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039A -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039A
KR20090086039A KR1020090008915A KR20090008915A KR20090086039A KR 20090086039 A KR20090086039 A KR 20090086039A KR 1020090008915 A KR1020090008915 A KR 1020090008915A KR 20090008915 A KR20090008915 A KR 20090008915A KR 20090086039 A KR20090086039 A KR 2009008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erminal
channel
base s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022B1 (ko
Inventor
김소연
정재훈
고현수
한승희
이문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12,718 priority Critical patent/US8467341B2/en
Priority to US14/473,911 priority patent/USRE47295E1/en
Priority to PCT/KR2009/000563 priority patent/WO2009099303A2/ko
Publication of KR2009008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멀티 캐리어에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제어채널 중 제 1 제어채널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채널 중 제 2 제어채널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채널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채널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 참조 캐리어,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Description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Method of efficient transmitting a radio channel}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캐리어(Carrier)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정현파 또는 주기적인 펄스파의 진폭, 주파수 및/또는 위상 등에 변조 조작을 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정현파 또는 펄스파를 캐리어라 부른다.
캐리어를 변조하는 방식에는 단일 캐리어 변조 방식(SCM: Single-Carrier Modulartion scheme) 또는 멀티 캐리어(MCM: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 변조 방식이 있다. 이중에서 단일 캐리어 변조방식은 하나의 캐리어에 모든 정보를 실어 변조하는 변조 방식이다.
멀티 캐리어 변조방식은 하나의 캐리어의 전체 대역폭 채널(Channel)을 여러 개의 작은 대역폭을 갖는 부채널(Sub-channel)로 분할하고, 다수의 협대역 부캐리 어(Sub-Carrier)를 각 부채널을 통해 다중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때,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MCM)을 이용시, 각 부채널은 작은 대역폭으로 인해 평탄한 특성(Flat Channel)로 근사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등화기를 사용하여 채널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고속 구현이 가능하다. 즉, 단일 캐리어 변조방식(SCM)에 비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의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에서 제공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폭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묶어서 사용함(Carrier aggregation)으로써 광대역을 지원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Multi Carrier System)을 개시하고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하나의 캐리어를 나눠 사용하는 멀티 캐리어 변조방식과는 달리,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묶어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중 대역(Multi-Band; 또는, 멀티 캐리어(Multi-Carrier))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개의 캐리어(예를 들어, 여러 개의 주파수 할당 대역(FA: Frequencecy Allocation))를 하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엔터티가 관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도 1의 (a) 및 (b)는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기반 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송신단 및 수신단에서 하나의 MAC 계층은 멀티 캐리어를 효율적으 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개의 캐리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멀티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송신단 및 수신단은 모두 멀티 캐리어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이때, 하나의 MAC 계층에서 관리되는 주파수 캐리어(FC: Frequency Carrier)들은 서로 인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원 관리 측면에서 유연하다. 즉, 인접 캐리어 집합(Contiguous Aggregation) 또는 불인접 캐리어 집합(Non-contiguous Aggregation) 모두 가능하다.
도 1의 (a) 및 (b)에 있어서 PHY0, PHY1, .. PHY n-2, PHY n-1은 본 기술에 따른 다중 대역을 나타내며, 각각의 대역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 정책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위해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 대역(FA)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HY0 (RF carrier 0)은 일반 FM 라디오 방송을 위해 할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PHY1 (RF carrier 1)은 휴대 전화 통신을 위해 할당하는 주파수 대역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주파수 할당 대역(FA)은 A [MHz] 크기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각각의 주파수 할당 대역은 기저 대역 신호를 각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로 대표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각 주파수 할당 대역을 "캐리어 주파수 대역" 또는 혼동이 없는 경우 각 캐리어 주파수 대역을 대표하는 단순히 "캐리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최근 3GPP LTE-A에서와 같이 상술한 캐리어를 멀티 캐리어 방식에서 이용되는 서브캐리어(subcarrier)와 구분하기 위해 "성분 캐리어(component carrier)"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술한 "다중 대역" 방식은 "멀티 캐리어" 방식 또는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방식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의 (a)와 같이 다중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도 1의 (b)와 같이 다중 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송/수신기는 모두 다중 대역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MAC"은 DL 및 UL에 상관없이 기지국에 의해 그 구성 방법이 결정된다.
간단히 말하면, 본 기술은 하나의 MAC 엔터티(Entity) (이하, 혼동이 없는 경우 간단히 "MAC"으로 지칭한다)가 복수의 무선 주파수 캐리어(RF carrier: Radio Frequency)를 관리/운영함으로써,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하나의 MAC에서 관리되는 RF 캐리어는 서로 인접(contiguous)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기술에 따르면, 자원 관리 측면에서 보다 유연(flexible)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FA 0 내지 FA 7은 RF 0 내지 RF 7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예에서, FA 0, FA 2, FA 3, FA 6 및 FA 7은 이미 기존 특정 통신 서비스에 이미 각각 할당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였다. 한편, 가용 RF 1(FA 1), RF 4(FA 4), RF 5(FA 5)는 하나의 MAC (MAC #5)에 의해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MAC을 구성하는 RF 캐리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므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가 있다.
하향링크 기준으로 설명할 경우, 상술한 다중 대역 지원 방식 또는 캐리어 통합 지원 방식의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지국/단말 시나리오의 예를 들을 수 있다.
도 3은 다중 대역 지원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기지국과 복수의 단말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단말기(MS 또는 UE) 0, 1 및 2는 서로 다중화(multiplexing)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기지국(BS 또는 Node-B) 0는 RF 0, RF 1의 캐리어에 의해 관리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0은 RF 0만을 수신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며, 단말기 1은 RF 0 및 RF 1을 모두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 2는 RF 0, RF 1 및 RF 2를 모두 수신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이때, 단말기 2는 기지국이 RF 0와 RF 1만을 전송하므로 RF 0과 RF 1에 대해서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다중 대역 기반 통신 방식은 다소 개념적으로만 정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단지 FA만을 더 할당해 주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고성능의 프로세싱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중화 방법이나, 신호 송수신 기법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 바와 같이 채널 코딩이나 다중화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다이버시티 혹은 다중화 이득이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RF 캐리어들로 구성된 하나의 MAC에서 시스템의 신뢰성(reliability)이나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한 송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말기가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고 하이브리드 형태로 결합하여 여러 개의 MAC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가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멀티 캐리어 상에서 제어채널이나 데이터 채널을 보다 효과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멀티 캐리어에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제어채널 중 제 1 제어채널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채널 중 제 2 제어채널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채널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채널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멀티 캐리어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 별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멀티 캐리어에 대한 모든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만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멀티 캐리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을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만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멀티 캐리어 중에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참조 캐리어는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참조 캐리어는 셀별 고유정보, 단말기별 고유정보 및 단말기 그룹별 고유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제어채널, 제 2 제어채널 및 제 1 데이터채널은 참조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고, 제 2 데이터채널은 멀티 캐리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는 싱글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이고, 제 2 단말기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참조 캐리어는 다중 캐리어에 대한 공통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는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채널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채널환경정보에 따라 참조 캐리어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이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채널을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캐리어를 통해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와 PDCCH가 나타내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DCCH 및 PDSCH는 무선채널에 포함되고, 참조 캐리어는 멀티 캐리어에 대한 소정의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참조 캐리어는 셀별 고유정보, 단말기별 고유정보 및 단말기 그룹별 고유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참조 캐리어는 멀티 캐리어에 대한 공통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는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기지국으로부터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DSCH는 멀티 캐리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RF 캐리어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처리량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멀티 캐리어 상에서 제어채널이나 데이터 채널을 보다 효과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참조 캐리어를 이용하여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채널을 전송하는 방법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Terminal)'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가입자국(SS: 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 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 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3GPP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3GPP TS 36.211, 36.212 및 36,213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MAC 계층은 OSI 7 계층에서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 or layer 1) 보다 상위 개념의 계층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편의상 주파수 캐리어들을 인접한(contiguous)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캐리어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링크(DL: Down Link) 상황을 가정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원리 및 실시예들은 상향링크(UL: Up link) 상황에서도 단순히 하향링크의 역순으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Multiplexing)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RF 캐리어 또는 FA들은 동일한 시스템의 RF 캐리어 또는 FA들이거나, 또는 다른 무선접속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들이 서비스 되는 RF 캐리어 또는 F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RF 0, RF 1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RF 2는 IEEE 16 시스템에서, RF 3은 GSM 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광대역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원하는 경우, RF 캐리어 또는 RA 별로 채널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 RF가 100MHz, 700Mhz, 2GHz 또는 3.5GHz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음 표 1은 주파수 별 캐리어들의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100MHz 700MHz 2GHz 3.5GHz
Carrier potential Large cell support High speed support Broadcast IMT IMT_Advanced
Doppler Very low Low High Very high
Delay spread Wide & large Medium Medium Low
표 1과 같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기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에서 다중화/역다중화(de-multiplexing)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여러 캐리어(RF Carrier 0, RF Carrier 1, ... RF carrier n-2, RF carrier n-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RF 단에서 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멀티 캐리어가 사용하는 대역이 100MHz 대역에서 3.5GHz 대역까지 매우 광범위한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전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광대역 필터(filter)가 필요하다.
아날로그 BPF는 비용 측면에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하며,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연속적인 신호 버퍼링(continuous signal buffering)이 어렵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여러 캐리어들이 다중화를 위해 시간 샘플(Time Sample)에 대해 디지털 필터링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5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시간 샘플에 대한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FDM 신호 처리과정의 일부분 상에서 여러 캐리어에 대한 디지털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과정 이후에 LPF를 통한 연속된 신호(Continuous Signal) 생성 부 전단에서 디지털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의 MAC 계층에서 다중화를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MAC 계층에서 데이터가 다중화되고, 코딩유닛(Coding Unit)들에서 전송블록(Transport Block)에 대한 CRC 부착(CRC Attachment),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레잇 매칭(Rate Matching), 코드블록 분할(Code block segmentation) 및/또는 코드블록 결합(Code Block Concatenation) 등과 같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 코딩유닛이 각 캐리어별로 동작하게 되면, 각 캐리어에 따른 물리계층별로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전송블록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른 HARQ 동작 또한 각 캐리어 안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 및 단말기는 각 캐리어의 특성이나 채널상태에 따라 적절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방법이나, MIMO 방식(MIMO Scheme)을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캐리어별 단일 코드워드(SCW: Single Codeword) 또는 다중 코드워드(MCW: Multiple Codeword)의 전송도 자유롭게 캐리어별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여러 개의 캐리어를 여러 개의 MAC 계층이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송신단(기지국)에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경우 MAC 계층과 물리계층의 1 대 1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는 수신단(단말기)에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경우 MAC 계층 및 물리계층의 1 대 1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하나의 물리계층은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하나의 MAC 계층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특정 캐리어(carrier 0, carrier 1)는 각각의 물리계층에 대해 맵핑되는 MAC 계층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특정한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carrier n-1, carrier n-1)에 대해서는 각각의 물리계층(Carrier PHY)에 대해 하나의 MAC 계층이 맵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중 PHY에 대해 하나의 MAC이 존재하는 일부 캐리어들에 대해서는 도 6의 다중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는 송신단(기지국)에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경우 MAC 계층과 물리계층의 1 대 1 또는 1 대 m (m>1)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도 8(b)는 수신단(단말기)에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경우 MAC 계층 및 물리계층의 1 대 1 또는 1 대 m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도 3과 같이 기지국과 단말기의 성능(capability)에 따라서 각 단말기가 사용하는 캐리어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캐리어 대역 지원 능력은 일정하게 정해질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기는 기지국의 성능에 따라 호 설정(Call Setup)시 캐리어 지원 여부에 대해서 협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기의 캐리어 지원에 대한 정보, 즉 임의의 단말이 어떤 범위 또는 특정 주파수 캐리어의 RF를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 카테고리(UE category)들을 구분하는 데 있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는 단말기 카테고리(UE category, 또는 UE class) 별로 구체적인 특정 범위 또는 특정 캐리어를 명시함으로써, 단말기 카테고리(UE class) 별로 멀티 캐리어 지원 여부, 동시 수신 프로세싱 지원 여부, 동시 수신 프로세싱 또는 적응적인 캐리어 선택 및 이에 따른 병렬 또는 순차적 프로세싱 구분 및 이에 관련한 캐리어 지원 범위와 같은 값들을 협상할 수 있다.
이때, 간접적인 단말 카테고리 명시 방법으로서, 단말기의 수신 가능 대역 또는 최대 데이터율(peak data rate)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간접적(implicitly)으로 1 대 1 맵핑(1-to-1 mapping) 관계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카테고리를 구분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이 지원하는 주파수 캐리어 RF들을 셀 특정(cell-specific)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정보에 명시하여 임의의 기지국 또는 셀 내의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주 방송채널(P-BCH: Primary Broadcast Channel) 또는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cific RRC signaling),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또는 DBCH(Dedicate BCH) 또는 SU 정보 등)을 통해 임의의 기지국 또는 셀 내의 단말들에게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캐리어 RF들을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기가 임의의 기지국 또는 셀에 접속 시에 자신이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캐리어 RF들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profile)에 포함하거나 별도의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하향링크 스케줄러 및/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러를 가지고 있는 기지국은 개별 단말기들에 할당될 수 있는 주파수 캐리어 RF들에 대한 정보를 반정적(semi-static)으로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주파수 캐리어 RF 정보를 단말기 고유(UE-specific)의 RRC 시그널링(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으로 개별 단말기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기지국과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각 단말기가 사용할 수 있는 후보대역(candidate band)에 대한 정보, 즉 기지국이 어떤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반 정적으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들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는 각 캐리어별로 중심주파수(Center Frequency)와 캐리어 대역폭(Carrier Bandwidth)가 모두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개별 기지국 및 개별 단말기가 송수신을 위해 지원 가능한 주파수 캐리어들의 개수, 구체적인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이 단말기 카테고리(e.g. 단말기 레벨) 또는 기지국 카테고리(e.g. 기지국 레벨, 셀 레벨, 클레스터 레벨 또는 네트워크 레벨)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의 입장에서 멀티 캐리어들을 적용하여 운용하는 상황에서 단말기 카테고리 또는 기지국 카테고리의 설정 레벨에 따라 필요한 설정 정보 및 설정에 따른 각종 제어 정보들의 내용과 이에 대한 송수신 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IMT-A(IMT Advanced 또는 LTE-A)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IMT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의 주파수 래스터(frequency raster)를 유지하면서 멀티 캐리어 상의 중심 주파수를 위치하게 하는 방법.
2. IMT 시스템의 주파수 래스터와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중심 주파수를 위치하게 하는 방법.
또한, IMT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시스템 대역폭보다 넓은 IMT_A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서, 멀티 주파수 캐리어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의 대역폭을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시스템의 대역폭(Target System bandwidth)에 따라서 멀티 캐리어의 운용 방식, 즉, 타겟 시스템의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캐리어의 개수나 각 캐리어의 대역폭 등을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어의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타겟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정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본 주파수 블록(Basic Freqeuncy Block)을 양 방향으로 대칭적(symmetric)으로 할당한다. 이후, A[MHz]보다 작은 나머지 대역에 대해 기본 주파수 블록보다 작은 주파수 캐리어(F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A MHz 보다 작은 대역에 FC를 할당할 때에도 타겟 시스템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해 필요한 FC가 양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는 시스템 대역폭이 100 MHz이고 중심주파수가 50MHz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은 시스템 대역폭이 70 MHz이고 중심주파수가 35MHz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단말기(e.g. UE)가 지원하는 대역폭은 20MHz 부터 100MHz 까지 다양할 수 있다.
도 11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타겟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본 주파수 블록 단위로 먼저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후, A MHz보다 작은 나머지 대역에 대해 기본 주파수 블록보다 작은 FC를 먼저 할당하되, 비대칭적(asymmetric)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서 기본 주파수를 먼저 할당한 후에 중심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중심 주파수에서 비대칭적으로 주파수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에서 기지국은 각 캐리어 별로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 및 제어정보들(예를 들어, 캐리어 종속 정보 또는 캐리어 특정 정보) 모두를 개별적인 캐리어 단위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각 캐리어 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각 캐리어 별로 무선채널(예를 들어,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0(carrier 0)에는 캐리어 0에 해당하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 1 내지 캐리어 n-1 까지의 제어채널 및 물리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 1에서는 PDSCH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들이 PDCCH에 할당될 수 있다. 즉, 각 캐리어 내에서 PDCCH 및 PDSCH들이 각각 따로 인코딩될 수 있다.
도 12(b)의 채널할당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12(a)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다만, 도 12(b)에서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에 대한 공통 제어정보(CCCI: Carrier Common Control Information)들을 특정 캐리어 또는 소정 개수의 캐리어에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b)를 참조하면, 캐리어 공통의 제어 정보(e.g. 캐리어 종속 정보 또는 캐리어 특정 정보)가 캐리어 1(carrier 1)에 할당되어 전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특정 위치를 통해서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CCCI를 전송하고, 각 캐리어에 대한 특정 제어 정보만을 해당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2(b)에서 설명한 채널할당구조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LTE-A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멀티 캐리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LTE-A 단말기에는 CCCI가 할당된 PDCCH를 전송함으로써, LTE-A 단말기가 효율적으로 멀티 캐리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본적으로 도 12에서 설명한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은 제 1 단말기(UE 1)에 캐리어 0을 통해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S1310).
또한, 기지국(BS)은 제 n-1 단말기(UE n-1)에 캐리어 n-1을 통해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들에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S1320).
S1310 내지 S1320 단계에서 단말기들에 전송한 PDCCH에는 각 캐리어별로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 및/또는 제어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단말기 내지 제 n-1 단말기에 각각 캐리어 0 내지 캐리어 n-1을 이용하여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n-1 단말기들은 S1310 내지 S1320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S1330, S1340).
이상의 도 13의 설명에서는 도 12(a)의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여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도 13에서 도 12(b)의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여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n-1 단말기(UE n-1)가 LTE-A 단말기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 n-1 캐리어의 PDCCH에 CCCI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지국은 제 n-1 캐리어를 이용하여 CCCI를 제 n-1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CCCI 정보를 수신한 제 n-1 단말기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의 캐리어 공통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효율적으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특정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RC: Reference Carrier)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종속된 정보 또는 각 캐리어에 특정한 정보(carrier dependent or carrier specific information)를 각 캐리어의 PDCCH에 할당하고, 각 캐리어에 독립적인 정보 또는 각 캐리어에 공통인 정보(carrier independent or carrier common information)는 기설정된 참조 캐리어(RC)의 PDCCH에 할당할 수 있다.
각 캐리어에 특정한 정보(Carrier-Specific Information)는 각 캐리어별 데이터 전송 정보, 캐리어 내 연결(Connection) 정보 및 해당 캐리어 내의 자원할당에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캐리어에 공통된 정보(Carrier-Common Information)는 가용한 캐리어 현황 정보, 특정 부가 복수 캐리어 지정 등의 캐리어 할당 정보, 각 캐리어별 특정 상위 제어정보 및 셀 단위의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RC)를 할당하고, 단말기들은 참조 캐리어(RC)를 통해 시스템 정보 또는 제어정보들을 우선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들은 시스템 정보 또는 제어정보들을 기반으로 각 캐리어들에 관련한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a)의 채널할당구조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먼저 각 캐리어별로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채널(PDSCH)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은 PDCCH 중 소정 PDCCH에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LTE-A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LTE-A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CCCI가 할당된 PDCCH를 수신함으로써 멀티 캐리어의 공통 제어정보를 획득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b)의 채널할당구조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RC: Reference Carrier)를 설정하고, 해당 참조 캐리어(RC)를 통해서만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b)의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멀티 캐리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에 대해서 분산코딩(Separate Coding) 및/또는 조인트 코딩(Joint Coding)이 모두 가능하다.
도 14(b)에 적용되는 코딩 방법은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처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제어채널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처리하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 비트열들(a0, a1,..., aA -1)에 순환중복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부착할 수 있다(S1510).
CRC 비트가 부착되어 생성된 데이터 비트열들(c0, c1,..., cK -1)은 채널코딩 모듈로 입력된다. 기지국은 채널코딩 모듈에서 입력된 데이터 블록들을 채널코딩하여 코드블록들을(d0, d1,..., dD -1) 생성할 수 있다(S1520).
또한, 기지국은 코드블록들을 레잇 매칭(Rate matching) 모듈에 입력하고 변조과정을 거침으로써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단위의 심볼들을(e0, e1,...,eE -1) 생성할 수 있다(S1530).
도 15의 S1520 단계에서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e.g. LTE_A)에 대한 제어정보를 코딩할 수 있다. 이때, 분산코딩 및/또는 조인트 코딩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코딩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1. 완전분산코딩(Full Separate Coding): 완전분산코딩 방식은 기지국이 각각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각 단말기들에 대한 PDSCH에 대한 PDCCH들을 모두 각각 DCI 처리과정을 거쳐 전송하는 분산 코딩방법이다. 완전분산코딩 방식은 도 12에서 설명한 채널할당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2. 부분적 분산코딩 및 조인트코딩(Partial Separate/Joint Coding):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각 캐리어 내에 존재하는 여러 단말의 제어정보들에 대해서는 조인트 코딩을 수행하고,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조인트 코딩한 PDCCH들에 대해서는 분산 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캐리어 내의 모든 PDCCH들을 하나로 다중화(Multiplexing) 한 후에, 도 15의 DCI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LTE_A UE)의 경우에는,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의 PDSCH에 대한 각 PDCCH들에 대해서는 조인트 코딩을 수행하고, 각각의 단말기들에 대해 조인트 코딩한 PDCCH에 대해서는 분산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LTE_A 단말기가 이용할 수 있는 여러 캐리어의 PDSCH에 대한 PDCCH들을 다중화한 뒤에 도 15의 DCI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3. 완전조인트코딩(Full Joint Coding): 완전조인트 코딩 방식은 기지국이 모든 단말기의 모든 캐리어의 PDSCH에 대한 PDCCH들을 모두 하나로 다중화한 후에, 상기 도 15의 DCI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시 도 14(b)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RC)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참조 캐리어(RC: Reference Carrier) 또는 참조 대역(RB: Reference Band)는 멀티 캐리어(multiple carrier) 시스템에서 기준이 될 수 있는 임의의 캐리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참조 캐리어는 주 캐리어(primary carrier),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 등의 다른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4(b)와 같은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여 여러 제어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정보의 송/수신에 있어서 참조 캐리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동기채널(SCH: Sychronization Channel), 주 방송채널(PBCH: Primary Broadcast Channel) 및 시스템 정보(SI-x: System Information) 중 하나 이상을 참조 캐리어를 통해서만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SCH, PBCH 및 SI-x 메시지등은 참조 캐리어 이외의 다른 캐리어들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
SCH, BCH, SI-x가 참조 캐리어를 통해서만 전송이 되는 경우에, LTE 단말기는 단일 캐리어만을 지원하므로 참조 캐리어만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캐리어 이외의 캐리어는 LTE_A 단말기 전용의 캐리어(LTE_A only carrier)로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로 설정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에 따라 지속적으로(permanent),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서 반지속적(semi-static)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참조 밴드 또는 참조 캐리어는 후보 참조 대역 중에서 맨 처음의 캐리어 또는 맨 마지막 캐리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참조 캐리어의 설정 위치는 가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참조 캐리어(RC) 할당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셀 특정 참조 캐리어 할당방법
참조 캐리어를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셀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참조 캐리어가 셀 특정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셀 식별자(Cell ID)와 같은 셀 별 고유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셀 별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수학식 1은 셀 특정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06959507-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후보 참조대역의 개수(# of candidate reference band), 또는 해당 셀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캐리어의 개수가 될 수 있다. 또한, Cell_ID는 해당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도출되는 결과는 해당 셀에서 참조 대역이 어디인지를 알려주는 캐리어 인덱스(Carrier Index)가 될 수 있다. 캐리어 인덱스가 셀 별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수학식 1과 같은 예를 이용하여 특정 셀의 참조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캐리어 인덱스가 셀 별로 관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 가용 캐리어 들 중에서 소정의 임시 캐리어 인덱스(temporary carrier index)를 할당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캐리어 인덱스가 셀 별로 관리되지 않고 최대 가용 캐리어 모두에 대해 관리되는 경우에,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캐리어의 개수에 대비해서 임의의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캐리어의 수가 작은 경우에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참조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수학식 1의 결과를 임시 캐리어 인덱스에 맵핑시켜 셀 특정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셀 특정 참조 캐리어 설정시에 셀 식별자(Cell ID)를 이용였지만, 셀 식별자 이외에 셀 별로 고유화될 수 있는 모든 파라미터들이 참조 캐리어를 결정하기 위해 수학식 1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측정값(eNB measurement)을 이용하여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측정값(eNB measurement)은 각 캐리어를 통해서 수신한 상향링크 간섭량(UL interference) 또는 채널 환경 정보와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지국은 우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참조 캐리어를 고정적으로 설정한다. 이후, 기지국은 자체 측정값(e.g. eNB measurement) 또는 단말기로부터 보고받은 통신환경정보 또는 채널환경정보(예를 들어, 해당 캐리어 내의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간섭 레벨(interference level), 전력 레벨(power level) 또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등)에 따라 해당 캐리어가 참조 캐리어로 동작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최초 설정 한 참조 캐리어를 해제하고 다른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로 설정할 수 있다.
2. 단말기 특정 참조 캐리어 할당방법
참조 캐리어를 단말기별로 특정하게(UE-Specific)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자(UE_ID)와 같은 단말기 특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단말의 후보 캐리어에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각 단말기에게 할당되는 단말기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RA-RNTI, SI-RNTI, P-RNTI)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별로 참조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수학식 2를 이용하면, 기지국은 각 단말기에게 할당된 고유의 식별자(UE ID)를 이용하여 후보 참조 대역 중 하나의 참조 대역을 각각의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6959507-PAT00002
수학식 2에서 C는 후보 참조 대역의 개수(# of candidate reference band)를 나타낸다. 또한, 단말기 식별자(UE_ID)는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기 특정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는 경우에, 수학식 2에서 단말기 식별자 이외에 각 단말기별로 고유화될 수 있는 모든 파라미터들(e.g. MAC 주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우선 단말기 식별자와 같은 단말기 특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기 특정하게 참조 캐리어를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통신환경,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기 설정된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으로(semi-static)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상향링크를 통해 각 캐리어 별 신호의 간섭량(Interference level), 전력레벨(power level) 및 CQI 등과 같은 채널환경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채널환경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별로 최적의 참조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초기에 참조 캐리어를 설정한 이후에, 기지국 측정값(eNB measurement) 또는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환경정보 등을 토대로, 기 설정한 참조 캐리어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한 참조 캐리어를 해제하고 다른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로서 설정할 수 있다.
3. 단말기 그룹 특정 참조 캐리어 할당 방법
소정의 셀 내에서 단말기 카테고리(UE category)나 QoS(Quality of Service)정보들을 기반으로 단말기들을 계층별로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지국은 단말기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하게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기 그룹 식별자(UE group ID)나 단말기 카테고리 인덱스(UE category index)와 같은 단말 그룹별 특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단말 그룹의 후보 캐리어(candidate carrier)들 중에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수학식 3은 기지국이 단말기 그룹 특정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6959507-PAT00003
, or
Figure 112009006959507-PAT00004
수학식 3에서 C는 후보 참조 대역의 개수(# of candidate reference band)를 나타낸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기 그룹에 할당된 고유의 단말기 그룹 식별자 또는 단말기 카테고리 인덱스(UE category index)를 이용하여 후보 참조 밴드 중 하나의 참조 대역을 각각의 단말기 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기 그룹 식별자 또는 단말기 카테고리 인덱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외에 각 단말기 그룹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모든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우선 단말기 그룹 식별자와 같은 단말기 그룹 특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기 그룹별로 참조 캐리어를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통신환경,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기 설정된 참조 캐리어를 반 정적으로(semi-static)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상향링크를 통해 각 캐리어 별 신호의 간섭 량(Interference level), 전력레벨(power level) 및 CQI 등과 같은 채널환경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채널환경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별로 최적의 참조 캐리어를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초기에 참조 캐리어를 설정한 이후에, 기지국 측정값(eNB measurement) 또는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환경정보 등을 토대로, 기 설정한 참조 캐리어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한 참조 캐리어를 해제하고 다른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4(b) 및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술한 참조 캐리어 설정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기본적으로 도 14(a)의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여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6은 LTE 단말기 및 LTE_A 단말기가 공존하는 경우에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제어채널 전송방법을 개시한다. 즉, 기존 시스템의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 'backward compatibility'를 유지하면서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중에서 참조 캐리어(RC: Reference Carrier)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backward compatibility'를 유지하기 위해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단일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RC)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참조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법은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3을 이용할 수 있다(S1610).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RC)를 통해 캐리어공통제어정보(CCCI)를 LTE 단말기(LTE UE) 및 LTE_A 단말기(LTE_A UE)에 전송할 수 있다(S1620a, S1620b).
LTE 단말기 및 LTE_A 단말기는 CCCI에 포함된 캐리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LTE 단말기 및 LTE_A 단말기는 CCCI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PDCCH 및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S1630a, S1630b).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를 통해 PDCCH를 LTE 단말기에 전송하고(S1640), 멀티 캐리어를 지원할 수 있는 LTE_A 단말기에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제 0 캐리어 내지 제 n-1 캐리어 중 소정 개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S1650).
LTE_A 단말기는 S1620b 단계에서 수신한 CCCI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캐리어의 인덱스 및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S1650 단계에서 LTE_A 단말기는 기지국이 전송한 PDCCH를 CCCI가 나타내는 캐리어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를 통해 PDSCH를 LTE 단말기에 전송하고(S1660), LTE_A 단말기에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제 0 캐리어 내지 제 n-1 캐리어 중 소정 개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S1670).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기본적으로 도 14(b)의 채널할당구조를 이용하여 제어채널 및 데이 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즉, 도 17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모든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조인트 코딩한 후 참조 캐리어를 통해 PDCCH를 전송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도 17은 LTE 단말 및 LTE_A 단말 공존하는 경우에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제어채널 전송방법을 개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backward compatibility'를 유지하기 위해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단일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RC)로 할당할 수 있다(S1710).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를 통해 PDCCH를 LTE 단말기 및 LTE_A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1720a, S1720b).
S1720 단계에서는 도 16과는 달리 CCCI를 이용하지 않는다. 대신,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에 대한 모든 제어정보를 분산코딩 및/또는 조인트 코딩 방식을 통해 CCE 단위의 PDCCH로서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RC)를 통해 PDSCH를 LTE 단말기에 전송하고(S1730),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제 0 캐리어 내지 제 n-1 캐리어 중 소정 개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PDSCH를 LTE_A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1740).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특정 캐리어를 참조 대역(reference band)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및 단말기는 참조 대역을 핸드오버와 같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나 셀 검색(cell search)과 같은 초기 등록(initial registration)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동기채널(SCH)이나 방송채널(BCH)은 참조 캐리어를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SCH 및/또는 BCH를 참조 캐리어를 포함하는 멀티 캐리어들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LTE_A 시스템(즉, IMT_Advanced system)과 LTE 시스템(즉, IMT system)이 공존하는 경우를 고려할 때,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캐리어(LTE 캐리어)를 참조 캐리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참조 캐리어를 이용하여 SCH 및 BCH의 전송, 캐리어 할당 정보(carrier allocation information)과 같은 캐리어 공통 정보(Carrier-Common Information), 또는 각 캐리어의 PDSCH에 대한 PDCCH 등을 효과적으로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들은 참조 캐리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멀티 캐리어들에 대한 제반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들은 자신이 모니터링(monitoring)해야 하는 캐리어 인덱스(carrier index)와 같은 정보들을 우선적으로 참조 캐리어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는 각 캐리어에 할당된 PDSCH에 대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는 참조 캐리어를 통해 모든 멀티 캐리어의 PDSCH에 대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참조 캐리어가 단말 특정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해당 참조 캐리어를 통해 단말기 특정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기 특정 정보로서 임의의 단말기가 사용하는 멀티 캐리어 상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 영역(blind decoding zone)이나 특정 제어채널을 찾아야 하는 캐리어 할당 위치 등의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의 제어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PDCCH로 생성하고, 생성된 PDCCH를 멀티 캐리어의 전체 캐리어들(carrier 0 ~ carrier n-1)을 이용하여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8은 전체 멀티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DCCH 채널 및 멀티 캐리어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PDSCH의 채널할당구조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도 18의 PDCCH를 단말기들에 전송하기 위해 특정 캐리어가 아닌 전체 캐리어 대역에 걸쳐서 PDCCH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의 PDCCH를 생성하기 위해 기지국은 도 15의 분산코딩 및/또는 조인트코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기들은 도 12, 도 13 및 도 14(a)에서 개시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캐리어별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도 12, 도 13 및 도 14(a)는 각 캐리어별로 정의된 LTE 시스템(또는, IMT 시스템)의 제어채널 송수신 방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특정 제어정보들을 해당 캐리어 내에서 전송함으로써, 제어채널의 오버헤드가 스케줄된 캐리어(Scheduled carrie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캐리어별로 HARQ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재전송시에 과도하게 전송블록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기들이 도 14(b) 내지 도 18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정보가 스케줄된 캐리어의 개수에 상관없이 최대로 고정되거나 스케줄된 캐리어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므로, 새로운 포맷의 제어채널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4(b) 내지 도 18의 기지국은 LTE 단말기에 PDCCH를 PDSCH가 전송 되는 캐리어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Backward 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LTE_A 단말기에는 PDCCH를 해당 LTE_A 단말기에 대한 PDCCH가 전송되는 캐리어와 상관 없이 참조 캐리어 또는 전체 캐리어에 걸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및/또는 IEEE 802.xx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기반 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중 대역 지원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기지국과 복수의 단말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Multiplexing)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시간 샘플에 대한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의 MAC 계층에서 다중화를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여러 개의 캐리어를 여러 개의 MAC 계층이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하나의 MAC 계층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처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 할당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캐리어에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어채널 중 제 1 제어채널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채널 중 제 2 제어채널을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채널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채널이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채널을 상기 제 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포함되는 각 캐리어 별로 상기 제어채널 및 상기 데이터채널을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대한 모든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채널을 상기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채널을 상기 멀티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에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캐리어 중에서 참조 캐리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참조 캐리어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캐리어는 셀별 고유정보, 단말기별 고유정보 및 단말기 그룹별 고유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채널, 상기 제 2 제어채널 및 상기 제 1 데이터채널은 상기 참조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 2 데이터채널은 상기 멀티 캐리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제 1 단말기는 싱글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 2 단말기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캐리어는 상기 다중 캐리어에 대한 공통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는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채널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참조 캐리어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채널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채널을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전송방법.
  12.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캐리어를 통해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CH가 나타내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DCCH 및 상기 PDSCH는 상기 무선채널에 포함되고, 상기 참조 캐리어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대한 소정의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수신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캐리어는 셀별 고유정보, 단말기별 고유정보 및 단말기 그룹별 고유정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수신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캐리어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대한 공통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는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수신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공통 제어정보(CCC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채널 수신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PDSCH는 상기 멀티 캐리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 중 소정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채널 수신방법.
KR1020090008915A 2008-02-05 2009-02-04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KR10159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12,718 US8467341B2 (en) 2008-02-05 2009-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a multi-carri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14/473,911 USRE47295E1 (en) 2008-02-05 2009-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a multi-carri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PCT/KR2009/000563 WO2009099303A2 (ko) 2008-02-05 2009-02-05 무선채널 송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14108P 2008-02-05 2008-02-05
US61/026,141 2008-02-05
US8542508P 2008-08-01 2008-08-01
US61/085,425 2008-08-01
US8716008P 2008-08-07 2008-08-07
US61/087,160 2008-08-07
US9345808P 2008-09-02 2008-09-02
US61/093,458 2008-09-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55A Division KR101695823B1 (ko) 2008-02-05 2016-01-27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39A true KR20090086039A (ko) 2009-08-10
KR101595022B1 KR101595022B1 (ko) 2016-03-02

Family

ID=412058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16A KR101537607B1 (ko) 2008-02-05 2009-02-04 조정필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KR1020090008915A KR101595022B1 (ko) 2008-02-05 2009-02-04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KR1020160009855A KR101695823B1 (ko) 2008-02-05 2016-01-27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16A KR101537607B1 (ko) 2008-02-05 2009-02-04 조정필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55A KR101695823B1 (ko) 2008-02-05 2016-01-27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467341B2 (ko)
KR (3) KR101537607B1 (ko)
WO (1) WO2009099303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825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046334A2 (en) * 2009-10-12 2011-04-21 Pantech Co.,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6722A2 (ko) * 2010-02-03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96683A2 (ko) * 2010-02-04 2011-08-11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그 송신장치, 그 수신장치
WO2012118269A3 (ko) * 2011-03-01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370300B1 (ko) * 2009-09-30 2014-03-05 알까뗄 루슨트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와 사용자 기기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51169B2 (en) 2010-03-11 2019-04-02 Lg Electronics Inc. Control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9301A2 (pt) * 2008-03-10 2017-09-19 Nortel Networks Ltd Métodos para sinalização de controle para sistemas sem fio
US8498249B2 (en) * 2008-05-05 2013-07-30 Mediatek Inc. Method of network entry in OFDM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09157167A1 (ja) * 2008-06-23 2009-12-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参照信号割当方法
KR101089838B1 (ko) * 2008-08-13 2011-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리어 집성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기지국 및 단말
JP5419882B2 (ja) 2008-09-29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ce+番号割当方法及び基地局装置
JP5413917B2 (ja) * 2008-10-31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サーチスペース設定方法、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EP2352243B1 (en) * 2008-10-31 2018-08-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dulation method
CN101790240B (zh) 2009-01-24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Ack/nack信道资源分配及确认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JP5180112B2 (ja) * 2009-02-03 2013-04-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2522472A (ja) * 2009-03-30 2012-09-20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ユーザ機器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配分
KR20100109338A (ko) * 2009-03-31 201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WO2010123893A1 (en) * 2009-04-22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carrier aggregated spectrums
JP5379912B2 (ja) * 2009-04-24 2013-12-25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キャリアofdmシステムのキャリア割り当ての方法及び装置
US20120044922A1 (en) * 2009-04-28 2012-02-2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KR101478316B1 (ko) * 2009-04-28 2014-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용 레퍼런스 시그널 전송 방법 및 전용 레퍼런스 시그널 수신 방법
US8995358B2 (en) * 2009-04-30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False detection reduction during multi-carrier operation
WO2010141618A1 (en) * 2009-06-02 2010-1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for carrier aggregation using single power control message for multiple carriers
CN101925155A (zh) * 2009-06-11 2010-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系统中的载波分配方法与装置
WO2010146971A1 (ja) 2009-06-16 2010-12-2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01925129B (zh) * 2009-06-17 2016-04-13 夏普株式会社 下行控制信道格式配置方法
KR101349840B1 (ko) 2009-06-22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932045B (zh) * 2009-06-2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中测量结果的上报方法及用户设备
US9351293B2 (en) * 2009-09-1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arrier indication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teraction
US8830960B2 (en) * 2009-09-21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during a baton handover
CN102036300A (zh) * 2009-09-30 2011-04-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ack/nack信息的传输方法、系统和设备
KR101699860B1 (ko) * 2009-10-01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반송파 결합 활성화 여부를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9763197B2 (en) 2009-10-05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Component carrier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WO2011044734A1 (en) * 2009-10-16 2011-04-21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hysical signals
CN102056299A (zh) * 2009-10-28 2011-05-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传输下行控制信令的方法和装置
CN102056296B (zh) 2009-10-30 2016-03-30 索尼株式会社 通信网络中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CN101714892B (zh) * 2009-11-02 2014-12-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KR101740019B1 (ko) * 2009-11-10 2017-05-2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정보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JP2011130412A (ja) * 2009-11-18 2011-06-30 Sony Corp 端末装置、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670517B1 (ko) 2009-11-26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단말
EP3937552A1 (en) 2010-01-07 2022-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indexing for acknowledgement signals in response to receptions of multiple assignments
KR101769371B1 (ko) 2010-01-11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기를 조정한 dci를 이용한 pdcch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819501B1 (ko) * 2010-02-04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71255B1 (ko) * 2010-03-30 2017-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지시 필드 설정 방법
KR101873733B1 (ko) * 2010-05-06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EP4221458A1 (en) * 2010-12-03 2023-08-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carrier aggregation
WO2012099404A2 (en) * 2011-01-18 201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e capability report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55081B2 (en) * 2011-02-08 2015-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9693264B2 (en) 2011-04-18 2017-06-27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0430B2 (en) * 2011-04-24 2020-01-07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Doppler midamble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709300B1 (en) 2011-05-12 2016-07-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same
EP2738965B1 (en) * 2011-07-28 2019-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for same
CN110519847B (zh) 2011-07-29 2023-11-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多无线电接入技术无线系统中的无线电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US9924502B2 (en) 2011-11-11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94997A1 (en) * 2012-02-01 2013-08-01 Fujitsu Limited Low Power Narrowband Operation By An Endpoint
CN103491640B (zh) * 2012-06-12 2016-08-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终端设备的调度方法和设备
CN104584633B (zh) 2012-08-23 2018-12-1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无线系统中采用多个调度器进行操作
CN103687034A (zh) * 2012-08-30 2014-03-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组调度方法及装置
US10986634B1 (en) * 2015-09-03 2021-04-20 Sprint Spectrum L.P. Management of carriers to help ensure QoS for single-carrier UEs
KR102581594B1 (ko) * 2016-07-19 2023-09-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적 방법 및 장치
CN107770871B (zh) * 2016-08-22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收发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205250A1 (en) * 2022-04-19 2023-10-26 Intel Corporation Side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for a repea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7908A1 (en) * 2005-10-27 2007-05-03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348B2 (ja) 1994-03-15 2002-0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3526254B2 (ja) * 2000-02-25 2004-05-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リア/ds−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チャネルの構成
DE10215381A1 (de) 2002-04-08 2003-10-16 Siemens Ag Verfahren zur Signalisierung
US7352722B2 (en) 2002-05-13 2008-04-01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304496T3 (es) * 2003-07-31 2008-10-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Procedimiento de gestion de recursos de radio comun en una red telefonica celular multi-rat.
CN100433924C (zh) 2005-10-27 2008-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下行控制信道的实现方法
SG166122A1 (en) 2006-10-03 2010-11-29 Qualcomm Inc Random access signaling transmission for syste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LT2087626T (lt) * 2006-10-30 2019-04-10 Nokia Technologies Oy Papildomos moduliacijos informacijos signalo perdavimas, skirtas didelės spartos žemynkryčio paketo prieigai
US8565153B2 (en) * 2009-05-19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witching between MIMO and DC HSDP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7908A1 (en) * 2005-10-27 2007-05-03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mor 3GPP Newsletter - 2007#08, Overview LTE PHY: Part 2 - LTE PHY Signals/Channels* *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825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70300B1 (ko) * 2009-09-30 2014-03-05 알까뗄 루슨트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와 사용자 기기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1046334A2 (en) * 2009-10-12 2011-04-21 Pantech Co.,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48513B2 (en) 2009-10-12 2013-10-01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46334A3 (en) * 2009-10-12 2011-10-13 Pantech Co.,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6722A3 (ko) * 2010-02-03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96722A2 (ko) * 2010-02-03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71248B2 (en) 2010-02-03 2015-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6683A3 (ko) * 2010-02-04 2011-12-01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그 송신장치, 그 수신장치
WO2011096683A2 (ko) * 2010-02-04 2011-08-11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그 송신장치, 그 수신장치
US10251169B2 (en) 2010-03-11 2019-04-02 Lg Electronics Inc. Control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e
WO2012118269A3 (ko) * 2011-03-01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US9923659B2 (en) 2011-03-01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rol information by terminal in multino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022B1 (ko) 2016-03-02
KR101695823B1 (ko) 2017-01-13
USRE47295E1 (en) 2019-03-12
US20100296473A1 (en) 2010-11-25
WO2009099303A3 (ko) 2010-10-14
KR20160019075A (ko) 2016-02-18
KR101537607B1 (ko) 2015-07-29
KR20090086040A (ko) 2009-08-10
WO2009099303A2 (ko) 2009-08-13
US8467341B2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23B1 (ko)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US8861549B2 (en)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KR101769371B1 (ko) 크기를 조정한 dci를 이용한 pdcch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199400B1 (ko) 캐리어 집합 생성 방법 및 캐리어 집합 정보 전송방법
KR101253655B1 (ko) 반송파 병합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3496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マルチキャスト及び/又は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データのための資源割り当て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11567117A (zh) 无线通信系统的资源分配方法、装置和系统
EP1677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a single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1991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multi-band radio frequencies
JP50731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マルチキャスト及び/又は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データのための資源割り当て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BRPI0822911B1 (pt) Método para agregação de portadora, transmissor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por rádio e sistema de comunicação por rádio
US9161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nsion information of component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0834B2 (en) Center frequency control method in wireless access system
JP2021108484A (ja)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1520710B1 (ko)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핸드오버/스캐닝 트리거 방법
KR1017413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정규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블록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06945B1 (ko) 광대역 무선 접속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캐리어 관리 방법
JP7313513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20100115714A (ko) 다중-반송파 상황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10097726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캐리어 정보 갱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