7에서와 같다.
다음으로,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는 변환이 완료되면 3차원 이미지를 제4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3차원 이미지를 제4저장부(60)에 저장시키게 되 면 이전의 이미지 변환과정을 다시 거치지 않고서도 저장된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전에 제작하였던 3차원의 형상물과 동일한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3차원 형상 제작부(40)를 통해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한다. 즉, 3차원 형상 제작부(40)에서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35)로부터의 3차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그에 적절한 형상(또는 형상 패턴이라고 할 수도 있음)을 갖는 몰드를 만들어 몰드내에 금, 은, 옥, 바이오 세라믹 등의 재료를 택일 또는 혼합하여 넣어 고형화시킴으로써 원하는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한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에 의해 제작된 3차원 형상물은 도 8과 같은 형상이다. 즉, 도 8의 3차원 형상물은 사람이 "꿈"이라는 단어를 발성하였을 경우에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3차원 형상물의 일례이다. 여기서, 도 8의 (a)는 3차원 형상물을 이용한 열쇠고리이고, 도 8의 (b)는 3차원 형상물을 이용한 액세서리이다. 또한, 도 8의 (c)는 3차원 형상물을 이용한 핸드폰 걸이이고, 도 8의 (d)는 3차원 형상물을 이용한 조각형상이다.
3차원 형상 제작부(40)는 3차원 형상물에 대해서 컬러의 지정도 가능하다. 몰드내에 금, 은, 옥, 바이오 세라믹 등의 재료를 넣을 때 원하는 컬러를 내는 재료를 함께 넣게 되면 제작된 3차원 형상물이 원하는 컬러를 갖게 된다.
또한, 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음성 채집과정부터 시작하지 않고, 제3저장부(35)에 저장된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2차원 형상물을 제작하거나, 3차원 형상 제작부(40)에서 만든 몰드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다가 추후에 다시 해당 단어에 대한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하기를 원한다면 보관해 둔 해당 몰드를 바로 이용하여 3차원 형상물을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파형 생성부(15)에서 음성을 웨이브(wav) 파일형식의 디지털 음성 파형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파형이 가능한 MP3, OGG, WMA 등의 파일형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에서는 2차원 형상물과 3차원 형상물을 모두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차원 형상물과 3차원 형상물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에 의해 제작된 3차원 형상물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리를 이용한 상물 제작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음성 파형 생성부의 출력의 예를 화면 표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샘플링 파형 생성부의 출력의 예를 화면 표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2차원 이미지 변환부의 출력의 예를 화면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2차원 형상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3차원 이미지 변환부의 출력의 예를 화면 표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3차원 형상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성 채집부 15: 음성 파형 생성부
20: 샘플링 파형 생성부 25: 2차원 이미지 변환부
30: 2차원 형상 제작부 35: 3차원 이미지 변환부
40: 3차원 형상 제작부 45: 제1저장부
50: 제2저장부 55: 제3저장부
60: 제4저장부 65: 저장부
70: 키입력부 75: 표시부
80: 제어부

Claims (25)

  1.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음성 파형 생성부;
    상기 음성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2차원 형상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 생성부에서의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에서의 샘플링 파형과,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 샘플링 파형,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 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및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6.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음성 파형 생성부;
    상기 음성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샘플링 파형 생성부;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2차원 이미지 변환부;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2차원 형상 제작부;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3차원 이미지 변환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 변환부로부터의 3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3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3차원 형상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 생성부에서의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에서의 샘플링 파형과,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2차원의 이미지 파일 및, 상기 3차원 이미지 변환부에서의 3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 샘플링 파형, 2차원 이미지 파일,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는,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형상 제작부는,
    상기 2차원 이미지를 물체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형상 제작부는,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음성을 채집하여 상기 음성 파형 생성부로 입력하는 음성 채집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15. 음성 파형 생성부가,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샘플링 파형 생성부가, 상기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제2과정;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상기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3과정; 및
    2차원 형상 제작부가, 상기 2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표시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과 상기 2차원의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화면 표시하는 제5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저장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 및 상기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색상 변환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 및 2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19. 음성 파형 생성부가,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샘플링 파형 생성부가, 상기 음성 파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 파형을 생성하는 제2과정;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상기 샘플링 파형을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3과정;
    2차원 형상 제작부가, 상기 2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2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4과정;
    3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상기 2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3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5과정; 및
    3차원 형상 제작부가, 상기 3차원의 이미지 파일에 근거하여 3차원의 형상물을 제작하는 제6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표시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과 상기 2차원의 이미지 파일 및 상기 3차원의 이미지 파일을 화면 표시하는 제7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저장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상기 샘플링 파형과 상기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상기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2.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색상 변환부가, 상기 음성 파형과 샘플링 파형과 2차원 이미지 파일 및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색상을 변환하는 색상 변환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3.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2차원 이미지 변환부가 상기 샘플링 파형 생성부로부터의 샘플링 파형 각각의 종단에 도형 이미지를 매칭하여 2차원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4.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2차원 형상 제작부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물체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25.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2차원 형상 제작부가 상기 2차원 이미지를 전사지 또는 스티커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방법.
KR1020080028755A 2008-02-12 2008-03-28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090087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764 WO2009102090A1 (en) 2008-02-12 2008-05-16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ing sound
US12/866,553 US20110093274A1 (en) 2008-02-12 2008-05-16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557 2008-02-12
KR1020080012557 2008-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94A true KR20090087394A (ko) 2009-08-17

Family

ID=4120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55A KR20090087394A (ko) 2008-02-12 2008-03-28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93274A1 (ko)
KR (1) KR200900873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5108B2 (en) * 2009-08-04 2017-03-14 Eyecu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extraction
KR20120089452A (ko) 2009-08-04 2012-08-10 아이큐 비젼 테크놀로지즈 리미티드 물체 추출 시스템 및 방법
CN107073346A (zh) 2014-09-10 2017-08-18 孩之宝公司 具有手动操作的扫描器的玩具系统
US9445210B1 (en) * 2015-03-19 2016-09-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Waveform display control of visual characteristics
US11417086B2 (en) * 2017-04-17 2022-08-16 Nathaniel Grant Siggard Personalized augmented reality
TWI799422B (zh) * 2017-06-08 2023-04-21 美商昂圖創新公司 包含雷射三角測量感測器的晶圓檢測系統及晶圓檢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1904B2 (en) * 2005-08-03 2009-10-13 Richard Dreyfuss Interactive tool and appertaining method for creating a graphical mus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3274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394A (ko) 소리를 이용한 형상물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6485774B (zh) 基于语音实时驱动人物模型的表情和姿态的方法
US20050273331A1 (en) Automatic animation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EP2704092A2 (en) System for creating musical content using a client terminal
KR20170081160A (ko) 텍스트형 메시지를 음악 작품으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TW200807262A (en) Device and method of conveying meaning
JP7242546B2 (ja) 表示処理装置および表示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11220518A (ja) 携帯電話機
JP2022017561A (ja) 情報処理装置、歌唱音声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1145A (ja) 収音装置、収音方法、収音プログラム及びディクテーション方法
JP2012513147A (ja) 通信を適応させ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112206A1 (ja) 記憶制御装置、再生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818415B2 (ja) 電子漫画製造装置及び電子漫画製造方法
CN103425901B (zh) 原创声响数据整理器
KR100780467B1 (ko) 소리를 이용한 3차원 입체물 제작 장치 및 방법
KR101452451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오디오 및 조명 감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419768B2 (ja) 楽曲生成方法および楽曲生成システム
Einbond Subtractive Synthesis: noise and digital (un) creativity
KR20090023912A (ko)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2007071903A (ja) 楽曲創作支援装置
JP2006189799A (ja) 選択可能な音声パターンの音声入力方法及び装置
KR20070012044A (ko) 캐릭터조각물 제작방법
KR101975193B1 (ko) 자동 작곡 장치 및 컴퓨터 수행 가능한 자동 작곡 방법
KR20170068795A (ko) 소리의 시각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JP2006178052A (ja) 音声発生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