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580A - 혈액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580A
KR20090085580A KR1020097007886A KR20097007886A KR20090085580A KR 20090085580 A KR20090085580 A KR 20090085580A KR 1020097007886 A KR1020097007886 A KR 1020097007886A KR 20097007886 A KR20097007886 A KR 20097007886A KR 20090085580 A KR20090085580 A KR 2009008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lood test
test apparatus
blo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 시노하라
마사카즈 모리
코야 쿠로카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3Devices therefor, e.g. test element readers,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센서를 삽입 장착하여 사용되는 혈액 검사 장치에 있어서, 혈액 센서의 장착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시각장애인, 그 중에서도 당뇨병 망막증을 앓는 환자가 매일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해 혈액 센서를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할 때, 장착부 위치를 인식하기 쉽게 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회로부와, 혈액 센서를 삽입하기 위해 케이스 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된 장착부를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로서, 장착부 표면색의 명도가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고, 또한 청추체의 장애를 갖는 환자가 식별 가능한 색채인 혈액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혈액 검사 장치{BLOOD TEST DEVICE}
본 발명은 시력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나 고령자 등이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혈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혈액 센서와, 해당 혈액 센서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혈액 검사 장치 본체를 갖는 혈액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등을 참조). 도 1에 종래의 혈액 검사 장치(1)의 예를 도시하였다. 혈액 검사 장치(1)의 케이스(2)는 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2)의 측면(2a)에는 장착부(4)가 설치되고, 장착부(4)에는 혈액 센서(이하 "센서"라고도 한다)(3)가 삽입된다. 장착부(4)는 케이스(2)와 동일한 색인 경우가 많다. 또한, 케이스(2)의 상면(2b)에는 표시부(5)와 조작 버튼(6)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5)와 조작 버튼(6)은 전기 회로부(미도시)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3)의 일단에는, 혈액(7)을 채취하는 채취구(3a)가 마련된다. 채취구(3a)는 통로(3b)를 통해 검출부와 연결된다. 검출부에는 검출 전극이 설치된다. 검출 전극은 혈액 검사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전기 회로부에 접속된다.
혈액 검사 장치(1)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혈액 검사 장치(1)의 측면(2a) 에 설치된 장착부(4)에 센서(3)를 삽입하여 혈액 검사의 준비를 한다. 준비가 끝나면, 환자의 피부(8)를 천자(穿刺)한다. 이 천자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부(8)로부터 혈액이 유출하여 혈액 방울(7a)을 형성한다. 이 혈액 방울(7a)에 센서(3)의 채취구(3a)를 접촉시킨다. 그러면, 채취구(3a)로부터 혈액이 검출부로 유입되어 검출부의 시약과 화학 반응한다. 이 화학반응에 의해 생긴 전기 신호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 회로부로 전달된다. 전기 회로부에서 혈당치가 계산된다. 그 계산 결과를 표시부(5)에 표시한다. 환자는 표시부(5)에 표시된 값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인슐린을 주사한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02/44705호 팸플릿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당뇨병 환자 중에는, 당뇨병과 함께 당뇨병 망막증을 가진 합병증 환자나, 시력이 저하된 고령 환자도 많다. 이들 환자는 말하자면 시각 장애도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혈액 검사 장치는 이들 시각 장애도 있는 환자가 조작하기 쉬운 장치라고는 하기 어려웠다. 즉, 시각 장애도 있는 환자는 혈액 검사 장치의 센서 장착부의 색과 케이스의 색이 동일하면, 센서 장착부의 위치를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센서 장착부에 센서를 삽입하기 어려웠다.
최근, 장착부 근방의 색이 케이스 표면색과 다른 혈액 검사 장치가 보고되고 있다(http://www.abbott.co.jp/medical/product/adc/index.asp?r=1을 참조). 하지만, 이들은 디자인성만을 고려하여 표면색이 선택되며, 장착부 위치 인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표면색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당뇨병 망막증 환자나 시력이 저하된 고령 환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혈액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혈액 검사 장치의 빈번한 조작이 필요한 부재의 표면색을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은 명도로 하고, 또한 청추체(靑錐體) 장애를 갖는 시각으로 식별 가능한 색채로 하면, 시각 장애가 있는 환자라 하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혈액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회로부와, 혈액 센서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된 장착부를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로서,
상기 장착부의 표면색은,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은 명도를 가지면서 청추체 장애가 있는 시각으로 식별 가능한 색채인 혈액 검사 장치.
[2] 상기 전기 회로부와 접속되며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은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은 명도를 가지면서 청추체 장애가 있는 시각으로 식별 가능한 색채인 혈액 검사 장치.
[3]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의 색상은 오렌지색(橙色)∼적색인 [1] 또는 [2]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4]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400∼550㎚의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600∼700㎚의 오렌지색∼적색인 [3]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5]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1∼4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9.5∼7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6] 상기 장착부는 혈액 검사 장치의 내부를 향함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7]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조작 버튼에는 형광재 또는 축광재가 도포된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8]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조작 버튼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매설된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9]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액 검사 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에서는, 센서의 장착부의 표면색이 케이스의 표면색보다 높은 명도를 갖고, 청추체 장애가 있는 시각에 대해 식별 가능한 색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는 조작 버튼을 가지며, 또한 조작 버튼도 센서 장착부와 마찬가지로 케이스의 표면색보다 높은 명도를 갖고, 청추체의 장애가 있는 시각에 대해 식별 가능한 색채를 갖는다(이하, 센서의 장착부와 조작 버튼을 총칭하여 "입력부"라고도 한다). 따라서, 당뇨병 망막증이나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입력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혈액 검사 장치를 매회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혈당치의 제어가 용이해져 당뇨병 망막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합병증의 진행을 방지(또는 지연)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혈액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사용 설명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장착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혈액 검사 장치에 장착하는 센서의 조립도이다.
도 9는 혈액 검사 장치 내에 설치된 전기 회로부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인간의 눈의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먼셀 컬러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는, 1) 케이스, 2)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회로부, 3) 혈액 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된 장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4) 상기 전기 회로부와 접속하고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 된 조작 버튼을 더 갖는다.
장착부에 장착되는 혈액 센서는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혈액 검사마다 교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혈액 센서는, 검사마다 혈액 검사 장치의 외부로부터 혈액 센서를 장착부에 삽입해도 되고(도 3 등을 참조), 혈액 검사 장치 내부에 미리 설치된 혈액 센서가, 검사마다 장치 내부로부터 장착부로 송출되어도 된다(도 7 등 참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검사 장치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3에 표시된 혈액 검사 장치(11)는, 1) 직육면체 형상을 한 케이스(12), 2) 케이스(12)의 측면(12a)에 배치된 장착부(14), 3) 케이스(12)의 상면(12b)에 배치된 표시부(15)와 조작 버튼(16)(조작 버튼(16a)(16b)의 총칭), 4) 케이스(12)의 내부에 수납되며 표시부(15)와 조작 버튼(16)에 접속된 전기 회로부(30)(도 9 참조)를 갖는다. 장착부(14)에는 혈액 센서(13)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는, 장착부(14) 또는 조작 버튼(16)의 표면색에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장착부 또는 조작 버튼의 표면색을, 당뇨병 망막 질환 환자 등에게 인식되기 쉬운 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착부(14)의 표면이란, 도 3에서의 장착부(14)의 입벽면(14b), 수평면(14c), 및 수직면(14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입벽면(14b), 수평면(14c), 및 수직면(14d) 중, 예를 들면 수평면(14c)의 명도를 가장 높게 하면, 장착부의 위치를 보다 판별하기 쉬워진다.
사람의 망막에는, 어두울 때에만 기능하는 간체(杆體)와, 밝을 때에만 기능하는 추체(錐體)의 두 종류의 시세포가 있다. 도 10의 분광 특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체에는 적추체(赤錐體)(L), 녹추체(綠錐體)(M), 청추체(靑錐體)(S)의 세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주로 느낀다. 추체가 이 세 종류 파장의 빛에 반응함으로써 인간은 색을 인식한다.
한편, 당뇨병 망막 질환은 추체에 장애를 주기 때문에, 기능하는 추체의 세포수를 감소시킨다. 특히 청추체는, 적추체나 녹추체에 비해 본래 적어 추체의 전체 세포수의 불과 몇 퍼센트밖에 안 된다. 따라서, 초기의 망막 장애에도 영향을 받기 쉬워 청색맹, 청색 색약의 증상이 발병하기 쉽다.
추체에 장애가 없는 사람은, 청보라∼청∼청록∼녹∼황록까지를 청(靑)으로 인식하므로 청색으로 인식되는 파장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 따라서, 추체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녹색을 인식하기 어려워지고, 황색을 채도가 저하된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추체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인식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혈액 검사 장치의 빈번한 조작이 필요한 부재(이하, 조작이 필요한 부재를 "입력부"라고도 칭한다)의 표면색이 적절하게 선택되지 않으면, 해당 부재의 위치 파악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장치의 조작이 곤란하게 되어, 혈액 검사가 번잡해 진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에서의, 빈번한 조작이 필요한 부재(입력부)의 예로는, 혈액 센서가 삽입되는 장착부 및 전기 회로부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 등이 포함된다. 이들 부재는 혈액 검사마다 조작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입력부의 표면색을, 추체에 장애를 가진 시각으로 식별 가 능한 색채로 하고, 또한 상기 입력부의 표면색의 명도를 그 주변 부재의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게 하면, 추체에 장애가 있는 환자도 상기 입력부를 인식하기 쉽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명도란 색의 밝기의 지표이다. 명도를 수치화하는 수단으로, 먼셀 컬러 시스템이 있다. 도 11에 먼셀 컬러 시스템의 명도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입력부 표면색은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로 약 9.5∼7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부 주위(예를 들면 케이스)의 표면색은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로 약 1∼4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혈액 검사 장치의 케이스(12)의 표면색은 명도가 낮은(어두운) 색, 이른바 어두운 회색을 하고 있으며, 또한 장착부(14)나 조작 버튼(16)의 표면색은 명도가 높은(밝은) 색, 이른바 밝은 회색을 하고 있다. 색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장착부(14)나 조작 버튼(16)의 위치 인식을 용이하게 하였다.
색상이란, 백 및 흑을 제외한 각각의 색상을 말하며, 적, 청, 황이 색상의 3 요소이다. 색상은 스펙트럼 단광색의 파장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입력부의 표면색은 오렌지색∼적색인 것이 바람직하며, 파장 600∼700㎚의 오렌지색∼적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렌지색∼적색은 추체에 장애가 있는 시각으로 식별이 가능, 또는 식별하기 쉬운 색이다.
또한, 입력부 중 센서를 삽입하는 장착부의 표면색은, 적색보다 오히려 오렌지색(파장 600∼675㎚)인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센서의 장착부에는 혈액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장착부가 붉으면 부착된 혈액이 잘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입력부 주위(예를 들면 케이스)의 표면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입력부의 표면색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력부 주위의 표면색은 보라색∼청색∼녹색이며, 파장 400∼550㎚의 보라색∼청색∼녹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뇨병 망막증 환자는 파장 400∼550㎚까지의 빛을 보라색∼청색∼녹색으로 지각하고, 게다가 낮은 명도의(어두운) 색으로서 인식한다. 또한, 파장 600∼700㎚까지의 빛을 오렌지색∼적색으로 지각하며, 게다가 높은 명도의(밝은) 색으로서 인식한다. 즉, 색상 차이와 함께 명도차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된 장치 케이스(12)의 표면색은 보라색∼청색∼녹색(파장 400∼550㎚)이며, 장착부(14)의 표면색은 오렌지색(파장 600∼675㎚)이다. 또한, 조작 버튼(16)의 표면색의 명도는 장착부(14) 표면색의 명도보다 낮게 하였다. 따라서 망막증 환자에게 있어서는, 조작 버튼(16)의 표면색은 장착부(14)의 표면색만큼 눈에 띄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망막증 환자에게 장착부(14)와 조작 버튼(16)의 차이를 인지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렌지색은 채도가 높아 망막증 환자의 주의를 끌 수 있기 때문에, 장착부(14)는 용이하게 식별된다. 따라서, 당뇨병 망막증 환자나 고령자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장착부(14)를 식별할 수 있어, 혈액 검사 장치(11)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당치의 제어가 쉬워져, 망막증의 진행을 방지(또는 지연)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혈액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검사를 행하는 환경은, 항상 충분히 밝은 환경이라고는 할 수 없다. 외출시의 검사, 예를 들면 화장실이나 세면장 등 어슴푸레한 빛의 환경하에서 검사를 행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표시된 장치(11)의 장착부(14)나 조작 버튼(16)에, 형광 도료나 축광 도료를 도포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이들 부재의 판별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장착부(14)나 조작 버튼(16)에 오렌지색(적색이라도 됨)의 발광 다이오드를 매설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장착부(14)나 조작 버튼(16)이 밝게 빛나므로, 이들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도 4는 장착부(14)와 그 근방의 단면도이다. 장착부(14)는 측면(12a)과 상면(12b)이 접하는 모서리에 설치된다. 장착부(14)는 케이스(12)의 상면(12b)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면(14c)과, 케이스(12)의 상면(12b)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입벽면(14b) 및 수직면(14d)을 포함한다. 장착부(14)는 케이스(12)의 모서리에 개구하고 있으므로, 케이스(12)의 측면(12a)쪽으로부터도 상면(12b)쪽으로부터도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14)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장착부(14)의 측면(12a)으로부터 장치 내부로 깊숙한 위치에는, 센서(13)가 장치 내부로 끼어 들어가기 위한 입구(14a)가 있다. 즉 입구(14a)는, 수평면(14c)과 수직면(14d)의 틈새이다. 입구(14a)는 센서(13)의 통로(12c)와 연결된다. 통로(12c)의 깊숙한 곳에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입구(14a)는 그림자에 의해 까맣게(어둡게) 보인다. 이 때문에 장착부(14)의 표면색을 오렌지색으로 하면, 입구(14a)와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장착부(14)의 위치 식별이 용이해진다.
장착부(14)의 입벽면(14b)(도 3 참조)은, 입구(14a)로부터 장치 외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착부(14)의 형상은 입구(14a)를 향해 좁아진다. 그 때문에 센서(13)를 장착부(14)의 입벽면(14b)과, 수평면(14c)과, 수직면(14d)을 따라 입구(14a)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삽입도 용이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11)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5에 표시된 혈액 검사 장치의 장착부(14)는, 도 3에 표시된 장치의 장착부(14)와 비교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장착부(14) 부근의 케이스(12) 상면(12b)의 색상 또는 명도가 케이스의 색상 또는 명도와는 달라져 있으므로, 장착부(14)의 시인성은 보다 높아진다. 또한 장착부(14)의 형상을, 케이스(12)의 상면(12b)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장착부(14)의 인식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6에 도시하는 혈액 검사 장치(11)의 장착부(14)는, 도 5에 도시한 장치의 장착부(14)와 비교하여, 장착부(14)의 주위가 돌출되어 돌출부(14e)를 형성하고 있어, 장착부(14)가 특색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14e) 등으로 장착부(14)의 형상에 특색을 주면, 사용자는 촉각으로도 장착부(14)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혈액 검사 장치는, 혈액 검사 장치의 외부로부터 장착부(14)에 혈액 센서(13)를 "삽입"해 사용하지만, 한편 도 7에 도시한 혈액 검사 장치(11)는 장치 내부에 장착된 혈액 센서(13)가 장치의 "내부로부터 송출"되어, 장착부(14)에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장치에서도 장착부(14)의 시인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된 장치와 마찬가지로 색상이나 명도가 선택된다. 물론, 도 7에 도시되는 조작 버튼(16)의 색상이나 명도를 케이스(12)의 색상이나 명도로부터 변경 해도 된다.
혈액 검사 장치의 내부에는, 복수의 혈액 센서(13)가 적층된 카트리지가 장착되어도 된다. 검사 때마다 1개씩의 혈액 센서(13)가 장치 내부로부터 송출된다. 도 7에 도시되는 장치(11)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의 혈액 센서(13)를 장착부에 삽입하는 조작이 필요 없게 되므로, 검사 조작도 간편해 진다. 또한, 혈액 검사 장치(11)와 혈액 센서(13)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8은 혈액 센서(13)의 조립 분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기판(17)의 상면에는 검출 전극(18∼20)과, 검출 전극(18∼20)으로부터 각각 도출된 접속 전극(18a∼20a)이 배치된다. 검출 전극(18∼20)과 접속 전극(18a∼20a)은 금, 백금 또는 팔라듐 등을 재료로 하는 스퍼터링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기판(17) 위에 형성된 도전층을, 레이저 가공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23)는 기판(17)의 검출 전극(18∼20)으로 구성되며, 검출부(23)에는 시약(24)이 얹어진다. 시약은 측정할 혈액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면, 혈당치를 측정할 경우의 시약(24)은 PQQ-GDH,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을 첨가해 용해시켜 조정한 시약 용액을 적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판(17)과 시약(24)의 위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스페이서(25)가 장착된다. 스페이서(25)에는, 선단(25a)측으로부터 후단(25b)을 향해 슬릿(25c)이 형성된다. 슬릿(25c)은 검출부(23)를 노출시킨다. 또한, 슬릿(25c)의 내측부(25d)는 기판(17)에 형성된 접속 전극(18a∼20a)을 노출시킨다.
후술하는 커버(27)가 겹쳐져 맞춰지면, 슬릿(25c)은 통로(26)를 형성한다. 스페이서(25)의 선단(25a)은 혈액(7)의 채취구(28)가 된다. 슬릿(25c)의 내벽면에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면, 혈액 방울(7a)(도 2 참조)이 채취구(28)로부터 통로(26)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되고 검출부(23)로 유도된다.
스페이서(25) 위에는 커버(27)가 장착된다. 커버(27)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작하면 된다. 기판(17)과 스페이서(25)와 커버(27)를 겹쳐 맞추면, 슬릿(25c)에 대응하는 통로(26)가 형성된다. 커버(27)에는 공기 구멍(27a)이 형성된다. 공기 구멍(27a)과 통로(26)는 통로(26)의 내측부(25d)에서 연통된다.
도 8에 도시하는 혈액 센서(13)에 채취구(28)로부터 혈액(7)이 유입되면, 혈액(7)은 통로(26)의 모세관력에 의해 율속(律速) 상태로 검출부(23)로 단번에 유도된다. 그리고, 혈액(7)이 검출부(23)에 배치된 시약(24)과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도 9는 혈액 검사 장치(11)의 전기 회로부(30)의 블록도이다. 도 9에서, 혈액 센서(13)의 접속 전극(18a∼20a)은 커넥터(31a∼33a)를 통해 전환 회로(35)에 접속된다. 전환 회로(35)의 출력은 전류/전압 변환기(36)의 입력에 접속된다. 전류/전압 변환기(36)의 출력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후, A/D 변환기라고 함)(37)를 통해 연산부(38)의 입력에 접속된다. 연산부(38)의 출력은 표시부(15)와 송신부(39)에 접속된다. 표시부(15)는 액정 표시부 등이다. 전환 회로(35)에는 기준 전압원(40)이 접속된다. 기준 전압원(40)은 접지 전위이라도 된다.
한편, 제어부(41)의 출력은 전환 회로(35)의 제어 단자와, 연산부(38)와 송신부(39)에 접속된다. 제어부(41)의 입력에는, 조작 버튼(16)(도 3의 참조 번호 16a 및 16b 참조)과 타이머(42)가 접속되며, 또한 시계(미도시)나 메모리(미도시)가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전기 회로부(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 버튼(16a)를 누름으로써, 전기 회로부(30)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는, 삽입된 센서(13)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도 된다.
센서(13)의 신호는, 접속 전극(18a∼20a) 및 커넥터(31a∼33a)를 통해 전환 회로(35)에 입력된다. 제어부(41)가 전환 회로(35)를 전환하여, 검출 전극(20)(도 8 참조)을 전류/전압 변환기(36)에 접속한다. 또한, 혈액(7)의 유입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극이 되는 검출 전극(18)을 기준 전압원(40)에 접속한다. 그리고, 검출 전극(18) 및 검출 전극(20)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혈액(7)이 검출부에 유입되면, 검출 전극(18)과 검출 전극(20)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36)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그 전압치는 A/D 변환기(37)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디지털값은 연산부(38)를 향해 출력되어, 충분한 양의 혈액(7)이 검출부에 유입된 것을 연산부(38)가 검지한다.
그 다음, 혈액 성분(예를 들면, 글루코오스)의 양을 측정한다. 우선 제어부(41)의 지령에 의해 전환 회로(35)를 전환하여, 혈액 성분량의 측정을 위한 작용극이 되는 검출 전극(20)을 전류/전압 변환기(36)에 접속한다. 또한, 혈액 성분량의 측정을 위한 대극이 되는 검출 전극(19)을 기준 전압원(40)에 접속한다.
혈액 성분과 시약(예를 들면, 산화 환원 효소)을 반응시키고 싶은 경우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1∼10초), 전류/전압 변환기(36) 및 기준 전압원(40)을 오프(off)로 해 두어도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41)의 지령에 의해 검출 전극(20)과 검출 전극(19) 사이에 일정한 전압(0.2∼0.5V)을 인가한다. 그러면, 검출 전극(20)과 검출 전극(19)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36)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그 전압치는 A/D 변환기(37)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연산부(38)를 향해 출력된다. 연산부(38)는 그 디지털값을 기초로 글루코오스 성분량으로 환산한다. 이 글루코오스 성분량은 메모리에 측정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글루코오스 성분량은 조작 버튼(16b)을 누를 때마다 저장된 순서로 표시부(15)에 표시된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혈액 성분량을 송신부(39)로부터 인슐린 주사 장치로 송신해도 된다. 이 송신은 전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의료 기구에 대한 방해가 없는 광통신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는, 임의의 혈액 성분 측정에 사용할 수 있으며, 물론 글루코오스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센서(13)의 시약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글루코오스 이외의 혈액 성분, 예를 들어 유산치나 콜레스테롤 등의 측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 장치는, 시력 질환이 있는 당뇨병 망막 환자나 시력이 저하된 고령자라도 매번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력 질환이 있는 환자 등이 사용하는 혈액 검사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본 출원은, 2006년 11월 3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JP2006-323398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해당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Claims (14)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회로부와, 혈액 센서가 장착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된 장착부를 구비하는 혈액 검사 장치로서,
    상기 장착부의 표면색은,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은 명도를 갖고, 또한 청추체 장애가 있는 시각으로 식별 가능한 색채인 혈액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부와 접속하고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은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명도보다 높은 명도를 가지면서 또한 청추체 장애가 있는 시각으로 식별 가능한 색채인 혈액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표면색의 색상이 오렌지색∼적색인 혈액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의 색상이 오렌지색∼적색인 혈액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400∼550㎚의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600∼700㎚의 오렌지색∼적색인 혈액 검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400∼550㎚의 보라색∼청색∼녹색이고, 또한 상기 조작 버튼의 표면색의 색상이 파장 600∼700㎚의 오렌지색∼적색인 혈액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1∼4이고, 또한 상기 장착부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9.5∼7인 혈액 검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1∼4이고, 또한 상기 조작 버튼 표면색의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명도가 9.5∼7인 혈액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혈액 검사 장치의 내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혈액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형광재 또는 축광제가 도포된 혈액 검사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에는 형광재 또는 축광재가 도포된 혈액 검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매설된 혈액 검사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매설된 혈액 검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 장치.
KR1020097007886A 2006-11-30 2007-11-28 혈액 검사 장치 KR20090085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3398 2006-11-30
JP2006323398 2006-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80A true KR20090085580A (ko) 2009-08-07

Family

ID=3946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886A KR20090085580A (ko) 2006-11-30 2007-11-28 혈액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68795A1 (ko)
EP (1) EP2088425B1 (ko)
JP (1) JP5027819B2 (ko)
KR (1) KR20090085580A (ko)
CN (1) CN101553725B (ko)
CA (1) CA2670609A1 (ko)
WO (1) WO2008066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137A1 (ja) * 2007-07-18 2009-01-22 Panasonic Corporation 血液検査装置
US20110230787A1 (en) * 2007-08-03 2011-09-22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device and test method
WO2009031312A1 (ja) * 2007-09-04 2009-03-12 Panasonic Corporation 血液検査装置
JP5290974B2 (ja) * 2007-09-04 2013-09-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血液分析装置
WO2009031313A1 (ja) * 2007-09-04 2009-03-12 Panasonic Corporation 血液分析素子とそれを用いた血液分析装置
KR20100130215A (ko) 2008-03-17 2010-12-10 파우워매트 엘티디. 유도송전장치
JP5473862B2 (ja) * 2010-10-29 2014-04-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059A (en) * 1976-05-14 1980-03-25 Aquaphase Laboratories, Inc. Chemical test kit
DE4041905A1 (de) * 1990-12-27 1992-07-02 Boehringer Mannheim Gmbh Testtraeger-analysesystem
US5231993A (en) * 1991-11-20 1993-08-03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Blood sampler and component tester with guide member
US6129823A (en) * 1997-09-05 2000-10-10 Abbott Laboratories Low volume electrochemical sensor
JP4352107B2 (ja) * 1998-10-20 2009-10-2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レンズ付き液体試料測定装置
US6514460B1 (en) * 1999-07-28 2003-02-04 Abbott Laboratories Lumin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US7147825B2 (en) * 2000-02-18 2006-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asuring system
EP1172651B1 (en) * 2000-02-18 2015-07-15 Panasonic Healthcare Co., Ltd. Measuring system
CN1161075C (zh) * 2000-02-18 2004-08-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传感器测定装置用的检查片
JP2002013268A (ja) * 2000-06-29 2002-01-18 Hara Kogyo Kk バリアフリーラインを有する階段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2044705A1 (en) 2000-11-30 2002-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measuring instrument for biosensor, and method of quantifying substrate
US6562625B2 (en) * 2001-02-28 2003-05-13 Home Diagnostics, Inc. Distinguishing test types through spectral analysis
JP2002311022A (ja) * 2001-04-11 2002-10-23 Horiba Ltd 自動蓄尿検査装置
JP4242217B2 (ja) * 2002-07-18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およびバイオセンサ用測定装置
JP3557424B1 (ja) * 2004-02-17 2004-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血糖値測定装置
US7964146B2 (en) * 2004-05-30 2011-06-21 Agamatrix, Inc. Measu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052619B2 (en) * 2006-01-31 2011-11-08 Panasonic Corporation Blood sensor and blood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3725A (zh) 2009-10-07
EP2088425A4 (en) 2016-09-21
CN101553725B (zh) 2013-04-03
CA2670609A1 (en) 2008-06-05
JPWO2008066080A1 (ja) 2010-03-04
WO2008066080A1 (fr) 2008-06-05
EP2088425A1 (en) 2009-08-12
US20100068795A1 (en) 2010-03-18
EP2088425B1 (en) 2019-10-16
JP5027819B2 (ja)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5580A (ko) 혈액 검사 장치
US9770202B2 (en) Modular analyte measurement system with extendable strip port
EP1065501B1 (en) Blood measuring instrument
US91099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management in data communication systems
EP1965691B1 (en) Portable analytical device
JP2006522346A (ja) 分析物試験データを転送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448197B2 (en) Marker for readings taken from alternative site tests
KR20010074994A (ko) 의료용 측정장치
AU2011329357A1 (en)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with high and low analyte trends notification
TW200918896A (en) Test stripe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and testing device thereof
JP2019025365A (ja) 視覚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連続的グルコースモニタリング身体装着型センサ
ES2832744T3 (es) Medidor de glucemia con interfaz de usuario de bajo coste que tiene indicadores gráficos programados
JP2015212685A (ja) センサおよび測定装置
RU2693360C2 (ru) Прибор для измерения аналита и методика настройки конфигураци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диапазона
TW201610436A (zh) 藉由波長過濾之光切換指示器
KR20180064854A (ko) 혈당량 분석 기능을 갖는 휴대용 혈액 진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