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279A -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279A
KR20090084279A KR1020080010346A KR20080010346A KR20090084279A KR 20090084279 A KR20090084279 A KR 20090084279A KR 1020080010346 A KR1020080010346 A KR 1020080010346A KR 20080010346 A KR20080010346 A KR 20080010346A KR 20090084279 A KR20090084279 A KR 2009008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ewage treatment
treatment plant
inflow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983B1 (ko
Inventor
김현욱
홍세일
이재호
이신환
Original Assignee
김현욱
하림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욱, 하림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김현욱
Priority to KR102008001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9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microanalysis, e.g. drop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저해물질 유입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질산화 저해물질, 즉 독성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 이를 조기에 경보하여 사전에 독성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하수처리장 내 미생물을 독성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용존산소(DO)와 pH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pH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내부의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저장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pH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pH값을 일정시간마다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pH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pH 미분값이 -0.001 보다 작아지다 +0.001보다 커지는 점이 검출될 때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을 검출하는 단계;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검출되는 시간이 이 전 단계에서의 검출시간과 비교하였을 시, 소정시간(time interval)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없다고 판단하여 시험수를 pH 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이 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보다 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의 차이가 소정시산(time interval)이상이 되는 경우,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DO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DO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DO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폭기작용을 유지하고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 경우에 폭기작용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DO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DO 값의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시험수를 DO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는 DO 센서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pH와 DO 센서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 방법은 병렬로 연결되어, 두 센서값 중 하나라도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경보를 울리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수, 독성, 질산화 저해, 용존산소(DO) 센서, pH 센서, 미분값

Description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METHOD FOR WATCHING AT THE REAL TIME INFLOW OF MATERIALS OBSTRUCTING OF NITRATION}
본 발명은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저해물질 유입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질산화 저해물질, 즉 독성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 이를 조기에 경보하여 사전에 독성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하수처리장 내 미생물을 독성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용존산소(DO)와 pH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무분별한 산업개발과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환경오염의 가속화는 지구의 구성원인 생태계와 인간의 생존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 독성물질이 어느 환경 매체에 유입될 시, 그 매체는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유입된 독성물질은 한 곳에 머물지 않고 다른 여러 매체로 이동하며 해당 매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매체는 다시 그 순기능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경보호와 공중 보건을 위하여 환경오염으로 인 한 독성과 그 위해성에 대한 빠르고 신속한 실시간 환경경보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며, 토양, 대기, 수질 등 다양한 매체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조기 감시를 위한 노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모니터링 방법에는 화학적 센서 기반과 생물학적 센서 기반, 2가지를 들 수 있다. 화학적 센서 기반 모니터링 방법의 경우, 초기에는 온도, pH, 전도도, 및 용존산소(DO) 등 기본적인 파라미터들만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더 구체적이며 측정하기 힘든 오염물질들(중금속, 휘발성 유기물질, 방사능 물질 등)도 측정이 가능해졌다. 또한 센서의 정밀도에 따라 단순 검출 수준에서 정성, 정량 분석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신필드(Sinfield) 등의 2007년 연구에 의하면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위해 이들 물질의 형광성(fluorescence)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LIF(Laser Induced Fluorescence) 센서를 이용하여 현장 분석한 사례가 있다. 또한 골드 파이버(gold fiber) 전극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현장에서 분석한 연구 발표도 있다(Wang 등 1995년). 이들은 단가가 비싸고, 분석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샘플링 횟수/장소 제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오프사이트(off-site) 분석법(실험실로 이동하여 분석)을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Ho 등 2005년), 계속 새롭게 생겨나는 위해물질의 종류가 수없이 많을 뿐만 아니라 센서의 단가가 비싸며, 여러 화합물들의 상승 작용에 대한 측정이 힘들다는 점 때문에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생물학적 센서 기반 모니터링 방법은 화학적 센서 기반 방법의 단점 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생물학적 센서 기반 모니터링 방법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환경조건에 민감한 생물학적 반응 부분(효소, 항체 등), 생물학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변환장치, 전기적인 신호를 식별이 가능하도록 증폭 및 기록하는 검출장치로 이루어져 있다(Philp 등 2004년).
생물학적 센서는 사용되는 생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치(threshold concentration)를 초과한 수준의 독성물질이 유입될 때, 대상 생물체의 생리학적 변화를 측정한다(Sandahl 등 2007년). 생물학적 센서는 특정 물질에 대한 정성, 정량 분석은 힘들지만, 생물체나 관련된 생태계에 대한 화합물의 복합적 위해성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 방법은 비교적 높은 민감성 및 실험대상 생물의 긴 수명, 짧은 반응 시간, 저렴한 가격 등의 이유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Riedel 등 2002년). 특히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센서(microbial sensor)는, 오수정화 처리기술의 근간이 미생물의 신진대사 능력, 즉, 오수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능력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수의 상태를 파악하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수처리장 유입수의 독성물질 함유 여부에 관한 실시간 모니터링의 목적은 하수처리장 내 미생물을 독성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일반 생활하수와 산업폐수의 연계처리, 혹은 합류식 관거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서 도로나 토지의 씻김수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하수처리장의 생물 반응조 안으로 독성물질들이 유입되어 미생물들의 신진대사 기능을 저해시키거나 혹은 사멸시키는 사례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Ricco 등 2004년; Cokgor 등 2007년). 또한 예기치 못한 독성물질의 하수 중으로의 유출 사고도 이러한 가능성을 높이는 한 요인이 된다.
젠쏜(Jensson) 등(2000년)의 연구에 의하면 스웨덴 하수처리장의 45~60%가량이 질산화 저해 물질을 포함하는 오수의 유입을 경험하고 있으며, 덴마크의 경우도 역시 전체 하수처리장의 약 1/3이 독성물질의 상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하수와 함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독성물질에 관한 대규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낮은 C/N비로 인하여 연계처리(분뇨, 축산폐수, 그리고 침출수 등)가 고려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환경부 2005년), 성상을 알 수 없는 불명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하수가 하수처리장 내의 미생물의 활성도 저해 및 사멸이라는 위험상황을 일으킬 가능성 또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이 사멸하거나 그 기능을 상실할 경우, 그것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경우, 반응조가 그 기능을 회복할 때까지 유입되는 하수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은 하수를 하천에 상당기간 방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대하여 독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만일 존재한다면 미생물이 내성을 가질만한 정도인지에 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소는 인, 칼륨과 함께 생물의 성장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영양염류 중 하나이나, 반면에 질소 성분이 하천과 바다로 유입될 경우 부영양화를 초래하여, 수생태계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를 처리하여 하천에 방류하기 전에 하수 중의 존재하는 질소는 적절하게 처리되어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정부는 수계 보호를 목적으로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중 탄소원의 제거는 물론이고, 질소 제거의 기준을 계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법령의 강화에 따라 기존의 2차 처리가 아닌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들이 개발 중에 있다.
질소 중 암모니아 제거를 담당하는 질산화 미생물(nitrifier)은 낮은 성장계수와 여러 가지 환경 요인(온도, DO, pH, 독성물질 등)에 대한 민감도 때문에, 생물학적 영양염류 제거공정(BN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설계 및 운영에서 조심히 다루어지는 군집이다. 특히, 하수와 함께 독성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이 미생물들은 어떠한 활성도 보이지 않거나, 심지어 군집 자체가 사멸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이 군집이 다른 미생물 군집에 비하여 외래 독성물질에 대해서 훨씬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제거되지 않은 암모니아는 하천으로 그대로 방류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하수처리장 운전시 유입수에 의한 질산화 저해작용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에 독성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유출수로 인하여 인근 수계를 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DO와 pH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하수처리장에서 민감한 미생물 집단으로 알려진 질산화 박테리아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유해물질의 존재 유무에 대해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용존산소(DO)와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수 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pH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내부의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pH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pH값을 일정시간마다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pH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pH 미분값이 -0.001 보다 작아지다 +0.001보다 커지는 점이 검출될 때 dpH/dt = 0 (암모니아 밸리(A.V.))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dpH/dt = 0을 검출하는 단계; dpH/dt = 0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pH/dt = 0이 검출되는 시간이 이전 단계에서의 검출시간과 비슷한 경우(20분 이내)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없다고 판단하여 시험수를 pH 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dpH/dt = 0의 검출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지는 경우(20분 이상)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또한 상기 pH 값의 측정단계에서 pH 값을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게 된다. 즉 20초당 1개의 pH값을 생성하며, 상기 pH 미분값의 계산단계에서 전술한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이들의 기울기를 pH 미분값으로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pH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pH 미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또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DO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내부의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DO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DO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폭기작용을 유지하고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 경우에 폭기작용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DO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시험수를 DO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또한 상기 DO값의 폭기세트포인트는 6~7㎎/ℓ, 그리고 DO 미분값의 세트포인트는 정상상태의 40%를 허용범위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또한 상기 DO 값의 측정단계에서 DO 값을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게 된다. 즉, 20초당 1개의 DO값을 생성하며, 상기 DO 미분값의 계산단계에서 전술한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이들의 기울기를 DO 미분값으로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DO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DO 미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존산소와 pH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은 독성물질, 즉 질산화 저해물질의 유입을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안정적인 고도처리 공정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하수 내 독성물질의 유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해당 지역에 대한 오염물 배출 감시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유입수 감지 방법은 생물학적 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오수처리시설에 도입 가능한 것으로서 pH센서, DO센서 그리고 DAC 모듈(Data Acquisition and Control module), 펌프 및 교반기 등만 있으면 되는 간단한 설치 로 인하여 번거롭지 않게 현장에서 사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에서 근무하는 운전자가 쉽게 방법을 익힐 수 있어 사용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독성물질 유입시 발생가능한 처리장 반응기 효율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미생물들의 활성도 측정의 파라미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경보(WARNING) 신호는 주지 않더라도 dpH/dt = 0(암모니아 밸리) 감지 시간이 길어진다던지, 혹은 DO(용존산소)의 기울기가 평상시와는 달리 높은 값을 나타낼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로 하수처리장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갑작스러운 독성물질의 유입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 특히 질산화 미생물이 활성을 잃거나 사멸하게 되는 경우, 법적 방류수 수질 기준의 초과에 대한 벌금뿐만 아니라 다시 슬러지가 활성을 띄게까지 드는 비용을 감안한다면 본 기술은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그 구성요소인 pH 센서나 DO 센서의 가격이 암모니아 센서나 질산염 센서보다 저렴하여 전체적인 장치의 가격이 저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을 실행하는 감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유입감시방법의 실행과정에서 정 상상태와 독성물질이 투입된 경우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검출을 위한 시간에 따른 pH 값 및 그 미분값의 그래프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입감시방법의 실행과정에서 정상상태와 독성물질이 투입된 경우의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DO 값 및 그 미분값의 그래프이다.
일반 생활하수와 산업폐수와의 연계처리, 도로/토지의 초기 씻김수, 혹은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유입되는 독성물질은 하수처리장에 존재하는 가장 민감한 미생물 군 중 하나인 질산화 박테리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질산화 박테리아에 유해한 질산화 저해물질의 유입을 감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저장하는 pH 측정용 반응용기(10), 상기 pH 측정용 반응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된 pH 센서(11), 상기 pH 측정용 반응용기(10)의 내부에 넣어진 유입수를 교반하는 교반날개(12a) 및 교반모터(12b)로 구성된 교반기, 상기 pH 측정용 반응용기(10)의 내부의 유입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13) 및 송풍기(16), 하수처리장의 유입수를 끌어들어 pH 측정용 반응용기(10)에 집어넣는 유입펌프(14), 검사가 완료된 후 pH 측정용 반응용기(10)에 있는 유입수를 배출시키는 유출펌프(15);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저장하는 DO 측정용 반응용기(20), 상기 DO 측정용 반응용기(20)의 내부에 설치된 DO 센서(21), 상기 DO 측정용 반응용기(20)의 내부에 넣어진 유입수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2a) 및 교반모터(22b)로 구성된 교반기, 상기 DO 측정용 반응용기(20)의 내부의 유입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23) 및 송풍기(26), 하수처리장 의 유입수를 끌어들여 DO 측정용 반응용기(20)에 집어넣는 유입펌프(24), 검사가 완료된 후 DO 측정용 반응용기(10)에 있는 유입수를 배출시키는 유출펌프(25), 상기 pH 센서(11) 및 DO 센서(21)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반모터(12b)(22b), 유입펌프(14)(24), 유출펌프(15)(25), 그리고 송풍기(16)(26)를 제어하는 데이터수집 및 제어 모듈(30), 그리고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4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pH 센서(11)를 이용하는 방법과 DO 센서(21)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pH 센서(11)를 이용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유입수 채취단계(단계 S1), 폭기 및 교반 작용 단계(단계 S2), pH값 측정단계(단계 S31), pH 미분값 계산단계(단계 S41), dpH/dt = 0(암모니아 밸리(A.V.)) 검출단계(단계 S51), dpH/dt = 0 검출여부 판단 단계(단계 S61), 시험수 배출단계(단계 S71), 경보단계(단계 S81)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 판독, 데이터 인식, 시스템 제어는 컴퓨터(40)의 중앙처리장치에 저장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행해진다.
유입수 채취단계(단계 S1)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유입펌프(14)의 작동에 의하여 끌어들여 pH 측정용 반응용기(10)에 저장한다.
폭기 및 교반단계(단계 S2)에서는 상기 반응용기(10)의 산기관(酸氣管)(13) 및 교반날개(12a)를 작동시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한다. 산기관(13)의 작동은 송풍기(16)를 작동시킴으로써 시험수내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교반날개(12a)의 작동은 교반모터(12b)를 작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pH값 측정단계(단계 S31)에서는 상기 pH 측정용 반응용기(10)에 설치된 pH 센서(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pH값을 일정시간마다 측정한다. pH 값은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pH 값의 측정을 20초에 한번 씩 수행한다.
도 3의 상부 그래프는 정상상태(ATU 0㎎/ℓ)와 독성물질(ATU, 질산화저해제) 투입 시 시간(분)에 따른 pH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정상상태(ATU 0㎎/ℓ)의 경우, pH 변화는 대개 초기에 폭기를 시작하면 CO2 탈기(stripping)로 인하여 pH는 상승하기 시작한다. 일정 시간 후에, 알칼리도의 소모와 H+ 이온의 생성을 동반하는 질산화의 영향으로 pH는 감소하게 된다. 질산화가 종료되면, 다시 암모니아생성(ammonification)의 영향으로 pH는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가 질산화 종료 시점으로서 pH 변곡점이 생기게 된다. 이를 암모니아 밸리{ammonia valley(A.V.)}라고 부르며, 질산화 종료 판별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pH 미분값 계산단계(단계 S41)에서는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pH 값의 미분값, 즉 pH 값들의 기울기를 계산한다.
도 3의 하부 그래프는 시간(분)에 대한 pH 미분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 pH 미분값의 계산단계에서는 전술한 측정된 pH의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pH 미분값을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pH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pH 미분값을 계산한다.
암모니아 밸리 검출 단계(단계 S51)에서는 질산화가 종료되고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을 검출한다.
도 3의 하부 그래프에서 정상상태(ATU 0㎎/ℓ)의 경우, 첫 번째로 pH 기울기가 0 이 되는 지점은 질산화에 의한 pH 감소 구간을 나타내며, 두 번째로 0 이 되는 점이 암모니아의 산화가 종료되는 바로 dpH/dt = 0(암모니아 밸리)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을 찾아내기 위하여 pH 미분값, 즉 dpH/dt가 -0.001보다 작아지다가 이 후, +0.001보다 커지는 점을 찾으면 암모니아 밸리(A.V.)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단계에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검출되는 경우에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검출되는 시간이 이 전 단계에서의 검출시간과 비교하여 소정시간(time interval)(예를 들어 20분)이내에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S61), 소정시간(time interval)이내에 검출되는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없다고 판단하여 시험수를 pH 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한다(단계 S71).
그리고 이 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보다 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의 차이가 소정시간(time interval)(예를 들어 20분)이상이 되는 경우,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한다(단계 S81).
본 발명의 DO 센서(21)를 이용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유입수 채취단계(단계 S1), 폭기 및 교반작용 단계(단계 S2), DO값 측정단계(단계 S32), DO값이 폭기세트 포인트보다 큰 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S42), 폭기작용 중지단계(단계 S52), DO 미분값 계산단계(단계 S62),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S72), 시험수 배출단계(단계 S82), 경보단계(단계 S92)로 이루어져 있다.
단계 S1, S2는 전술한 pH 센서(11)를 이용한 방법과 동일하다.
DO값 측정 단계(단계 S32)에서는 상기 DO 측정용 반응용기(21)에 설치된 DO 센서(2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DO값을 측정한다.
DO 값의 측정은 DO 값을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DO 값의 측정을 20초에 한번 씩 수행한다.
단계 S42에서는 상기 측정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폭기 세트포인트는 하수처리장의 실정에 따라 6~7㎎/ℓ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폭기 세트포인트를 7㎎/ℓ로 설정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의 폭기작용을 유지한다.
폭기작용 중지단계(단계 S52)에서는 측정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 경우에 폭기작용을 중지하고, 교반기에 의한 교반작용만을 유지하면서 DO의 소모율을 측정한다.
도 4의 상부 그래프는 정상상태(ATU 0㎎/ℓ)와 독성물질(ATU, 질산화저해제) 투입 시 시간(분)에 따른 DO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초기 폭기로 인하여 DO는 증가하게 되고 도 4의 예에서 설정된 폭기 세트포인트(7㎎/ℓ)를 지나게 되면 폭기는 멈추고, 교반만을 실시하게 된다.
다음에 측정된 DO 값의 미분값을 계산한다(단계 S62). DO 미분값은 측정된 DO의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DO 미분값을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DO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DO 미분값을 계산한다.
도 4의 하부 그래프는 시간에 대한 DO 미분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폭기가 멈추고 DO가 감소하기 시작하면 DO 소모율(미분값)을 계산하게 되며, 이러한 DO 미분값의 계산은 DO 미분값 세트포인트(3)가 될 때까지 실행한다.
다음에 상기 계산된 DO 미분값이 독성물질에 대한 영향이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DO 미분값의 세트포인트(평상시의 40%)를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2).
단계 S72에서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내에 있는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시험수를 DO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고(단계 S82),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 즉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한다(단계 S92).
전술한 pH 센서(11)를 이용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과 DO 센서(21)를 이용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은 각각 별개로 실행할 수 있으나 보다 안전을 위하여 동시에 실행하여 어느 한쪽이라도 독성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4는 정상상태와 독성물질 유입시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질산화 저해제인 ATU를 사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pH와 pH 미분값, 그리고 DO와 DO의 미분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정상상태(ATU 0㎎/ℓ)의 경우, pH값에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분명하게 보이고 있으며, 이의 실시간 검출을 위하여 pH의 미분값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전술한 것과 같이 미분값이 -0.001에서 +0.001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을 검출하고 있다.
독성물질을 농도별로 투입하였을 경우, pH값과 그의 미분값은 정상상태와는 다른 경향을 보이게 된다. 0.25㎎/ℓ이 투입되면 dpH/dt = 0(암모니아 밸리) 검출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20분 이내), 0.5 및 0.75㎎/ℓ이 투입되면,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정상상태에서의 검출시간보다 20분 이상 모니터링하여도 나타나지 않아 경보를 발생시켰다.
도 4에는 DO값이 폭기세트포인트인 7㎎/ℓ이상이 되면 폭기가 중단되고 미분값을 계산하기 시작하여 DO값이 3㎎/ℓ이 될 때까지 지속하였다. 미분값 세트포인트는 독성물질의 유입으로 유해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서 예비실험을 통한 평상시 미분값의 40%까지 허용범위를 적용하여 컴퓨터(40)에 미리 설정하여 놓는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0.155로 설정하였다. 실험한 결과, 정상상태(ATU 0㎎/ℓ)에서는 세트포인트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0.25㎎/ℓ을 주입하였을 경우 약간의 미분값의 증가가 보였으나, 세트포인트는 만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0.5 및 0.75㎎/ℓ이 주입된 경우, 미분값의 세트포인트를 만족시키지 못하면서 경보를 발생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을 실행하는 감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유입감시방법의 실행과정에서 정상상태와 독성물질이 투입된 경우의 암모니아 밸리검출을 위한 시간에 따른 pH 값 및 그 미분값의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유입감시방법의 실행과정에서 정상상태와 독성물질이 투입된 경우의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 내에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DO 값 및 그 미분값의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H 측정용 반응용기 11 : pH 센서
20 : DO 측정용 반응용기 21 : DO 센서
12a, 22a: 교반날개 12b, 22b: 교반모터
13. 23 : 산기관 14, 24: 유입펌프
15, 25 : 유출펌프 16, 26 : 송풍기
30 :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모듈 40 : 컴퓨터

Claims (5)

  1.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pH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내부의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저장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pH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pH값을 일정시간마다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pH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pH 미분값이 -0.001 보다 작아지다 +0.001보다 커지는 점이 검출될 때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을 검출하는 단계;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이 검출되는 시간이 이 전 단계에서의 검출시간과 비교하였을 시, 소정시간(time interval)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없다고 판단하여 시험수를 pH 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이 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보다 현 단계에서의 dpH/dt = 0(암모니아 밸리)의 검출시간의 차이가 소정시간(time interval)이상이 되는 경우,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값의 측정단계에서 pH 값을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pH 값의 측정을 20초에 한번씩 수행하며, 상기 pH 미분값의 계산단계에서 전술한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이들의 기울기를 pH 미분값으로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pH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pH 미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
  3.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로부터 시험수를 채취하여 DO 측정용 반응용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 내부의 산기관 및 교반기를 작동시켜 시험수에 폭기 및 교반작용을 하는 단계;
    상기 반응용기에 설치된 DO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시험수의 DO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폭기작용을 유지하고 DO 값이 폭기 세트포인트보다 큰 경우에 폭기작용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DO 값의 미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DO 값이 질산화 저해물질의 유입으로 유해하다고 판단하는 세트포인트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내에 있는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시험수를 DO측정용 반응용기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그리고
    DO 미분값이 세트포인트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에 질산화 저해물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O값의 폭기세트포인트는 6~7㎎/ℓ, 그리고 DO 미분값의 세트포인트는 정상상태의 40%를 허용범위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O 값의 측정단계에서 DO 값을 1초당 1,000회를 읽고 20초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DO 값의 측정을 20초에 한번 씩 수행하며, 상기 DO 미분값의 계산단계에서 전술한 데이터들을 n개씩(S0, S1~Sn-1) 묶어 이들의 기울기를 DO 미분값으로 구하며, 또 다른 20초 이후에 하나의 데이터(Sn)를 받아들이면 기존의 초기 데이터(S0)는 제외하여 새로운 DO 미분값을 구하는 이동평균방식으로 DO 미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감시방법.
KR1020080010346A 2008-01-31 2008-01-31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KR10097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46A KR100975983B1 (ko) 2008-01-31 2008-01-31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46A KR100975983B1 (ko) 2008-01-31 2008-01-31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703A Division KR101001659B1 (ko) 2009-12-07 2009-12-07 용존산소(do)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279A true KR20090084279A (ko) 2009-08-05
KR100975983B1 KR100975983B1 (ko) 2010-08-13

Family

ID=4120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46A KR100975983B1 (ko) 2008-01-31 2008-01-31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805A (zh) * 2019-08-12 2019-11-19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热鲜羊肉判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325B1 (ko) 2011-03-09 2012-10-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수 침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264900B1 (ko) * 2020-08-19 2021-06-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체지표를 이용한 수환경 내 유해화학물질 식별 및 농도 추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9896A (ja) 1982-03-17 1983-09-22 Sintokogio Ltd 活性汚泥液の性状判定装置
JPS63193064A (ja) 1987-02-06 1988-08-10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酸素利用速度の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100298676B1 (ko) 1998-08-19 2001-11-22 김용민 오폐수오토샘플링및어날라이징시스템
KR20070067443A (ko) * 2005-12-23 200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Do 실시간 기록 시스템 및 그 기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805A (zh) * 2019-08-12 2019-11-19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热鲜羊肉判定方法
CN110470805B (zh) * 2019-08-12 2023-03-28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热鲜羊肉判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983B1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urgeois et al. On‐line monitoring of wastewater quality: a review
Mohammadi et al. A hybrid computational intelligence approach for bioremediation of amoxicillin based on fungus activities from soil resources and aflatoxin B1 controls
CN106018359A (zh) 一种污水厂水质监测预警方法及系统
KR100975983B1 (ko) pH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Abdullah et al. Chemical and biosensor technologies for wastewater quality management
KR101001659B1 (ko) 용존산소(do)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질산화 저해물질 유입 감시 방법
Bao et 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mathematical models and properties of suspended solids in a typical freshwater pond
CN208684701U (zh) 一种难降解工业废水生化处理系统
CN113716700A (zh) 河道生态修复控制系统
Bouyakhsass et al. Applicability of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ing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using coagulation-flocculation
Arabzadeh et al. Wastewater quality index (WWQI) as an indicator for the assessment of sanitary effluents from the oil and gas industries for reliable and sustainable water reuse
Zakariah et al. Water pollution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on sungai Batang Melaka River
CN116303815A (zh) 一种河流断面的多级指纹图谱构建方法
Amjad et al. Efficiency assessm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A case study of Pattoki, district Kasur, Pakistan
CN212356697U (zh) 一种用于河道净化的农业面源污染处理系统
KR102560415B1 (ko) 하·폐수처리시설의 위기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시설의 위기관리방법
CN202865066U (zh) 污水处理中化学含氧量cod在线测量装置
KR101449194B1 (ko) 미생물 반응조 연속 모니터링 장치
IOVA et al. Case Study Regarding the Variation of the Qualitative Parameters of Wastewater
Faust et al. Investigating the role of organic carbon amendments and microbial denitrification gene abundance in nitrogen removal from experimental agricultural drainage ditches with low‐grade weirs
Santosa et al. Performanc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Phytoremidiation Water Hyacinth In Treating Tofu Wastewater
Beilicci et al. Water course quality evolution near animal husbandry farms
NEAGU et al. EFFICIENCY OF BIOLOGICAL ACTIVATED SLUDG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A MEAT PROCESSING PLANT. CASE STUDY.
Cardoso et al. Analysis of the Main Environmental Pollutants Present in Effluents Generated by Pharmaceutical Industries in the West Zone of Rio De Janeiro, Brazil
Rashidi et al. Color image analysis of contaminants and bacteria transport in porous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