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61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611A
KR20090085611A KR1020097009228A KR20097009228A KR20090085611A KR 20090085611 A KR20090085611 A KR 20090085611A KR 1020097009228 A KR1020097009228 A KR 1020097009228A KR 20097009228 A KR20097009228 A KR 20097009228A KR 20090085611 A KR20090085611 A KR 2009008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using
terminal
shield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483B1 (ko
Inventor
신이치 마츠자키
히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수에 의해서 치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제 1 하우징을 제조하는 경우라도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소켓(1)의 외주면 중 단자 배열방향을 따른 두개의 면을 덮는 동시에 소켓(1)에 착탈 가능한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소켓(1)의 외주면 중 전후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덮는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를 구비하였으므로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와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에 따른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이용하여 소켓(1)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단자수에 의해서 소켓(1)의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라도 하나의 쉴드부재에 의해서 소켓(1)의 외주면을 덮는 경우에 비하여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기판 등에 장착되고, 복수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어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다른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하우징 내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췄을 때에 각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된 쉴드(shield)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커넥터에서는 하나의 쉴드부재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 단자의 간격을 바꾸는 일 없이 단자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제 1 하우징의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이 경우, 그 치수에 따른 쉴드부재의 금형을 새롭게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제조 비용이 커질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공개공보 2005-25146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단자수에 의해서 치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제 1 하우징을 제조하는 경우라도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다른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하우징 내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췄을 때에 각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되며, 제 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쉴드부재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 2 쉴드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제 1 쉴드부재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제 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각 제 2 쉴드부재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하우징의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에는 그 치수에 따른 각 제 1 쉴드부재를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외주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에 따른 각 제 1 쉴드부재를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외주면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각 제 2 쉴드부재의 치수를 바꾸는 일 없이 제 1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단자수에 의해서 제 1 하우징의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라도 하나의 쉴드부재에 의해서 제 1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는 경우에 비하여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쉴드용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소켓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9는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소켓 2: 플러그
30: 복수의 소켓 단자 40: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
50: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 51: 한쌍의 접촉편
60: 쉴드용 단자 100: 제 1 기판
200: 제 2 기판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소켓의 평면도, 도 3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 도 4는 쉴드용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소켓의 측면단면도, 도 6은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플러그의 평면도, 도 8은 플러그의 측면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한쪽의 접속대상물로서의 제 1 기판(100)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으로서의 소켓(1)과, 다른 한쪽의 접속대상물로서의 제 2 기판(200)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소켓(1)내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하우징으로서의 플러그(2)로 이루어지며, 각 기판(100, 200)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소켓(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측에 배치되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과,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폭방향(도면 중 X방향) 및 전후방향(도면 중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20)과, 일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홀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가동 하우징(20)에 홀딩되고,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가동 하우징(20)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소켓 단자(30)와,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외주면 중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즉 폭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제 1 쉴드부재로서의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소켓측 고정 하우 징(10)의 외주면 중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덮도록 설치된 제 2 쉴드부재로서의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와,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그라운드 도통부재로서의 한쌍의 쉴드용 단자(6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및 하면을 개구한 각기둥(角筒)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은 전면부(前面部)(11), 배면부(12), 폭방향 양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하단측에는 각 소켓 단자(30)의 일단측을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14)이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단자 구멍(14)의 배열방향(도면 중 X방향) 양단측에는 각 쉴드용 단자(60)를 각각 홀딩하는 한쌍의 쉴드용 단자 구멍(15)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폭방향 양단측에는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위쪽에서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2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가동 하우징(20)은 전면부(21), 배면부(22), 폭방향 양측면부(23) 및 저면부(底面部)(24)로 이루어지며, 저면부(24)의 중앙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끼워맞춤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25)의 전면측 및 후면측의 측벽부에는 각 소켓 단자(30)의 타단측을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26)이 저면부(24)를 상항방향(도면 중 Z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4)의 전후방향 양단측에는 각 쉴드용 단자(60)의 타단측을 상하방향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삽입 통과 구멍(27)이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양단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소켓 단자(30)는 탄성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켓(1)의 전후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소켓 단자(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접속되는 접속부(3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소켓 단자(30)에는 접속부(31)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眞直部)(32)와, 제 1 진직부(3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굴곡부(33)와, 굴곡부(33)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34)와, 제 2 진직부(34)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진직부(35)와, 제 3 진직부(35)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4 진직부(36)와, 제 4 진직부(36)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굴곡하면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7)가 설치되어 있고, 소켓 단자(30)는 굴곡부(33)를 기점으로 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외주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그 폭방향 양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각 장착 홈(16)에 위쪽에서 삽입됨으로써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덮도록 장착된다. 또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그 상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전면부(11) 또는 배면부(12)의 상면을 덮는 동시에 가동 하우징(20)의 전면부(21) 또는 배면부(22)까지 연장되도록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상 단측은 각 하우징(10,20) 사이에 있어서의 각 소켓 단자(30)의 노출부분을 위쪽에서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되므로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용의 금형을 제조할 필요가 없다.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양측면부(13)의 외주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전후방향 양단측에는 전면부(11) 및 배면부(12)에 설치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편(51)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편(51)은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전후방향 양단측이 폭방향으로 굴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는 단자수에 의해서 치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된다.
각 쉴드용 단자(60)는 탄성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설치된 그라운드부(도시 생략)에 도통 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6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쉴드단자(60)에는 그라운드 접속부(61)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62)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진직부(62)의 폭방향 양단측에는 제 1 진직부(62)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6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진직부(63)의 전단(前端)에는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하는 제 1 쉴 드 도통부(6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쉴드용 단자(60)에는 제 1 진직부(6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제 1 굴곡부(65)와, 제 1 굴곡부(65)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3 진직부(66)와, 제 3 진직부(66)의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는 제 2 굴곡부(67)와, 제 2 굴곡부(67)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4 진직부(68)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쉴드용 단자(60)는 제 1 및 제 2 굴곡부(65, 67)를 기점으로 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4 진직부(68)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접촉하는 제 2 쉴드 도통부(6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소켓 단자(30)를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14)에 소켓 단자(3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壓入)한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단자(30)의 일단측, 즉 접속부(31)의 상단측이 단자 구멍(14)에 홀딩된다. 또 각 소켓 단자(30)의 타단측에 대해서 가동 하우징(20)을 위쪽으로부터 압입하면 소켓 단자(30)의 제 4 진직부(36) 및 접촉부(37)가 가동 하우징(20)의 저면부(24)를 관통하여 단자 구멍(26)에 홀딩된다.
또 쉴드용 단자(60)를 소켓(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쉴드용 단자 구멍(15)에 쉴드용 단자(6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한다. 이때 그라운드 접속부(61)의 상단측 및 각 제 2 진직부(63)의 상단측이 쉴드용 단자 구멍(15)에 홀딩되는 동시에, 제 1 쉴드 도통부(64)가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한다. 또 쉴드용 단자(60)는 제 4 진직부(68) 및 제 2 쉴드 도통부(69)가 가동 하우징(20)의 삽입 통과 구멍(27)을 위쪽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홀딩되어 있다. 이 경우, 소켓측 고정 하우 징(10)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의 외주면은 각 쉴드부재(40, 50)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각 소켓 단자(3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쉴드용 단자(60)의 제 1 및 제 2 쉴드 도통부(64, 69)는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소켓 단자(30)의 탄성변형이 쉴드접촉부(64, 69)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2)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200)측에 배치되는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과,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에 홀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80)와,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측 쉴드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은 전면부(71), 배면부(72), 폭방향 양측면부(73) 및 저면부(74)로 이루어지고, 소켓(1)의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가동 하우징(20)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전면부(71) 및 배면부(72) 각각의 하단측 및 내벽부에는 각 플러그 단자(80)를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75)이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부(71) 및 배면부(72) 각각의 상단측에는 플러그측 쉴드부재(9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단자(8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2)의 전후방 향 양측에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8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200)에 접속되는 접속부(8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81)의 일단측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접촉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는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장착 홈(76)에 아래쪽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의 폭방향 양단측의 하단에는 제 2 기판(200)에 설치된 그라운드부(도시 생략)에 도통 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9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플러그 단자(80)를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75)에 플러그 단자(8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한다. 이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80)의 접속부(81) 및 접촉부(82)가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단자 구멍(75)에 홀딩된다. 이 경우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 즉 전면부(71) 및 배면부(72)의 외주면은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각 플러그 단자(8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한쌍의 기판(100, 2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접속된 소켓(1)의 위쪽에 제 2 기판(200)에 접속된 플러그(2)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플러그(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을 소켓(1)의 가동 하우징의 끼워 맞춤부(25)에 끼워맞추면 각 플러그 단자(80)의 접촉부(82)가 각 소켓 단자(30)의 접촉부(37)에 각각 접촉한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용 단자(60)의 제 1 쉴드 도통부(64)가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쉴드 도통부(69)가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소켓측 고정 하우징(10) 및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소켓 단자(30) 및 쉴드용 단자(60)가 상기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고, 각 고정 하우징(10, 70)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또 각 단자(30, 80) 각각의 간격을 바꾸는 일 없이 각 단자(30, 80)의 수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각 하우징(10, 20 및 70)의 폭방향, 즉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그 치수에 따른 제 1 쉴드부재(40) 및 플러그측 쉴드부재(90)를 각 하우징(10, 70)에 장착함으로써 각 단자(30, 80)의 각각을 각 쉴드부재(40, 90)로 덮을 수 있고, 각 단자(30, 8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제 1 기판(100)측에 배치되는 소켓(1)과, 제 2 기판(200)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소켓(1)내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된 플러그(2)와, 플러그(2)를 소켓(1)에 끼워맞췄을 때에 각 기판(100, 200)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 단자(30)와, 소켓(1)의 외주면 중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도면 중 X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되고, 소켓(1)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소켓(1)의 외주면 중 전후방향(도면 중 Y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 된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를 구비하였으므로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에 따른 각 제 1 쉴드부재(40)를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외주면에 장착할 수 있으며, 각 제 2 쉴드부재(50)의 치수를 바꾸는 일 없이 소켓(1)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단자수에 의해서 소켓(1)의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라도 1개의 쉴드부재에 의해서 소켓(1)의 외주면을 덮는 경우에 비하여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편(51)을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에 설치하였으므로 각 쉴드부재(40, 50)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제 1 기판(100)의 그라운드부에 도통 가능한 쉴드용 단자(6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그라운드부에 접속하기 위한 부재를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쉴드용 단자(60)를 소켓(1)에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플러그(2)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접촉편(51)을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에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과,
    다른 한쪽의 접속대상물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하우징 내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끼워맞췄을 때에 각 접속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되며, 제 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쉴드부재와,
    제 1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 2 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및 각 제 2 쉴드부재 중 한쪽의 쉴드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다른 한쪽의 쉴드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쉴드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외부의 그라운드부에 도통 가능한 그라운드 도통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7009228A 2006-10-17 2007-01-09 커넥터 KR101307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3054A JP2008103122A (ja) 2006-10-17 2006-10-17 コネクタ
JPJP-P-2006-283054 2006-10-17
PCT/JP2007/050055 WO2008047482A1 (en) 2006-10-17 2007-01-09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611A true KR20090085611A (ko) 2009-08-07
KR101307483B1 KR101307483B1 (ko) 2013-09-11

Family

ID=393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228A KR101307483B1 (ko) 2006-10-17 2007-01-0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35469A1 (ko)
JP (1) JP2008103122A (ko)
KR (1) KR101307483B1 (ko)
TW (1) TWI396336B (ko)
WO (1) WO2008047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876B2 (en) * 2014-12-18 2017-11-28 Intel Corporation CPU package substrates with removable memory mechanical interfaces
US10181682B2 (en) * 2016-12-28 2019-01-15 Intel Corporation Ungrounded shield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1650284S (ko) * 2019-07-29 2020-01-20
KR102343645B1 (ko) 2020-02-20 2021-12-29 주식회사 신화콘텍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814B2 (ja) * 1995-02-09 1999-01-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264647B2 (ja) * 1998-02-16 2002-03-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TW399818U (en) * 1998-11-20 2000-07-21 Molex Inc Structure of connector
US6685505B1 (en) * 2002-09-06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ground member
JP2005251461A (ja) * 2004-03-02 2005-09-15 Smk Corp レセプタ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6336B (zh) 2013-05-11
US20100035469A1 (en) 2010-02-11
JP2008103122A (ja) 2008-05-01
KR101307483B1 (ko) 2013-09-11
WO2008047482A1 (en) 2008-04-24
TW200820506A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231B1 (ko) 커넥터
KR101244431B1 (ko) 커넥터
KR102165749B1 (ko) 커넥터
CN111755910B (zh) 连接器
US7670150B2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US8864524B2 (en) Connector
CN101361230A (zh) 连接器
US200700426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ner shield
JP2012059360A (ja) コネクタ
KR102165751B1 (ko) 콘택트
JP6292201B2 (ja) 電気コネクタ
TWI399889B (zh) 連接器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07483B1 (ko) 커넥터
US8721366B2 (en) Connector
WO2021112258A1 (ja) コネクタ
CN110212343B (zh) 一种高速连接器及插孔接触件
JP6644353B2 (ja) 電気コネクタ
JP5394013B2 (ja) シールド用ケース及び該シールド用ケース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TWI401844B (zh) 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