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271A -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271A
KR20090080271A KR1020080006144A KR20080006144A KR20090080271A KR 20090080271 A KR20090080271 A KR 20090080271A KR 1020080006144 A KR1020080006144 A KR 1020080006144A KR 20080006144 A KR20080006144 A KR 20080006144A KR 20090080271 A KR20090080271 A KR 2009008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ver part
fixing
fixing member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안
Priority to KR102008000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271A/ko
Publication of KR2009008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5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for holding portable computer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는: 휴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에 연결되고 일면에 휴대기기가 배치되는 제 2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에 설치되고, 휴대기기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제 2 덮개부에 배치되는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A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기기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기기의 기능 또한 기존의 단순한 통화기능이나 정보수신, 음악재생 및 동영상 재생 기능 이외에 점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고기능화 및 고급화되고 있다.
휴대기기가 다양한 기능을 가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급화된 휴대기기가 파손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른 수리비의 부담이 과중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로 인해 휴대기기가 오염될 수 있는바, 비교적 안전한 사용 및 휴대를 위한 수납케이스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한편, 휴대기기 중 PDA나 PMP는 부가적인 기능으로 문서를 작성하거나 작성된 문서를 편집하는 기능이 내장된 제품도 있다. PDA나 PMP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제조되므로, 크기 제약 때문에 몇 개의 조작 버튼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PDA나 PMP에 한글, 영문 및 기호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PDA나 PMP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일반적인 키패드 자판 배열처럼 문자가 출력되게 구성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으로 화면상에 출력된 문자 중 원하는 문자를 눌러서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문자를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은 문자를 하나하나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키보드의 자판을 여러 손가락으로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입력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
또한, 휴대기기는 제품별로 그 크기가 다르게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어느 한 휴대기기를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납케이스가 다른 크기의 휴대기기를 수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기기의 크기별로 수납케이스를 별도로 구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휴대기기가 다양한 크기를 갖더라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기기에 문자 등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는: 휴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제 1 덮개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에 연결되고 일면에 휴대기기가 배치되는 제 2 덮개부와; 상기 제 2 덮개부에 설치되고, 휴대기기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제 2 덮개부에 배치되는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는 휴대기기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는 휴대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문서 작성 등을 위한 입력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와 휴대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는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와, 고정 유닛(130)을 구비한다.
제 1 덮개부(110)는 휴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111)가 구비된다. 입력장치(111)는 휴대기기에 한글, 영문 및 기호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버튼들이 다수 배열된다. 입력장치(111)는 제 1 덮개부(110)의 안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덮개부(120)는 제 1 덮개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덮개부(120)는 안쪽 면에 휴대기기(10)가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기기(1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제 2 덮개부(120)에 설치된다. 고정 유닛(130)은 휴대기기(10)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어 제 2 덮개부(120)에 배치되는 휴대기기(10)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고정 유닛(130)은 휴대기기(10)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휴대기기(1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기가 다른 휴대기기(10)를 구입하더라도, 별도의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에 입력장치(11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기기(10)를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문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을 때, 휴대기기(10)를 입력장치(111)에 연결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장치(111)는 고무 키패드(Rubber key pad)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키패드는 외형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휘어질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충격도 일부 흡수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무 키패드는 내부로 물이나 먼지가 스며들지도 않고 겉면에 잘 달라붙지도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고무 키패드는 타이핑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서관, 사무실 등에서 조용하게 타이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입력장치(111)가 고무 키패드로 이루어지면, 휴대기기(10)가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입력장치(111)가 휴대기기(10)로 밀리더라도 휴대기기(1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고정 유닛(130)은 제 1 고정 부재(131)와, 제 2 고정 부재(132)와, 레일 조립체(1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131)와 제 2 고정 부재(132)는 휴대기기(10)의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 1 고정 부재(131)는 휴대기기(10)의 우측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 2 덮개부(120)의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 2 고정 부재(132)는 휴대기기(10)의 좌측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 2 덮개부(120)의 좌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레일 조립체(133)는 제 1 고정 부재(131)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여 제 1 고정 부재(131)와 제 2 고정 부재(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레일 조립체(133)는 제 1 고정 부재(13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134)와, 슬라이드 부재(134)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 2 덮개부(120)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35)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34)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138)이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135)에는 가이드 홈(138)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134)는 가이드 부재(135)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35)에는 걸림 홈(136)들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부재(134)에는 탄성 돌기(137)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홈(136)들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134)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탄성 돌기(137)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 홈(136)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동작한다. 사용자가 제 1 고정 부재(131)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탄성 돌기(137)는 제 1 고정 부재(131)와 함께 이동하여 걸림 홈(136)에 끼워지고, 탄성력에 의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 1 고정 부재(131)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레일 조립체(133)는 제 1 고정 부재(131)만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고정 부재(132)만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 거나,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31,132) 모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레일 조립체(133)의 구조는 제 1 고정 부재(131)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구조든 가능하다.
상기 입력장치(111)는 휴대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12)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112)이 사용되지 않을 때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클립(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클립(140)은 케이블(112)의 단부 또는 일부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립(140)은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 사이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위에 고정 클립(140)이 설치되면, 제 1 덮개부(110) 또는 제 2 덮개부(120)에 고정 클립(14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 1 덮개부(110) 또는 제 2 덮개부(12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 유닛(130)에 의해 휴대기기(10)가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에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사용자가 제 1 고정 부재(131)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1 고정 부재(131)가 제 2 고정 부재(132)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이후, 휴대기기(10)를 제 1 고정 부재(131)와 제 2 고정 부재(132)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휴대기기(10)의 좌측 단 부를 제 2 고정 부재(132)에 끼운다, 이어서, 제 1 고정 부재(131)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휴대기기(10)의 좌측 단부가 제 1 고정 부재(131)에 끼워지게 한다. 이 과정에서, 탄성 돌기(137)가 걸림 홈에 끼워져 제 1 고정 부재(131)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10)가 제 2 덮개부(1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고정 부재(131) 및 제 2 고정 부재(132)는 상측 단부가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31,132) 사이를 많이 벌리지 않아도, 휴대기기(10)가 제 1 및 제 2 고정 부재(131,132)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10)마다 높이가 다르더라도, 휴대기기(1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100)는 클릭감 기구(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릭감 기구(150)는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 사이가 접혀지고 펼쳐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클릭감을 느끼게 하기 위한 것이다.
클릭감 기구(150)는 탄성 접촉부재(151)와, 걸림 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접촉부재(151)는 상기 제 1 덮개부(110)에 고정된다. 탄성 접촉부재(151)는 2단 절곡된 형상인 "∪"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접촉부재(151)는 일측이 제 1 덮개부(110)에 고정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 부재(152)가 힌지 결합된다.
걸림 부재(152)는 제 2 덮개부(120)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 접 촉부재(151)에 힌지 결합된다. 걸림 부재(152)는 제 1 덮개부(110)가 제 2 덮개부(120)에 대해 90°전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단부가 탄성 접촉부재(151)를 푸싱하거나 푸싱을 해제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상기 클릭감 기구(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느끼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가 휴대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가 휴대기기를 감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가 휴대기기(10)를 감싸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걸림 부재(152)의 단부는 탄성 접촉부재(151)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기기(10)를 사용하기 위해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를 펼치는 과정에서,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 사이의 각도가 90°가 되면, 걸림 부재(152)의 끝 부분이 탄성 접촉부재(151)를 푸싱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부재(151)가 탄성 변형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제 1 덮개부(110)와 제 2 덮개부(120) 사이의 각도를 더 벌리게 되면, 걸림 부재(152)에 의한 푸싱 동작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부재(151)는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제 2 덮개부(120) 내부에 강철판(121)이 구비될 수 있다. 강철판(121)은 제 2 덮개부(120)가 휴대기기(10)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다. 또한, 제 1 덮개부(110)의 내부에도 강철판(114)이 구비될 수 있다. 강철판(114)은 제 1 덮개부(110)가 입력장치(111)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 2 덮개부(120)가 거치면에 놓인 상태에서 제 2 덮개부(120)가 제 1 덮개부(110)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거치 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기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조립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에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가 휴대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가 휴대기기를 감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110… 제 1 덮개부
111… 입력장치 112… 케이블
120… 제 2 덮개부 130… 고정 유닛
131… 제 1 고정 부재 132… 제 2 고정 부재
133… 레일 조립체 134… 슬라이드 부재
135… 가이드 부재 136… 걸림 홈
137… 탄성 돌기 140… 고정 클립
150… 클릭감 기구 151… 탄성 접촉부재
152… 걸림 부재

Claims (9)

  1. 휴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제 1 덮개부;
    상기 제 1 덮개부에 연결되고 일면에 휴대기기가 배치되는 제 2 덮개부; 및
    상기 제 2 덮개부에 설치되고, 휴대기기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제 2 덮개부에 배치되는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휴대기기의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일부 감싸는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 및
    상기 제 1 고정 부재와 제 2 고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 1 고정 부재와 제 2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하는 레일 조립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조립체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 또는 제 2 고정 부재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 2 덮개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 홈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 홈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는 이들 사이로 휴대기기가 상부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여 진입되게 상측 단부가 각각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휴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휴대기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부와 제 2 덮개부 사이가 접혀지고 펼쳐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클릭감을 느끼게 하는 클릭감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감 기구는;
    상기 제 1 덮개부에 고정된 탄성 접촉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부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접촉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1 덮개부가 제 2 덮개부에 대해 90°전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 접촉부재를 푸싱하거나 푸싱을 해제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걸림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고무 키패드(Rubber key pa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1020080006144A 2008-01-21 2008-01-21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20090080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44A KR20090080271A (ko) 2008-01-21 2008-01-21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44A KR20090080271A (ko) 2008-01-21 2008-01-21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271A true KR20090080271A (ko) 2009-07-24

Family

ID=4129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44A KR20090080271A (ko) 2008-01-21 2008-01-21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58Y1 (ko) * 2014-11-25 2015-04-20 (주)파란마당 테블릿 스마트기기 홀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58Y1 (ko) * 2014-11-25 2015-04-20 (주)파란마당 테블릿 스마트기기 홀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5986A (en) Retractable palmrest for keyboard-equipped electronic products
US6972944B2 (en) Sliding screen emerging keyboard
EP290208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00029031A (ko)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시스템
US8111506B2 (en) Electronic device
JP3993986B2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070024601A1 (en) Touch pen module and receiving mechanism thereof
JP2009003614A (ja) スライド機構及び電子機器
JP2009171072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US20190244772A1 (en) Keyboard device
KR100828528B1 (ko) 키 크기가 조절되는 확장 및 축소형 키보드
US9025322B2 (en) Key control device for click pad
JP2019211574A (ja) 電子機器
US6847519B2 (en) Phone with automatic linked qwerty keyboard
US20080214252A1 (en) Handheld electronic keypad access case
CN102349125A (zh) 一种用于设备的按键
US2009003617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80271A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101100747B1 (ko) 터치스크린용 키보드/키패드가 결합된 케이스
JP4795265B2 (ja) スライド式小型電子機器
JP2010086127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20016532A (ko) Pcmcia 수납부
KR101143806B1 (ko) 힌지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모바일기기
JP5431892B2 (ja)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JP5874312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