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085A -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085A
KR20090080085A KR1020097009977A KR20097009977A KR20090080085A KR 20090080085 A KR20090080085 A KR 20090080085A KR 1020097009977 A KR1020097009977 A KR 1020097009977A KR 20097009977 A KR20097009977 A KR 20097009977A KR 20090080085 A KR20090080085 A KR 2009008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housing member
auxiliary dri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481B1 (ko
Inventor
로란트 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에 사용되기 위한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12)의 플러그 장치에서 보조 구동기(12)는 대응 플러그의 연결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18)를 포함한다. 플러그 부재(18)는 보조 구동기(12)의 전기 기능 부재(20)와 연결된다. 플러그 부재(18)는 보조 구동기(12)의 하우징 부재(14, 16)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된 위치에서 조립 가능하도록 제안된다.
폴 하우징, 기어 장치 하우징, 리세스, 돌출부, 수용부, 후크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PLUG ARRANGEMENT IN AN AUXILIARY DRIV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구동기, 예컨대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02 46 381 A1에 공지되듯이, 종래 기술에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용 플러그 장치가 공지된다. 이러한 보조 구동기는 예컨대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기이다. 보조 구동기는 출력 샤프트 및 웜 휠을 구비한 기어 장치 하우징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는 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아마추어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는 출력 샤프트의 웜 휠과 협동한다. 연결 플러그는 기어 장치 하우징에 고정되고, 연결 플러그는 기어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고 전기 모터에 대해 측면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연결 플러그는 차량측의 공급- 및 제어 케이블의 대응 플러그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연결 플러그, 폴 하우징 및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는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다. 여러 차량 제조사가 차량 전자 장치에 대한 대응 플러그의 상이한 플러그 위치를 미리 정하기 때문에, 보조 구동기의 제조사는, 기어 장치 하우징,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 또는 폴 하우징에서, 여러 차량 제 조사의 대응 플러그에 매칭된 연결 플러그들의 위치들을 여러 차량 제조사 별로 특수 설계, 제조 및 예비해야 한다. 따라서, 기어 장치 하우징을 가진 보조 구동기에는 각각의 차량 제조사에 상응하는 고객 맞춤식 플러그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장치, 및 예컨대 고객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플러그 위치를 가질 수 있는 플러그 장치를 포함하는 보조 구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플러그 장치 및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보조 구동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장치는, 플러그 부재들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에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우징 부재는 플러그 부재가 각각의 고객 요구에 따라 상이하게 배치되는, 미리 지정된 위치들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하나의 보조 구동기로 다양한 플러그 장치들이 얻어질 수 있으므로, 고객에 의해 미리 주어진 플러그 장치를 위한 개별 보조 구동기가 개발되고 제조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하우징 부재가 수용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다른 위치 설정 부재, 예컨대 하나의 하우징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른 하우징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한 배치는 추가 수용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달리, 수용부는 다른 하우징 부재와의 회전 가능한 연결이 가능하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는 곳에서도 하우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재, 예컨대 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리세스를 포함한 폴 하우징은 상기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상응하는 돌출부를 가진 수용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리세스들은 폴 하우징의 벽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들은, 하우징 벽 내에 특히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재는 크림프(crimp) 후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후크 부재들을 이용해서 예컨대 다른 하우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후크 부재들은 다른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 부재의 리세스들 내에 맞물린 후, 하우징 부재를 회전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휘어진다. 이 실시예는 2 개의 하우징 부재들이 간단하고 저렴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핑 후크들을 이용해서 예컨대 다른 하우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 부재, 예컨대 폴 하우징은 클램핑 후크가 걸릴 수 있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들은 폴 하우징에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 후크는 하우징 부재를 회전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다른 상응하게 회전된 하우징 부재의 다른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핑 후크들은 하나의 하우징 부재를 다른 하우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추가 조립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하기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어 장치 하우징 및 폴 하우징을 포함하는 보조 구동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수용부 및 폴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폴 하우징 및 플러그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제 3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수용부 및 폴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에 따른 보조 구동기의 폴 하우징 및 플러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 구동기(2)가 도시된다. 보조 구동기(2)는 기어 장치 하우징(4)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장치 하우징은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6)과 연결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4)의 배면은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7)로 폐쇄되고 상기 커버는 도 2에 도시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4),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7) 및 폴 하우징(6) 상에 플러그 부재들(8)이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들은 연결 케이블의 대응 플러그들과 연결된다. 플러그 부재들(8)은 플러그가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들을 위해 제공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4),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7), 폴 하우징(6) 및 이들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부재들(8)이 고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로 차량 내로 조립된다.
플러그 부재들(8)의 위치는 차량 타입 별로 상이한, 차량 제조사의 각각의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 배선 컨셉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부재들(8)은 도 1에 도시되듯이 다양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보통 하나의 플러그 부재(8)만이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의 부재 상에 제공된다.
소정 플러그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응하는 플러그 장치를 가진 각각 하나의 고유 보조 구동기(2)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상당한 제조 수고를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보조 구동기(2)를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계되고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조시 각각 특수 공구가 필요하고 이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플러그 장치, 및 하나의 플러그 부재(18)로 다양한 플러그 장치가 달성될 수 있는 보조 구동기(12)를 제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구동기(12)의 제 1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보조 구동기(12)는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폴 하우징(16)을 하우징 부재들로서 포함한다. 폴 하우징(16)이 수용부(2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 기어 장치 하우징(14)이 폴 하우징(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만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우징 부재는 고정식인 것도 가능하다.
폴 하우징(16) 및/또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에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18)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전기 기능 부재(20)와 연결된다. 폴 하우징(16) 내에 제공되는 이러한 전기 기능 부재(20)는 예컨대 브러시 홀더일 수 있고, 상기 브러시 홀더를 통해 전류가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브러시에 인가된다. 대안으로 플러그 부재(18)는, 전기 기능 부재들(20)인 홀 센서와 같은 센서와 연결되거나, 또는 예컨대 기어 장치 하우징(14) 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체 또는 컨택들과 연결된다. 이들은 다수의 전기 기능 부재들(20)에 대한 몇몇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폴 하우징(16)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폴 하우징(16)은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22)을 포함한다(도 3에 파선으로 도시됨). 규정된 위치를 얻기 위해 하나의 리세스(22)면 충분하다. 폴 하우징(16)은 수용부(26) 내에 수용된다. 수용부(26)는 코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폴 하우징(16)이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배치될 수 있도록, 리세스들(22) 내로 맞물릴 수 있다. 하기에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더 자세히 설명되듯이, 리세스들(22)은 미리 정해진 플러그 장치들을 얻기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폴 하우징(16)에 배치된다. 수용부(26)는 조립 라인(도시되지 않음) 상에 고정식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미리 정해진 그리드 내, 조립 라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수용부(26)는 하나의 돌출부(24) 만을 포함하고 폴 하우징(16)은 하나의 리세스(22)만을 포함하면 충분하다. 상기 두 경우 모두에서는, 폴 하우징(16)이 수용부(26)내에 소정의 회전된 위치로 위치 설정된 후, 폴 하우징이 기어 장치 하우징(14)과 연결되어 상기 2 개의 하우징 부재들(14, 16)이 차량 내에 조립된다. 수용부(26)는 차량 내로 조립되지 않고 조립 라인 상에 남는다.
선택적으로 폴 하우징(16) 외에, 기어 장치 하우징(14)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 3의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도 3은 개략적이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플랜지 부분(28)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부분은 폴 하우징에 접촉한다. 플랜지 부분(28) 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30)이 제공된다. 리세스(30)는 도 3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폴 하우징(16) 또는 상기 하우징의 벽에 적어도 하나의 후크 부재(32), 예컨대 크림프(crimp) 후크가 제공되고, 상기 크림프 후크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플랜지 부분(28)의 상응하는 리세스들(3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예컨대 후크 부재(32)가 도시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후크 부재(32)가 상응하는 리세스(30) 내로 맞물리고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플러그 부재(18)가 미리 정해진 회전된 위치에 위치 설정될 때까지, 상응하게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크림프 후크와 같은 후크 부재(32)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을 폴 하우징(16)의 상기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휘어진다. 플랜지 부분(28) 상에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인 다수의 리세스들(30)이 제공됨으로써,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플러그 부재(18)에 대한 다양한 위치들 이 얻어진다.
폴 하우징(16)과 달리,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경우 별도 수용부(26)가 제공되지 않고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폴 하우징(16) 상에서 회전된 위치에 직접 고정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추가 수용부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경제적이다.
폴 하우징(16)의 플러그 부재(18)에 대한 다양한 플러그 위치를 얻기 위해, 수용부(26)는 도 4에 도시되듯이,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예컨대 서로 이격 배치된, 폴 하우징(16)의 3 개의 리세스들(22) 중 하나의 리세스에 의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되듯이 플러그 부재(18)는 3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폴 하우징(16)은 각각 수용부(26) 내에서 리세스들(22)이 수용부(26)의 돌출부(24)와 맞물릴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그 후, 폴 하우징(16)은 회전된 위치에서 기어 장치 하우징(14)과 연결되고 수용부(26)로부터 분리되어 폴 하우징 및 기어 장치 하우징(16, 14)으로 이루어진 유닛이 차량 내로 조립된다. 수용부(26) 및 하우징 부재들(14, 16)은 도 3, 도 6 및 도 7에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기본적으로, 이용 목적에 따라 하나 또는 임의로 다수의 리세스들(22)이 다수의 플러그 장치들을 얻기 위해 폴 하우징(16)에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들(22)은 이용 목적에 따라 규칙적 또는 비규적으로 폴 하우징(16)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6)는 조립 라인에 고정식으로 배치된다. 대안으로 수용부(26)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 라인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다수의 플러그 위치들을 얻기 위해, 폴 하우징(16)이 고정을 위한 하나의 리세스(22)만을 가지면 되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수용부(26)가 상응하게 회전되기 때문이 다.
도 5에는 폴 하우징(16)의 3 개의 리세스들(22) 중 각각 하나의 리세스가 수용부(26)의 돌출부(24)와 맞물림으로써 형성되는 3 개의 플러그 장치들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플러그 장치들을 위해 하나의 보조 구동기(12)만이 제공되면 되고 하나의 플러그 장치를 위해 각각 하나의 보조 구동기가 제공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플러그 부재(18)에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폴 하우징(16)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추가로 다른 플러그 장치들도 얻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2 개의 하우징 부재들의 위치들이 서로 가변적이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폴 하우징(16) 둘 다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폴 하우징(16)은 도 3 및 도 5와 관련해서 설명했듯이, 수용부(26) 내에서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폴 하우징(16)은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22)을 포함하고, 수용부(26)는 조립 라인 상에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26)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리세스들(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폴 하우징(16)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24)가 다양한 리세스들(22) 내로 맞물릴 수 있고 이로써 플러그 부재(18)의 다양한 배치들이 얻어진다. 대안으로, 수용부(26)는 돌출부(24)가 리세스(22) 내로 맞물리는 다양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어 장치 하우징(14)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어 장치 하우징(14)이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도 6에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부분만이 도시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플랜지 부분(28)은 폴 하우징(16)의 벽 상에 놓인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미리 정해진 간격들 만큼 회전되지 않고 소정의 임의 위치에서 폴 하우징(16) 상에 고정된다. 회전된 위치에 기어 장치 하우징(14)을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클램핑 후크(36)가 사용되고, 상기 클램핑 후크는 폴 하우징(16)의 벽 내의 상응하는 개구들(34) 내로 맞물린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의 플랜지 부분(28)이 소정 위치로 회전된 후, 클램핑 후크(36)는 상응하는 개구(34) 내에 걸려서 플랜지 부분(28)과 클램핑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을 폴 하우징(16)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개구들(34) 및 상응하는 클램핑 후크들(36)이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후크(36)가 플랜지 부분(28)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미끌려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플랜지 부분(28)에 링형 돌출부(27)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에 클램핑 후크(36)가 걸린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폴 하우징(16)이 회전될 수 있고, 이로써, 플러그 부재들(18)을 위한 다양한 플러그 장치들이 하우징 부재들 상에 얻어진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다.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고정식으로 형성되는 한편, 폴 하우징(16)은 수용부(2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폴 하우징(16)은 리세스 대신 돌출부(38)를 포함한다. 폴 하우징(16)을 미리 정해진, 회전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돌출부(38)는 수용부(26) 내의 상응하는 리세 스(40) 내에 수용된다.
수용부(26)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40)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되듯이, 예컨대 수용부는 다섯개의 리세스들(40)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들 내로 폴 하우징(16)의 돌출부(38)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26)는 조립 라인 상에 고정식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폴 하우징(16)과 연결된 플러그 부재(18)를 위한 5 개의 플러그 장치들이 얻어질 수 있다. 폴 하우징(16)은 또한 다수의 돌출부들(38)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들은 폴 하우징(16)의 회전시 상응하는 리세스들(40) 내로 수용된다. 이로써 폴 하우징(16)은 방사 방향으로 추가로 지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용부(26)가 하나의 리세스(40)만을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 라인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폴 하우징으로 제한되지 않고 기어 장치 하우징(1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기어 장치 하우징(14)은 고정식이다. 그러나 상기 기어 장치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6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듯이, 기어 장치 하우징은 이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폴 하우징(16)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가 다른 하우징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에 추가로 회전 가능하거나 고정식 수용부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2 개의 하우징 부재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듯이, 폴 하우징(16)은 바람직하게 실직적 으로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폴 하우징(16)을 회전시켜 회전된 위치에 고정하고 차량 내에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기어 장치 하우징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기어 장치 하우징(14)에도 적용된다. 이론상 본 발명은, 폴 하우징(16) 또는 기어 장치 하우징(14)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부분들도, 예컨대, 플러그 부재(8)를 포함하는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7)(도 2)도 다양한 플러그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7)는, 폴 하우징(16) 및 기어 장치 하우징(14)이 회전 가능하게 직접 서로 연결된 도 3 및 도 6의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기어 장치 하우징과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폴 하우징(16)은 다양한 플러그 부재 위치들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규정된 위치에서 고정식 수용부(2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폴 하우징(16) 및 수용부(26)가, 폴 하우징(16)이 하나의 규정된 위치에서만 수용부(26)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폴 하우징(16)은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리세스(22)만을 포함하고 수용부(26)는 하나의 돌출부(24)만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리세스(22) 내로 맞물린다. 수용부(26)는 바람직하게 미리 정해진 간격들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 라인에 배치된다. 이로써 하나의 차지(charge)의 제조시, 리세스(22)가 틀린 돌출부(24)와 맞물리도록 작업자가 리세스(22)를 가진 폴 하우징(16)을 수용부(26) 내에 배치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그 대신, 작업자는 수용부(26)를 소정 위치로 방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폴 하우징(16)을 삽입하고 고정한다. 이는 수용부가 사용된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도 상 응하게 적용된다.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한 보조 구동기(12)는 예컨대 차량의 장치들, 예컨대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 윈도우 리프트 모터, 선루프 모터, 시트 조절 모터, 에어 컨디셔너 모터 또는 팬 모터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10)

  1.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12)의 플러그 장치로서,
    상기 보조 구동기(12)는 대응 플러그의 연결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18)는 상기 보조 구동기(12)의 전기 기능 부재(20)와 연결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18)는 상기 보조 구동기(12)의 하우징 부재(14, 16)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된 위치에서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14, 16)가 회전된 위치에서 수용부(26) 내에 수용 가능하거나, 또는 하나의 하우징 부재와 같은 다른 위치 설정 부재에 의해 수용 가능하고, 상기 수용부(26) 또는 다른 하우징 부재가 상기 하우징 부재(14, 16)를 회전된 위치에 위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6)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16)를 회전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부재(16)의 적어 도 하나의 리세스(22)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22)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26)는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6)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0) 또는 다수의 리세스들(40)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에 상기 하우징 부재(16)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8)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26)가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5.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우징 부재(16)가 적어도 하나의 후크 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부재(32)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재(14, 16)를 상기 다른 하우징 부재(16) 상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 부재가 상기 하우징 부재(14, 16)의 리세스들(3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우징 부재(16)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34) 또는 다수의 개구들(34), 또는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14)가 각각의 상기 개구 들(34) 또는 리세스들 내로 걸리는 클램핑 후크(36)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다른 하우징 부재(16)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회전 가능한 하우징 부재(14, 16)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기(12)가 폴 하우징(16), 기어 장치 하우징(14) 및 기어 장치 하우징 커버(17)를 하우징 부재들(14, 16)로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18)가 전기 기능 부재(20)인, 전기 모터의 브러시 홀더, 인쇄 회로 기판의 도체 및/또는 컨택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10. 보조 구동기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17, 14, 16)를 구비하고, 상기 하 우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18)를 구비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 모터식 보조 구동기.
KR1020097009977A 2006-11-16 2007-10-01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KR101414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4186.3 2006-11-16
DE102006054186A DE102006054186A1 (de) 2006-11-16 2006-11-16 Steckeranordnung bei einem Hilfsantrieb für ein Fahrzeug
PCT/EP2007/060369 WO2008058807A1 (de) 2006-11-16 2007-10-01 Steckeranordnung bei einem hilfsantrieb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085A true KR20090080085A (ko) 2009-07-23
KR101414481B1 KR101414481B1 (ko) 2014-07-04

Family

ID=3882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977A KR101414481B1 (ko) 2006-11-16 2007-10-01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95491A1 (ko)
KR (1) KR101414481B1 (ko)
CN (1) CN101536288B (ko)
BR (1) BRPI0718593A2 (ko)
DE (1) DE102006054186A1 (ko)
WO (1) WO2008058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5339A1 (de) * 2009-10-05 2011-04-07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19134365A1 (de) * 2019-12-13 2021-06-17 Auma Riester Gmbh & Co. Kg Stell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4785U (zh) * 1991-10-25 1992-05-20 苏州仪表元件厂 密封式车用防震接插件
DE4225496A1 (de) * 1992-08-01 1994-02-03 Brose Fahrzeugteile Elektrische Antriebseinheit für Verstellsysteme in Kraftfahrzeugen
DE10246381A1 (de) * 2002-10-04 2004-04-15 Valeo Wischersysteme Gmbh Steckeranordnung eines elektromotorischen Hilfsantriebes für Fahrzeuge, beispielsweise eines Scheibenwischerantriebes sowie ein Hilfsantrieb mit einer solchen Steckeranordnung
DE102004036419B4 (de) * 2004-07-27 2019-05-16 Valeo Systèmes d'Essuyage Elektromotorischer Hilfs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54186A1 (de) 2008-05-21
KR101414481B1 (ko) 2014-07-04
EP2095491A1 (de) 2009-09-02
CN101536288A (zh) 2009-09-16
WO2008058807A1 (de) 2008-05-22
BRPI0718593A2 (pt) 2013-12-03
CN101536288B (zh)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6807B2 (e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n external cable guide on wiper motor housings
US20030188490A1 (en) Drive device
US6249068B1 (en) Motor connecting plug, in particular for a variable-speed commutator motor, having slots for contact tracks
US9976333B2 (en) Adjusting drive, in particular window lifter drive
CA2564698C (en) Electric motor
US7755248B2 (en) Integrated drive element
US9345151B2 (en) Housing and construction kit for a control apparatus
EP3249787A1 (en) Drive device
US11973402B2 (en) Drive device having a brushless electric motor
US6577029B1 (en) Electric motor-driven mechanism
US20150288245A1 (en) Connection element for a drive arrangement and a drive arrangement having a connection part
JP4025436B2 (ja) モータ
US11271449B2 (en) Electric machine with a brush-holding component and a plug module
CN113678346A (zh) 具有无刷电动马达的驱动设备
JPWO2015166571A1 (ja) 車両用制御装置
US20090009014A1 (en) Stator end disk for a commutator motor and corresponding commutator motor
US20020121151A1 (en) Drive system for an adjustable vehicle part
EP1396923B1 (en) Geared motor
KR20090080085A (ko) 차량용 보조 구동기의 플러그 장치
EP3771047B1 (en) Rotary connector
US7915772B2 (en) Motor for vehicle door lock
US11670992B2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an integrated temperature sensor and rotor condition capture sensor
US7878813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electric current, in particular for a steering wheel heater of a vehicle
JP5731861B2 (ja) 給電手段、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
GB1595669A (en) Electrical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