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614A -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 Google Patents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614A
KR20090084614A KR1020080023649A KR20080023649A KR20090084614A KR 20090084614 A KR20090084614 A KR 20090084614A KR 1020080023649 A KR1020080023649 A KR 1020080023649A KR 20080023649 A KR20080023649 A KR 20080023649A KR 20090084614 A KR20090084614 A KR 20090084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ip
variable
water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익
Original Assignee
김주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익 filed Critical 김주익
Publication of KR2009008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22Air-cushion provided with hydro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3/00Land vehicles, waterborne vessels, or aircraft, adapted or modified to travel on air cushions
    • B60V3/06Waterbor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9/00Marine pro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금까지 공지된 시스템과 다른 공기압력을 이용하여부력을 발생시키고 물의저항과 파도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적은 엔진으로 초고속으로 물위를 달리 수 있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을 얻기 위한 것인 바,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전/후방 댐퍼부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와, 상기 배면구조부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콤프레셔장치에서 노즐을 통하여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켜고, 상기 전/후방 가변브레이드 사이에 동력부 임펠러를 구성하여 부력과 동시에 임펠러의 회전력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서, 기존의 배의 운영방식과 전혀 다른 구조로 저항을 최소화시켜 초고속정을 구현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가변브레이드, 공기부양, 가압공기, 콤프레셔, 밀폐공기실, 저항감소, 에너지효율

Description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Cushion vehicle by airtight air chamber}
본 발명은 부양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금까지 공지된 시스템과 다른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부력과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물위를 달리수 있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위를 달리는 배로 물의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배의 좌우에 충분한 줄이와 깊이의 사이드(side)댐퍼와 윗면이 막힌 형태에 앞뒤에 가변 댐퍼가 막고 이를 물에 담그면 그 안쪽이 밀폐되고 그 밀폐실에 콤프례샤 등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부력으로 배가 뜨게 되고 기존의 가속방식 스크류 팬 기타방식으로 배를가속하면 배밖의 수압과 배내부의 공기실공의 공기압의 평형이 무너지면서 밑의 가변댐퍼부터 열리면서 물이 밀폐공기실로 들어오고 들어온물은 공기압에의하여 수면이 낮아지고 나아가 q선미의 가변담퍼를 지나면 낮아진 대기압으로 수면이 높아지면서 추진력으로 배를 밀어서 선수의 물의 저항을 만회한다
바지선 화물선 여객선과 호버크레프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물의 저항과 전면의 파도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적은 엔진으로 초고속배를 얻고자하는바.
밀폐공기실의 공기압으로 인한 부양으로 부력을 얻음과 동시에 밀폐공기실로 들어온 물을 공기압으로 수면을 낮추고 배가 전진하면선미의 가변댐퍼를 지나게 되고 물은 대기압으로 복원된다.
즉 선수의 다단계 가변댐퍼와 밀폐공기실의 압력이 물을 거의 제자리에서 밀어내리고 선미의 가변댐퍼를 지나면 배는 전진되고 물은 제자리로 복원되는 파도의 원리인 것이다.
파도같이 일시에 물이 밀려들어오면 선수의 다단계가변댐퍼가 동시에 열려 안정화 되면서 들어오고 밀폐공기실의 공기압으로 수면을 낮추고 선미의 가변댐퍼를 통과하면 많은 유량으로 부양선의 추진력으로 작용된다.
이로서 저항이 거의 없는 적은 엔진으로 초고속 부양선이 이루어지는 것임.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은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다단계의 가변형댐퍼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와, 상기 배면구조부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 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콤프레셔장치에서 노즐을 통하여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가압된 공기가 밀폐공기 실로 들어온 물의 수면을 낮추면 상부의 배는 실제로 물에 잠김 것이 아니라 물위에 뜨고, 배밑의 물은 파도처럼 제자리에서 배만 보내고 물은 내려갔다 올라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댐퍼벽의 구조는 물과 마찰을 최소화한 하부가 개구된 "∩"형 구조로 형성된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동력구조를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방과 후방에 가변브레이드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각각의 가변브레이드에 각각의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또 공기 부양으로 높아진 무게중심은 일반배가 역삼각형태이나 부양선은 사각형이기에 안정성에 문제가 없어보이나(스치로플판이 그릇을물에 띄웠을때보다 안전) 쌍동선이나 부양선을 넓게 설계하고 측면 파도에 대해서도 일반배는 부력과 미는 힘을 받으나 부양선은 측면댐퍼가 90도이므로 부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미는 힘만 작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이 에너지를 혁신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전진저항을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시킨 효과가 있다.
또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많은 동력이 가진 엔진이 필요하지 않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선수의 물의 저항과 선미의 저항을 최소화하고자 밀폐공기 실에 의하여 물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적은 마력의 엔진을 사용하여 초고속 부양선을 갖도록 한 효과가 있으므로 선박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물위를 달리는 배로 물의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배의 좌우에 충분한 길이와 깊이의 공기댐퍼벽과, 윗면이 막힌 형태에 앞뒤에 다단계 가변 댐퍼 막고 이를 물에 담그면 그 안쪽이 밀폐되고 그 밀폐실에 콤프레셔장치 등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부력으로 내부의 공기압과 내부의 수압이 평형을 이루면서 배가 뜨게 되고
주행 시에는 앞쪽 다단계 가변 댐퍼가 물이 밀리면서 열리면서 공기밀폐실로 물이 들어오게 되고, 공기압으로 수면이 낮아지고 낮아진 수면은 뒷 가변 댐퍼를 통하여 지나 가 배가전진 된다.
선댐퍼(130-1)로 밀실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은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140)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가변형브레이드 회전체(130) 또는 유선댐퍼(130-1)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200)와, 상기 배면저면구조부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노즐(170)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 콤프레셔장치(220)와, 상기 콤프레셔장치(220)에서 노즐(170)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댐퍼벽의 전방과 후방사이에 동력원인 임펠러(390)를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는 배저면구조부내에 구성하여 공기에 의해 배를 부양하고 임펠러가 회전하여 배가 전진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배저면구조부(200)는 전진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직선형을 공기댐퍼벽(140)을 양측면의 전/후방면에 구성하여 상부와 전후방과 양측면이 막힌구조이고, 단지 하부만 열린상태로 구성된다. 즉 좌우측 공기댐퍼벽(140)에 구성하여 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 구조로 형성하였다.
상기 전방 후방에는 유선댐퍼를 구성하여 물에 의한 마찰을 감속하도록 유선형으로 구성하고 공기를 밀폐하도록 하여 가압된 상부 또는 측면으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부력을 이용하여 가변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의 속도와 무게에 따라 조절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성한다.
임펠러(390)에 의하여 앞쪽 가변 브레이드회전체가 전진에 의하여 가변브레이드가 밀리면서 물을 밀실쪽으로 들어오고 밀실에서는 공기압에 의하여 배밑으로 물이 밀리면서 가변댐퍼의 뒤로 이동하여 물의 저항이 거의 없이 배가 전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는 모터 또는 엔진과 연결된 스크류로 통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에는 임펠러로 설명하였다.
가변브레이드(120)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배밑면는 호형구조(160)를 형성하여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30)가 회전되면 하부는 돌출되는 가변브레이드(120)를 형성하고 상부는 가변브레이드가 중심체의 이동홀(110)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 전방에 장착시에는 시계방향으로 만 회전하도록 라쳇기어 또는 일방향기어가 장착된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는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140)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가변형브레이드 회전체(130)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200)와, 상기 배면구조부(200)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콤프레셔장치(220)에서 노즐(170)을 통하여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가압된 공기가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20)로 배출되도록 공기댐퍼벽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하여 공기가 배출하면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배저면구조부(200)는 전진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직선형을 공기댐퍼벽(140)을 양측면의 전/후방면에 구성하여 상부와 전후방과 양측면이 막힌구조이고, 단지 하부만 열린상태로 구성된다. 즉 좌우측 공기댐퍼벽(140)에 구성하여 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 구조로 형성하였다.
또 배저면구조부(200)는 상부에는 가변브레이드(120)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상부는 호형구조(160)를 형성하여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30)가 회전되면 하부는 돌출되는 가변브레이드(120)를 형성하고 상부는 가변브레이드가 중심체의 이동홀(110)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가변브레이드 회전체(200)는 중심체(100)의 측면에 이동홀(110)과 상기 이동홀에는 가변브레이드(12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브레이드는 상하부가 연결된 구조로 구성하였다.
상기 가변브레이드(120)는 상부변과 하부변이 연결된 구조로 형성하여 중심체(100)의 이동홀(110)을 통하여 가변브레이드가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가변브레이드 회전체가 회전시 상부의 호형구조(160)로 인하여 상부의 가변브레이드는 밀려서 이동홀로 들어가게되고 반대쪽의 하부는 돌출되는 가변브레이드를 형성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30)는 전진시에 전방 가변브레이드 회전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만 이루어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차단되는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라쳇기어(18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정역회전 기어를 구성하여 전후진시 회전방향을 조절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동력구조는 전후방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의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배를 부양시키도록 하여 물위에 떠있도록 하고, 물위에 떠있는 상태에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배가 저항을 가장덜 받으면서 전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댐퍼벽(140)의 전후방면에 가변형브레이드 회전체(130)의 사이에 동력원인 임펠러(390)를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부는 배저면구조부(200)내에 구성하여 공기를 가압하여 배를 부양하고 임펠러가 회전하여 전진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필요한 속도를 얻고 정속운항시 물의 표면속도와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의 가변브레이드(120) 속도를 동일하게 공회전시키면 물은 밀리지 않고 가변브레이드가 물을 찍고 지나가므로 물의 상부에는 댐퍼파문(140-1)과 브레이드 파문(120-1)만 표시되어 물에 대한 저항이 거의 발생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방의 가변브레이드 회전체 대신에 공기분리판을 형성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진행방향에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구조의 공기분리판을 형성하였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배와 물의 진행방향은 배가 물위를 진행시에 물을 가르면 전진하고 있으나 전진한 공간만큼의 자리가 빈상태를 채우기 위하여 물이 유입되고 또한 배를 당기는 현상이 되는 현상은 저항이 있고 그 저항이 크기때문에 추진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 된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은 밀폐공기실에 의한 배의 물흐름도를 나타낸것으로 배만물을 짚고 앞으로 전진하는 현상이 작용하여 일반배보다 저항을 최소화하였다.
도면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가속방법으로 필요한 속도를 얻고 정속운항시 물의 표면속도와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의 가변브레이드(120) 속도를 동일하게 공회전시키면 물은 밀리지 않고 가변브레이드가 물을 찍고 지나가므로 물의 상부에는 댐퍼파문(140-1)과 브레이드파문(120-1)만 표시되어 물에 대한 저항이 가의 없고, 밀폐실의 공기압력으로 물위면에 떠서 배가 지나간다.(파도처럼 제자리에서 올라갔다내려오므로 파동은 멀리까지 전달된다.)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동력구조는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가변형브레이드 회전체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200)를 양측면에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배선체(400)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배선체(400)를 물위에 띄우도록 양측면에 배저면구조부(200)를 형성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은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축(240)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형성한 기어(260)로 구성된 회전축을 전후방 가변브레이드 회전체(150)에 각각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과 기어(250)로 연결된 주기어축(290)을 구성하고, 상기 주기어축(290)을 회전하도록 중앙기어(270)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기어(280)가 형성된 모터부(300,동력부)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유사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에 회전력을 주도록 동력전달부를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모터부(동력부)를 회전시키면 중앙기어(270)가 회전하여 주기어축(290)이 회전하여 기어(250)에 맞물린 회전축(240)이 회전하여 배가 전진하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동력을 이용하여 가변브레이드 회전체를 회전하게 되면 배는 전진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은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140)을 구성하고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전/후방댐퍼부(430,440)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200)와, 상기 배면저면구조부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노즐(170)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 콤프레셔장치(220)와, 상기 콤프레셔장치(220)에서 노즐(170)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후방댐퍼부(430,440)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동력원인 임펠러(390)를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는 배저면구조부내에 구성하여 공기에 의해 배를 부양하고 임펠러가 회전하여 배가 전진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310)에 의한 부양선는 전후방면에 구성한 전/후방 댐퍼부에 밀폐공기실의 수위에 따라 가변브레이드(410-1,410-2,410-3,410-4)가 각각 개폐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전방과 후방에 가변브레이드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브레이드(410,420)를 개폐하도록 각각의 가변브레이드에 기어(460)와 모터(470)를 구성하여 각각의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컴퓨터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배의 무게 또는 속도에 따라 배가 수면에서 부양의 정도에 따라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컴퓨터제어부(500)에서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가 회전하여 가변브레이드가 이동되어 밀폐공기실실을 개폐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는 후방 댐퍼부에 이동형브레이드를 구성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밀폐공기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후방댐퍼부(45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홈(490)이 형성된 가이드지지대(35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대에 이동형브레이드(480)와 상기 이동형브레이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이동형브레이드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기어와 모터를 구성하거나 공압실린더(미도시함)를 구성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배의 속도와 무게에 따라 이동형브레이드를 구성하였다.
배의 밀변의 양측면에 충분한 길이의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부양선의 밀폐공기실의 전면에는 다단계 가변브레이드를 구성하고 밀폐공기실의 후면에는 가변브레이드를 구성하여 밀폐공기실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배의 밀변의 양측면에 충분한 길이의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부양선의 밀폐공기실의 전면에는 다단계 가변브레이드를 구성하고 밀폐공기실의 후면에는 가변 브레이드를 구성하여 밀폐공기실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면이 내려가면서 부력을 형성하였다.
부양시 밀폐공기실에 공기를 주입(0.1기압증가에 따라 1m씩의 수면이 내려감 토리첼리법칙 5m의 수면이 내려갈시 0.5기압을 가하면됨)하면 전면 다단계 가변브레이드보다 밀폐실 압력이 높아 가변브레이드가가 닫히고 수면이 내려감에 따라 가변브레이드는 밀폐 공기실의 구면에 따라 움직이고(부력)도 따라 내려가 충분한 부양력이 발생된다.
배가 전진하면 전면의 압력이 높아져 가변브레이드의 아래쪽부터 밀폐공기실보다 압력이 높아져 밀폐 공기실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밀폐공기실의 압력으로 낮아지면서 수위에 따라 후면 댐퍼부를 지나 배 뒤편으로 지나간다. 전면 저항으로 낮아지는 저항은 후면 댐퍼부를 지나면서 낮아진 부양선이 상쇄되어 저항이 감소된다.
고속주행시 수면이 밀폐 공기압으로 밀려내려 갈시간이 없어 수면을 치고 지나가는 현상이 발생때 밀폐 공기실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가동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방면에 가변형브레이드 회전체의 사이에 동력원인 임펠러를 구성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블레이드 회전체의 작동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7은 기존의 배의 진행방향에 따른 물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의 진행방향에 따른 물의 상태 표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배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을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의 가변브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을 도시한 사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심체 110 : 이동홀
120 : 가변브레이드 130 : 가변브레이드 회전체
140 : 공기댐퍼벽 150 : 축브라켓
160 : 호형구조 170 : 노즐
180 : 라쳇기어 200 : 배저면구조부
210 : 체크밸브 220 : 콤프레이셔장치
230 : 흡입구 240 : 회전축
250,260, 280 : 기어 270 : 중앙기어
290 : 주기어축 300 : 모터부
410-1,410-2,410-3,410-4 : 가변브레이드
430,440 : 전/후방댐퍼부 480 : 이동형브레이드

Claims (6)

  1.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상기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전/후방 댐퍼부를 구성한 배저면구조부와, 상기 배면구조부의 하부는 물에 개폐되어 사면이 막힌상태의 공간에 가압공기를 노즐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 콤프레셔장치와, 상기 콤프레셔장치에서 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댐퍼벽의 전방과 후방사이에 동력원인 임펠러를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는 배저면구조부내에 구성하여 공기에 의해 배를 부양하고 임펠러가 회전하여 배가 전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저면구조부는
    배의 밑면의 양측면에 공기댐퍼벽을 구성하고, 상기 공기댐퍼벽의 전후방면에 전/후방댐퍼부를 구성하여, 콤프레셔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배의 부력을 발생시키고, 가압된 공기가 충분히 채워진 후에 하부에 돌출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한 가변브레이드를 밀어 회전하도록 구성한 가변브레이드 회전체와, 좌측과 우측의 양방향에 형성된 공기댐퍼벽의 저면보다 보다 높은 위치에 가변브레이드 회전체를 구성하여 상부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하부로 공기가 배출하면서 가변브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브레이드회전체는
    중심체의 측면에 이동홀과 상기 이동홀에는 가변브레이드가 슬라이드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변브레이드는 상하부가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고, 전방 가변브레이드회전체는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라쳇기어를 구성하여 전방 가변브레이드 회전체는 배가 전진시에 역회전이 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댐퍼부는
    전방과 후방에 가변브레이드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각각의 가변브레이드에 기어와 모터를 구성하여 각각의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컴퓨터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댐퍼부는
    각각의 배출관을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의 전방에 가변브레이드를 구성하여 배출관과 배의 부상위치에 따라 가변브레이드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댐퍼부는
    배의 후방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지지대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대에 이동형브레이드와 상기 이동형브레이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KR1020080023649A 2008-01-31 2008-03-14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KR20090084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9915 2008-01-31
KR1020080009915 2008-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614A true KR20090084614A (ko) 2009-08-05

Family

ID=4120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649A KR20090084614A (ko) 2008-01-31 2008-03-14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42B1 (ko) * 2009-10-19 2011-08-09 오정택 공기 부양 고속 선박
WO2016153178A1 (ko) * 2015-03-26 2016-09-29 김성규 바지선을 이용한 골재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42B1 (ko) * 2009-10-19 2011-08-09 오정택 공기 부양 고속 선박
WO2016153178A1 (ko) * 2015-03-26 2016-09-29 김성규 바지선을 이용한 골재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9829B1 (en) Floatable dry docks
KR101827040B1 (ko) 감요 장치 및 선박
KR100424543B1 (ko) 마찰저항 저감선
US20110263168A1 (en) Gaseous fluid vessel propulsion system
KR20090084614A (ko) 밀폐공기실에 의한 부양선
JP5349621B2 (ja) 浮体用砕氷システム
JP5424155B2 (ja) バラスト注排装置
CA2429204A1 (en) Propulsion system of a ship, by ejection of water with a pump
US3127863A (en) Sumersible ground effect machine
KR20080076644A (ko) 프로펠러가 없는 고압에어추진선박
WO2014199152A2 (en) Watercraft hull
CN104812662B (zh)
WO2018039813A1 (zh) 一种气泡船
CN100415601C (zh) 通过引入空气来减小螺旋桨所引起的压力波动
CN106401876B (zh) 一种船用风力压差增速发电设备
US11746739B1 (en) Bouyancy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CN116513365A (zh) 一种船舶气泡减阻装置及减阻方法
JPH06191396A (ja) 気泡を流し込む高速船の構造
US638342A (en) Submarine vessel.
CN103523161B (zh) 带增速舱的低水阻的船
CN215794307U (zh) 一种双体船
JP2599278Y2 (ja) 気泡発生装置付き船舶
KR20050098774A (ko) 선박의 마찰저항, 조파저항 저감방법
CN114056526A (zh) 一种设有侧排气助推结构的船舶及其实施方法
JP2001129588A (ja) 気泡励流式水中エヤーレイ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