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047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047A
KR20090084047A KR1020080009996A KR20080009996A KR20090084047A KR 20090084047 A KR20090084047 A KR 20090084047A KR 1020080009996 A KR1020080009996 A KR 1020080009996A KR 20080009996 A KR20080009996 A KR 20080009996A KR 20090084047 A KR20090084047 A KR 20090084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bar
refrigerator
heater
hom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남
지성
배준호
김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047A/ko
Priority to EP09152409.0A priority patent/EP2085724B1/en
Priority to ES09152409.0T priority patent/ES2610192T3/es
Publication of KR2009008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홈바에 제공되는 홈바 히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홈바 내외부의 온도 상태에 따라 히터에서 발열되는 발열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기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며 음식물의 취출을 위하여 적어도 개구부가 형성되는 홈바가 포함되며, 상기 홈바에는, 상기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홈바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에 따라 발열량이 조절되는 PTC 소자가 제공되는 홈바 히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홈바 주위 온도에 따라 히터의 발열량이 조절되므로, 별도의 히터 작동을 위한 스위치 제어과정이 필요없게 되고, 불필요한 소비전력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홈바 도어, 홈바 히터, 홈바 프레임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홈바에 제공되는 홈바 히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홈바 내외부의 온도 상태에 따라 히터에서 발열되는 발열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개방 및 차폐에 따른 필요 이상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일부에 홈바가 더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홈바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냉장실의 내부에 있는 음료 또는 음식물을 취출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홈바를 통하여 음식물이 저장 또는 취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홈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의 내부 및 외부는 서로 온도 차가 크게 형성된다. 즉, 냉장고의 내부에는 냉장실의 경우, 대략 약 2~3℃의 온도가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환경의 주변온도(약 15~25℃)가 형성된다.
따라서, 홈바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한 냉장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에는, 홈바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홈바의 주변에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홈바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도어는, 홈바 도어의 설치 구조상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서 단열효과가 적으므로 상기 개구부의 다른 위치에 비하여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홈바 도어가 회동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에 비하여 단열재가 적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기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이 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홈바 히터는, 냉장고 도어의 일정 부분을 따라 상기 홈바 도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동일한 열량이 공급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홈바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 위치 중,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서 특히 저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의 온도와 냉장고 주변온도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에는,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이 냉장고에 맺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의 하단부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홈바 히터의 열량을 높일 경우, 필요한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이 요구되어 전력 사용에 의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다른 부분, 즉 상단부 및 양측단부의 온도 또한 상승되어 냉장고 내부의 냉동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홈바에 제공되는 홈바 히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홈바 내외부의 온도 상태에 따라 히터에서 발열되는 발열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게 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홈바 히터의 발열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홈바 히터의 작동을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홈바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기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며 음식물의 취출을 위하여 적어도 개구부가 형성되는 홈바가 포함되며, 상기 홈바에는, 상기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홈바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에 따라 발열량이 조절되는 PTC 소자가 제공되는 홈바 히터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냉장고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홈바 히터의 작동 중에, 홈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가 감소되는 단계;와, 상기 PTC 소자의 온도 감소에 따라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 는 전류가 증가되는 단계; 및 상기 증가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홈바 히터를 통하여 방출되는 열량이 증가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냉장고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홈바 히터의 작동 중에, 압축기가 off되면 상기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가 상승되는 단계;와, 상기 PTC 소자의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는 단계; 및 상기 감소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홈바 히터를 통하여 방출되는 열량이 감소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홈바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홈바 주위의 온도에 따라 PTC 소자를 이용한 히터의 발열량이 조절되므로, 히터의 발열이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고온 상태에서 히터의 발열량이 줄어들고 히터의 발열이 상대적으로 필요한 저온 상태에서 히터의 발열량이 늘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바 주위의 온도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히터의 발열이 이루어지므로, 히터 발열에 의한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냉동실 도어(11) 및 냉장실 도어(1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대략 중앙부에는, 사용이 비교적 잦은 음식물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홈바(100)가 포함된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좌우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side by side) 형태의 냉장고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냉동실 및 냉장실의 위치는 중요한 사상이 아니며,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하로 구비된 탑 마운트 (Top mount) 형태나, 냉장실이 상측에 구비되고 냉동실이 하측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저 (Bottom freezer) 형태의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바(100)에는 도 1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냉동실 도어(11)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12) 및 냉동실 도어(11) 양쪽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2℃ ~ 5℃ 범위의 상온 보관이 요구되는 식품이 저장되는 냉장실(미도시)과, 냉동 보관이 요구되는 식품이 저장되는 냉동실(미도시)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홈바(100)에는, 식품이 투입 또는 취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01)와, 상기 개구부(10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바(100)의 외관을 형 성하는 홈바 프레임(102)과, 상기 개구부(101)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홈바 도어(10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01) 및 홈바 프레임(102)은 상기 홈바(100)의 구성으로서 기능상 구분되어 명명되지만, 실제로 상기 개구부(101)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홈바 프레임(102)은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 도어(103)의 이면에는 홈바 도어 라이너(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 라이너(104)는 상기 홈바 도어(103)가 상기 개구부(101)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홈바 프레임(102)에 접하여 냉장고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103)는 상기 홈바(100)의 하단부, 즉 힌지부(107)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07)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에 제공되며, 상기 개구부(101)의 하단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 도어(103)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홈바 도어(103)가 상기 개구부(101)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홈바 프레임(102)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쇠 부재(10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프레임(102)에는, 상기 홈바 도어(12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쇠 부재(126)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 어셈블리(105)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걸쇠 부재(106)는 상기 홈바 도어(103)가 닫힐 때, 상기 래치 어셈블리(105) 내로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홈바 도어(103)의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103)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홈바 도어(103)를 개방하기 위하여 누름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미도시)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걸쇠 부재(106)는 상기 누름부와 함께 상기 홈바 도어(103)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의 일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 프레임(102)의 전면에는, 상기 홈바 도어(10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홈바 도어(103)의 이면과 접하여 냉장고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스켓(108)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홈바 프레임(102)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101) 주변의 냉장고 도어를 가열함으로써, 냉장고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습공기, 즉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홈바 히터(120)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홈바 히터(120)의 구성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바 히터(120)는 상기 홈바 프레임(10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바 프레임(102)의 내부에는, 냉장고의 내부 및 외부가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홈바 히터(120)에는 PTC 소자(12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121)는 정특성 서미스터라고도 하며, 티탄산바륨계 도자기로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그리고, PTC 소자는 최근에는 니크롬선을 대신하는 안전한 발열체로서 사용된다. 특히, 상기 PTC 소자(121)는 단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기 저항이 커져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이른바 스위치 원리가 이용된 것으로 텔레비전 섀도마스크(shadow mask)의 소자용(消磁用), 에어컨의 모터 기동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TC 소자는 벌집 구조로 성형되고, 상기 벌집 구조 사이를 지나는 공기 등을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나 의류 건조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바 히터(120)는 상기 개구부(10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히터(120)의 양측에는, 냉장고 전원이 상기 홈바 히터(120)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122)가 제공된다.
따라서, 냉장고 본체(10)에 고정 전압(220V)이 공급되면, 상기 홈바 히터(120)에는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어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바 히터(120)에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는 PTC 소자(121)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TC 소자(121)에는 세라믹 반도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TC 소자(121)는 저온에서 낮은 전기 저항을 나타내지만 특정 온도로 설정된 값(임계 온도)을 넘게 되면 저항값이 갑자기 수백에서 수천 배로 증 가한다. 이처럼, 상기 PTC 소자(121)의 전기 저항이 급격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전류를 실어 나르는 전자가 고온에서는 작은 세라믹 결정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상기 PTC 소자(121)는 실온인 25℃에서 R25 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25℃ 이상인 Tmin에서 최소 저항인 Rmin값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Tmin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값은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PTC 소자(121)는 온도가 임계값인 Tc에 도달되면,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를 통과하는 전류의 양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어 상기 PTC 소자(121)를 통하여 발열되는 발열량은 작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PTC 소자(121)는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10℃에서 180℃의 범위에서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PTC 소자(121)는 니켈, 크롬 히터에 비하여 긴 수명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 주위 온도에 따라 전압 대비 전류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C 소자(121)는 일정한 입력 전압(Vin)에 대하여 온도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값이 달라지게 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a)가 나타내는 선도는 홈바 주위의 온도가 저온인 경우 에, 변화된 PTC 소자(121)의 온도(Ta)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고 그에 대응하여 Ia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b)가 나타내는 선도는 홈바 주위의 온도가 대략 실온인 경우에, 변화된 PTC 소자(121)의 온도(Tb)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고 그에 대응하여 Ib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c)가 나타내는 선도는 홈바 주위의 온도가 대략 실온 이상의 고온인 경우에, 변화된 PTC 소자(121)의 온도(Tc)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고 그에 대응하여 Ic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물론,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값은 Tc > Tb > Ta가 성립하며, 전류값은 Ia > Ib > Ic가 성립될 것이다.
즉, (a)의 경우에, 높은 전류값에 의하여 상기 PTC 소자(121)에는 많은 열이 방출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c)의 경우에, 낮은 전류값에 의하여 상기 PTC 소자(121)에는 적은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즉, 상기 PTC 소자(121)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그에 대응되는 전류값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입력 전압(Vin)에 대하여, 발열에 의한 전력값은 저항값에 반비례하므로, (a) 선도의 조건에서 가장 많은 전력이 소비될 것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c) 선도의 조건에서 가장 적은 전력이 소비될 것이다.
이 경우, 전력(발열량) E = V2 / R (V : 전압, R : 전기저항)이 성립될 수 있다.
한편, 홈바 도어의 개방등으로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가 낮아져 발열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면, 시간이 흘러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는 다시 높아질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의 저항값이 커지면 상기 PTC 소자(121)를 흐르는 전류값은 작아지고 결국 발열량은 작아지게 될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PTC 소자(121)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다다르면, 상기 PTC 소자(121)를 흐르는 전류는 낮아지게 되고, 상기 PTC 소자(121)에 공급되는 전력과 소모되는 열량 사이에 안정적인 평형 상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홈바 히터(120)에 적용되는 PTC 소자(121)의 작용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냉장고의 작동 중에, 홈바 도어(103)가 열렸을 경우, 홈바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홈바 프레임(102)을 포함한 홈바 주위의 온도가 하강되며,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 또한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PTC 소자(121)의 전기저항은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된다. 그리고, 발열량은 전기저항 값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PTC 소자(121)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PTC 소자(121)의 발열에 의하여,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가 증가되면 상기 PTC 소자(121)의 전기저항이 증가된다. 결국,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값에 도달되면, 상기 PTC 소자(121)의 전기저항 값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발열되는 양도 적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홈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기가 off되었을 경우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냉장고내의 온도는 상승되며, 그에 따라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 또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의 전기저항은 증가되고, 상기 PTC 소자(121)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된다. 그리고, 발열량은 전기저항 값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PTC 소자(121)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PTC 소자(121)는 냉장고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장고 주위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홈바 주위의 표면온도도 상승되며 그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가 상승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기 PTC 소자(121)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상기 냉장고 주위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홈바 주위의 표면온도는 하강되며 그에 따라 상기 PTC 소자(121)의 온도는 하강된다. 그러면, 상기 PTC 소자(121)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PTC 소자의 작용에 의하여, 별도의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ON/OFF 제어가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PTC 소자의 온도에 따른 발열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히터가 설치되는 비용이 감소되고,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홈바 주위 온도에 따라 전압 대비 전류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8)

  1. 냉기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며 음식물의 취출을 위하여 적어도 개구부가 형성되는 홈바가 포함되며,
    상기 홈바에는,
    상기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홈바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에 따라 발열량이 조절되는 PTC 소자가 제공되는 홈바 히터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에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홈바 프레임이 더 포함되고,
    상기 홈바 히터는 상기 홈바 프레임에 설치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히터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TC 소자는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가 상승되면 발열량이 감소되고, 상기 홈바 주위의 온도가 하강되면 발열량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냉장고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홈바 히터의 작동 중에, 홈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가 감소되는 단계;
    상기 PTC 소자의 온도 감소에 따라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되는 단계; 및
    상기 증가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홈바 히터를 통하여 방출되는 열량이 증가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주위의 온도가 상승된 경우에는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고, 상기 홈바 히터의 방출열량이 감소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주위의 온도가 하강된 경우에는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되고, 상기 홈바 히터의 방출열량이 증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냉장고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홈바 히터에 전압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홈바 히터의 작동 중에, 압축기가 off되면 상기 홈바 히터에 적용되는 PTC 소자의 온도가 상승되는 단계;
    상기 PTC 소자의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홈바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는 단계; 및
    상기 감소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홈바 히터를 통하여 방출되는 열량이 감소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80009996A 2008-01-31 2008-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90084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96A KR20090084047A (ko) 2008-01-31 2008-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EP09152409.0A EP2085724B1 (en) 2008-01-31 2009-02-09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S09152409.0T ES2610192T3 (es) 2008-01-31 2009-02-09 Frigorífico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96A KR20090084047A (ko) 2008-01-31 2008-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047A true KR20090084047A (ko) 2009-08-05

Family

ID=4057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996A KR20090084047A (ko) 2008-01-31 2008-01-31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85724B1 (ko)
KR (1) KR20090084047A (ko)
ES (1) ES261019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66B1 (ko) * 2008-02-27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 히터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21108B1 (ko) * 2009-01-30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CN104713302A (zh) * 2015-03-19 2015-06-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内门体及具有该内门体的冷藏冷冻装置
CN114777378B (zh) * 2022-04-02 2024-04-30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374A (en) * 1970-02-06 1972-01-11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with self-regulating heaters
KR100213147B1 (ko) * 1997-08-23 1999-08-02 윤종용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853681B1 (ko) * 2002-05-24 2008-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히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5724A3 (en) 2015-09-30
EP2085724B1 (en) 2016-11-30
ES2610192T3 (es) 2017-04-26
EP2085724A2 (en)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8489A (ko) 가변히터를 구비한 냉장고
EP2420773B1 (en) Refrigerator
AU201820212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996361A (en) Refrigeration system
KR2009008404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EP3396280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57686B1 (ko) 냉장고
JP2008175437A (ja) 冷蔵庫
KR101505675B1 (ko) 냉장고
US2647374A (en) Antisweat antifrost attachment
CN210320818U (zh) 一种冰箱冷藏室
WO2022111669A1 (zh) 冰箱
JP3426504B2 (ja) 冷却貯蔵庫
KR100600779B1 (ko) 냉장고의 해동유닛 및 해동실
JP2022178367A (ja) 冷却貯蔵庫
KR100340055B1 (ko) 제상기능이 향상된 냉장고
KR200160155Y1 (ko) 압축열을 이용한 쇼케이스 제상장치
EP2096391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88263B1 (ko) 냉장고의제상장치
JPS61191855A (ja) 冷蔵庫
KR100907793B1 (ko) 냉장고
KR100214654B1 (ko) 냉장고의 압력조절용 가스킷
KR840001616Y1 (ko) 냉동 냉장 겸용 냉장고
CN112629120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JP200533114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