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400A - 세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세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400A
KR20090084400A KR1020080010572A KR20080010572A KR20090084400A KR 20090084400 A KR20090084400 A KR 20090084400A KR 1020080010572 A KR1020080010572 A KR 1020080010572A KR 20080010572 A KR20080010572 A KR 20080010572A KR 20090084400 A KR20090084400 A KR 2009008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unit
discharge
pump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진
Original Assignee
최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진 filed Critical 최창진
Priority to KR102008001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400A/ko
Publication of KR2009008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A47K5/1215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applied by a peristaltic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감지부와 배출 노즐이 결합된 토출부; 세제가 수용되고 흡입관을 통해 펌프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통; 상기 흡입관을 통해 세제통으로부터 공급된 세제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 노즐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 노즐;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지 못할 경우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제어부와 펌프가 결합된 작동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펌프를 소정 시간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펌프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제, 공급, 센서, 감지, 자동 공급, 외부 게이지, 싱크대 수납

Description

세제 공급 장치{An automatic dispenser for detergent}
본 발명은 세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제는 신체나 물품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형상에 따라 고체형 세제, 분말형 세제 및 액체형 세제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액체형 세제는 물에 쉽게 용해되고, 헹굼시에 잔유물이 남지 않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형 세제는 세제통에 수용된 세제를 상부에 설치된 스위치의 펌핑 동작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소위 '디스펜서(dispenser)'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디스펜서에 수용된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스위치의 오염이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세제통이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세제통의 세척이 곤란하여 세제통의 오염에 따른 이물질 유입,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 등이 발생하는 문 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제 공급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는 세제통(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감지부(33)에 의해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펌프(32)를 통해 배출 노즐(24)로 세제가 공급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제 공급 장치(10)는 싱크대의 상부에 거치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나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세제 공급 장치(10)를 싱크대의 내부에 매립하여 사용할 경우, 투시창(16)도 싱크대의 내부에 매립되어 세제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세제통(20)에 세제를 충진하고자 할 경우, 토출부(12) 하단의 커버(14)를 제거한 뒤 세제통(20)을 토출부(12)으로부터 분리한 뒤에 세제를 충진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감지부(33)가 토출부(1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감지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싱크대에 매립이 가능하여 정돈된 외관을 구비할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에 매립한 상태에서 세제 충진과 세제량 확인이 가능한 세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세제통에 수용된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감지부와 배출 노즐이 결합된 토출부; 세제가 수용되고 흡입관을 통해 펌프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통; 상기 흡입관을 통해 세제통으로부터 공급된 세제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 노즐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 노즐;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지 못할 경우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제어부와 펌프가 결합된 작동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펌프를 소정 시간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펌프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부의 하단은 싱크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토출부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세제 공급 장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펌프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양 조절 스위치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제통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세제량 감지 수단; 및 상기 토출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량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표시하는 세제량 게이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제량 감지 수단은: 상기 세제통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감지부 이송대; 및 상기 세제통의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에 따라 상기 감지부 이송대를 상하로 이동하며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세제량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의 외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지 연결잭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세제량 게이지는 상기 게이지 연결잭에 대응하는 게이지측 연결잭, 상기 게이지측 연결잭에 연결된 연장 코드 및 상기 연장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외부 세제량 게이지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제통의 상부는 세제통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하부는 상기 세제통측 나사부에 대응하는 작동부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통과 작동부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의 일측은 전원잭 삽입구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잭 삽입구를 통해 가정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의 일측은 신호잭 삽입구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는 상기 신호잭 삽입구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와 수광부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인체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 결합된 세제통을 분리하여 세제의 충진이 용이한 세제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제량을 토출부의 상부 또는 토출부으로부터 분리된 게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0)는 크게 토출부(110), 세제통(120) 및 작동부(130)로 구성되며, 발광부(136)와 수광부(138)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인체 감지 정확도를 높이고, 세제량 게이지(140)를 토출부(110)의 상단에 설치하여 세제량의 확인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토출부(110)는 감지부와 배출 노즐(128)이 결합된다. 감지부는 토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136)와 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발광부(136)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138)를 포함하고, 수광부(138)가 상기 발광부(136)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지 못할 경우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2)로 전달한다. 배출 노즐(128)은 토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를 외부로 공급한다. 토출부(110)의 하단에는 싱크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토출부측 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이에 의해 싱크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110)의 일측에는 세제 공급 장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온/오프 스위치(137)가 결합되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오프상태로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조절 스위치(137)가 제어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펌프(134)의 동작시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세제량을 조절하게 된다. 더불어 세제량 게이지(140)는 토출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세제량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고 제어부(132)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표시한다. 한편, 발광부(136), 수광부(138), 양 조절 스위치(141), 온/오프 스위치(137) 및 세제량 게이지(140)와 연결된 신호선은 신호잭(144)을 통해 작동부의 신호잭 삽입구(135)에 결합되어 제어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세제통(120)은 세제(50)가 수용되고 흡입관(121)을 통해 펌프(134)로 세제를 공급한다. 세제통 내부에는 세제량 감지 수단이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32)로 전달한다. 세제량 감지 수단은 감지부 이송대(124)와 세제량 감지부(126)를 포함한다. 감지부 이송대(124)는 세제통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다. 세제량 감지부(126)는 세제통(120)의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에 따라 감지부 이송대(124)를 상하로 이동하며 위치 신호를 생성한다. 세제통(120)의 상단에는 세제통측 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작동부의 작동부측 나사부(131)와 나사 결합한다.
작동부(130)에는 펌프(134)와 제어부(132)가 설치된다. 펌프(134)는 흡입 관(121)을 통해 세제통(120)으로부터 공급된 세제(50)를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연장관(142)을 통해 배출 노즐(128)로 강제 이송시킨다. 이때 펌프(134)의 작동시간은 전술된 양조절 스위치(141)의 조절에 의해 조절가능함에 유의한다. 제어부(132)는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펌프(134)를 양 조절 스위치(141)의 설정에 따라 소정 시간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펌프로 전달한다. 작동부(130)의 일측에는 신호잭 삽입구(135)와 전원잭 삽입구(133)가 설치된다. 신호잭 삽입구(135)는 토출부(110)에서 나온 신호잭(144)이 삽입되어 신호를 전달받게 되고, 전원잭 삽입구(133)는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잭(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작동부(130)는 하부에 형성된 작동부측 나사부(131)를 통해 세제통(120)과 나사 결합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0)에 비해 세제량 게이지가 외부 세제량 게이지(240)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작동부(230)의 외부 일측에 제어부(232)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지 연결잭(239)이 추가로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게이지측 연결 잭(244), 게이지측 연결잭(244)에 연결된 연장 코드(242)를 통해 외부 세제량 게이지(24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외부 세제량 게이지(240)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진다.
( 제3실시예 )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일부 생략 측단면도이다 .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300)는 제1실 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0)에 비해, 세제를 보충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토출부(350)의 상부에 세제 주입공(350)과 공기 배출공(360)이 형성되고, 각각 세제 주입관(354)과 공기 배출관(364)을 통해 세제통(320)의 내부와 연결된다. 세제 주입구 마개(352)와 공기 배출공 마개(362)는 평상시에 세제 주입공(350)이나 공기 배출공(360)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 부(350)에 결합된다 .
사용자는 세제량 게이지(340)를 통해 세제량을 확인하고,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세제 주입공 마개(352)와 공기 배출공 마개(362)를 개방한다. 이후, 세제 주입공(350)을 통해 세제를 주입하면, 세제는 세제 주입공(350)과 세제 주입 관(354)을 통해 세제통 (320) 내부로 주입된다. 동시에 세제통(320)에 세제가 충진 됨에 따라 세제통 (32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관(364)과 공기 배출공(360)을 통해 배출되어, 세제통 (32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세제가 주입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일부 생략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제 공급 장치 110: 토출부
111: 흡입관 112: 토출부측 나사부
112: 토출부측 나사부 120: 세제통
122: 세제통측 나사부 124: 감지부 이송대
126: 세제량 감지부 128: 배출 노즐
130: 작동부 131: 작동부측 나사부
132: 제어부 133: 전원잭 삽입구
134: 펌프 135: 신호잭 삽입구
136: 발광부 137: 온/오프 스위치
140: 세제량 게이지 142: 연장관
144: 신호잭

Claims (11)

  1.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세제통에 수용된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세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감지부와 배출 노즐이 결합된 토출부;
    세제가 수용되고 흡입관을 통해 펌프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통;
    상기 흡입관을 통해 세제통으로부터 공급된 세제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 노즐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세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배출 노즐;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토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가 상기 발광부에서 방사된 빛을 수집하지 못할 경우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감지부;
    제어부와 펌프가 결합된 작동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펌프를 소정 시간 동작시키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펌프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하단은 싱크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토출부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세제 공급 장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펌프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양 조절 스위치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세제량 감지 수단; 및
    상기 토출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량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표시하는 세제량 게이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량 감지 수단은:
    상기 세제통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감지부 이송대; 및
    상기 세제통의 내부에 충진된 세제량에 따라 상기 감지부 이송대를 상하로 이동하며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세제량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외부 일측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출력된 세제량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지 연결잭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세제량 게이지는 상기 게이지 연결잭에 대응하는 게이지측 연결잭, 상기 게이지측 연결잭에 연결된 연장 코드 및 상기 연장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외부 세제량 게이지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의 상부는 세제통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하부는 상기 세제통측 나사부에 대응하는 작동부측 나사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통과 작동부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일측은 전원잭 삽입구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잭 삽입구를 통해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일측은 신호잭 삽입구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는 상기 신호잭 삽입구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토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세제 주입공;
    상기 세제 주입공과 세제통의 상부 내부를 연결하는 세제 주입관;
    상기 세제 주입공을 덮는 세제 주입공 마개;
    토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
    상기 공기 배출공과 세제통의 상부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 배출관; 및
    상기 공기 배출공을 덮는 공기 배출공 마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공급 장치.
KR1020080010572A 2008-02-01 2008-02-01 세제 공급 장치 KR20090084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572A KR20090084400A (ko) 2008-02-01 2008-02-01 세제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572A KR20090084400A (ko) 2008-02-01 2008-02-01 세제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00A true KR20090084400A (ko) 2009-08-05

Family

ID=4120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572A KR20090084400A (ko) 2008-02-01 2008-02-01 세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40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389B1 (ko) * 2010-02-23 2013-04-12 홍기 싱크대용 세제 배출장치
CN108563171A (zh) * 2018-04-23 2018-09-21 佛山市小沙江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浴室
KR101949333B1 (ko) * 2017-08-28 2019-02-18 안종호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KR101949327B1 (ko) * 2017-08-28 2019-02-18 안종호 물과 물비누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수전
KR20190062151A (ko) * 2017-11-28 2019-06-05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WO2019107837A1 (ko) * 2017-11-28 2019-06-06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389B1 (ko) * 2010-02-23 2013-04-12 홍기 싱크대용 세제 배출장치
KR101949333B1 (ko) * 2017-08-28 2019-02-18 안종호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KR101949327B1 (ko) * 2017-08-28 2019-02-18 안종호 물과 물비누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수전
WO2019045359A1 (ko) * 2017-08-28 2019-03-07 안종호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KR20190062151A (ko) * 2017-11-28 2019-06-05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WO2019107837A1 (ko) * 2017-11-28 2019-06-06 김건희 세제 자동펌핑기
CN108563171A (zh) * 2018-04-23 2018-09-21 佛山市小沙江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浴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400A (ko) 세제 공급 장치
KR101817370B1 (ko) 식기 세척기나 세탁기와 같은 워셔 및 이 워셔의 작동 방법
US5839454A (en) Automatic detergent dispenser
US10247595B2 (en) Soap dispensing device having soap replenishing notification function
KR101817369B1 (ko) 식기 세척기나 세탁기와 같은 워셔 및 이 워셔의 작동 방법
MX2012006360A (es) Dispensador de fluidos.
US10117561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cleaning system for a liquid/gel detergent dosing unit and a receptacle unit
WO2023050839A1 (zh) 处理剂投放装置及洗衣机
WO2017131069A1 (ja) 手洗装置
KR20130113920A (ko) 유체 전달 시스템
KR101949327B1 (ko) 물과 물비누의 자동배출이 가능한 수전
US946833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JP6537670B2 (ja) 石鹸液補給関連表示機能を備える洗面台載置型石鹸液供給装置
KR100826076B1 (ko) 세제 공급 장치
US20160338526A1 (en) Reservoir assemblies and docking station assemblies for beverage dispensers
JP6275554B2 (ja) 電動ディスペンサー
KR101949333B1 (ko) 물비누 보충이 용이한 수전
CN115063925A (zh) 压力储水桶售水机
KR102172447B1 (ko) 세제 자동펌핑기
TWI768229B (zh) 具有瓶頂接合件的嬰兒奶瓶
US10149576B1 (en) Automatic liquid soap supplying system
JPH09470A (ja) 水石鹸供給装置
US9560934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CN109419419B (zh) 皂液自动补充系统
TWI645823B (zh) 具有補皂通知的檯面式給皂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