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272A -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272A
KR20090083272A KR1020080115941A KR20080115941A KR20090083272A KR 20090083272 A KR20090083272 A KR 20090083272A KR 1020080115941 A KR1020080115941 A KR 1020080115941A KR 20080115941 A KR20080115941 A KR 20080115941A KR 20090083272 A KR20090083272 A KR 20090083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renegotiation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293B1 (ko
Inventor
하지메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에,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을 갖는다. 기지국 장치는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동국 장치, 수신부, 송신부, 기지국 장치, 베이스 밴드 처리부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패킷 교환형 서비스를 실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송수신의 필요에 따라서,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간헐 수신 및/또는 간헐 송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양 개발 중인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다종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의 하나로 되어 있다. 리얼 타임성이 강한 서비스, 예를 들면 음성 서비스/영상 전화 서비스 등에서는, 그 서비스의 성질에 의해, 정기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하다. 그 반면, 논리얼 타임 통신으로서 구분되는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의 연속성은 필요하지 않다. 이 논리얼 타임 통신에는,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가 포함된다. 논리얼 타임 통신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 송수신이 실시된다. 논리얼 타임 통신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부 및/또는 수신부가 오프로 제어된다. 논리얼 타임 통신에는, 예를 들면 웹 열람 등이 포함된다. 논 리얼 타임 통신에서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국 장치 등에서의 소비 전력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동국 장치는, 유저 장치(UE : User Equipment)라고 불리어도 된다.
전술한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후보 중 하나로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들 수 있다. 이 LTE 시스템에서도, 데이터 수신 및/또는 송신의 필요에 따라서, 이동국 장치 및 기지국 장치 모두에 간헐 수신 제어(DRX : Discontinuous Reception) 및/또는 간헐 송신 제어(DTX : Discontinuous Transmission)가 실시되는 방향으로 사양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3GPP 36.300
[비특허 문헌 2] 3GPP 36.311
[비특허 문헌 3] 3GPP 36.321
그러나, 전술한 배경 기술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W-CDMA(Wideban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기존 시스템에서 채용되고 있는 개별 채널 리소스 할당의 논리는 답습되지 않는다.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공유 채널(쉐어드 채널)(shared Channel)의 할당을 전제로 하여 사양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공유 채널에서는, 유저간에서 무선 채널이 공유하여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한 자원인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공유 채널의 할당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직교파 주파수 분할 다원 액세스(OFDMA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OFDMA 방식과 같은 공유 채널 할당 논리의 경우, 유저에 대한 무선 리소스 할당은, 상시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필요 시에 바라는 리소스의 할당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에는 주파수축 및 시간축에 의해 지정되는 리소스 블록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마다 공유 채널을 할당할지의 여부의 판단을 실시한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는 유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해 리소스 할당을 정지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리소스 할당을 정지하는 상태는, 간헐 수신(DRX : Discontinuous Reception) 상태라고 불린다.
DRX 상태로 추이한 이동국 장치는, 데이터 송신이 필요로 된 경우에는, 유저 데이터 송신 의뢰(리소스 할당 요구)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유 채널의 할당(리소스 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국 장치는 통신을 재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인 채로 에리어 이동 등이 원인으로, 에리어 밖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측에서는 그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에서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지, 어떠한 별도의 요인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지를 판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DRX 상태의 이동국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요인을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열차 이동 중에 돌연히 터널에 침입한 경 우, 전지가 끊어진 경우, 수몰한 경우 등이 포함된다.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호 확립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와의 접속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지국 장치는, 이 각종 정보를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그 이동국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요인을 판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이 담당 에리어 내에 재권하지 않는 상황으로 되어 있는 상태이어도, 해당하는 이동국 장치에 관한 각종 정보가 축적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불필요한 정보가 기지국 내 장치에 계속 보존되게 되므로, 시스템 운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보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다.
DRX 제어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발신을 받음으로써, 네트워크측과 이동국 장치는 회선 확립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회선 확립이 행해진다. 네트워크측은 확립된 회선에 대해,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를 DRX 상태로 할 수 있다. DRX 상태에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상태는 슬립(Sleep) 상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는 웨이크 업(Wake-up) 상태라고 불린다. 웨이크 업 상태에서는, 송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그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확립된 회선에서, 할당되는 리소스는 정위치(동일한 리소스 블록)가 아니라, 스케줄링 논리에 수반하는 할당으로 된다. 예를 들면, 1서브 프레임마다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측으로부터, 이동국 장치가 착신을 받음으로써, 네트워크측과 이동국 장치는 회선 확립 을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3GPP 상에서도 DRX가 정의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이 DRX Sleep 상태의 이동국 장치가 돌연히 권외 등으로 된 경우에, 기지국 장치에서는, 그 이동국 장치의 존재를 아는 방법이 없다.
또한, 이동국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 장치측에서, 그 이동국 장치의 존재를 알 수 없는 상황은, 기존의 3G라고 불리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하, 3G 시스템이라고 부름) 등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화하는 것이다. 이 3G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W-CDMA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다.
기존의 3G 시스템에서의 DRX 상태에서의 동기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3G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UP Link) 개별 물리 채널(DPCH : dedicated physical channel)이 도시된다. 이 개별 물리 채널에는,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과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 :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 포함된다. 이들 DPDCH 및 DPCCH는, 각각 상향 링크의 I/Q 프레임에 맵핑되어 송신되는 것이 사양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유저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서 DRX 제어가 실시되는 것은, DPDCH측(I 프레임)이다. 따라서, 이동국 장치는 DRX 상태인 경우라도, DPCCH는 상시 송신하고 있다. 이 DPCCH에는 상향 링크의 동기 감시 대상 신호가 정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의 유무에 기초하여,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로 되어도, 기지국 장치에서는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이동국 장치의 상향 링크의 무선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DRX 주기가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DRX 주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송신) 가능한 기간 및 수신(송신) 불가능한 기간이 포함된다. 이동국 장치는, DRX 제어 중에서의 송신 가능한 시간(On Duration)에서,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DTX 제어 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공유 채널 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서는, 그 무선 리소스 할당 방식 등의 특질로부터, DRX 상태라고 불리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어도, 그 판정 방식은 크게 상이하다. 예를 들면,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향 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향 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된다.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채용되고 있는 SC-FDMA에서의 상향 링크의 리소스 블록(RB : Resource Block)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 참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SC-FDMA 심볼과 1개의 서브 캐리어에 의해 표시되는 무선 리소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불리어진다. 상향 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정보 요소는, 1 또는 복수의 SC-FDMA 심볼(도 5에서는, NUL symb에 의해 표시됨) 및 1 또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도 5에서는, NRB sc에 의해 표시됨)로 표현된다. 바꿔 말하면,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NRB sc는, 리소스 블록간의 신호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가드 비트(Cyclic Prefix), 적용되는 프레임 타입 및 서비스에 따라서 적용수가 상이하다. NUL symb는, 유저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이다. 이 비트의 집합체로, 유저 데이터가 송신된다.
LTE 방식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포함되는 공유 채널 방식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저 데이터가 오프, 바꿔 말하면 송신 데이터가 없는 상태로 되면, 리소스 블록의 모든 송신이 오프로 된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는 상향 링크의 신호를 전혀 검출할 수 없다.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의 상향 링크의 공유 채널이 DRX 상태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는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를 송신한다. 이 MAC PDU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ID 식별자가 포함된다. LCID 식별자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DRX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MAC PDU에 의해, 이동국 장치를 DRX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그러나,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스켈치단으로 된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는, 그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이 오프인 상태인지, 그렇지 않으면 권외 로 이동한 것 등에 의해 데이터 송신이 오프인 상태인지를 식별할 수 없다. 즉, 그 이동국 장치가,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부재인지의 여부의 식별을 할 수 없다.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부재인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의 리소스는 해방하여도 된다. 이 식별 불능 상태에 의해, 기지국 장치는, 그 이동국 장치 대상으로 획득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의 콘텍스트(각종 정보) 등을 계속해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콘텍스트에는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메모리 버퍼의 탑재가 필요로 되는 염려가 생기는 등, 장치 설계로부터 고려하여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1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른 목적은,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인 채로 권외로 이동한 이동국 장치의 무선 리소스를 개방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기지국 장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른 기지국 장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를 위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 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이동국 장치는,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그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 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간헐 수신 및/또는 간헐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소정의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국 장치는,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개시된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개시된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인 채로 권외로 이동한 이동국 장치의 무선 리소스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공유 채널(shared channel)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공통 채널(common channel)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공유 채널 및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 장치는 파워 세이빙을 위해 간헐 수신(DRX : Discontinuous Reception)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동국 장치는, 간헐 송신(DTX : Discontinuous transmission)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전술한 특징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면,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이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되고, 무선 LAN(WLAN : Wireless LAN)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LTE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Evolved UTRA and UTRAN이라고 불리어도 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 장치(UE : User Equipment)(100)를 갖는다. 또 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eNB : eNode B)(200(2001, 2002, 2003))를 갖는다. 기지국 장치(200)의 상위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Gateway)(300(3001, 3002))가 설치된다.
도 8에서, S1은 기지국 장치(200)와 MME/S-GW(3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X2는 기지국 장치(2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장치(200)는 호 제어, 무선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기능을 갖는다. 기지국 장치에는, S1-AP(Application), X2-AP가 포함된다.
MME/S-GW(300)는 NAS(Non-Access Stratum)를 종단하고, 아이들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관리,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베어러 리소스의 관리를 행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에 대해서는 OFDM, 상향 링크에 대해서는 SC-FDMA가 적용된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적재하여 전송을 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기 사이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이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 방식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는, RF(Radio frequency)부(102)를 갖는 다. RF부(102)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베이스 밴드(Baseband)부(116)에 입력한다. 또한, RF부(102)는 베이스 밴드부(116)에 의해 입력된 중간 주파수의 IF 신호를 RF 신호로 업 컨버트하여, 증폭해서 송신한다.
RF부(10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부(102)는, 송수신 공용부(Duplexer)(104)를 갖는다. 송수신 공용부(104)는, 후술하는 파워 앰프(Power Amplifier)(114)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송수신 공용부(104)는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후술하는 수신부(106)에 입력한다.
RF부(102)는, 수신부(106)를 갖는다. 수신부(106)는, 송수신 공용부(104)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RF부(102)는, 프론트 엔드부(108)를 갖는다. 프론트 엔드부(108)는, 수신부(106)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프론트 엔드부(108)는, 베이스 밴드부(116)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RF부(102)는, 송신부(110)를 갖는다. 송신부(110)는, 프론트 엔드부(108)에 의해 입력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베이스 밴드부(116)에 의해 지정된 무선 주파수까지 업 컨버전한다. RF부(102)는, 주파수 신시사이저(112)를 갖는다. 주파수 신시사이저(112)는, 발진함으로써, 송신부(110)에서 행해지는 업 컨버전하는 주파수를 생성한다. RF부(102)는, 파워 앰프(114)를 갖는다. 파워 앰프(114)는, 베이스 밴드부(116)에 의한 제어에 의해 송신부(110)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는, 베이스 밴드부(116)를 갖는다. 베이스 밴드부(116)는, RF부(102)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스피커ㆍ마이크(130)에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부(116)는 스피커ㆍ마이크(130)에 의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02)에 입력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부(116)는 DRX 제어 및/또는 DTX 제어를 행한다.
베이스 밴드부(116)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밴드부(116)는, L1 모뎀ㆍ채널 코딩부(118)를 갖는다. L1 모뎀ㆍ채널 코딩부(118)는, 프론트 엔드부(108)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신호를 후술하는 오디오 I/F(120)를 통하여, 스피커ㆍ마이크(130)에 출력한다. 또한, L1 모뎀ㆍ채널 코딩부(118)는, 스피커ㆍ마이크(13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부호화하고, 프론트 엔드부(108)에 입력한다. 베이스 밴드부(116)는, 오디오 I/F(120)를 갖는다. 오디오 I/F(120)는, L1 모뎀ㆍ채널 코딩부(118)와 스피커ㆍ마이크(13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베이스 밴드부(116)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를 갖는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는, 이동국 장치(100)의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는,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인 경우에,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재권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그 응답 처리를 행한다. 이 재권 확인 신호는,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송신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재권 확인 신호로서, 제어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는, 그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 신호의 송신 제어를 행한 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에는 L1/L2 제어 채널이 포함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는, 이동국 장치(100)의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주기로, 직전에 호 확립을 행한 기지국 장치(200)에,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 이 재권 보고 신호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해,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한다. 즉, 재권 확인 신호 및/또는 재권 보고 신호는,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송신된다. 여기서,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인 경우란, 기지국 장치(200)가, 그 이동국 장치(100)의 상태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 그 이동국 장치(100) 자신이 자장치의 상태를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소정의 주기는, 기지국 장치(200)측에서,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그 이동국 장치(100)가 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이 의심스럽다고 판단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DRX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재권 보고 신호의 송신 횟수를 감소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DRX 주기를 초과하는 충분히 긴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소정의 주기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 는 이동국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의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는, DRX/DTX 제어부(124)를 갖는다. DRX/DTX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수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장치(100)를 DRX 상태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면, DRX/DTX 제어부(124)는 수신부(106)를 제어함으로써, 수신 빈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DRX/DTX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송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100)를 DTX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DRX/DTX 제어부(124)는 송신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송신 빈도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DRX 상태로 천이한 것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DTX 상태로 천이한 것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높여, 이동국의 소비 배터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DRX 상태로 천이하는 지시가 포함되는 신호에 따라서, 그 이동국 장치(100)를 DRX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DRX 상태로 천이하는 지시가 포함되는 MAC PDU를 수신한 경우에, DRX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DTX 상태로 천이하는 지시가 포함되는 신호에 따라서, 그 이동국 장치(100)를 DTX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124)는,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인 경우에,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재권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송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DRX/DTX 제어부는,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인 경우에, 소정의 주기로, 직전에 호 확립을 행한 기지국 장치(200)에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권 확인 신호 및/또는 재권 보고 신호는,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송신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122)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를 갖는다.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는,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인 경우에,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재권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그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는 이동국 장치(100)가 DTX 상태인 경우에,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재권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그 응답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는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주기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는 이동국 장치(100)가 DTX 상태이며, 또한 그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주기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재권 확인 신호로서, 제어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는, 그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에는 L1/L2 제어 채널이 포함된다.
베이스 밴드부(116)는, RF 제어부(128)를 갖는다. RF부(128)는, RF부(102)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부(110) 및 PA(114)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는, 스피커ㆍ마이크(130)를 갖는다. 스피커ㆍ마이크(130)는, 유저에 의해 발성된 음성 및/또는 그 밖의 음을 베이스 밴드부(116)에 입력하고, 베이스 밴드부(116)에 의해 출력된 음성 및/또는 음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는, 호 제어부(132)를 갖는다. 호 제어부(132)는, 기지국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호 제어부(132)는 무선 채널의 관리, 통신 품질의 관리, 모빌리티의 관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는, 기억부(134)를 갖는다. 기억부(134)는, 호 제어부(132)에 의해 관리되는 무선 채널, 통신 품질, 모빌리티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34)에는 자이동국 장치의 글로벌 ID, 예를 들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국제 이동 가입자 ID)/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이동 가입자 식별 ID)를 저장한다. 또한, 기억부(134)는 호 확립이 행해진 경우에는, 현재 자이동국 장치가 위치하는 트랙킹ㆍ에리어(TA : Tracking Area)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기억부(134)는 호 확립이 행해진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할당된 C-RNTI(cell specific-Radio Network Temporary ID)를 기록한다. 또한, 기억부(134)는 호 확립 이 행해진 경우에는, 자이동국 장치(10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W-CDMA 시스템과 시스템 아키텍처 등이 크게 상이하고, W-CDMA 시스템에서 존재하고 있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RNC : Radio Network Controller)에 포함되는 기능 중 몇 가지는 기지국 장치(200)에 배치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무선 리소스의 관리 기능 등의 호 처리 제어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는, 옥외 수신 증폭기(202)를 갖는다. 옥외 증폭기(202)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한 신호를 후술하는 RF부(204)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는, RF부(204)를 갖는다. RF부(204)는, 옥외 수신 증폭기(20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베이스 밴드부(212)에 입력한다. 또한, RF부(204)는 베이스 밴드부(212)에 의해 입력된 중간 주파수의 IF 신호를 RF 신호로 업 컨버트하여, 증폭해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부(204)는, 무선 송수신부(208)를 갖는다. 무선 송수신부(208)는, 베이스 밴드부(21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RF 신호로 업 컨버트하여, 송신 증폭기(206)에 입력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08)는, 옥외 송수신 증폭기(202)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베이스 밴드부(212)에 입력한다. RF부(204)는, 송신 증폭기(206)를 갖 는다. 송신 증폭기(206)는, 무선 송수신부(208)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한다. RF부(204)는, 인터페이스(210)를 갖는다. 인터페이스(210)는, 베이스 밴드부(212)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는, 베이스 밴드부(212)를 갖는다. 베이스 밴드부(212)는, 이동국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호 제어를 행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부(212)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감시를 행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부(212)는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감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밴드부(212)는, 인터페이스(214)를 갖는다. 인터페이스(214)는, RF부(204)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베이스 밴드부(212)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를 갖는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100)를 감시한다. 예를 들면,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DRX 상태로 된 이동국 장치가 계속해서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지의 여부를,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로서의 소정의 주기로 감시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200)에 관하여 유지하고 있는 리소스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한다. 리소스 정보에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파라미터에는, 회선 접속에 필요한 ID 정보, 회선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ID 정보에는 IMSI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회선 정보에는 트랙킹ㆍ에리어의 ID, C-RNTI 및 이동국 장치(100)의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1개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결과, 리소스 버퍼가 해방되고, 리소스의 해방이 행해진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100)를 감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DTX 상태로 된 이동국 장치가 계속해서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소정의 주기로 감시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200)에 관하여 유지하고 있는 리소스 정보를 삭제하게 명령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결과, 리소스 버퍼가 해방되고, 리소스의 해방이 행해진다.
또한, 소정의 주기는 재권 확인을 행함으로써, 재권하고 있지 않는 이동국 장치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DRX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재권 확인 신호의 송신 횟수를 감소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DRX 주기를 초과하는 충분히 긴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마다 결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의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DRX/DTX 제어부(220)를 갖는다. DRX/DTX 제어부(220)는, 무선 송수신부(208)에서의 송수신 처리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DRX 제어 및/또는 DTX 제어를 행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송신하는 데이터가 없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DRX 상태로 천이시키는 명령이 포함되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DRX 상태로 천이한 통지를 수신함으로써, 그 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로 천이한 것을 인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수신하는 데이터가 없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DTX 상태로 천이시키는 명령이 포함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 요구가 없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DTX 상태로 천이시키는 명령이 포함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DTX 상태로 천이한 통지를 수신함으로써, 그 이동국 장치(100)가 DTX 상태로 천이한 것을 인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후술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대하여, 소정의 주기로 명령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후술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대하여, 소정의 주기로 명령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200)에 관하여 유지하고 있는 리소스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호 제어부(224)는, 그 이동국 장치를 동기 인입 가능 상태로 하여 취급한다.
또한,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로부터 재권 보고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그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후술하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대하여 명령한다.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로부터 재권 보고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그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대하여 명령하도록 하여도 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216)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를 갖는다.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는, DRX/DTX 제어부(22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한다. 이 재권 확인 신호는 RF부(204)를 통하여, DRX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100)에 대하여 소정의 주기로 송신된다. 또한, 이 재권 확인 신호는 RF부(204)를 통하여, DTX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100)에 대하여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상태 확인 신호로서, 제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 제어 채널에는 L1/L2 제어 채널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L1/L2 제어 채널에는 타이밍 어드밴스(TA : Timing Advance)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는, DRX/DTX 제어부(220)에 의해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도록 명령받은 경우에, 그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220)는, 전송로 I/F(222)를 갖는다. 전송로 I/F(222)는 상위 장치(300)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상위 장치(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MME/S-GW가 포함되어도 된다.
베이스 밴드부(212)는 호 제어부(224)를 갖는다. 호 제어부(224)는 이동국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호 처리를 행한다. 또한, 호 제어부(224)는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행한다. 또한, 호 제어부(224)는 호 처리를 행한 이동국 장치에 대응하는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226)에 저장한다. 또한, 호 제어부(224)는 DRX/DTX 제어부(124)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는 이동국 장치에 관하여 유지하고 있는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226)로부터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는 이동국 장치에 대응하는 리소스를 해방할 수 있다. 또한, 호 제어부(224)는, 각종 네트워크측 접속처인 타겟 기지국 장치(Target eNode-B) 또는 MME/S-Gateway에 대한 인터페이스 메시지의 생성을 행한다. 또한, 호 제어부(224)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메시지에 대한 기지국 장치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200)와 이동국 장치(100)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 수순(Random Access Procedure)이 행해져, 호 확립 상태로 된다. 이 랜덤 액세스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 장치(10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기지국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102). 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는, 랜덤 ID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Random Access Response)를 송신함으로써 응답을 행한다(스텝 S1104). 이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는, RA 프리앰블 식별자(RA-preamble identifier), 타이밍 어드밴스, 초기 상향 링크 그랜트(initial UL grant) 및 템퍼러리 C-RNTI(cell specific-Radio Network Temporary ID)가 포함된다. C-RNTI는,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한 RAN에서 사용되는 ID이다. 타이밍 어드밴스는,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동국 장치(100)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기초하여, 스케줄 트랜스미션을 송신한다(스텝 S1106). 이 스케줄 트랜스미션은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이 스케줄 트랜스미션에는, 이동국 장치(100)의 C-RNTI가 포함된다.
기지국 장치(200)는, 컨텐션 레절루션(Contention Resolution)을, 이동국 장치(100)에 송신한다(스텝 S1108). 이 컨텐션 레절루션에는, C-RNTI, IMSI/TMSI, UL grant가 포함된다.
그 후, 템퍼러리 C-RNTI가 이동국 장치의 C-RNTI로 변경된다.
랜덤 액세스 수순이 행해짐으로써, 기지국 장치(200)의 기억부(226)에는 리 소스 정보로서, IMSI, 트랙킹ㆍ에리어의 ID, C-RNTI, 이동국 장치의 IP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한 재권 확인 동작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 수순이 행해짐으로써, 호 확립 상태로 된다(스텝 S1202).
기지국 장치(200)는 이동국 장치(100)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스텝 S1204).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이동국 장치(100)에 송신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06). 예를 들면, 이동국 장치(100)로부터의 리소스 할당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 송신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송신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06 : "예"), 기지국 장치(200)는, 그 이동국 장치(100)에 상향 링크의 리소스 할당을 실시한다(스텝 S1208). 그리고, 스텝 S1204로 되돌아간다.
한편, 송신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06 : "아니오"), 기지국 장치(200)는, 그 이동국 장치(100)를 DRX 상태로 이행(천이)시킨다(스텝 S1210).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DRX 주기에 따라서, 이동국 장치(100)에 송신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2).
송신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2 : "예"), 이동국 장치(100)로 부터의 리소스 할당 요구에 따라서, 기지국 장치(200)는, 그 이동국 장치(100)에 상향 링크의 리소스 할당을 실시한다(스텝 S1214). 그리고, 스텝 S1204로 되돌아간다.
한편, 송신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2 : "아니오"), 그 이동국 장치(100)는 DRX 상태를 계속한다(스텝 S1216).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해 접속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 바꿔 말하면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8). 예를 들면, 재권 확인 송신 주기로서의 소정의 주기로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한 이동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한다.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18 : "아니오"), 스텝 S1216으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해당한다.
한편,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8 : "예"), DRX/DTX 제어부(220)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서 생성된 재권 확인 신호는 인터페이스(214, 210), 무선 송수신부(208), 송신 증폭기(206) 및 옥외 수신 증폭기(202)를 통하여, 이동국 장치(100)에 송신된다(스텝 S1220). 예를 들면,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이동국 장치 앞으로, 재권 확인 신호가 송신된다.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2).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스텝 S1222 : "예"),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호 확립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된다(스텝 S1224). 그리고, 스텝 S120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22 : "아니오"),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호 확립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1226). 기지국 장치(200)는, 계속해서 재권 확인 신호를 그 이동국 장치(100)에 송신한다.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의 송신 횟수가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8).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28 : "아니오"), 스텝 S1220으로 되돌아간다. 이 리트라이 횟수는, 상기 이동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호 확립 상태인 것을 판단하는 데에 충분한 횟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한 경우(스텝 S1228 : "예"), DRX/DTX 제어부(220)는 이동국 장치(100)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1230).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100)에 관한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226)로부터 삭제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232).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이동국 장치의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이상은, 기지국 장치(200)가 이동국 장치(100)에 대하여,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동국 장치(100)가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스텝 S1218 이후의 처리가 상이하므로, 스텝 S1218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8).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한 이동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한다.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18 : "아니오"), 스텝 S12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218 : "예"), DRX/DTX 제어부(124)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에,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에서 생성된 재권 보고 신호는 L1 모뎀ㆍ채널 코딩부(118), 프론트 엔드부(108), 송신부(110), 파워 앰프(114) 및 송수신 공용부(104)를 통하여, 기지국 장치(200)에 송신된다(스텝 S1220). 예를 들면,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 앞으로, 재권 보고 신호가 송신된다.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2).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스텝 S1222 : "예"),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200)에서는 호 확립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된다(스텝 S1224). 그리고, 스텝 S12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22 : "아니오"),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호 확립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1226). 이동국 장치(100)는, 계속해서 재권 보고 신호를 기지국 장치(200)에 송신한다.
DRX/DTX 제어부(124)는, 재권 보고 신호의 송신 횟수가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28).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228 : "아니오"), 스텝 S1220으로 되돌아간다. 이 리트라이 횟수는,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호 확립 상태인 것을 판단하는 데에 충분한 횟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한 경우(스텝 S1228 : "예"), DRX/DTX 제어부(124)는 자이동국 장치(100)가,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재권하고 있었던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을 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1230).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호 제어부(132)에 대하여,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재권하고 있었 던 기지국 장치(200)에 관한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134)로부터 삭제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232).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 및 기지국 장치(200)의 구성은, 각각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200)측으로부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그 재권 확인 신호를 구체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재권 확인 신호로서, L1/L2 제어 채널이 적용된다. 이 L1/L2 제어 채널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어사인먼트(RA Preamble assignment)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00)는 DRX 상태이다(스텝 S1302). 그리고, 기지국 장치(200)는 이동국 장치의 재권 확인을 개시한다(스텝 S1304). 예를 들면, 타이머를 온으로 함으로써, 소정의 주기를 판단한다.
소정의 주기로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 기지국 장치(200)는 이동국 장치(100)에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306). 예를 들면, RA Preamble assignment를 송신한다.
이동국 장치(100)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재권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308).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A Preamble assignment가 송신된 경우, 그 응답 신호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가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한편,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의 횟수 리트라이를 행한다. 그렇게 하여도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이동국 장치(100)에 대응하는 리소스 정보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이동국 장치의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한 재권 확인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한 재권 확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에 대한 재권 확인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의 기억부(226)에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마다, 타이머 초과 횟수와, DRX 경과 시간이 기억된다. DRX 경과 시간은, 그 경과 시간이 긴 순서대로 기억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하,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마다, 타이머 초과 횟수와, DRX 경과 시간을 대응지은 테이블을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이라고 부른다.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 수순이 행해짐 으로써, 호 확립 상태로 된다(스텝 S1402).
이동국 장치(100)는, DRX 상태로 천이한다(스텝 S1404).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를 카운트한다(스텝 S1406). DRX/DTX 제어부(220)는 카운트된 이동국 장치 중 새롭게 카운트된 이동국 장치를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에 기억한다.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소정의 주기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기동한다(스텝 S1408). 예를 들면, 이 소정의 주기는 1㎳ 내지 255㎳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10㎳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타이머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마다 기동된다.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10).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410 : "아니오"), 스텝 S141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410 : "예"), 그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한 횟수를 나타내는 타이머 초과 횟수를 카운트한다(스텝 S1412).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한 이동국 장치(100)의 재권 확인을 개시한다고 판단한다(스텝 S1414).
DRX/DTX 제어부(220)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218)에 RA Preamble assignment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416). RA Preamble assignment가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된다.
DRX/DTX 제어부(220)는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RA Preamble assignment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18).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RA Preamble assignment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경우(스텝 S1418 : "예"), DRX/DTX 제어부(220)는, 그 이동국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다(스텝 S1420). 그리고, 스텝 S1408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RA Preamble assignment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스텝 S1418 : "아니오"), DRX/DTX 제어부(220)는 재권 확인 신호의 송신 횟수가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22). 예를 들면,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는 1회 내지 255회의 사이에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5회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호 확립 후에,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 및/또는 DTX로 천이하고 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 통지된다.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422 : "아니오"), 스텝 S1414로 되돌아간다. 한편,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한 경우(스텝 S1422 : "예"), DRX/DTX 제어부(220)는, 그 이동국 장치(100)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1424). 그리고, DRX/DTX 제어부(220)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100)에 관한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226)로부터 삭제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426).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이동 국 장치의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DRX/DTX 제어부(220)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기억부(226)에 기억되어 있는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428). 예를 들면,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중 콘텍스트의 해방이 행해진 이동국 장치를 삭제하는 명령이 행해진다. 호 제어부(224)는 DRX/DTX 제어부(220)에 의한 명령에 따라서, 콘텍스트의 해방이 행해진 이동국 장치를 삭제한다.
또한, 스텝 S1412에서 타이머 초과 횟수가 카운트되는 경우, 그 이동국 장치에 대응하는 타이머의 초과 횟수에 1이 더해진다(스텝 S1430).
DRX/DTX 제어부(220)는, 1이 더해진 타이머의 초과 횟수가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32).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432 : "아니오"), 스텝 S1428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에서,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한 타이머 초과 횟수와, DRX 경과 시간이 갱신된다.
한편,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스텝 S1432 : "예"), DRX/DTX 제어부(220)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100)에 관한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226)로부터 삭제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434).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이동국 장치의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DRX/DTX 제어부(220)는 호 제어부(224)에 대하여, 기억부(226)에 기억되어 있는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428). 예를 들면,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중 콘텍스트의 해방이 행해진 이동국 장치를 삭제하는 명령이 행해진다. 호 제어부(224)는 DRX/DTX 제어부(220)에 의한 명령에 따라서, 콘텍스트의 해방이 행해진 이동국 장치를 삭제한다.
<제3 실시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가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100) 및 기지국 장치(200)의 구성은, 각각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 장치(100)측으로부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그 재권 보고 신호를 구체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재권 보고 신호로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 Random Access Channel)이 적용된다. 이 랜덤 액세스 채널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이 포함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 장치(100)는 DRX 상태이다(스텝 S1502). 그리고, 이동국 장치(100)는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온한다. 그리고, 타이머를 온으로 하고 나서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가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504).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가 경과한 경우, 이동국 장치(100)는 기지국 장 치(100)에 상태 보고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506). 예를 들면, Random Access Preamble을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200)는,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508). 예를 들면,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Random Access Preamble이 송신된 경우, 그 응답 신호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애크놀로지(Random Access Preamble Acknowledge)를 송신한다.
이동국 장치(100)는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자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었던 것을 인식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그 이동국 장치가,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계속해서 재권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 장치(100)는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요인이 생각된다.
첫번째는, 기지국 장치(200)에서는 재권 보고 신호가 수신되고, 그 응답 신호를 송신하였지만, 이동국 장치측에서,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이동국 장치(100)가 재권 보고 신호를 다시 송신함으로써,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횟수 리트라이를 행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동국 장치(100)는, 재권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응하는 리소스 정보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이동국 장치에서 기억되어 있는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두번째는, 이동국 장치(100)가, 그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로부터 나오게 되었으므로,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가 기지국 장치(200)에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0)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그 이동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로부터 나오게 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가,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재권 보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DTX 상태인 이동국 장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재권 보고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200)의 기억부(226)에는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마다, 타이머 초과 횟수와, DRX 경과 시간이 기억된다. DRX 경과 시간은, 그 경과 시간이 긴 순서대로 기억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하,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마다, 타이머 초과 횟수와, DRX 경과 시간을 대응지은 테이블을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이라고 부른다.
이동국 장치(100)와 기지국 장치(200)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 수순이 행해짐으로써, 호 확립 상태로 된다(스텝 S1602).
이동국 장치(100)는 DRX 상태로 천이한다(스텝 S1604).
기지국 장치(200)의 DRX/DTX 제어부(220)는, 자기지국 장치(200)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DRX 상태인 이동국 장치를 카운트한다(스텝 S1606). DRX/DTX 제어부(220)는 카운트된 이동국 장치 중 새롭게 카운트된 이동국 장치를 DRX 상태 이동국 장치 관리 테이블에 기억한다.
이동국 장치(100)의 DRX/DTX 제어부(124)는, 자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는 것을 보고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로서의 소정의 주기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기동한다(스텝 S1608). 예를 들면, 이 소정의 주기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통지된다. 예를 들면, 이 소정의 주기는 1㎳ 내지 255㎳의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10㎳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이 소정의 주기를 이동국 장치마다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마다 서로 다르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소정의 주기는 이동국 장치의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DRX/DTX 제어부(124)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10).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610 : "아니오"), 스텝 S161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1610 : "예"), 그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이 경과한 횟수를 나타내는 타이머 초과 횟수를 카운트한다(스텝 S1612).
DRX/DTX 제어부(124)는, 재권 보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고 판단한다(스텝 S1614).
DRX/DTX 제어부(124)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126)에 Random Access Preamble을 생성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616). Random Access Preamble이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송신된다.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andom Access Preamble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18).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Random Access Preamble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경우(스텝 S1618 : "예"),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재권의 보고를 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다(스텝 S1620). 그리고, 스텝 S1608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동국 장치(100)로부터, Random Access Preamble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스텝 S1618 : "아니오"), DRX/DTX 제어부(124)는 재권 보고 신호의 송신 횟수가 소정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22). 예를 들면,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는, 1회 내지 255회의 사이에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5회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리트라이 횟수는 기지국 장치(200)에 의해 통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호 확립 후에, 이동국 장치가 DRX 상태 및/또는 DTX로 천이하고 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 통지된다.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622 : "아니오"), 스텝 S1614로 되돌아간다. 한편, 리트라이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스텝 S1622 : "예"), DRX/DTX 제어부(124)는 기지국 장치(200)에 재권의 보고를 할 수 없었다고 판단한다(스텝 S1624).
DRX/DTX 제어부(124)는 호 제어부(132)에 대하여, 그 기지국 장치(200)에 관한 리소스 정보를 기억부(134)로부터 삭제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1626).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그 후, 전술한 제1 및/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그 이동국 장치의 개별의 콘텍스트를 해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의 재권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이동국 장치가 준정상 동작 및/또는 이상 동작에 의해 재권하지 않게 된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 이동국 장치가 SQ단으로 된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DRX 상태 및/또는 DTX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의 재권 상황에 따라서, 회선 확립의 계속이 불필요로 된 이동국 장치에 할당된 리소스를 해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도하지 않는 형태로 에리어 밖으로 이동하게 된 이동국에 관련되는 부대 정보를 클리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에서의 부하 처리를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필요한 이동국 장치의 정보 관리수 삭감에 수반하는 불필요한 버퍼 해방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의 용량의 비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에서의 시스템 요구 조건으로서, 1섹터당 수백 유저의 콘텍스트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허용에는, 관리하는 것 및/또는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20㎒의 대역에서, 400 유저의 콘텍스트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객이나 서비스되는 지구에서의 트래픽의 모델에도 기인하지만, 물리적으로 상기 유저수, 예를 들면 400 유저/sec는, 동시 액세스할 수는 없다. 리소스 블록수의 한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대부분의 유저가 비액티브 상태 또는 DRX 상태로 된다고 상정된다. 이 경우, 그 유저가 어떠한 요인, 예를 들면 DRX 상태에서의 SQ단에 의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경우, 그 유저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리소스를 해방할 수 있으면, 기지국 장치의 개발에서의 메모리의 용량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기 1>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 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해방하는 리소스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3>
부기 2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수단은,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이동국 장치마다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5>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에는, L1/L2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6>
부기 5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어사인먼트가 포함되고,
상기 리소스 관리 수단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7>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를 위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8>
부기 7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유지하는 리소스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9>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시키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를 결정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 결정 수단
을 갖고,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10>
부기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해방하는 리소스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12>
부기 11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관리 수단은,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13>
부기 7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보고 신호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부기 14>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그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부기 15>
부기 14에 기재된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보고 신호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부기 16>
부기 15에 기재된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권 보고 신호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포함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그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애크놀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부기 17>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부기 18>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국 장치는,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부기 19>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장치의 재권 확인 방법으로서,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 확인 방법.
<부기 20>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장치의 재권 확인 방법으로서,
이동국 장치는,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 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권 확인 방법.
도 1은 공유 채널의 할당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간헐 수신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동기 감시 채널 및 간헐 수신의 대상으로 되는 신호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간헐 수신 주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상향 링크 리소스 블록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MAC PDU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LCID Informa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의 설명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블록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블록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확립 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국 장치
102 : RF부
104 : 송수 공용부
106 : 수신부
108 : 프론트 엔드부
110 : 송신부
112 : 주파수 신시사이저
114 : 파워 앰프
116 : 베이스 밴드부
118 : L1 모뎀ㆍ채널 코딩부
120 : 오디오 I/F
122 : 베이스 밴드 처리부
124 : DRX/DTX 제어부
126 :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
128 : RF 제어부
130 : 스피커ㆍ마이크
132 : 호 제어부
134 : 기억부
200(2001, 2002, 2003) : 기지국 장치
202 : 옥외 수신 증폭기
204 : RF부
206 : 송신 증폭기
208 : 무선 송수신부
210 : 인터페이스
212 : 베이스 밴드부
214 : 인터페이스
216 : 베이스 밴드 처리부
218 :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생성부
220 : DRX/DTX 제어부
222 : 전송로 인터페이스
224 : 호 제어부
226 : 기억부
300(3001, 3002) :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Gateway)

Claims (10)

  1.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在圈)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 가능하였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 소스를 해방하는 리소스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이동국 장치마다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4.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를 위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에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시키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를 결정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 결정 수단
    을 갖고,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였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할당하고 있는 리소스를 해방하는 리소스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8.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장치로서,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그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9.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그 이동국 장치가 상기 에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재권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확인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 중 그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가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주기를 초과하는 시간 경과한 이동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확인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확인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로부터, 그 재권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였던 경우에, 그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공유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국 장치는,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재권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재권 보고 신호를 생성하는 재권 보고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주기에 따라서,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기 직전에 호 확립이 행해진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재권 보고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신호 생성 수단과,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는 이동국 장치 중 간헐 수신 상태 및/또는 간헐 송신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이동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재권 보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재권 보고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장치가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80115941A 2008-01-29 2008-11-20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967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8264A JP5217459B2 (ja) 2008-01-29 2008-01-29 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JP-P-2008-018264 200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72A true KR20090083272A (ko) 2009-08-03
KR100967293B1 KR100967293B1 (ko) 2010-07-01

Family

ID=4063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941A KR100967293B1 (ko) 2008-01-29 2008-11-20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90538A1 (ko)
EP (1) EP2086265A2 (ko)
JP (1) JP5217459B2 (ko)
KR (1) KR100967293B1 (ko)
CN (1) CN101500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2449B2 (en) 2008-06-18 2022-03-08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GB2461158B (en) 2008-06-18 2011-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s and terminal therof
KR100968020B1 (ko) 2008-06-18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US20100173636A1 (en) * 2009-01-06 2010-07-08 Mingshen Gao Method for improving frequency reuse utilizing synchronized downlink resources from adjacent cells
WO2010089972A1 (ja) 2009-02-09 2010-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
WO2010093296A1 (en) 2009-02-13 2010-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of a wireless network node
JP5285497B2 (ja) * 2009-03-12 2013-09-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9253651B2 (en) * 2009-05-01 2016-02-02 Qualco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detection of overhead channels and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WO2011040852A1 (en) 2009-09-30 2011-04-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configuration of active component carrier set in multi-carrier wireless systems
JP5825674B2 (ja) * 2009-10-02 2015-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
KR101096408B1 (ko) * 2009-11-25 2011-12-21 주식회사 팬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비스 가능한 가능한 소형 기지국 및 그 운영 방법
CN102014444B (zh) * 2009-12-31 2013-04-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分配下行资源及实现下行数据接收的方法、装置
CN102202273A (zh) * 2011-06-10 2011-09-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位置指示方法、家庭基站和通信系统
JP5926112B2 (ja) 2012-05-14 2016-05-2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管理ノード
WO2013177768A1 (zh) * 2012-05-30 2013-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流传输的配置方法、基站、无线网络控制器和用户设备
US9357492B2 (en) * 2013-08-05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WLAN-capable remote control device
US9832706B2 (en) * 2014-07-30 2017-11-28 Nec Corpora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a multi-technology communication network
JP6683135B2 (ja) 2015-01-19 2020-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275248B1 (en) * 2015-03-25 2020-09-16 Sony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sign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8307692A (zh) * 2015-05-29 2018-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网络节点以及用户设备和网络节点的方法
US10743235B2 (en) * 2015-06-11 2020-08-11 Nokia Technologies Oy Support for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 with device-to-device based user-equipment-to-network relay
EP3586549B1 (en) 2017-02-23 2023-12-27 Sony Group Corporation Slotted transmission for battery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523A (en) * 1992-10-27 1998-04-28 Ericsson Inc. Multi-mode signal processing
JP3418502B2 (ja) * 1996-07-08 2003-06-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並びに基地局および移動局
US6212175B1 (en) *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JP3169860B2 (ja) * 1997-07-11 2001-05-28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圏内判定方法
KR100459126B1 (ko) * 2002-01-0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망의 세션 유지 제어 방법
EP1581019A4 (en) * 2002-11-19 2010-04-14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NECTION CONCENTRATOR, RADIO BASIS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PROCESS
US7610035B2 (en) * 2002-12-31 2009-10-27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WO2006000094A1 (en) * 2004-06-24 2006-01-05 Nortel Networks Limited Efficient location updates, paging and short bursts
US7505775B2 (en) * 2004-06-25 2009-03-17 Gi Seon Ryu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JP4671777B2 (ja) 2005-06-17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共有データチャネル割り当て装置および共有データ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CN1897745A (zh) * 2005-07-15 2007-01-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均衡发送mbms业务数据的方法
JP2007243613A (ja) * 2006-03-08 2007-09-20 Ntt Docomo Inc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在圏状態管理方法
CN101039208B (zh) * 2006-03-13 2011-04-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更新用户终端工作状态的方法
JP5031822B2 (ja) * 2006-04-11 2012-09-2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を不連続的に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8121634B2 (en) * 2006-06-26 2012-02-21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953151B1 (ko) * 2006-11-30 2010-04-19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연속패킷 연결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장치
US20080188247A1 (en) * 2007-02-02 2008-08-07 Ipwireless, Inc.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paging groups
KR101325920B1 (ko) * 2007-05-02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JP4601653B2 (ja) 2007-09-14 2010-12-22 株式会社ソフイア 遊技機
CA2700541C (en) * 2007-10-01 2012-07-10 Motorola, Inc. A method for allocating a temporary resource request identifier for accessing a target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0538A1 (en) 2009-07-30
JP5217459B2 (ja) 2013-06-19
EP2086265A2 (en) 2009-08-05
JP2009182495A (ja) 2009-08-13
CN101500320A (zh) 2009-08-05
KR100967293B1 (ko) 2010-07-01
CN101500320B (zh)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293B1 (ko)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이동 통신 시스템
JP6628235B2 (ja) 集積回路
CN108541395B (zh) 通信终端、基础设施设备及其操作方法
JP2022009350A (ja) 集積回路
EP3136812B1 (en)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CN107155200B (zh) 应用于超级小区的通信方法和装置
KR101418806B1 (ko) 비연속적 수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10383052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of signaling transmissions and processing
US10645652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tasis state transition for a mobile terminal
EP3913988A1 (en) Terminal energy-saving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terminal energy-sav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660135B2 (en) User equipment and random access method
EP3311623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JP2017516356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
WO2021063071A1 (zh) 无线通信方法和装置
US9894610B2 (en) Method for monitoring on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057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ake-up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941322A (zh) 多usim暂停和优化恢复
EP414019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resource selection an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acquisition in wireless networks
WO2017161973A1 (zh) 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JP2019033547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