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652A -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652A
KR20090081652A KR1020080007638A KR20080007638A KR20090081652A KR 20090081652 A KR20090081652 A KR 20090081652A KR 1020080007638 A KR1020080007638 A KR 1020080007638A KR 20080007638 A KR20080007638 A KR 20080007638A KR 20090081652 A KR20090081652 A KR 2009008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upper mold
primary
doub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남
최용규
이인철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몰드
Priority to KR102008000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652A/ko
Publication of KR2009008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중사출금형은: 1차사출물의 상측을 성형하기 위한 제1상부금형과 상기 1차사출물에 더하여 2차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제2상부금형이 구비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제2상부금형에 각각 결합되기 위한 하부금형이 구비된 제2금형부와, 상기 제2금형부를 승강시켜서 상기 제1금형부에 상기 제2금형부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의하여 상기 제1금형부와 이격된 상기 제2금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07638
이중사출금형, 승강부, 회전부, 제1금형부, 제2금형부

Description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Double injection mold and use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headlamp lens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사출물을 성형한 후에 금형을 회전시켜 2차사출물을 성형하는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재료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성형기 내에서 가열 용융한 후,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로 가압하여 충전시키고, 이를 고화 또는 경화하여 성형물인 금형사출물을 생산하는 성형방법이다.
상기 사출금형에 있어서, 용융된 재료는 런너 및 게이트 등의 주입공간을 통하여 제품의 성형공간인 캐비티 내로 주입되어 성형된다.
상기 캐비니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금형사출물은 밀판의 동작에 따라 승강되는 이젝트부재에 의하여 하부금형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금형사출물의 취출과정에서 상기 캐비티로 부터 금형사출물을 분리를 어렵게 하는 턱이나 돌기 등의 장애요소를 언더컷이라 한다.
상기 언더컷은 상기 금형사출물의 하부나 측부 등 한 부분에만 존재하는 경우 슬라이드코어를 해당 부분에 맞게 이동시켜 간단하게 처리하였으나, 측면과 하면에 동시에 언더컷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헤드램프렌즈와 같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금형사출물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가 접한 부분에 형성된 경계라인이 외측에서도 보이는 것에 의하여 제품 불량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언더컷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슬라이드코어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의 표면에 경계라인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은: 1차사출물의 상측을 성형하기 위한 제1상부금형과 상기 1차사출물에 더하여 2차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제2상부금형이 구비된 제1금형부와, 상기 제1금형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제2상부금형에 각각 결합되기 위한 하부금형이 구비된 제2금형부와, 상기 제2금형부를 승강시켜서 상기 제1금형부에 상기 제2금형부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의하여 상기 제1금형부와 이격된 상기 제2금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1차사출물에 의하여 투과성 재질의 몸체가 성형되며, 상기 제2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2차사출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가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1코어부재가 상기 제2상 부금형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어부재는 제1실린더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2코어부재가 상기 제2상부금형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어부재는 제2실린더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하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종동치형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종동치형과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치형과, 상기 구동치형과 축 연결된 모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와 상기 측면부재는 다른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도록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제2상부금형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은: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1차사출물이 성형되는 1차성형단계와, 상기 1차성형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을 포함한 제2금형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이 위치하는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1회전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이 상승되어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1차사출물이 성형되고 상기 제2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상기 1차사출물에 더하여 2차사출물이 성형되는 2차성형단계 및 상기 2차성형단계 후에 상기 2차사출물을 외측으로 취출하는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사출물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의 몸체를 성형하며 상기 2차사출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사출물과 상기 2차사출물은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단계에서 상기 2차사출물의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가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헤드램프렌즈의 측면부재 외측을 성형하는 제1코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을 포함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이 위치하는 제2회전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렌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1차사출물인 헤드램프렌지의 몸체를 성형한 이후에 이를 회전시켜 2차사출물인 측면부재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코어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의 표면에 경계라인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헤드램프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사출금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 의하여 1차사출물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1차사출물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서 1차사출물이 사출 성형되고, 제2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서 2차사출물이 사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2차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제2금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1코어부재와 제2코어부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1차사출물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서 승강부와 회전부를 도 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금형(1)은 1차사출물(40)의 상측을 성형하기 위한 제1상부금형(12)과 상기 1차사출물(40)에 더하여 2차사출물(50)을 성형하기 위한 제2상부금형(14)이 구비된 제1금형부(10)와, 상기 제1금형부(10)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상기 제2상부금형(14)에 각각 결합되기 위한 하부금형(32)이 구비된 제2금형부(30)와, 상기 제2금형부(30)를 승강시켜서 상기 제1금형부(10)에 상기 제2금형부(3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승강부(70) 및 상기 승강부(70)에 의하여 상기 제1금형부(10)와 이격된 상기 제2금형부(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금형부(10)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금형부(30)는 상하(이하 도1기준)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금형부(10)에는 제1상부금형(12)과 제2상부금형(14)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금형부(30)에는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대응하는 하부금형(32)과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대응하는 하부금형(32)이 구비된다.
상기 제2금형부(30)에 구비된 하부금형(32)의 형상은 동일하며, 회전에 의하여 그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제1금형부(10)에 상부금형의 갯수가 3개 이상되며, 상기 제2금형부(30)에도 상기 상부금형과 대응하는 갯수로 하부금형(32)이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32) 사이에는 1차사출물(40)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32) 사이에는 2차사출물(50)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제2상부금형(14)에는 용융된 재료가 캐비티로 공급되도록 런너(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1차사출물(40)과 2차사출물(50)은 둘다 비투과성의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상기 하부금형(32)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1차사출물(40)에 의하여 투과성 재질의 몸체(42)가 성형되며,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상기 하부금형(32)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2차사출물(50)에 의하여 상기 몸체(42)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52)가 성형 된다.
상기 몸체(42)와 측면부재(52)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재질의 부재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사출금형(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금형부(30)는 회전판(62) 위에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판(62)과 같이 회전하게 되며, 제1상부금형(12)과 결합하여 1차사출물(40)을 성형한 하부금형(32)이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14)과 다시 결합하여 2차사출물(50)을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공정으로 인하여, 상기 제2금형부(30)에 구비된 하부금형(32)은 상기 제1상부금형(12) 또는 제2상부금형(14)과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금형(14)에는 상기 2차사출물(50)의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2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코어(20)는 상기 측면부재(52)의 외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1코어부재(22)와 상기 측면부재(52)의 내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2코어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코어부재(26)가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2상부금형(14) 내측에는 내측공간(29)이 구비된다.
상기 제1코어부재(22)는 제1실린더(24)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되며, 상기 제2코어부재(26)는 제2실린더(28)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코어부재(2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되며, 상기 제2코어부재(26)는 사선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상기 제2상부금형(14)에서 성형되는 2차사출물(50)을 금형에서 꺼낼 때,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제1코어부재(22)와 제2코어부재(26)는 다양한 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42)와 상기 측면부재(52)는 다른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도록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상기 제2상부금형(14)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60)는 상기 하부금형(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금형(32)의 하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종동치형(64)이 형성된 회전판(62)과, 상기 회전판(62)의 종동치형(64)과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치형(66)과, 상 기 구동치형(66)과 축 연결된 모터부재(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금형부(30)는 회전판(62)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회전판(62)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홈이 형성된 안내레일(63)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63)에는 지지로드(74) 일단의 걸림부재(76)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로드(74)는 상기 회전판(62) 하측(도 1기준)에 구비된 제3실린더(72)에 의하여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로드(74) 일측에는 지지브라켓(78)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78)에는 상기 회전판(62)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재(68)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2금형부(30)와 같이 이동하는 상기 회전판(62)은 상기 제3실린더(72)에 의하여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모터부재(68)에 의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62) 내측에 안내레일(63)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레일(63)에 제3실린더(72)의 지지로드(74)가 걸림부재(76)에 의하여 연결됨은, 상기 회전판(6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지지로드(74)와 제3실린더(72)가 회전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회전판(6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며, 이러한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지지로드(74)와 회전판(62)의 결합상태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 외에도 상기 회전판(62)의 상하 이동과 회전 이동을 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기계요소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렌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사출금형(1)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램프렌즈의 몸체(42)는 광투과성의 투명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램프렌즈의 테두리는 상기 몸체(42)와는 다른 색상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램프렌즈의 몸체(42)를 먼저 사출 성형한 이후에 테두리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헤드램프렌즈의 몸체(42)에는 슬라이드코어(20)에 의한 경계라인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1)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은, 제1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32) 사이에서 1차사출물(40)이 성형되는 1차성형단계(S10)를 갖게 된다.
상기 1차성형단계(S10)는 이중사출금형(1)을 동작시키는 최초 동작단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32)에서는 사출물이 성형되지 않고 제1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32) 사이에서만 1차사출물(40)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1차성형단계(S10) 후에 상기 하부금형(32)을 포함한 제2금형부(30)가 하강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14)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40)이 위치하는 제1회전단계(S20)를 갖게 된다.
즉, 도 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린더(72)에 의하여 지지로드(74)가 하강하는 것에 의하여 제2금형부(30)와 회전판(62)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태에서 모터부재(68)가 회전하여 구동치형(6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에 맞물려 있는 종동치형(64)이 회전됨으로 상기 회전판(62)과 같이 고정된 상기 제2금형부(30)는 180도 회전을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사출물(40) 이 형성된 하부금형(32)이 상기 제2상부금형(14)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단계(S20) 후에 상기 하부금형(32)이 상승되어 제1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32) 사이에서 1차사출물(40)이 성형되고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32) 사이에서 상기 1차사출물(40)에 더하여 2차사출물(50)이 성형되는 2차성형단계(S30)를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형부(3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금형부(10)와 합형되는 것에 의하여, 1차사출물(40)의 몸체(42)와 2차사출물(50)의 측면부재(52)가 성형될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공간으로 용융된 재료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사출물(40)과 2차사출물(50)이 성형된다.
상기 1차사출물(40)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의 몸체(42)를 성형하며 상기 2차사출물(50)에 의하여 상기 몸체(42)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52)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사출물(40)과 상기 2차사출물(50)은 같은 색상의 원료로 제작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로 제작된다.
상기 제1상부금형(12)에는 1차사출물(40)의 상측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32)에는 1차사출물(40)의 하측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상부금형(12)에서는 1차사출물(40)을 반복 성형하게 된다.
상기 제1상부금형(12)과 하부금형(32) 사이에 성형된 1차사출물(40)을 회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3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상부금형(14)과 상기 하부금형(32) 사이에는 상기 1차사출물(40)의 형상 외에도 측면부재(52)가 성형될 측면 공간이 구비된 것에 의하여 2차사출물(5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1차사출물(40)의 성형에 의하여 헤드램프의 몸체(42)가 성형되며, 상기 1차사출물(40)에 더하여 2차사출물(50)이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헤드램프의 몸체(42)에 측면부재(52)가 추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성형단계(S30) 후에 상기 2차사출물(50)을 외측으로 취출하는 취출단계(S40)를 갖게 된다.
상기 취출단계(S40)에서 상기 2차사출물(50)의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20)가 동작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20)는 헤드램프렌즈의 측면부재(52) 외측을 성형하는 제1코어부재(22)와 상기 측면부재(52)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코어부재(26)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금형부(30)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코어부재(22)가 왼쪽(이하 도 6기준)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코어부재(26)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2차사출물(50)의 측면부재(52)에 의하여 발생된 언더컷이 해소된다.
상기 상태에서 2차사출물(50)은 상기 제2상부금형(14)에서 이탈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상부금형(14)에는 이젝트부재를 별도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상기 2차사출물(50)을 상기 제2상부금형(14)에서 분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취출단계(S40)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32)을 포함한 제2금형부(30)가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14)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40)이 위치하는 제2회전단계(S5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단계(S20)와 제2회전단계(S50)에서 상기 제1금형부(10)에 2개의 상부금형이 구비된 경우에는 180도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1금형부(10)에 3개 이상의 상부금형이 구비된 경우에는 360도를 상부금형의 갯수로 나눈 각도 만큼 회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중사출금형(1)에 대해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삼중사출금형을 포함하여 다중사출금형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램프렌즈는 투과성의 몸체(42)와 측면부재(52)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42)를 1차성형 한 이후에 측면부재(52)를 2차성형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측면부재(52)를 성형하는 제2코어부재(26)에 의하여 상기 헤드램프 본체에 경계라인이 형성됨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코어부재(22)와 제2코어부재(26) 및 제2금형부(30)와 연결된 회전판(62)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제1 내지 제3실린더(24,28,72)가 사용되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상기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계요소가 제1 내지 제3실린더(24,28,72)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헤드램프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이중사출금형과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헤드램프렌즈 외에도 금형을 회전하여 이중사출 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부품에도 본 발명의 이중사출금형(1)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 의하여 1차사출물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1차사출물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서 1차사출물이 사출 성형되고, 제2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서 2차사출물이 사출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2차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제2금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1코어부재와 제2코어부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1차사출물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에서 승강부와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중사출금형 10 : 제1금형부
12 : 제1상부금형 14 : 제2상부금형
20 : 슬라이드코어 22 : 제1코어부재
24 : 제1실린더 26 : 제2코어부재
28 : 제2실린더 29 : 내측공간
30 : 제2금형부 32 : 하부금형
40 : 1차사출물 42 : 몸체
50 : 2차사출물 52 : 측면부재
60 : 회전부 62 : 회전판
63 : 안내레일 64 : 종동치형
66 : 구동치형 68 : 모터부재
70 : 승강부 72 : 제3실린더
74 : 지지로드 76 : 걸림부재
78 : 지지브라켓

Claims (15)

1차사출물의 상측을 성형하기 위한 제1상부금형과 상기 1차사출물에 더하여 2차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제2상부금형이 구비된 제1금형부;
상기 제1금형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제2상부금형에 각각 결합되기 위한 하부금형이 구비된 제2금형부;
상기 제2금형부를 승강시켜서 상기 제1금형부에 상기 제2금형부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의하여 상기 제1금형부와 이격된 상기 제2금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1차사출물에 의하여 투과성 재질의 몸체가 성형되며, 상기 제2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2차사출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가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1코어부재가 상기 제2상부금형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부재는 제1실린더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제2코어부재가 상기 제2상부금형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부재는 제2실린더에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하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종동치형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종동치형과 맞물려 돌아가는 구동치형과,
상기 구동치형과 축 연결된 모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측면부재는 다른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도록 상기 제1상부금형과 상기 제2상부금형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1차사출물이 성형되는 1차성형단계;
상기 1차성형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을 포함한 제2금형부가 하강한 상태에 서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이 위치하는 제1회전단계;
상기 제1회전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이 상승되어 제1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1차사출물이 성형되고 상기 제2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서 상기 1차사출물에 더하여 2차사출물이 성형되는 2차성형단계; 및
상기 2차성형단계 후에 상기 2차사출물을 외측으로 취출하는 취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사출물에 의하여 헤드램프렌즈의 몸체를 성형하며 상기 2차사출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측면부재를 성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사출물과 상기 2차사출물은 서로 다른 색상의 원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단계에서 상기 2차사출물의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한 슬라이드코어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헤드램프렌즈의 측면부재 외측을 성형하는 제1코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단계 후에 상기 하부금형을 포함한 제2금형부가 회전되어 제2상부금형 하측에 상기 1차사출물이 위치하는 제2회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80007638A 2008-01-24 2008-01-24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KR2009008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38A KR20090081652A (ko) 2008-01-24 2008-01-24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38A KR20090081652A (ko) 2008-01-24 2008-01-24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52A true KR20090081652A (ko) 2009-07-29

Family

ID=4129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638A KR20090081652A (ko) 2008-01-24 2008-01-24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65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00191A1 (it) * 2010-10-05 2012-04-06 Borromini S R L Procedimento di stampaggio ad iniezione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detto procedimento
KR101144452B1 (ko) * 2009-11-20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부 이중성형 금형 장치
KR101249701B1 (ko) * 2011-03-02 2013-04-05 에이테크솔루션(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램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5655B1 (ko) * 2011-07-22 2013-10-08 이상대 이중사출에 의해 렌즈홀더 조립체를 성형하는 방법
KR20180032475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퀵 커넥터 제조용 이중사출 금형장치
KR102047888B1 (ko) * 2019-10-11 2019-12-04 삼영엔지니어링(주) 상부금형이 없는 수평형 사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형 제조방법
KR102334878B1 (ko) * 2020-09-29 2021-12-10 주식회사 엘피케이하이테크 워셔액 탱크 제작용 이중 사출 금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52B1 (ko) * 2009-11-20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국부 이중성형 금형 장치
ITVR20100191A1 (it) * 2010-10-05 2012-04-06 Borromini S R L Procedimento di stampaggio ad iniezione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detto procedimento
WO2012046186A1 (en) * 2010-10-05 2012-04-12 Borromini S.R.L.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process
KR101249701B1 (ko) * 2011-03-02 2013-04-05 에이테크솔루션(주)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램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5655B1 (ko) * 2011-07-22 2013-10-08 이상대 이중사출에 의해 렌즈홀더 조립체를 성형하는 방법
KR20180032475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퀵 커넥터 제조용 이중사출 금형장치
KR102047888B1 (ko) * 2019-10-11 2019-12-04 삼영엔지니어링(주) 상부금형이 없는 수평형 사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형 제조방법
KR102334878B1 (ko) * 2020-09-29 2021-12-10 주식회사 엘피케이하이테크 워셔액 탱크 제작용 이중 사출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1652A (ko) 이중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헤드램프렌즈 및그의 제조방법
KR101249701B1 (ko) 턴테이블 방식의 이중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램프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0970B1 (ko) 수지 밀봉 금형
KR100920811B1 (ko) 멀티 사출금형 및 이의 사출방법
CN102336003B (zh) 注塑模具机械式锁紧油缸抽芯机构
KR101178943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 및 연마장치
KR20150051701A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145107B1 (ko) 워엄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KR200477543Y1 (ko) 무동력 전후진 나사구조를 갖는 금형장치
CN104309083B (zh) 采用含有齿轮齿条的注塑模具设备进行合模开模的方法
KR100856932B1 (ko) 청소기 부품의 이중 사출금형
KR100832910B1 (ko) 커버 마스크의 사출금형
KR100849534B1 (ko) 멀티 사출금형
CN104369332A (zh) 一种通过风扇冷却的注塑模具装置合模开模装置
KR100844798B1 (ko) 듀얼 프로세싱 이중사출장치
KR101170044B1 (ko) 내측 원형 언더컷 처리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및 사출물 취출 방법
JP2008006767A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
KR102009302B1 (ko) 3색 사출을 이용한 무도장 자동차 스위치 버튼의 제조방법
CN104494051A (zh) 一种带有照明装置和磁条的注塑模具装置合模开模系统
CN104325612B (zh) 一种采用注塑模具设备进行合模开模的方法
KR100832908B1 (ko) 멀티 사출 금형 및 방법
KR20190123417A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및 방법
KR200464203Y1 (ko) 수지 제품 사출 금형의 버 방지 압착 분리식 게이트 구조
KR101104129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2293238U (zh) 一种注射成型模具工件顶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16

Effective date: 2011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