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645B1 -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645B1
KR102343645B1 KR1020200021201A KR20200021201A KR102343645B1 KR 102343645 B1 KR102343645 B1 KR 102343645B1 KR 1020200021201 A KR1020200021201 A KR 1020200021201A KR 20200021201 A KR20200021201 A KR 20200021201A KR 102343645 B1 KR102343645 B1 KR 10234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terminals
shielding
shap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251A (ko
Inventor
정웅규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20002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6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 적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대향되는 반대인 외부 측과도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with shield structure}
본 발명은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 적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대향되는 반대인 외부 측과도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는 다양한 회로가 인쇄된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드 대 보드 타입의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BtoB 타입으로 제공되는 종래의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라 명명되고 있는 수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라 명명되고 있는 암커넥터(20)로 구성되며,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는 일단 삽입되어 체결된 후에는, 결합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각각의 터미널(12, 14)에 상호 마주보며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이 부분이 탄성에 의해 상호 넘어서면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의 경우, 상기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가 근접되어 상호 밀착 체결된 후, 동작시에는 커넥터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나 내부의 방해신호 등과 같은 전자 노이즈가 발생되고, 이러한 전자 노이즈가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오작동하여 전자 제품의 파손이나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커넥터의 일부 즉, 좌우 양측에 실드면을 형성하고 있으나, 커넥터의 외부로 드러나는 모든 면에 대한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전자 노이즈의 유입 및 유출의 완전 방지에는 여전히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터미널이나 다수의 단자 등에 대한 사방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터미널이나 다수의 단자 등에 대한 사방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이웃하는 터미널이나 다수의 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폐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6-321358호 1996.12.03.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7483호 2013.09.05.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1867호 2015.06.2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 적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대향되는 반대인 외부 측과도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는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연결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합성수지 성형을 통해 제작되어 장방형의 블록형상을 이루며, 상면 중앙부분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중앙돌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돌부의 둘레방향으로 연이어져 접속홈부가 함몰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중앙돌부 일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일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 실장부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1단자; 상기 하우징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 상에 고정설치되, 상기 하우징의 중앙돌부 타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타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 실장부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2단자; 상기 하우징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1단자들의 전방과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전방 양측에 제1그라운드단자부가 구비되며, 제1단자들의 사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2단자들의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후방 양측에 제2그라운드단자부가 구비되며, 제2단자들의 3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는 제1단자들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단자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가 형성되는 제1그라운드단자부와,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 후방 측으로 연이어져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에 상호 차폐되도록 하는 제1내부차폐부 및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 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제1외부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는 제1그라운드단자부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단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의 제1내부차폐부는 제1그라운드부의 후방 측과 마주하는 길이방향 양측에 일정면적으로 가지고 상향 함몰되어 연통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는 제1단자들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2단자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가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단자부와, 한 쌍의 제2그라운드단자부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2단자 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제2외부차폐부 및 상기 제2외부차폐부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되, 하우징의 길이방양 양측에 상, 하단이 노출되게 몰딩 성형을 통해 고정설치되어, 제2차폐그라운드단자에 대한 하우징 상에 지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양측 하단이 외향 절곡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는 제2그라운드단자부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단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는 지지부의 제2단자 측을 향하는 면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 적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다.
둘째,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대향되는 반대인 외부 측과도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드 대 보드 타입의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요부인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사방이 제1차폐그라운드단자와 제2차폐그라운드단자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용상태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요부인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사방이 제1차폐그라운드단자와 제2차폐그라운드단자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용상태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방향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좌우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세부 구성명에 대하여서 "실장부"와 "접속부"의 기재는 제1단자, 제2단자, 제1그라운드단자부, 제2그라운드단자부 등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거나 보드 대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보드인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기재로서, 동일한 구성명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속연결되는 것으로서,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 PC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플러그 커넥터(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속연결되는 실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하우징(110), 제1단자(130), 제2단자(150),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성형을 통해 제작되어 장방형의 블록형상을 이루며, 상면 중앙부분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중앙돌부(111)가 형성되도록 중앙돌부(111)의 둘레방향으로 연이어져 접속홈부(113)가 함몰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단자(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돌부(111) 일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일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단자(130)는 다수 개로 구비되되, 각각 실장부(131)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33)가 형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제1단자(130)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33)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3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걸림돌기(133a)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1단자 외면에 형성된 접속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2단자(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돌부(111) 타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타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단자(150)는 다수 개로 구비되되, 각각 실장부(151)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53)가 형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제2단자(150)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53)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5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걸림돌기(153a)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단자 외면에 형성된 접속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1단자들(130)의 전방과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전방 양측에 제1그라운드단자부(17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제1단자들(130)의 사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2단자들(150)의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후방 양측에 제2그라운드단자부(19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제2단자들(150)의 3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와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를 통해 제1단자들(130) 및 제2단자들(150)의 상호 이웃하는 측을 포함하는 각 단자들의 사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요부인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크게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와, 제1내부차폐부(175) 및 제1외부차폐부(177)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1그라운드단자부(171)는 제1단자들(130)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단자(130)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172)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73)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내부차폐부(175)는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171) 후방 측으로 연이어져 다수의 제1단자(130)와 다수의 제2단자(150) 사이에 배치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130)와 다수의 제2단자(150) 간에 상호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외부차폐부(177)는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130) 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특히,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73)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7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걸림돌기(173a)는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의 제1그라운드단자부(171)가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1그라운드단자부 외면에 형성된 접속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에서의 제1내부차폐부(175)는 제1그라운드부(171)의 후방 측과 마주하는 길이방향 양측에 일정면적으로 가지고 상향 함몰되어 연통홈(17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제1그라운드단자부(171)를 기준으로 하여 장방형의 틀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1내부차폐부(175), 제1외부차폐부(17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가 제1그라운드단자부(171)를 기준으로 하여 장방형의 틀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1내부차폐부(175), 제1외부차폐부(177)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작시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생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요부인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크게 분류하면,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와, 제2외부차폐부(197) 및 지지부(19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그라운드단자부(191)는 제2단자들(150)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2단자(150)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192)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93)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외부차폐부(197)는 한 쌍의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2단자(150) 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99)는 상기 제2외부차폐부(197)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되, 하우징(110)의 길이방양 양측에 상, 하단이 노출되게 몰딩 성형을 통해 고정설치되어,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에 대한 하우징(110) 상에 지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양측 하단이 외향 절곡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특히,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93)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9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걸림돌기(193a)는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의 제2그라운드단자부(191)가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그라운드단자부 외면에 형성된 접속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에서의 지지부(199)는 제2단자(150) 측을 향하는 면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99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제2그라운드단자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2외부차폐부(197), 지지부(199)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가 제2그라운드단자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2외부차폐부(197), 지지부(199)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작시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생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함으로써 보드 대 보드 커넥터에서 암커넥터로서 적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 다수의 제1단자, 다수의 제2단자,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다수의 제1단자 및 다수의 제2단자에 대한 사방을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및 제2차폐그라운드단자를 통해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 간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의 제1단자와 다수의 제2단자의 대향되는 반대인 외부 측과도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커넥터 내부나 외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방해신호 등으로 인한 전자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자장치의 오작동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하우징 111: 중앙돌부
113: 접속홈부 130: 제1단자
131: 실장부 133: 접속부
133a: 접속걸림돌기 150: 제2단자
151: 실장부 153: 접속부
153a: 접속걸림돌기 170: 제1차폐그라운드단자
171: 제1그라운드단자부 172: 실장부
173: 접속부 173a: 접속걸림돌기
175: 제1내부차폐부 175a: 연통홈
177: 제1외부차폐부 190: 제2차폐그라운드단자
191: 제2그라운드단자부 192: 실장부
193: 접속부 193a: 접속걸림돌기
197: 제2외부차폐부 199: 지지부
199a: 접속걸림돌기
200: 플러그 커넥터

Claims (9)

  1.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속연결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
    합성수지 성형을 통해 제작되어 장방형의 블록형상을 이루며, 상면 중앙부분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중앙돌부(111)가 형성되도록 중앙돌부(111)의 둘레방향으로 연이어져 접속홈부(113)가 함몰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돌부(111) 일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일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 실장부(131)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33)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1단자(130);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돌부(111) 타 측에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타 측 단자들과 접촉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 실장부(151)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53)가 형성되는 다수의 제2단자(150);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1단자들(130)의 전방과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전방 양측에 제1그라운드단자부(171)가 구비되며, 제1단자들(130)의 사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몰딩 성형을 통해 하우징(110) 상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제2단자들(150)의 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면서 후방 양측에 제2그라운드단자부(191)가 구비되며, 제2단자들(150)의 3방에 대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제1그라운드단자부(171)를 기준으로 하여 장방형의 틀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1내부차폐부(175), 제1외부차폐부(17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제1단자들(130)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단자(130)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172)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73)가 형성되는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와,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171) 후방 측으로 연이어져 다수의 제1단자(130)와 다수의 제2단자(150) 사이에 배치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130)와 다수의 제2단자(150) 간에 상호 차폐되도록 하는 제1내부차폐부(175) 및
    한 쌍의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의 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1단자(130) 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제1외부차폐부(1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는 제1그라운드단자부(171)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73)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73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단자(130)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33)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그라운드단자(170)의 제1내부차폐부(175)는 제1그라운드부(171)의 후방 측과 마주하는 길이방향 양측에 일정면적으로 가지고 상향 함몰되어 연통홈(17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제2단자들(150) 중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2단자(150)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실장부(192)로부터 일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역 "U'자 형상과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접속부(193)가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와,
    한 쌍의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연장되어 직립 판 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제2단자(150) 후방 측에 대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제2외부차폐부(197) 및
    상기 제2외부차폐부(197)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되, 하우징(110)의 길이방양 양측에 상, 하단이 노출되게 몰딩 성형을 통해 고정설치되어,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에 대한 하우징(110) 상에 지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양측 하단이 외향 절곡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9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제2그라운드단자부(191)의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93)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93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단자(150)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접속부(153)의 내부 양측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5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지지부(199)의 제2단자(150) 측을 향하는 면에 하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웨지 형상 또는 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속걸림돌기(199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폐그라운드단자(190)는 제2그라운드단자부(191)를 기준으로 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면서 제2외부차폐부(197), 지지부(199)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00021201A 2020-02-20 2020-02-20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4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01A KR102343645B1 (ko) 2020-02-20 2020-02-20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01A KR102343645B1 (ko) 2020-02-20 2020-02-20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51A KR20210106251A (ko) 2021-08-30
KR102343645B1 true KR102343645B1 (ko) 2021-12-29

Family

ID=7750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01A KR102343645B1 (ko) 2020-02-20 2020-02-20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5561A1 (en)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180183189A1 (en) * 2016-12-28 2018-06-2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132B2 (ja) 1995-05-25 2002-07-29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JP2008103122A (ja) 2006-10-17 2008-05-0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KR101531867B1 (ko) 2014-01-13 2015-06-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형 보드 커넥터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5561A1 (en)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180183189A1 (en) * 2016-12-28 2018-06-2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51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94789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terminals in an upper row in contact with those in a lower row
US931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ed for transmitting high frequency signals
JP2020205282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20180183189A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TWI578629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TWI424638B (zh) 性能增強之接點模組總成
US7086901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6256426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7037135B2 (en) Dou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9755370B2 (en) Flipp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mounted upon printed circuit board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CN104901086A (zh) 连接器
US8366491B2 (en) USB plug cable assembly
TW202143573A (zh) 連接器組裝體
US201603296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ereof
TWM539726U (zh) 連接器組合結構
US919077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etter electrical performance
JP6970928B2 (ja) 電気コネクタ
US9240640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retainer and retainer thereof
KR102343645B1 (ko)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JP2023026504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20040209522A1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