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450A -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450A
KR20090084450A KR1020080010654A KR20080010654A KR20090084450A KR 20090084450 A KR20090084450 A KR 20090084450A KR 1020080010654 A KR1020080010654 A KR 1020080010654A KR 20080010654 A KR20080010654 A KR 20080010654A KR 20090084450 A KR20090084450 A KR 2009008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obu
vehicle
room mirr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퀸시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퀸시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퀸시디지털
Priority to KR102008001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450A/ko
Publication of KR2009008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84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ommunication systems other than radio-receivers, e.g. keyless entry systems, navigation systems; with 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룸미러 앞부분의 면적을 줄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룸미러 뒷부분의 두께를 줄여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해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요금 정산신호를 기반으로 통행료 정산을 실시하여 요금 충전카드의 정보를 갱신하고 그 처리결과를 자동 요금 징수시스템에 무선 전송하는 OBU 본체부; 상기 OBU 본체부의 앞면에 부착되며 거울면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을 반사시키는 거울부; 상기 거울부에 설치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처리되는 통행료 정산 결과에 따른 요금 충전카드의 자동인출금액 또는 자동인출 후의 잔액을 표시하는 LCD 표시창; 및 상기 OBU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엑세스하는 요금 충전카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카드 삽입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하여, 간단하게 차량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하이패스 단말기, 룸미러, LCD 표시창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ROOM MIRROR TYPE ON-BOARD UNIT FOR A CAR}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룸미러의 일 측면에 카드 삽입 홈이 형성됨으로써 룸미러 앞부분의 면적을 줄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룸미러 뒷부분의 두께를 줄여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패스란 달리는 차안에서 적외선 또는 주파수 통신 단말기와 요금 충전카드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지불하는 전자요금수납 시스템을 말한다.
도 4는 종래 하이패스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OBU 본체부(11)의 앞측 상부에는 요금 충전카드(13)가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카드 삽입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카드 삽입 홈(12)이 형성된 OBU 본체의 앞측 하부에는 상기 OBU 본체부(11)에서 처리되는 자동인출금액 또는 자동인출 후의 잔액이 표시되는 LCD 표시창(14)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자동차 실내의 대쉬보드(DASH BOARD)(미도시) 상 측에 부착시킨 차량이 고속도로의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카드 삽입 홈(12)으로 삽입된 요금 충전카드(13)로부터 요금이 자동 인출된 후, LCD 표시창(14)에 현재의 잔액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차량용 특정 단말기 즉, 네비게이션, DMB, 아날로그 카 TV 등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용 대쉬보드에는 위와 같은 단말기들이 한꺼번에 설치 및 장착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차량내부의 미려함을 해치거나 또는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야확보를 어렵게 하여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이패스 단말기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차량의 대쉬보드에 부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하이패스 단말기가 대쉬보드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으며,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대쉬보드로 인해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 발생 시 하이패스 단말기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 5는 종래 하이패스 단말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08630호에 공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이패스 단말기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되는 룸미러 지지대(16)와 그 아래로 지지되어 설치되는 OBU 본체부(11)를 포함하며,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측 상부에는 거울부(15)가 부착되며 상기 거울부(15)의 하부에는 요금 충전카드(13)가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카드 삽입홈(12)이 설치되고, 상기 카드 삽입홈(12)의 하부에는 LCD 표시창(14)이 그 아래로 나란히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하이패스 단말기는 LCD 표시창(14)과 거울부(15)가 각각 분리되어 앞측에 설치되고 카드 삽입홈(12)도 OBU 본체부(11)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하이패스 단말기의 앞측 면적이 불가피하게 늘어나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요금 충전카드(13)가 OBU 본체부(11)의 앞측에 전후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카드 삽입홈(12)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이패스 단말기, 즉 OBU 본체부(11)의 뒷부분의 길이가 길어져서, 차량에 장착 시 하이패스 단말기가 차량 정면 유리창에 접촉되어 주행 중 충격을 주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에 따라 차량 정면 유리창의 설치 각도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어 하이패스 단말기의 장착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룸미러에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 기존의 룸미러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하이패스 단말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전원선에 의해 차량내부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룸미러의 앞면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아니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룸미러의 뒷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설치상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시 기존의 룸미러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전원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해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요금 정산신호를 기반으로 통행료 정산을 실시하여 요금 충전카드의 정보를 갱신하고 그 처리결과를 자동 요금 징수시스템에 무선 전송하는 OBU 본체부; 상기 OBU 본체부의 앞면에 부착되며 거울면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을 반사시키는 거울부; 상기 거울부에 설치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처리되는 통행료 정산 결과에 따른 요금 충전카드의 자동인출금액 또는 자동인출 후의 잔액을 표시하는 LCD 표시창; 및 상기 OBU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엑세스하는 요금 충전카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카드 삽입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카드 삽입홈은, 상기 거울부의 거울면과 평행하게 요금 충전카드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CD 표시창은 상기 거울부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거울부의 네 모서리부 중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CD 표시창은 상기 거울부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거울부는 반투명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CD 표시창이 상기 거울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LCD 표시 창이 위치하는 영역의 거울부의 일부는 거울면이 제거된 유리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는, 룸미러 지지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OBU 본체부로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을 상기 OBU 본체부로 공급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OBU 본체부는 기존의 차량용 룸미러에 OBU 본체부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클립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은 OBU 본체부의 후방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에 의하면, 룸미러 앞면의 면적이 기존의 룸미러의 앞면의 면적과 동일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며, 룸미러의 뒷부분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지 아니하여 차량에 장착 시 앞 유리창에 접촉되거나 아예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OBU 본체부에 장착된 클립에 의하여 차량에 부착되어 있던 기존의 룸미러에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서, 기존에 장착되어 있던 룸미러를 제거하고 새로이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룸미러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가 있게 된다. 만일 기존에 장착된 룸미러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룸미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룸미러 지지대 내부에 전원선을 포함시킴으로써 전원선이 차량내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자동차의 루프패널(미도시)에 룸미러 지지대(16)가 부착되고, 룸미러 지지대(16)의 아래로는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해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요금 정산신호를 기반으로 통행료 정산을 실시하여 요금 충전카드의 정보를 갱신하고 그 처리결과를 자동 요금 징수시스템에 무선 전송하는 OBU 본체부(11)가 결합된다.
상기 OBU 본체부(11)는 그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OBU 본체부(11)의 상면의 중심부에 룸미러 지지대(16)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면에는 거울면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을 반사시키는 거울부(15)가 부착되며, 상기 거울부(15) 상부의 좌측 모서리부에는 OBU 본체부에서 처리되는 통행료 정산 결과에 따른 요금 충전카드의 자동인출금액 또는 자동인출 후의 잔액을 표시하는 LCD 표시창(14)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LCD 표시창(14)이 상기 거울부(15)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거울부(15)의 네 모서리부 중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OBU 본체부(11)의 일 측면에는 OBU 본체부에서 엑세스하는 요금 충전카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카드 삽입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요금 충전카드(13) 삽입 시 요금 충전카드(13)가 상기 거울부(15)의 거울면과 평행하게 가로방 향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금 충전카드(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즉 세워진 상태에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OBU 본체부(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전원선(17)이 상기 룸미러 지지대(16)의 내부를 통해 OBU 본체부(11)로 연결되며, 이 전원선의 타측은 차량의 전원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OBU 본체부(11)의 내부에는 OBU 칩(11b)과 카드 연결부(11c)가 탑재되는 PCB(11a)가 내장되며(도 2b 및 도 3b의 단면도 참조), 상기 PCB(11a)에 LCD 표시부(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a와 도 3a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에서는 상기 LCD 표시창(14)이 상기 거울부(15)의 후방 전체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거울부(15)는 반투명경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OBU 본체부(11)는 기존의 차량용 룸미러에 OBU 본체부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클립(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은 OBU 본체부의 후방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쌍으로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LCD 표시창(14)이 상기 거울부(1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LCD 표시창(14)이 위치하는 영역의 거울부(15)의 일부 는 거울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즉 투명한 유리부(15a)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에서 상기 LCD 표시창(14)은 기존의 거울부(15)와 분리되어 설치되지 아니하며, 거울부의 네 모서리 중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면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카드 삽입홈(12)이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면에 형성되지 않고 일 측면에 형성되어 역시 OBU 본체부(11) 앞면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요금 충전카드(13) 삽입 시 요금 충전카드(13)가 상기 거울부(15)의 거울면과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OBU 본체부(11) 뒷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 시에 OBU 본체부(11)가 앞 유리창에 닿거나 혹은 장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원선(17)은 OBU 본체부(11) 및 룸미러 지지대(16)의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룸미러 지지대(16)의 내부를 관통하여 OBU 본체부(11)와 차량을 연결하므로, 전원선(17)으로 인해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OBU 본체부(11)와, OBU 본체부(11)의 앞면에 부착된 거울부(15)와,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면 및 상기 거울부(15)의 후방측으로 거울면의 뒷면에 맞닿게 부착되는 LCD 표시창(14)과, 상기 OBU 본체부(1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카드 삽입 홈(12)과, 상기 OBU 본체부(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좌우로 부착된 클립(21)을 포함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LCD 표시창(14)과 거울부(15)가, 룸미러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겹쳐지게 부착된다. 이때의 거울부(15)는 반투명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후방측의 LCD 표시창(14)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반투명경의 특성에 의해 상기 거울부(15)의 앞면은 빛을 모두 반사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볼 때는 보통의 거울과 동일하게 보이며, 거울부(15)의 뒷면은 빛을 모두 투과하여 보통의 유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 중이어서 거울부(15)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나 하이패스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LCD 표시창(14)의 백라이트를 동작 해제하거나 도트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LCD 기능을 해제하여, 상기 LCD 표시창(14)의 표시문구가 반투명경 밖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LCD 표시창(14)에 사용 요금 및 남은 잔액들을 표시하게 하는 기능을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LCD 표시창(14)에 백라이트를 동작시키거나 도트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LCD기능을 동작시켜, LCD 표시창(14)에 사용 금액 및 남은 잔액 등을 표시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반투명경의 특성으로 인하여, 정면에서 볼 때 거울부(15)와 LCD 표시창(14)을 겹치게 부착하여도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거울부(15)의 일부분을 가리거나 또는 제거하는 경우가 없어 거울부(15)의 본래 면적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LCD 표시창(14)의 넓이를 넓게 형성할 수 있어서 LCD 표시창(14)의 문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카드 삽입 홈(12)은 상기 OBU 본체부(11)의 앞면에 형성되지 않고 일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요금 충전카드(13) 삽입 시 요금 충전카드(13)의 양면이 상기 거울부(15)의 거울면과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드 삽입 홈(12)은, 요금 충전카드(13)가 세워진 상태로 가로방향을 따라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OBU 본체부(11) 앞면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또한 OBU 본체부(11) 뒷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여 차량 장착 시에 상기 OBU 본체부(11)가 앞 유리창에 닿거나 혹은 장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클립(21)은 상기 OBU 본체부(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좌우로 이격되어 설치된 두 쌍이 기존의 룸미러(22)를 상부와 하부에서 잡아당길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룸미러(22)와 본 발명인 OBU 본체부(11)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립(21)으로 인하여 OBU 본체부를 차량에 장착 시에 기존의 룸미러(22)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간편하게 차량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룸미러(22)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클립(21)을 풀어서 간편하게 OBU 본체부(11)를 기존의 룸미러(22)로부터 제거하여 기존의 룸미러(22)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그 형상은 기본적으로 도 1과 유사하나, 다만 상기 LCD 표시창(14)이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 있지 않고, 상기 거울부(15)의 후방측, 즉 거울부(15)와 상기 OBU 본체부(11)와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거울부(15)는 상기 LCD 표시창(14)과의 접촉 부위가 거울면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유리부(15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유리를 통해 LCD 표시창(14)에 표시되는 요금현황을 볼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의 거울부(15)에서 상기 LCD 표시창(14)과의 접촉부위는 그 제조과정에서 알루미늄 등의 반사물을 진공 증착시키는 등의 일체의 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거울면이 형성되지 않은 유리 그 자체로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울부(15)의 일부를 제거한다던지 혹은 거울부(15)를 반투명경으로 구성할 필요없이, 상기 LCD 표시창(14)이 거울부(15)에 투과되어 운전자가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예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를 예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하이패스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하이패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룸미러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OBU 본체부 12: 카드 삽입 홈
13: 요금 충전카드 14: LCD 표시창
15: 거울부 15a : 투명 유리부
16: 룸미러 지지대 17: 전원선
21 : 클립 22: 기존의 룸미러

Claims (8)

  1. 차량의 룸미러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며,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해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요금 정산신호를 기반으로 통행료 정산을 실시하여 요금 충전카드의 정보를 갱신하고 그 처리결과를 자동 요금 징수시스템에 무선 전송하는 OBU 본체부;
    상기 OBU 본체부의 앞면에 부착되며 거울면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을 반사시키는 거울부;
    상기 거울부에 설치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처리되는 통행료 정산 결과에 따른 요금 충전카드의 자동인출금액 또는 자동인출 후의 잔액을 표시하는 LCD 표시창; 및
    상기 OBU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OBU 본체부에서 엑세스하는 요금 충전카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카드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삽입홈은, 상기 거울부의 거울면과 평행하게 요금 충전카드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CD 표시창은 상기 거울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거울부의 네 모서리부 중의 어느 한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CD 표시창은 상기 거울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거울부는 반투명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CD 표시창이 상기 거울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LCD 표시창이 위치하는 영역의 거울부의 일부는 거울면이 없는 투명 유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 지지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OBU 본체부로 연결되며, 차량의 전원을 상기 OBU 본체로 공급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BU 본체부는,
    기존의 차량용 룸미러에 상기 OBU 본체부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클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OBU 본체부의 후방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KR1020080010654A 2008-02-01 2008-02-01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KR20090084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54A KR20090084450A (ko) 2008-02-01 2008-02-01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54A KR20090084450A (ko) 2008-02-01 2008-02-01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50A true KR20090084450A (ko) 2009-08-05

Family

ID=4120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54A KR20090084450A (ko) 2008-02-01 2008-02-01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43B1 (ko) * 2011-06-27 2013-02-25 유비벨록스(주) 하이패스 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43B1 (ko) * 2011-06-27 2013-02-25 유비벨록스(주) 하이패스 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7254A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US7075511B1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JP4128097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車載装置
US11932107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self-illuminated screen element, motor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EP1511653B1 (en) Mod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KR20100000082U (ko) 하이패스 단말기 및 내비게이션을 동시에 거치하는 겸용거치대
CN206067634U (zh) 一种带etc设备的多功能汽车后视镜
KR20090084450A (ko) 자동차용 룸미러형 하이패스 단말기
JP2001175899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用車載機
KR100344624B1 (ko) 온 보드 유니트의 결합장치
CN205644677U (zh) 带电子标签的汽车后视镜
CN210149233U (zh) 后视镜装置、车载显示装置、车载显示系统
CN201058587Y (zh) 汽车后视镜
KR20090117099A (ko) 차량용 거치대형 하이패스단말기
KR10141901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4050958B2 (ja) 車両用インナミラー装置
CN218068344U (zh) 防止导光板摆动的车载背光模组及车载显示装置
CN219312654U (zh) 一种带etc行车记录仪的车载后视镜
CN213534450U (zh) 一种汽车仪表
KR20100021270A (ko)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KR20090015615A (ko) 차량의 인사이드 룸미러
CN205706439U (zh) 一种具有etc功能的内后视镜
WO2014209168A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CN204354916U (zh) 内后视镜组件和车辆
CN220974081U (zh) 可拆卸式车载t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