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400A - 신속 연결구 - Google Patents

신속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400A
KR20090081400A KR1020097010068A KR20097010068A KR20090081400A KR 20090081400 A KR20090081400 A KR 20090081400A KR 1020097010068 A KR1020097010068 A KR 1020097010068A KR 20097010068 A KR20097010068 A KR 20097010068A KR 20090081400 A KR20090081400 A KR 2009008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clasp
latch
r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201B1 (ko
Inventor
스테판 고댕
Original Assignee
레그리스 에스 아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그리스 에스 아 에스 filed Critical 레그리스 에스 아 에스
Publication of KR2009008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수컷 부분(21)의 칼러(22) 및 비트(bit, 25)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되고 단계가 형성된 구멍을 가진 암컷 부분(1) 및, 구멍과 동일 축을 가진 위치와 편심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암컷 부분(1)에 형성된 하우징(4)의 고리(5)를 구비하는 잠금부(lock)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고리(5) 안에서 2 개의 표시 위치들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잠금 표시부(8) 및 그것을 제 1 표시 위치에서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차단 부재를 가지며, 차단 부재는 표시부의 차단 위치와 집어넣어진(stowed) 비차단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칼러와 협동 작용하기 위해 잠금부를 지나서 암컷 부분으로 연장된 접촉 부분을 가져서,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 안으로 도입되었을 때 상기 칼러는 차단 부재를 비차단 위치로 강제한다.

Description

신속 연결구{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수컷 부분 및 암컷 부분을 구비하는 신속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컷 부분 및 암컷 부분은 오로지 하나가 다른 것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신속 연결구들을 구비하는 가압 유체 회로들에서, 연결을 위하여 능동적인 걸쇠 수단(latching means)을 구현하는 것이 소망스럽거나, 또는 더욱 필요하다. 연결의 확립이 불량스러운 것은 첫째로 누설의 근원이 되고, 둘째로는 연결이 해제될 위험성이 있으며, 여기에서 가장 덜 해로운 결과는 가압 유체 회로를 포함하는 기계의 작동을 방해하는 결과이지만, 만약 그 기계가 차량이라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유압 브레이크 회로에 압력이 상실되고, 엔진 구획부로 누설된 연료가 화재를 일으킨다).
신속 연결구의 암컷 요소에 수컷 요소를 걸리게 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이들 모두는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데, 단부 부재의 반경 방향 표면(홈 또는 칼러(collar))과 암컷 요소의 반경 방향 표면(홈 또는 칼러와 유사함) 사이에 개재된 키이 부재(keying member)로 구성되어 있는, 동일한 일반적 수단을 구현한다. 키이 부재는 걸쇠 위치에 수작업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걸쇠 위치 에 탄성 복귀 부재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데, 단부 부재를 삽입했을 때 (탄성 복귀 부재를 움직이거나 또는 변형시키는) 탄성 복귀 부재의 효과에 반하여 키이 부재를 수축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장치의 특히 단순한 구현예에서, 프랑스 출원 FR 2 705 430 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걸쇠는 연결구의 암컷 부분에 형성된 하우징 안에서 반경 방향으로, 휴지 상태로서 걸쇠가 걸리는 제 1 위치와, 수축되어 걸쇠가 해제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고리에 의해 구성되는데, 제 1 위치에서 고리는 암컷 부분의 구멍의 축에 대하여 중심 이탈 상태이고, 제 2 위치에서는 구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에 있는(coaxial) 상태이다.
고리와 일체로 만들어진 2 개의 혀 부분(tongues)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는 고리와 암컷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칼러(collar)가 통과된 이후에는 고리를 제 1 위치를 향해 강제한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상기의 걸쇠 기술은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 안으로 제위치에 적절하게 밀어넣어지는 것을 충분히 보장하지 않는다. 수컷 부분은 칼러가 고리를 강제하여 복귀 스프링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충분히 밀어넣어질 수 있지만, 칼러가 고리를 지나가는 것을 보장하는데는 충분하지 않으며, 따라서 탄성 혀 부분의 효과하에 칼러의 뒤에 있는 걸쇠 위치로 고리를 복귀시키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한 상황은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알기 쉬운 것이 아니어서, 작업자는 연결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505 930, EP 0 486 907,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705 431 및 미국 특허 출원 US 6 145 886 은 연결구가 적절하게 걸쇠 연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걸쇠 표시부를 가진 연결구를 개시하며, 걸쇠 표시부는 칼러가 걸쇠 부재를 지난 이후에 수컷 부분의 칼러(collar)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걸쇠 부재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된다. 상기 특허 출원 문헌들에 개시된 연결구들에서, 암컷 부분은 수컷 부분의 삽입 동안에 표시부가 암컷 부분의 칼러와 함께 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특별한 개구들을 가지며, 따라서 암컷 부분을 약화시키고 조립을 복잡하게 한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992 729 에서, 표시부는 마찬가지로 걸쇠 부재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되지만, 암컷 부분의 단부에서 걸쇠 부재로부터 상류측에 위치된다. 표시부는 수컷 부분의 칼러에 의해 구동되지 않지만,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 수컷 부분에 수반된 액세서리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써, 그러한 유형의 연결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속 연결구는, 수컷 부분의 단부 부재를 시일되게 수용하기에 적절한 제 1 부분 및, 칼러의 직경에 근접한 직경의 관통 오리피스를 가진 고리에 의해 구성되는 걸쇠를 지나서 수컷 부분에 있는 외측 칼러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대직경의 제 2 부분을 가지는, 계단화된 구멍을 가진 암컷 부분을 포함하고, 고리는, 걸쇠 작용을 위한 편심된 제 1 위치와, 구멍과 동일한 축에 있는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암컷 부분에 형성된 하우징에서 제 2 부분에 설치되고, 걸쇠는 고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 1 표시 위치와 제 2 표시 위치 사이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걸쇠 표시부를 구비하고, 제 1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는 관통 오리피스를 막지 않고, 제 2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는 상기 관통 오리피스를 막는다. 걸쇠는 제 1 표시 위치에서 표시부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재를 구비하고, 차단 부재는, 표시부 차단 위치와 수축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 칼러가 차단 부재를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가져가는 방식으로 칼러와 협동 작용하도록 제 1 부분을 향해 제 2 부분으로 돌출된 접촉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고리가 반드시 칼러의 뒤에 위치되도록, 걸쇠 표시부는 칼러가 차단 부재를 수축시킬 때까지 제 2 표시 위치로 움직일 수 없다. 그러므로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연결구의 암컷 부분에 특별한 개구들을 제공할 필요 없이, 그리고 추가적인 부품이나 액세서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포함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는 암컷 부분에 대한 특별한 준비 없이 걸쇠에 포함되며, 그에 의해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변화되지 않으며, 단지 고리만이 표시부에 포함되도록 변형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 1 표시 위치에 있는 걸쇠 표시부는 고리에 있는 관통 오리피스를 막지 않지만, 제 2 표시 위치에 있는 걸쇠 표시부는 상기 관통 오리피스를 막는다.
수컷 부분과 암컷 부분 사이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수컷 부분을 암컷 부분에 삽입한 후에 걸쇠 표시부를 제 2 표시 위치로 가져간다. 제 2 표시 위치에 있는 걸쇠 표시부는 수컷 부분이 빠져나가는 것에 저항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지 수단(holder means)은 불안정 중간 위치의 양쪽에 있는 2 개의 표시 위치들중 하나를 향하여 표시부를 복귀시키는 탄성의 복귀 수단이다.
걸쇠 표시부가 제 1 표시 위치에 있을 때, 걸쇠 표시부는 유지 수단에 의해 고리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칼러가 고리를 지나갔을 때, 고리는 휴지 위치로 움직이며, 걸쇠 표시부는 작업자가 그것을 제 2 표시 위치로 수작업으로 구동할 때까지 제 1 표시 위치에 유지되며, 제 2 표시 위치에서 고리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이 다시 방지된다. 걸쇠 표시부가 고리에 대하여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것과,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구동하지 않는다면 걸쇠 표시부가 2 개의 표시 위치들 사이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것을, 상기 유지 수단이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는 구동 부분을 가지는데, 상기 구동 부분은 걸쇠 표시부가 제 1 표시 위치에 있을 때 암컷 부분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걸쇠 표시부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외측 부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축된다.
구동 부분은 구동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데, 걸쇠 표시부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구동 부분이 암컷 부분으로 밀어넣어지면, 구동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그것을 잡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단벽(setback)을 통해서 개구 안으로 공구를 삽입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단벽은 암컷 부분에 제공된 것으로서 개구에 대한 공구의 접근을 허용한다.
걸쇠 표시부는 구동 부분으로부터 고리의 하우징 내측을 향해 연장된 활성 부분(active portion)을 포함하는데, 적어도 걸쇠 표시부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활성 부분은 하우징을 형성하는 벽들과 부분적으로 맞춰지게 된다.
차단 부재의 2 가지 구현예들은 다음과 같다:
* 차단 부재는 탄성의 아암을 가지며, 탄성의 아암은 고리에 고정되고, 걸쇠 표시부에 대한 맞닿음을 구성하기 위하여,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걸쇠 표시부가 제 1 표시 위치에 있을 때 탄성의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걸쇠 표시부 아래에 연장되며, 바람직스럽게는 탄성의 아암이 고리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컷 부분의 칼러에 의해 상기 축으로부터 이탈되게 움직이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를 가지며, 그에 의해서 아암을 걸쇠 표시부에 대하여 수축시킨다.
* 차단 부재는 탄성의 다리를 구비하며, 탄성의 다리는 걸쇠 표시부에 고정되고,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탄성의 다리는 고리의 맞닿음 표면과 부분적으로 맞춰져서 연장되며, 바람직스럽게는 탄성의 다리가 걸쇠 표시부의 미끄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칼러에 의해 제 2 부분으로 밀어넣어지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 부분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고리의 맞닿음 표면으로부터 이탈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 비추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인 신속 연결구의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 안에 아직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걸쇠 표시부는 제 1 표시 위치에 있다.
도 2 는 도 1 의 선 II-II 의 단면으로서 신속 연결구의 아래로부터 도시된 부분도이며, 수컷 부분의 칼러가 걸쇠 안으로 침투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칼러는 걸쇠를 수축 위치로 움직인 것이다.
도 4 는 도 1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고리는 휴지 위치에 있는 반면에 걸쇠 표시부는 제 1 위치에 있다.
도 5 는 신속 연결구의 아래로부터 도시된 부분도로서, 도 4 의 선 V-V 를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 안의 제 위치로 밀어넣어진 이후의 도 1 에 유사한 도면으로서, 고리는 휴지 위치에 있는 반면에, 걸쇠 표시부는 제 2 표시 위치에 있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의 걸쇠에 대한 전방 및 후방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 는 도 8 과 유사한 것으로서 제 2 구현예에서 신속 연결구의 걸쇠를 도시한다.
도 10 은 도 1 과 유사한 것으로서 제 2 구현예에 따른 신속 연결구를 도시 한다.
도 11 은 도 10 과 유사한 부분도로서, 일단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 안의 제 위치로 밀어넣어졌다면, 고리는 휴지 위치에 있는 반면에 걸쇠 표시부는 제 1 표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 는 도 11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걸쇠 표시부가 제 2 표시 위치로 움직인 이후에, 고리가 휴지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구는 전체적으로 도면 번호 1 로 표시된 암컷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복수개의 부분들, 즉, 중간 부분(20)의 양측에서 연장된 제 1 부분(2) 및 제 2 부분(3)으로 세분된다. 직경(d)을 가진 부분(2)은 수컷 부분(21)의 실린더형 단부 부재(25)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수컷 부분(21)에는 외측에 칼러(collar, 22)가 제공되어 있다. 직경 d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중간 부분(20)은, 연결을 시일하기 위하여 수컷 부분(21)의 단부 부재(25)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암컷 부분(1)에 배치된 개스킷(26) 및, 수컷 부재(25)를 암컷 부재(1) 안에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삽입부(28)를 수용한다. 중간 부분(20)의 직경보다 크고 칼러(22)의 직경보다 큰 직경(D)을 가지는 제 2 부분(3)은 칼러(collar, 2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제 2 부분(3)에는 2 개의 마주하는 평면 측벽(18)들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4)이 제공되는데, 측벽은 암컷 부분(1)의 축에 직각으로 연장됨으로써 고리(5)가 하우징(4) 안에서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4)은 걸쇠 표 시부(latching indicator, 8)를 수용하는데, 이것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고리(5)는 공지된 방식으로 탄성의 혀 부분(tongue, 6)을 구비하는데, 상기 혀 부분은 하우징(4)의 저부에 대하여 지탱되고, 고리(5)의 복귀 위치를 향하여 복귀력(return force)을 가하게 되며, 상기 복귀 위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하우징(4)의 단차들과 고리(5)의 단차들 사이의 협동 작용에 의해 정해진다.
고리(5)는 제 2 부분(3)의 직경(D) 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형 가장자리(27) 까지 원추를 따라서 연장된 원추형 표면(7)을 가진다. 가장자리(27)는 링(5)을 통해 칼러(22)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 오리피스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오리피스(orifice)는 여기에서 오직 가장자리(27)에 의해서 구체화되지만, 이것은 암컷 부분(1)의 축에 평행한 축을 가진 가상의 오리피스로서, 칼러(22)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실린더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암컷 부분(1)에는 도면 번호 8 로 표시된 걸쇠 표시부가 제공된다.
걸쇠 표시부(8)는 구동 부분(9) 및 활성 부분(10)을 구비하는데, 구동 부분은 링(5)으로부터 돌출된 T 형상의 형태이고, 활성 부분은 고리(5)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되고 T 형상의 직립 부분(upright)의 자유 단부를 통해서 구동 부분(9)에 연결된다.
2 개의 가지부(prongs, 11)들이 구동 부분(9)의 T 형상 직립 부분의 양측에서 활성 부분(active portion, 10)으로부터 연장되며, 각각의 가지부는 T 형상의 직립 부분으로부터 멀리 볼록하게 만곡된 중간 부분을 나타낸다. 가지부(11)들은 고리(5)의 2 개의 분기부(12)들에 대하여 문지르고 탄성적으로 지탱되는 표면을 형성한다. 가지부(11)들은 각각 제 1 표시 위치 및 제 2 표시 위치를 한정하기 위하여 활성 부분(10)에 근접한 곳 및 구동 부분(9)에 근접한 곳에 요부(15,16)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표시 위치에서 활성 부분(10) 및 가장자리(27)는 칼러(2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진 관통 부분을 형성하고, 분기부(12)들의 자유 단부들은 요부(15)에 수용되며, 제 2 표시 위치에서 활성 부분(10) 및 가장자리(27)는 단부 부재(25)의 직경에 근접한 직경을 가진 관통 부분을 형성하고, 분기부(12)의 자유 단부들은 요부(16)에 수용된다. 걸쇠 표시부(8)가 자체적으로 안정된 표시 위치인 제 1 표시 위치와 제 2 표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데 있어서, 가지부(11)들의 만곡된 중간 부분들은 안정화되지 않은 위치를 한정하는 하드 포인트(hard point)를 형성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 1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8)의 구동 부분(19)은 고리의 외측 부분(19)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2 표시 위치에서, 구동 부분(9)은 외측 부분(19)과 같은 높이를 이룬다.
고리(5)는 걸쇠 표시부(8)를 그것의 제 1 표시 위치에서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구비한다.
차단 부재는 2 개의 아암(13)들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아암은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 아래에서 고리(5)에 고정된 단부 부분(13,1) 및, 고리(5)로 부터 고리의 측면을 통해서 걸쇠 표시부(8)에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즉, 본 발명의 예에서는 제 2 부분(3)으로 돌출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자유로운 단부 부분(13.2)을 가진다. 아암(13)은 다음의 차단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 차단 상태에서, 아암(13)들의 단부 부분(13.2)들은 칼러(22)의 직경 보다 작은 거리로 분리되고, 아암(13)들의 단부 부분(13.1)들은, 제 1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의 측부 부분(17) 아래로 맞닿음 표면(13.3)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 2 표시 위치를 향하는 걸쇠 표시부(8)의 움직임에 저항한다.
* 해제 상태에서, 단부 부분(13.2)들은 칼러(22)의 직경과 같은 거리로 이격되고, 맞닿음 표면(13.3)은 활성 부분(10)의 측부 부분(17)들에 대하여 수축됨으로써, 걸쇠 표시부(8)가 그것의 제 2 표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서, 관통 오리피스는 암컷 부분(1)의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축을 가진다. 원추형 표면(7)은 부분(2)에 수컷 부분의 단부 부재(25)를 위한 자유 통로를 남기지만, 고리(5)로부터 하류측으로 부분(3)에 칼러(22)가 삽입되는 것에 대한 장애물을 형성한다. 걸쇠 표시부(8)는 제 1 표시 위치에 있다.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 수컷 부분(21)의 실린더형 단부 부재(25)는 암컷 부분의 제 1 부분(2)에 삽입되기 위하여 고리(5)와 걸쇠 표시부(8) 사이에 미끄러졌으며,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 아래로 칼러(22)를 미끄러뜨리는 것도 가 능하였지만, 고리(5)의 원추형 표면(7)에 대하여 맞닿게 된다. (도 2 참조).
수컷 부분(21)을 암컷 부분(1)으로 강제함으로써, 고리(5)는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은 경사부를 형성하는 원추 표면(7)에 대하여, 그리고 유연성이 있는 혀 부분(6)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에 대하여 칼러(22)가 밀게되는 효과하에서 이루어진다. 도 3 에 그 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원추형 표면(7)의 가장자리(27)가 칼러(22) 아래를 통과할 때까지 고리(5)가 움직인다. 이러한 위치에서, 가장자리(27) 및 활성 부분(10)에 의해 형성된 관통 오리피스는 암컷 부분(1)의 축에 중심을 맞추고, 걸쇠 표시부(8)는 고리(5)의 분기부(12)들에 의해 제 1 표시 위치에 지탱되며, 분기부들의 자유 단부는 요부(15)에 수용되고, 따라서 걸쇠 표시부(8)는 관통 오리피스를 막지 않는다. 칼러(22)는 제 1 표시 위치에서 고리(5)와 걸쇠 표시부(8)의 부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도 4에서, 칼러(22)는 고리(5)를 지나서 가게 되며, 고리는 유연성이 있는 혀 부분(6)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의 효과하에 처음의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 복귀된다. 관통 오리피스는 걸쇠 표시부(8)가 여전히 제 1 표시 위치에 있으면서 한번 더 그 축이 오프셋되는 반면에, 구동 부분(9)은 암컷 부분(1)으로부터 명확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고리(5)의 주위부는 하우징(4)의 벽(18)을 향하는 반면에, 고리(5)는 칼러(22)를 향하는 벽 부분(29)을 가진다. 고리(5)는 수컷 부분(21)과 암컷 부분(1) 사이의 연결에 대한 걸쇠 작용을 하는 걸쇠(latch)를 형성하여, 수컷 부분(21)이 빠지는 것에 저항한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5)를 지나서 제 2 부분(3)에 수용된 칼러(22)는 아암(13)들의 단부 부분(13.2)들을 해제 상태로 가져가기 위하여 그들을 떨어뜨리도록 움직인다.
다음에 작업자는 표시부를 제 2 표시 위치인, 도 6 에 도시된 위치로 가져가도록 하기 위하여, 걸쇠 표시부(8)의 구동 부분(9)을 누름으로써 연결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고리(5)의 분기부(12)의 단부들은 걸쇠 표시부(8)의 가지부(11)에 의해서 형성되는 요부(16)에 물리게 된다.
표시부를 움직일 수 있다면, 이는 칼러(22)가 적절하게 고리(5)를 지나서 암컷 부분(1) 안으로 밀어 넣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며, 고리가 최초의 휴지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칼러(22)가 고리(5)에 도달되지 않으면서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1) 안으로 부분적으로만 밀어 넣어지고, 작업자가 걸쇠 표시부(8)의 구동 부분(9)을 눌렀다면, 고리 및 표시부의 조립체는 유연성이 있는 혀 부분(6)에 대하여 움직일 것이고: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의 측부 부분들은 맞닿음 표면(13.3)들에 대하여 맞닿게 되고, 고리(5)를 중심이 맞춰진 위치로 가져오게 될 것이다. 작업자가 누르는 것을 중지할 때, 고리(5)는 상승되어 그것의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걸쇠 표시부(8)의 구동 부분(9)은 고리(5)의 외측 부분(19)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칼러(22)가 고리(5)를 지나가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장애물의 존재 때문에 또는 유연성 혀 부분(6)들중 하나의 파손 때문에 고리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지 않 는 것이 발생된다면, 압력을 적용하기 전에 작업자는 구동 부분(9)이 여전히 외측 부분(19)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서 걸쇠 표시부(8)가 중간 위치에 유지되었는지를 볼 수 있다. 작업자가 그것에 주목하지 못하고 걸쇠 표시부(8)를 제 2 표시 위치로 누르려고 시도한다면, 구동 부분(9)은 고리(5)의 외측 부분(19)으로부터 계속 돌출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연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제 2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8)는 위에서 언급된 상황과는 다르게 외측 부분(19)으로부터 거의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걸쇠 표시부(8)의 위치를 관찰하는 것은 연결이 적절히 이루어져서 작업자에 의해 확인되었는지의 여부를 한번 보는 것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걸쇠 표시부(8)는 적절한 연결이 이루어졌다는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걸쇠 표시부(8)를 제 1 표시 위치로부터 제 2 표시 위치로 가져가는데 필요하고 또한 걸쇠 표시부(8)를 제 2 표시 위치에 걸려있게 하는데 필요한 힘이, 고리(5)의 유연성 혀 부분(6)을 굽히게 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게되는 방식으로, 고리(5)의 가지부(11) 및 분기부(12)에 의해서 형성된 요부(15,16)들이 형성된다.
더욱이, 걸쇠 표시부(8)를 제 2 표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은 수컷 부분(21)이 암컷 부분(1)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에 대한 저항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은 칼러(22)를 향하고 따라서 고리(5)의 관통 오리피스로 돌출되며, 활성 부분(10) 및 구동 부분(4)의 베이스는 하우징(4)의 벽(19)들을 향한다. 따라서 걸쇠 표시부(8)는 수컷 부분(21)을 암컷 부분(1)으로부터 철회하는데 대한 장애물을 구성한다.
따라서 걸쇠 표시부(8)는 걸쇠(latch)로서도 작용하여, 수컷 부분(21)이 암컷 부분(1)으로부터 당겨지는 것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고리(5)의 효과에 자신의 효과를 추가한다.
수컷 부분(21)을 암컷 부분으로부터 연결 해제시키기 위하여, 걸쇠 표시부를 제 1 표시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구동 부분(9)은 암컷 부분(1)에 대하여 눌려지기 때문에, 걸쇠 표시부(8)를 손으로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걸쇠 표시부(8)의 구동 부분(9)과 암컷 부분(1) 사이에 공구의 끝을 삽입하고, 걸쇠 표시부(8)를 제 1 표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걸쇠 표시부(8)를 당기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걸쇠 표시부가 일단 제 2 표시 위치에 배치되었다면, 의도하지 않으면서 걸쇠 표시부(8)를 제 1 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리를 도 3 에 도시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위치로 수축시키기 위하여 고리(5)의 외측 부분(19)을 누를 필요가 있다. 다음에 칼러(22)는 걸쇠 표시부(8)의 활성 부분(10)과 고리(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서, 암컷 부분(1) 및 수컷 부분(21)은 제 1 구현예와 동일하며, 제 2 구현예의 신속 연결구는 차단 부재의 구조에서만 제 1 구현예의 신속 연결구와 다르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는 2 개의 탄성 다리(33)들을 가지며, 상기 탄성 다리들은 개별의 단부 부분(33.1)들을 통해서 걸쇠 표시부(8)들에 고정되고, 단부 부분들 각각은 자유 단부 부분(33.2)을 가지고, 자 유 단부 부분은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고리(5)의 맞닿음 표면(34)과 부분적으로 맞춰지게 연장된다. 각각의 다리(33)는 걸쇠 표시부(8)의 미끄럼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칼러(22)와 접촉되기 위한 핀(fin, 33.3)이 제공된 자유 단부 부분(33.2)을 가져서, 자유 단부 부분(33.2)은 칼러(22)에 의해 제 2 부분(3)으로 밀릴 수 있으며, 따라서 고리(5)의 맞닿음 표면(34)으로부터 이탈된다. 걸쇠 표시부(8)는 제 2 표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구동 부분(9)은 드라이버 공구(예를 들면 스크류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35)를 구비하는데, 걸쇠 표시부(8)가 제 1 표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걸쇠 표시부(8)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그 개구에 접근할 수 있다.
제 2 구현예의 신속 연결구의 작동은 제 1 구현예의 신속 연결구의 작동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특정의 구현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그 어떤 변형이라도 포괄한다.
탭(tab, 13, 33)들은 변형되기 보다는 (힌지에 의해서) 그들의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구현예들을 조합하고 그리고/또는 동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걸쇠 표시부가 고리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파괴 가능한 수단 및/또는 스냅 고정구(snap-fastener) 수단일 수 있다.
고리 및 표시부의 형상은 여기에 설명된 것과 다른 것일 수 있다. 특히, 외 측 부분(19) 및 구동 부분(9)은 서로에 대한 위치의 그 어떤 변화라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그 어떤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 회로에서 신속 연결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수컷 부분(21)의 단부 부재(25)를 시일되게 수용하기에 적절한 제 1 부분(2) 및, 외측의 칼러(22)의 직경에 근접한 직경의 관통 오리피스(28)를 가진 고리(5)에 의해 구성되는 걸쇠를 지나서 수컷 부분(21)에 있는 칼러(22)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대직경의 제 2 부분(3)을 가지는, 계단화된 구멍을 가진 암컷 부분(2)을 포함하는 신속 연결구로서,
    고리(5)는, 걸쇠 작용을 위한 편심된 제 1 위치와, 구멍과 동일축에 있는(coaxial)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암컷 부분(1)에 형성된 하우징(4)에서 제 2 부분(3)에 설치되고, 걸쇠는 고리(5)에서 제 1 표시 위치와 제 2 표시 위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설치된 걸쇠 표시부(8)를 구비하고, 제 1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8)는 관통 오리피스를 막지 않고, 제 2 표시 위치에서 걸쇠 표시부(8)는 상기 관통 오리피스를 막으며,
    걸쇠는 제 1 표시 위치에서 표시부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부재를 구비하고, 차단 부재(13;33)는, 표시부 차단 위치와 수축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 칼러가 차단 부재를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가져가는 방식으로 칼러와 협동 작용하도록, 제 1 부분을 향해 제 2 부분으로 돌출된 접촉 부분(13.2;3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걸쇠 표시부(8) 및 고리(5)는, 걸쇠 표시부가 표시 위치들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걸쇠 표시부 및 고리가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 수단(1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불안정한 중간 위치의 양측에 있는 2 개의 표시 위치들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표시부를 복귀시키는 탄성의 복귀 수단(11,12)인, 신속 연결구.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쇠 표시부(8)는, 걸쇠 표시부(8)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고리(5)의 외측 부분(19)으로부터 돌출하고 걸쇠 표시부(8)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외측 부분(19)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축되는, 구동 부분(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구동 부분(9)은 드라이버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35)를 구비하고, 그 개구는 걸쇠 표시부(8)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접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구.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쇠 표시부(8)는 구동 부분(9)으로부터 고리의 하우징(4)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활성 부분(10)을 가지고, 상기 활성 부분은, 적어도 걸쇠 표시부(8)가 제 2 표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4)을 형성하는 암컷 부분의 반경 방향 벽들을 부분적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탄성의 아암(13)을 가지고, 탄성의 아암은 고리(5)에 고정되고, 걸쇠 표시부에 대한 맞닿음을 이루기 위하여,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걸쇠 표시부가 제 1 표시 위치에 있을 때, 탄성의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걸쇠 표시부(8) 아래에서 연장되는, 신속 연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아암(13)은 고리의 실질적으로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컷 부분(21)의 칼러(22)에 의해 상기 축으로부터 이탈되게 움직이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13.2)를 가지는, 신속 연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탄성의 다리(33)를 구비하고, 탄성의 다리는 걸쇠 표시부(8)에 고정되고, 차단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탄성의 다리는 고리(5)의 맞닿음 표 면(34)과 부분적으로 맞춰지게 연장되는, 신속 연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다리(33)는 걸쇠 표시부(8)의 미끄럼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리는 칼러에 의해 제 2 부분(3)으로 밀리도록 배치된 자유 단부 부분(33.2)을 가짐으로써, 고리(5)의 맞닿음 표면(34)으로부터 이탈되는, 신속 연결구.
KR1020097010068A 2006-11-15 2007-11-13 신속 연결구 KR101119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9995 2006-11-15
FR0609995A FR2908494B1 (fr) 2006-11-15 2006-11-15 Connecteur rapide
PCT/FR2007/001862 WO2008074933A1 (fr) 2006-11-15 2007-11-13 Connecteur rap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00A true KR20090081400A (ko) 2009-07-28
KR101119201B1 KR101119201B1 (ko) 2012-03-22

Family

ID=3831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068A KR101119201B1 (ko) 2006-11-15 2007-11-13 신속 연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45684B2 (ko)
EP (1) EP2079958B1 (ko)
JP (1) JP5129262B2 (ko)
KR (1) KR101119201B1 (ko)
CN (1) CN101535705B (ko)
AT (1) ATE461394T1 (ko)
DE (1) DE602007005393D1 (ko)
FR (1) FR2908494B1 (ko)
WO (1) WO2008074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4041A (ja) * 2007-12-19 2010-03-11 Nifco Inc 結合確認機構
FR2938895B1 (fr) 2008-11-25 2013-04-19 Legris Sa Raccord en deux parties reliees par clip.
US10711930B2 (en) 2009-12-09 2020-07-14 Nordson Corporation Releasable connection assembly
EP3002494B1 (en) 2009-12-23 2017-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Button latch with integrally molded cantilever springs
US8746519B2 (en) * 2010-01-15 2014-06-10 West Coast Chain Mfg. Co. Releasable attachment apparatus
KR102025623B1 (ko) * 2010-05-04 2019-09-26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퀵 커넥터 어셈블리
ES2600885T3 (es) * 2011-03-18 2017-02-13 A. Raymond Et Cie Conector rápido
EP2647897B1 (de) * 2012-04-05 2016-06-08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Schnellkupplungssteckverbinderaufbau
US8840150B2 (en) * 2012-06-25 2014-09-23 Leslie Sierad Male fitting with actuating retaining feature
CA2929476C (en) * 2013-11-06 2019-01-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imited System for closed transfer of fluids with a locking member
FR3017688B1 (fr) * 2014-02-14 2016-11-25 Sartorius Stedim Fmt Sas Ensemble de raccordement fluidique modulaire.
FR3017686B1 (fr) * 2014-02-14 2016-09-30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coulisse de verrouillage.
EP2955072A1 (en) * 2014-06-13 2015-12-16 J.Juan S.A. Connector for vehicle hydralic braking system
EP3174593B1 (en) 2014-07-29 2019-09-18 Colder Products Company Axial tube quick coupling assembly with female and male part and perpendicular decoupling pushbutton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JP2019504970A (ja) 2016-01-19 2019-02-21 ウィルマーク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 流体導管を解放可能に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システム
USD838366S1 (en) 2016-10-31 2019-01-15 Nordson Corporation Blood pressure connector
KR102383330B1 (ko) 2016-11-02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US10350401B2 (en) 2017-03-08 2019-07-16 Wilmarc Holdings, Llc Catch assembly for releasably connecting fluid conduits
EP3421858B1 (en) * 2017-06-29 2022-03-30 Cadillac Rubber & Plastics, Inc. Quick connector
JP6894815B2 (ja) 2017-09-22 2021-06-30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パイプ用コネクタ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US11002394B2 (en) * 2018-04-12 2021-05-11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Quick connect joint
EP3803183A4 (en) * 2018-05-31 2021-12-29 Hanil Tube Corporation Quick connector
CN108870717B (zh) * 2018-09-20 2023-12-26 成都明日蔚蓝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架及新风系统
FR3100305B1 (fr) * 2019-08-27 2021-07-30 Tristone Flowtech Solutions Tfs Dispositif de raccordement, notamment pour la réalisation de circuit de circulation de fluide
DE102019129542A1 (de) * 2019-10-31 2021-05-06 Norma Germany Gmbh Schnellverbinder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verbesserter Dichtringarretierung
MX2022014891A (es) * 2020-05-26 2023-02-22 Dlhbowles Inc Ensamble de conector rapido para lineas de fluido con caracteristica de aseguramiento positivo.
KR102586682B1 (ko) * 2021-02-18 2023-10-11 주식회사 코아비스 퀵 커넥터
DE102022126011A1 (de) 2022-10-07 2024-04-18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system zum Leiten von Flui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555A (en)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FR2705431B1 (fr) 1993-05-14 1995-07-13 Legris Sa Connecteur rapide avec dispositif indicateur.
US5401063A (en) *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FR2753774B1 (fr) 1996-09-24 1998-11-20 Connecteur rapide a verrouillage
US5897145A (en)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CN2293698Y (zh) * 1997-06-18 1998-10-07 吴金堂 快速接头装置
CA2251520C (en) 1997-10-31 2003-12-30 Atsushi Ohta Pipe connector connection checking assembly
JP4462671B2 (ja)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FR2818731B1 (fr) * 2000-12-22 2006-11-03 Legris Sa Coupleur rapide avec temoin de connexion
FR2827364B1 (fr) * 2001-07-12 2007-04-20 Legris Sa Connecteur rapide
JP4236952B2 (ja) * 2003-02-18 2009-03-11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JP2005042794A (ja) * 2003-07-28 2005-02-17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とそのコネクタに用いるクランプガイド及びクランプ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390025B2 (en) *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128347B2 (en) * 2004-11-18 2006-10-3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US7484774B2 (en) *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N1307383C (zh) * 2005-09-19 2007-03-28 李全兴 快速管接头
JP4798373B2 (ja) * 2006-09-28 2011-10-19 ニッタ株式会社 接続確認チェッカー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45684B2 (en) 2010-12-07
FR2908494A1 (fr) 2008-05-16
US20090261582A1 (en) 2009-10-22
JP2010509553A (ja) 2010-03-25
CN101535705A (zh) 2009-09-16
EP2079958A1 (fr) 2009-07-22
ATE461394T1 (de) 2010-04-15
KR101119201B1 (ko) 2012-03-22
WO2008074933A1 (fr) 2008-06-26
CN101535705B (zh) 2011-06-22
DE602007005393D1 (de) 2010-04-29
EP2079958B1 (fr) 2010-03-17
JP5129262B2 (ja) 2013-01-30
FR2908494B1 (fr)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201B1 (ko) 신속 연결구
KR102616821B1 (ko) 듀얼-래치 퀵커넥터
JP4041457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US7390029B2 (en) Quick connector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US6520546B2 (e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EP3054206B1 (en)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RU2413121C2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контроля
CN109477604B (zh) 连接器
US7464970B2 (en) Pipe joint
EP1163468B1 (en) Two piece molded female coupling
EP1801484B1 (en) Quick connector
EP2503648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452006B2 (en) Pipe joint and socket for pipe joint
US20040189001A1 (en) Quick connector
KR101001229B1 (ko) 파이프용 신속 작동 커플링
EP2506368B1 (en) Connector comprising a retainer movable between a partial and a full locking positions
US7828583B2 (en) Connector with an aligner with a flexible deformable arm with a slit
EP3339709B1 (en) Connector
KR20120036759A (ko) 유체 연결용 연결 요소
US6851721B2 (en) Fast coupler with connection indicator
JP2008082463A (ja) 接続確認チェッカー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EP2783148B1 (en) Plug-in connection with a retaining clip
JP4787775B2 (ja) 管継手及びソケット
KR20060134967A (ko)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