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454A - 분말 세제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세제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454A
KR20090084454A KR1020080010659A KR20080010659A KR20090084454A KR 20090084454 A KR20090084454 A KR 20090084454A KR 1020080010659 A KR1020080010659 A KR 1020080010659A KR 20080010659 A KR20080010659 A KR 20080010659A KR 20090084454 A KR20090084454 A KR 2009008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etergent
outlet
opening
detergent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95B1 (ko
Inventor
정근창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1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6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the powder or tablets being added directly, e.g. without the need of a flush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 D06F33/06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substantially mechan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 레버의 간단한 수평 회전에 의해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말 세제 배출 장치는,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상부를 수평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유출구가 형성되는 개폐판과;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부를 수평으로 커버하도록 끼워지며 제 2 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받침캡과; 상기 개폐판의 제 1 중앙홀과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중앙홀에 수직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축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내부에 일정량씩 공급받는 분말 세제 공급부를 갖는 회전 바스켓(basket)과;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개폐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직축을 구동하는 손잡이 레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수직축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바스켓의 분말 세제 공급부가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유출구로 이동되어 그 내부의 분말 세제가 일정량씩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말 세제, 정량 배출, 손잡이 레버

Description

분말 세제 배출 장치{POWDER DETERGENT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 레버의 간단한 수평 회전에 의해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습성이 있고, 흡습에 의해 품질이 손상되는 분말 상태의 제품, 예를 들면 세제류 등은 플라스틱으로 밀폐 제조된 용기나 종이로 밀폐 제작된 박스형태의 용기 내에 넣어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말 세제 용기는, 세제의 사용시 미리 구비된 개량 스푼으로 일정량의 분말 세제를 용기로부터 직접 떠내어 사용함에 따라 세제 사용시 포장된 용기의 뚜껑부를 개봉하여야 하고 개봉한 세제용기를 일정한 보관장소에 장기가 보관하게 되는 바 이때 공기중의 습기 등이 분말세제에 흡습되어 세제분말이 결착 및 응고되어 세제의 재사용시에는 이를 다시 파쇄하여 사용함에 따르는 등 보관상의 여러 가지 문제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 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에 의해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는,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상부를 수평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유출구가 형성되는 개폐판과;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부를 수평으로 커버하도록 끼워지며 제 2 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받침캡과; 상기 개폐판의 제 1 중앙홀과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중앙홀에 수직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축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내부에 일정량씩 공급받는 분말 세제 공급부를 갖는 회전 바스켓(basket)과;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개폐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직축을 구동하는 손잡이 레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수직축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바스켓의 분말 세제 공급부가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유출구로 이동되어 그 내부의 분말 세제가 일정량씩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출구와 상기 회전 바스켓의 분말 세제 공급부의 단면 형상은 부채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판의 중앙홀의 일측 근방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는 제 1 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 1 스프링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고정되는 제 2 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한 회전 날개부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수직축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2 스프링 고정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부와 상기 개폐판이 탄성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 레버부는,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하단에 일단이 핀결합되는 막대형 회전 조인트와, 상기 막대형 회전 조인트 타단에 형성된 삽입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홀이 일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레버와, 상기 손잡이 레버의 타단부의 홀을 통해 상기 용기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 1 유출구와 수평각도로 90도의 위상차로 후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 레버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직축의 90도 회전시에는 상기 제 1 유출구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회전 바스켓의 상기 분말 세제 공급부는 상기 토출 받침캡의 상기 부채 꼴 형태의 제 2 유출구로 이동되어 상기 분말 세제 공급부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상기 제 2 유출구를 통해 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말 세제 용기 하측부에는 상기 제 2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스푼을 취출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외주연 일측에는 돋보기를 갖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의하면,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 레버의 간단한 회전 동작을 통해 분말 세제를 정량 토출하여 세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100)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대략 사각통형의 분말 세제 용기(10)와,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11)과, 실린더 배럴(11)의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해 실린더 배럴(11)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체형의 개폐판(21), 중공 형상의 회전 바스켓(40), 토출 받침대(30), 및 회전 날개부(50)와, 상기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의 손잡이 레버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는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통형으로서, 상부는 상부 캡(80)에 의해 하부는 바닥캡(90)에 의해 커버되어 진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통 형상이지만,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및 하부캡(80)(90)에 의해 분리된 구조가 아니라 일체형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는 그 상측에 분말 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의 하측 중앙에는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소정크기를 갖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배럴(2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의 하측 가장자리부터 상기 실린더 배럴(20)의 상단 가장자리까지는 경사면(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분말 세제가 실린더 배럴(20)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의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돋보기(도면 번호 미부여)를 갖는 투명창(92)이 투명창 고정링(93)을 통해 결합형 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92)을 통해 수용부(11)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돋보기를 통해 확대해 보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해 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개폐판(21)은 상기 실린더 배럴(20)의 상부를 수평으로 커버하도록 일체 형성되며, 중앙에는 작은 제 1 중앙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앙홀(22)로부터 약간 이격해서 반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 1 유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중앙홀(22)은 후술하는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통해 노출된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상단부는 회전 날개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유출구(23)(33)와 상기 회전 바스켓(40)의 분말 세제 공급부(42)의 단면 형상이 부채꼴형상이지만,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토출 받침캡(30)은 상기 실린더 배럴(20)의 하부를 수평으로 커버하도록 끼워지며, 중앙에는 작은 제 2 중앙홀(3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앙홀(33)로부터 약간 이격해서 반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 2 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중앙홀(33)은 후술하는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 1 중앙홀(22)을 통해 노출된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막대형 조인트(61)의 삽입홈(61-1)에 나사핀(71)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고정된다. 여기서, 분말 세제가 배출되는 통로인 부채꼴 형태의 제 1 및 제 2 유출구(23)(32)의 배치는 수평각도로 90도로 배치되어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중공 형상의 회전 바스켓(40)은 상기한 실린더 배럴(20) 내에서 상기 개폐판(21)의 제 1 중앙홀(22)과 상기 토출 받침캡(30)의 제 2 중앙홀(33)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축(41)과, 상기 수직축(41)을 중심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단면 형상이 부채꼴인 분말 세제를 일정량씩 공급받음과 동시에 공급하는 분말 세제 공급부(4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축(41)의 상단부는 각각, 제 1 중앙홀(22)을 통해 회전 날개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막대형 조인트(61)의 삽입홈(61-1)에 나사핀(71)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고정된다.
여기서, 회전 바스켓(40)의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42)의 배치는 평상시에는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와 관통된 위치에 배치되고, 손잡이 레버부(60)의 구동에 의해 수직축(41)의 회전시에는 부채꼴 형태의 제 2 유출구(32)로 이동됨으로써,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42)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제 2 유출구(32)를 통해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 날개부(50)는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상단부가 개폐판(21)의 제 1 중앙홀(22)을 통해 노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홈(50-1)과, 상기 삽입홈(50-1)으로부터 약간 이격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일체로 확대되는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는 상기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며, 평상시에는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와 수평각도로 대략 90도의 위상차로 후방향(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에 배치되고, 손잡이 레버부(60)의 구동에 의해 수직축(41)의 회전시에는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판(21)의 제 1 유출구(23)를 폐쇄하여 분말 세제 용기(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분말 세제가 실린더 배럴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회전 바스켓(40)의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42)는 토출 받침캡(30) 부채꼴 형태의 제 2 유출구(32)로 수평 이동되어 분말 세제 공급부(42)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제 2 유출구(32)를 통해 모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상기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는 실제로 90도의 회전에 의해 분말 세제의 자체 압력에 의해 바닥부 세제의 고형화를 방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할 부분으로 세제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한 회전 날개부(50)의 삽입홈(50-1)과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사이에는 일정 공간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상단부(회전 날개부(50))와 상기 개폐판(21) 사이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으로서의 스프링(51) 및 제 1 및 2 스프링 고정구(52)(53)의 수용 공간부를 제공한다.
즉, 상기한 개폐판(21)의 중앙홀(22)의 일측 근방에는 스프링(51)의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 1 스프링 고정홈(52-1)이 형성되는 제 1 스프링 고정구(52)가 일체로 고정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스프링(51)의 타단부가 결합고정되는 제 2 스프링 고정홈(53-1)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한 회전 날개부(50)의 삽입홈(50-1)에 나사핀(72)에 의해 삽입고정되는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53-2)을 가지며 수직축(41)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2 스프링 고정구(5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51)과 제 1 및 제 2 스프링 고정구(52)(53)의 형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분발 세제의 배출을 위한 손잡이 레버부(60)의 구동에 의해 수직축(41)의 회전후에는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는 제 1 유출구(23)의 후방(반시계 방향으로 90도)으로 원위치함과 동시에 회전 바스켓(40)도 역시 후방(반시계 방향으로 90도)으로 원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손잡이 레버부(60)는, 상기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의 하단부가 토출 받침캡(30)의 제 2 중앙홀(33)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나사핀(71)을 통해 삽입고정되는 삽입홀부(61-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61-2)를 갖는 막대형 회전 조인트(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레버부(60)는 상기 막대형 회전 조인트(61)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 돌기(61-2)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홀(62-1)이 일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레버(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레버(62)의 타단부에는 다른 작은 홀(62-2)이 형성되어 회전핀(70)에 의해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손잡이 레버(6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손잡이 레버부(6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회전핀(70)과 나사핀(71)에 의해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1) 및 용기(10)에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막대형 회전 조인트(61)의 삽입 돌기(61-2)가 손잡이 레 버(62)의 장홀(62-1)사이로 가이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사용자가 분발 세제의 배출을 위하여 손잡이 레버(60)를 대략 33도 정도 회전핀(60)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하게 되면, 회전핀(70) 및 나사핀(71)의 결합과 삽입 돌기(61-2)와 장홀(62-1) 사이의 가이드 운동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축(41)이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날개부(50)가 역시 동일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하여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 바스켓(40)의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42)는 토출 받침캡(30) 부채꼴 형태의 제 2 유출구(32)로 이동되어 진다. 물론, 사용자가 손잡이 레버(6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자동으로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2)와 회전 바스켓(40) 등은 원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손잡이 레버(60)를 대략 33도 정도로 회전핀(60)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하는 것에 의해 회전 바스켓(40), 제 2 스프링 고정구(53) 및 회전 날개부(50)가 대략 90도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회전핀(70) 및 나사핀(71)의 결합 관계와, 삽입 돌기(61-2)와 장홀(62-1) 사이의 가이드 운동 폭 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 레버의 운동 각도 및 이에 따른 회전 바스켓, 제 2 스프링 고정구 및 회전 날개부의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각도 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한 사각통형의 분말 세제 용기(10)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 2 유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개량 스푼(91)을 취출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1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배출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는 스푼(91)에 담겨지게 되고 사용자는 스푼(91)만을 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실제 사용시 사용자가 분발 세제의 배출을 위하여 손잡이 레버(60)를 대략 33도 정도 회전핀(60)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하게 되면, 회전핀(70) 및 나사핀(71)의 결합과 삽입 돌기(61-2)와 장홀(62-1) 사이의 상대적인 가이드 운동에 의해, 회전 중심축이 되는 회전 바스켓(40)의 수직축(40)이 90도의 각도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와 수평각도로 대략 90도의 위상차로 후방향(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에 배치된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0-2)(도 5a 참조)는 90도로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개폐판(21)의 제 1 유출구(23)를 폐쇄하여 분말 세제 용기(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분말 세제가 실린더 배럴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 바스켓(40)의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42)는 토출 받침캡(30) 부채꼴 형태의 제 2 유출구(32)로 이동되어 분말 세제 공급부(42)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제 2 유출구(32)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는 스푼(91)에 담겨지게 되고 사용자는 스푼(91)만을 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일정량의 분말 세제를 완전히 배출한 이 후에, 사용자가 손잡이 레버(6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자동으로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52)와 회전 바스켓(40) 등은 원위치됨으로써, 회전 날개부(50)는 90도의 후방향(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와 수평각도로 대략 90도의 위상차로 다시 후방 배치되며, 회전 바스켓(40)도 부채꼴 형태의 제 2 유출구(32)로부터 수평각도로 대략 90도의 위상차로 다시 후방 배치되 어, 부채꼴 형태의 제 1 유출구(23)를 통해 용기 수용부(11)로부터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회전 바스켓(40)의 분말 세제 공급부(42)로 재공급되어 일정량의 분말 세제의 공급되어 진다(도 5a 참조) .
계속해서, 사용자가 다시 일정량의 분말 세제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반복하면 된다.
물론, 사용자가 투명창(92)을 통해 수용부(11)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음으로 육안을 통해 상기 분말 세제 용기(10) 내의 분말 세제를 모두 사용한 것을 확인 한 경우에는 상부캡(80)만을 분말 세제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분말 세제를 다시 채워 줌으로써 리필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
10: 분말 세제 용기 11: 수용부
20: 실린더 배럴
21: 개폐판 22: 제 1 중앙홀
23: 부채꼴형상의 제 1 유출구 30: 토출 받침캡
32: 부채꼴형상의 제 2 유출구 33: 제 2 중앙홀
40: 회전 바스켓 41: 수직축
42: 부채꼴통 형상의 분말 세제 공급부
50: 회전 날개부 50-1: 삽입홈
50-2: 부채꼴 형상의 날개부 51: 스프링
52: 제 1 스프링 고정구 52-1: 제 1 스프링 고정홈
53: 제 2 스프링 고정구 53-1: 제 2 스프링 고정홈
53-2: 관통홀 60: 손잡이 레버부
61: 막대형 회전 조인트 61-1: 삽입홀부
61-2: 삽입돌기 62: 손잡이 레버
62-1: 장홀 70: 회전핀
80: 상부 캡 90: 바닥 캡
91: 나사핀 92: 투명창
93: 투명창 고정링

Claims (7)

  1.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상부를 수평으로 일체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유출구가 형성되는 개폐판과,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부를 수평으로 커버하도록 끼워지며 제 2 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 받침캡과,
    상기 개폐판의 제 1 중앙홀과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중앙홀에 수직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축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내부에 일정량씩 공급받는 분말 세제 공급부를 갖는 회전 바스켓(basket)과,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개폐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직축을 구동하는 손잡이 레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수직축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바스켓의 분말 세제 공급부가 상기 토출 받침캡의 제 2 유출구로 이동되어 그 내부의 분말 세제가 일정량씩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출구와 상기 회전 바스켓의 분말 세제 공급부의 단면 형상은 부채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중앙홀의 일측 근방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는 제 1 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 1 스프링 고정구가 일체로 고정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고정되는 제 2 스프링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한 회전 날개부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수직축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 2 스프링 고정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상단부와 상기 개폐판이 탄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레버부는,
    상기 회전 바스켓의 수직축의 하단에 일단이 핀결합되는 막대형 회전 조인트와,
    상기 막대형 회전 조인트 타단에 형성된 삽입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홀이 일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레버와,
    상기 손잡이 레버의 타단부의 홀을 통해 상기 용기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부의 날개부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 1 유출구와 수평각도로 90도의 위상차로 후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 레버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직축의 90도 회전시에는 상기 제 1 유출구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판의 제 1 유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회전 바스켓의 상기 분말 세제 공급부는 상기 토출 받침캡의 상기 제 2 유출구로 이동되어 상기 분말 세제 공급부내에 수용된 일정량의 분말 세제가 상기 제 2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세제 용기 하측부에는 상기 제 2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스푼을 취출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외주연 일측에는 돋보기를 갖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 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1020080010659A 2008-02-01 2008-02-01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10096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59A KR100968595B1 (ko) 2008-02-01 2008-02-01 분말 세제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59A KR100968595B1 (ko) 2008-02-01 2008-02-01 분말 세제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54A true KR20090084454A (ko) 2009-08-05
KR100968595B1 KR100968595B1 (ko) 2010-07-08

Family

ID=4120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59A KR100968595B1 (ko) 2008-02-01 2008-02-01 분말 세제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4879B2 (en) 2011-01-17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220042018A (ko) *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CN114369929A (zh) * 2020-10-15 2022-04-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添加剂储液盒及洗衣机
CN114808389A (zh) * 2022-05-30 2022-07-29 五邑大学 一种洗衣机洗涤剂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270U (ko) 1984-09-18 1986-04-15
JPH0523194Y2 (ko) * 1988-12-16 1993-06-14
KR20070090400A (ko) * 2006-03-02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자동 세제 투입기 및 반자동 세제 투입기를 갖는 세탁기
JP4457089B2 (ja) 2006-07-11 2010-04-28 株式会社ニイタカ 粉粒状洗剤自動供給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4879B2 (en) 2011-01-17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242639B2 (en) 2011-01-17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649579B2 (en) 2011-01-17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220042018A (ko) *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CN114369929A (zh) * 2020-10-15 2022-04-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添加剂储液盒及洗衣机
WO2022078369A1 (zh) * 2020-10-15 2022-04-21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添加剂储液盒及洗衣机
CN114369929B (zh) * 2020-10-15 2023-08-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添加剂储液盒及洗衣机
CN114808389A (zh) * 2022-05-30 2022-07-29 五邑大学 一种洗衣机洗涤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95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4576B1 (en) Soap dispensing device
JP5937685B2 (ja) 補充作業を改善した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968595B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20120084474A (ko)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US20100270333A1 (en) Powder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amount of discharged powder
JP2007304098A5 (ko)
US6763971B1 (en) Candy dispenser
US20180325236A1 (en) Automatic hair powder dispenser
JP2001209844A (ja) 物品排出装置
JP2009531252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5378177B2 (ja) 混合注出器
KR200439902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US20080217355A1 (en) Small item dispenser
US4227626A (en) Soda straw dispenser
US6530505B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rotatable lid
JP2007325685A (ja) 遊技機
JP4195412B2 (ja) 自動販売機
WO2015155228A1 (en) Packaging device for at least one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packaging method
US20050263431A1 (en) Dispensing package for flowable product
JP2012106749A (ja) 内容物充填機構
JP3113830U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200446463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101443904B1 (ko) 곡물 저장 용기
JP2006001567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KR200164821Y1 (ko) 자동판매기의원료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