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949A - 색역 맵핑 - Google Patents

색역 맵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949A
KR20090079949A KR1020097009846A KR20097009846A KR20090079949A KR 20090079949 A KR20090079949 A KR 20090079949A KR 1020097009846 A KR1020097009846 A KR 1020097009846A KR 20097009846 A KR20097009846 A KR 20097009846A KR 20090079949 A KR20090079949 A KR 2009007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olor
detail
lo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에이. 클롬팬하우어
저번 제이 헥스트라
매시아스 에이치. 지. 피터스
루벤 라자고팔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7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3Deblurring; Sharpening
    • G06T5/75Unsharp mas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04Adaptive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12Locally adapt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컬러 맵핑 시스템은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의 로컬 디테일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S)를 생성하는 디테일 검출기(1)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로컬 디테일의 함수로서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어 신호(CS)의 제어 하에서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맵핑하는 컬러 맵퍼(2)를 더 포함한다. 제 1 이미지 신호(FIS)는 입력 이미지 신호 또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LIS)이다.
컬러 맵핑 시스템, 입력 이미지 신호, 제어 신호, 디테일 검출기, 컬러 맵퍼

Description

색역 맵핑{GAMUT MAPPING}
본 발명은 컬러 맵핑 시스템(color mapping system), M-원색 이미지 신호(M-primary image signal)을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컬러 맵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색역 맵핑(gamut mapping)은 이미지(image)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의 출력 색역과 상이한 입력 색역에서 규정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갖는 시스템들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픽셀(sub-pixel)을 각각 포함하는 픽셀들을 가지는 RGBW(적색, 녹색, 청색, 백색)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색역 맵핑은 표준 RGB(적색, 녹색, 청색) 입력 신호를 RGBW 디스플레이의 서브-픽셀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맵핑된 이미지 신호로 맵핑한다. 서브-픽셀들은 디스플레이 원색들(display primaries)이라고 언급되는 대응하는 컬러들을 갖는 광을 방출한다. 통상적으로, 이 맵핑은 단지 입력 이미지 신호 RGB에 의해 규정된 입력 컬러 공간 내의 컬러들이 RGBW 원색들에 의해 규정된 출력 색역에 적합한 컬러들로 입력 컬러 공간에서 맵핑되어야 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프로세스(process)를 포함한다. 연속적인 다원색 변환은 RGBW 서브-픽셀들에 대해 신호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맵핑된 컬러들을 변환한다. 종래 기술의 색역 맵핑 및 다원색 변환의 동작이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공지된 컬러 맵핑 또는 색역 맵핑 시스템들의 결점은 특정 입력 이미지 구조들에 대하여 아티팩트들(artifacts)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 맵핑된 이미지 신호의 화질(picture quality)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청구항 제 1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컬러 맵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청구항 제 13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변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청구항 제 15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청구항 제 16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컬러 맵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청구항 제 17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유용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컬러 맵핑 시스템은 입력 이미지 신호에서의 로컬 디테일(local detail)들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테일 검출기(detail detector)를 포함한다. 디테일로 아마도 어떤 잡음은 별문제로 하고, 로컬 이미지 구조(local image structure), 즉, 높은 빈도의 로컬 패턴의 존재 뿐만 아니라, 높은 빈도의 로컬 패턴의 부재, 즉, 예를 들면, 균일한 영역이 이해되어야 한다(이 명세서에서, 우리는 통상적으로 디테일로 작은 그레인(grain) 또는 높은 빈도의 디테일을 나타내려고 할 것이다). 용어 컬러 맵핑은 입력 및 출력 색역들이 상이한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입력 신호의 컬러들의 출력 신호의 컬러들로의 임의의 맵핑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색역 맵핑은 상이한 색역들에 대해 컬러 맵핑이 발생하는 특정한 경우인 것으로 고려된다. 컬러 맵핑으로 인하여, 입력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컬러는 컬러 맵퍼(color mapper)의 출력에서 상이한 컬러 상에 맵핑된다. 컬러로 루미넌스(luminance), 채도(saturation), 및/또는 색조(hue)가 나타나게 된다.
입력 이미지 신호는 픽셀들로 구성된 이미지들을 갖는다. 픽셀들 각각의 컬러 및 강도(intensity)는 입력 이미지 신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원색들 각각의 강도를 직접적으로(RGB) 또는 간접적으로(YUV) 규정하는 컴포넌트들(components)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 샘플들에 의해 규정된다. 전체 컬러 이미지들에 대하여, 적어도 3개의 상이하게 컬러화된 원색들이 필요하다. 이들 원색들은 입력 신호의 그룹을 규정한다. 이미지는 사진, 필름(film)의 픽처(picture), 또는 텍스트 및 사진 및/또는 필름의 합성일 수 있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일 수 있다.
디테일 검출기는 입력 이미지의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픽셀을 포함하는 로컬 영역(local area)에 존재하는 디테일을 검사한다. 예를 들면, 이전 픽셀의 샘플과 컬러 맵핑되어야 하는 현재 픽셀의 샘플 사이의 차이가 결정된다. 이 차이가 높을수록, 더 높은 빈도의 디테일이 존재한다. 이 차이는 샘플들의 모든 또는 특정 컴포넌트들의 차이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컬 크로미넌스 디테일(local chrominance detail)이 결정되어야 하는 경우에, 현재 처리될 입력 샘플에 인접한 입력 샘플의 크로미넌스 컴포넌트들의 차이들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현재 처리될 픽셀과 동일한 라인 상의 하나 이상의 픽셀이 로컬 디테일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컬 영역은 또한 이전 및/또는 다음 라인들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디테일이 임의의 로컬 구조인 것으로 해석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로컬 디테일의 량은 미리규정된 영역에 더 많은 디테일 또는 구조가 존재하는 경우, 및/또는 미리규정된 영역에 더 높은 빈도의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증가한다.
컬러 맵퍼(또는 컬러 맵 유닛)는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서 이미지 신호를 맵핑된 이미지 신호로 맵핑한다. 제어 신호는 검출된 로컬 디테일의 함수로서 이미지 신호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현재 픽셀의 강도 또는 채도에 따르고 현재 픽셀에서의 로컬 디테일에 따르는 아티팩트가 초래되는 경우에, 로컬 디테일에 따르는 강도 또는 채도의 변화가 아티팩트의 가시도(visibility)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컬러 맵퍼에 의한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로컬 강도 변화를 이끈다. 컬러 맵퍼가 특정한 색역으로부터 더 큰 색역으로 맵핑하면, 제어 신호는 컬러 맵퍼가 많은 로컬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강도 부스팅(intensity boosting)을 국소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더 큰 색역으로, 더 많은 원색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더 큰 루미넌스 범위를 제공하는 색역이 나타나게 된다. 또는 상이하게 말하면, 강도 부스팅은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감소된다. 맵퍼가 특정한 색역으로부터 더 작은 색역으로 맵핑하면, 일반적으로 제어 신호는 컬러 맵퍼가 많은 로컬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강도 감소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또는 상이하게 말하면, 강도 감소는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감소된다. 디테일 제어된 컬러 맵핑은 또한 입력 색역 및 출력 색역이 동일한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컬러 맵퍼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신호는 디테일 검출기에 의해 수신된 것과 동일한 입력 이미지 신호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역 통과 필터는 적응형일 수 있거나 또는 안티-앨리어싱 필터(anti-aliasing filter)이다. 필터는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고, 연속적인 서브-픽셀 맵핑에서 발생하는 아티팩트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맵핑될 신호에 더 많은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종래 기술의 맵핑은 마치 디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동일한 맵핑, 예를 들면, 강도 부스트를 적용한다. 예를 들면, 포화되지 않은 적색 라인들이 적색 라인의 측면에 위치하는 녹색 배경에서의 얇은 포화된 적색 라인과 같은 특정한 입력 이미지 콘텐트에 대하여, 아티팩트들은 표준의 높은 량의 강도 부스트가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포화되지 않은 적색 라인들은 강도 부스팅되므로, 입력 신호에서보다 맵핑된 신호에서 더 밝다. 포화된 적색 라인은 부스팅될 수 없으므로, 자신의 원래 컬러 및 강도를 유지한다. 컬러 맵핑의 효과는 얇은 적색 라인이 훨씬 더 넓어진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컬러 맵핑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디테일의 손실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컬러 맵핑 시스템은 얇은 적색 라인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높은 빈도의 정보를 검출하고, 이의 강도 부스트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측면에 위치한 라인들의 포화되지 않은 적색 컬러는 종래 기술에서보다 포화된 적색 라인의 컬러 쪽으로 덜 변화하거나 심지어 전혀 변화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입력 이미지에서의 디테일이 맵핑된 이미지에서 보존된다. 한편, 디테일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에 대하여, 종래 기술의 강도 부스트는 아티팩트들을 생성함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결론지으면: 본 발명에 따른 디테일 적응형 컬러 맵핑은 낮은 량의 디테일을 갖는 영역들에서 종래 기술의 컬러 맵핑들과 동일한 강도 부스팅이 획득되지만, 높은 량의 디테일을 갖는 영역들에서의 아티팩트들이 감소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컬러 맵퍼는 포화된 컬러의 채도를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미리규정된 량까지 국소적으로 감소시킨다. 채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후속 서브-픽셀 렌더링(rendering)에 기인한 아티팩트들이 감소된다. 이것은 예로서, RGBW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된다. RGBW 디스플레이 상의 포화된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는 RGB 서브-픽셀들을 구동시킴으로써만 가능하다. W 서브-픽셀은 포화된 이미지 영역이 포화해제(de-saturating)될 것이기 때문에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완전히 포화된 황색 영역에 대하여, R 및 G 서브-픽셀들만이 광을 방출하도록 구동되고, B 및 W 서브-픽셀들은 광을 방출하지 않는다. 큰 균일한 영역들에 대하여, 이것은 임의의 문제를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포화된 황색 배경에 얇은 흑색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에 심한 아티팩트가 발생한다. 또는, 흑색 라인의 흑색 픽셀이 RGB 서브-픽셀 그룹 또는 W 서브-픽셀 상에 맵핑된다. 픽셀이 RGB 서브-픽셀 그룹 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라인은 인접한 W 서브-픽셀이 또한 광을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더 넓어 보인다. 픽셀이 W 서브-픽셀 상에 떨어지는 경우에, 흑색 픽셀은 모든 W 서브-픽셀들이 이미 광을 방출하지 않았지만, 인접한 RGB 서브-픽셀 그룹이 황색 광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손실되게 된다.
이 종래 기술의 문제는 검출된 디테일의 제어 하에서 입력 신호를 포화해제함으로써 경감될 수 있다. 디테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포화해제는 필요하지 않고, 균일한 영역의 포화된 컬러는 포화된 채로 유지된다. 디테일이 검출되는 경우에, 포화된 컬러는 포화해제되고, 결과적으로, W 서브-픽셀들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서, 스위치-오프(switch-off)된 W 서브-픽셀들에 기인한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킨다. 얇은 흑색 라인은 더 많이 보이게 되고, 덜 포화된 배경 상에 있게 된다.
포화해제의 량은 디테일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화해제의 량은 미리결정된 디테일 레벨까지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 미리결정된 디테일 레벨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최대 크로미넌스 디테일(maximum chrominance detail)일 수 있다. 미리결정된 디테일 레벨이 최대 크로미넌스 디테일이 아니고 디테일이 미리결정된 레벨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 포화해제는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포화해제는 입력 서브-픽셀 강도들(R, G, B)을 갖는 입력 RGB 픽셀의 루미넌스 강도를 믹싱(mixing)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믹싱(mixing)은 가중 팩터(weighting factor)들을 사용한 선형 가산일 수 있다. 가중 팩터들은 검출된 로컬 디테일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 G, B 서브-픽셀 강도들의 평균 값이 개별적인 R, G, B 서브-픽셀 값들과 믹싱된다. 대안적으로, 루미넌스 디테일(입력 신호의 고역 통과 필터링된 루미넌스)가 루미넌스 자체 대신 부가될 수 있다.
물론, 이 접근법은 RGBX 디스플레이들(여기서, X는 부가적인 원색 컬러임) 또는 임의의 다원색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도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테일 검출기는 입력 이미지 신호의 크로미넌스에서 로컬 디테일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UV 컴포넌트들에서의 디테일들이 결정될 수 있다. UV 신호들은 입력 신호가 YUV 신호인 경우에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신호가 RGB 신호인 경우에 계산될 수 있다. 이것은 아티팩트들이 입력 이미지 신호 샘플들의 크로미넌스에 따르는 경우에 특히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테일 검출기는 입력 이미지 신호의 고역-통과 필터링된 버전인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를 공급하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는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이미지 신호의 영역 내의 크로미넌스 값들의 로컬 차이를 결정한다. 영역은 컬러 맵핑된 입력 이미지 신호의 픽셀을 포함한다. 제어 신호 생성기가 상기 로컬 차이를 수신하여 크로미넌스 디테일의 로컬 량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컬러 맵핑된 이미지 신호는 제 1 이미지 신호의 색역보다 더 큰(더 밝은) 색역을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면, RGB 대 RGBW 맵핑에 대해 그러하다.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를 부스팅하는 컬러 맵핑은 유용하게도, 색역이 증가되는 시스템들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컬러 맵퍼는 디스플레이 색역이 입력 이미지 신호의 색역보다 더 큰 시스템들에 특히 관련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입력 이미지 신호는 EBU RGB(적색, 녹색, 청색) 색역에서 규정되는 반면, 디스플레이 픽셀들은 종래의 RGB 서브-픽셀들 이외에, 예를 들면, 백색 또는 황색 광을 방출하는 부가적인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백색 원색의 부가는,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가 최대로 증가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컬러 맵핑 시스템은 입력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맵퍼에 저역-통과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공급하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역-통과 필터링은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루미넌스에 대해서보다 크로미넌스에 대해서 더 낮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펜타일 픽셀 구조(pentile pixel structure)와 같은, RGBW 서브-픽셀들을 갖는 구성들에 대하여 그러하다. 저역-통과 필터의 사용이 얇은 포화된 라인의 스미어링(smearing)을 초래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얇은 포화된 라인은 포화되지 않은 라인들의 측면에 위치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컬러 맵핑이 이들 스미어링된 라인들 상에 적용되는 경우에, 상술된 바와 같이, 디테일들이 손실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맵핑이 저역-통과 필터와 조합되는 경우에, 포화되지 않은 라인들의 강도 부스팅이 감소하여, 컬러 맵핑된 이미지의 해상도 손실을 감소시킨다.
맵퍼가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일 실시예에서, 저역-통과 필터는 자신의 저역-통과 필터링을 증가하는 디테일의 함수로서 증가시키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이다. 따라서, 맵핑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디테일 검출기가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링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맵퍼가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일 실시예에서, 입력 이미지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획득하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는 저역-통과 필터 및 조합기를 포함한다. 저역-통과 필터는 입력 이미지 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를 획득한다. 조합기는 입력 이미지 신호 및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의 가중된 조합으로서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를 결정한다. 가중은 검출된 로컬 디테일의 함수에서 제어된다.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에 더 많은 가중치가 할당될수록, 더 많은 디테일이 검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컬러 맵퍼의 입력 이미지 신호는 디테일 검출기의 입력 이미지 신호와 동일하다. 변환 시스템은 입력 이미지 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를 획득하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조합기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의 가중된 조합으로서 출력 이미지 신호를 결정한다.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에 더 많은 가중치가 할당될수록, 더 많은 디테일이 검출된다. 따라서, 높은 량의 디테일을 갖는 로컬 영역들에서, 맵핑된 이미지 신호는 출력 신호에 기여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최소로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맵퍼에 기인한 아티팩트들은 출력 신호에 최소로 부가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시스템은 M-원색 이미지 신호를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고, 여기서 N은 M보다 더 크다. 변환 시스템은 컬러 맵핑 시스템 및 다원색 변환기를 포함한다. 컬러 맵핑 시스템에서, 맵퍼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신호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 둘 모두는 M-원색 이미지 신호들이다. 다원색 변환기는 M-원색 맵핑된 이미지 신호를 N-원색 구동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컬러 맵핑 및 다원색 변환이 분리되므로, 개별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시스템은 M-원색 이미지 신호를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고, 여기서 N은 M보다 더 크다. 변환 시스템은 제 1 이미지 신호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 둘 모두가 M-원색 이미지 신호들인 컬러 맵핑 시스템, 및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의 조합인 출력 이미지 신호를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다원색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하에 기술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지고, 이하에 기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M-원색 이미지 신호를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본적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맵핑 및 다원색 변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 및 적응형 컬러 맵퍼가 직렬로 배열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 및 적응형 컬러 맵퍼가 병렬로 배열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디테일 제어된 포화해제를 부가적으로 수행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블록도에서의 믹싱 팩터들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 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입력 이미지의 RGB 입력 샘플들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펜타일 구조의 서브-픽셀들의 구동 값들로의 변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갖는 항목들이 동일한 구조적인 특징들 및 동일한 기능들을 가지거나, 또는 동일한 신호들이라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항목들의 기능 및/또는 구조가 설명되는 경우에, 상세한 설명에서 이의 반복된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도 1은 M-원색 이미지 신호를 N-원색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본적인 블록도이다. 컬러 맵퍼(2)는 자신의 M-원색 입력 이미지 신호(FIS)를 M-원색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맵핑한다. 다원색 변환기(3)는 M-원색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를 N-원색 이미지 신호(NIS)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M-원색 입력 이미지 신호(FIS)는 3개의 원색 컬러들을 나타내는 3개의 컴포넌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입력 샘플들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3개의 원색 컬러들은 통상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이고, RGB 신호에 의해 표현되지만, YUV 신호와 같은 또 다른 신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입력 색역은 입력 원색 컬러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컬러들(색조, 채도 및 강도)을 포함한다. N 원색 이미지 신호(NIS)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의 픽셀의 N개의 서브-픽 셀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의도될 수 있다.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픽셀들을 갖는 RGBW 디스플레이에서, N-4이다. 출력 색역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컬러들을 포함한다. RGB 입력 신호가 RGBW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들로 변환되는 이 예에서, 입력 색역은 출력 색역보다 더 작다. 결과적으로, 맵퍼는 더 큰 출력 색역을 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에 대한 강도 부스트(intensity boost)를 수행해야 한다. 다원색 변환기는 여전히 입력 원색들(RGB)에 대해 표현되는 맵핑된 이미지에서의 컬러들을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동 값들(RGBW)로 변환한다. 이러한 맵퍼 및 다원색 변환기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맵핑 시스템, 또는 변환 시스템은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의 로컬 디테일을 결정하는 디테일 검출기(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맵핑 시스템이 다원색 변환기(3)가 아니라, 컬러 맵퍼(2) 및 디테일 검출기(1)를 포함하는 반면, 변환 시스템이 다원색 변환기(3)를 더 포함한다. 로컬 디테일은 변환되거나 컬러 맵핑될 입력 샘플을 포함하는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로컬 영역에서의 디테일이다. 실제로, 이것은 디테일이 로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입력 샘플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컬러 맵퍼(2)는 이제 검출된 로컬 디테일의 제어 하에서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 부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강도 부스트는 더 많은 디테일이 검출될수록 감소된다. 따라서, 가깝게 이격된 입력 샘플들 사이의 차이가 큰 경우에,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 부스트는 작거나 심지어 0이다. 결과적으로, 원래 차이들이 가능한 한 많이 유지됨으로써, 해상도 감소를 방지한다. 한편, 가깝게 이격 된 입력 샘플들 사이의 차이들이 작은 영역들에서, 큰 강도 부스트가 적용되어, 디테일을 손실함이 없이 더 밝은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검출기(1)의 입력 이미지 신호(IS) 및 맵퍼(2)의 입력 이미지 신호(FIS)는 도 4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이미지 신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맵퍼(2)의 입력 이미지 신호(FIS)는 검출기(1)의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저역-통과 필터링된 버전일 수 있고, 이는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출력 색역이 입력 색역보다 더 큰 상기 예에서, 강도 부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컬러들 상에서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을 맵핑하는 맵퍼가 논의된다. 그러나, 입력 색역이 출력 색역보다 더 넓은 다른 시스템들에서, 맵퍼는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를 감소시키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출력 색역 외부의 컬러들을 출력 색역으로 맵핑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색역이 동일할지라도, 컬러 맵퍼는 하나의 방식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이미지를 개선시키기 위해 특정한 컬러들을 다른 컬러들로 맵핑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맵핑 및 다원색 변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예에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변환 시스템은 2원색 입력 신호를 3원색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로 변환한다. 다시, 단지 예로서, 2원색 입력 신호는 적색(R) 및 녹색(G) 원색을 포함하고, 3원색 구동 신호는 적색(R), 녹색(G) 및 황색(Y) 원색을 포함한다.
도 2a는 맵퍼(2)의 입력 이미지 신호(FIS)의 입력 샘플들의 모든 컬러들을 포함하는 색역(GA1)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적인 구현에서, 입력 이미지 신호의 원색 컴포넌트들의 최소 및 최대 값들은 물리적 제약들로 인하여 제한된다. 예를 들면, 전압 스윙(voltage swing)이 제한되거나, 원색 컴포넌트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비트들의 수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원색들 R 및 G 둘 모두는 범위의 경계들을 포함한 0으로부터 1의 범위에서 표준화된 진폭들을 갖는다. 몇 개의 샘플들(P1 내지 P5)이 상기 샘플들이 맵퍼(2)에 의해 맵핑되고 다원색 변환기(3)에 의해 변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P1은 흑색이고, 샘플 P2는 절반의 강도를 갖는 포화된 녹색(G)이며, 샘플 P3은 거의 완전히 포화된 녹색(G)이고, 샘플 P4는 3/4 강도를 갖는 황색(Y)이다. 색역(GA1)은 0 및 1 사이의 R 및 G 원색들의 강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재현될 수 있는 모든 컬러들을 포함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R 및 G 컬러 공간에서 R 및 G 원색들의 합인 황색 원색(Y)이 추가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는 색역(GA2)을 도시한다. 맵퍼(2)는 도 2a의 입력 컬러들을 도 2b의 색역(GA2) 내에서 가능한 컬러들 상으로 맵핑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구현한다. 매우 간단한 알고리즘이 도 2a의 각각의 컬러에 대하여 팩터(factor) 2만큼 원색들(R 및 G)의 값들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2의 팩터를 갖는 강도 부스트가 획득된다. 강도 부스트에 대한 다른 팩터들이 가능하다. 결과는 부분적으로 점선으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색들(2R 및 2G)에 의해 스패닝(spanning)된 색역일 것이다. 그러나, 도 2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G, 2G, R에 의해 스패닝된) 좌측 상부 삼각형 및 (R, 2R, G에 의해 스패닝된) 우측 하부 삼각형에서의 컬러들은 원색들(R, G) 및 원색(Y)의 합에 의해 재현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강도 부스팅은 G 또는 R 축 상의 포화된 컬러들 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 상에서만 수행된다. 또한, 상술된 삼각형들 내에서 강도 부스팅 이후에 발생하는 컬러들에 대해 하드 또는 소프트 클립핑(hard or soft clipping)이 구현된다. 예를 들면, 도 2b에서, 클립핑은 색역(GA2) 외부의 컬러를 이 색역으로 이동시킨다.
맵퍼(2)의 동작이 이제 도 2A에 도시된 샘플들(P1 내지 P5)의 맵핑을 논의함으로써 설명된다. 흑색 샘플(P1)은 흑색 P1'으로 맵핑된다. 포화된 녹색 샘플(P2)은 자신으로 맵핑되고 P2'로 표시된다. 포화되지 않은 샘플(P4)의 R 및 G 값들이 2배가 되어, 컬러(P4')가 색역(GA2) 내에 있게 된다. 그러나, 포화되지 않은 샘플(P3)의 R 및 G 값들이 2배가 되는 경우에, 컬러(P3')는 색역(GA2) 외부에 놓이게 된다. 3원색들(R, G 및 Y)을 갖는 시스템에서 재현될 수 없는 컬러(P3')는 예를 들면, 색역(GA2)의 경계 상에서 컬러(P3'M)로 하드 클립핑된다. 따라서, 컬러 맵퍼(2)는 색역(GA1)의 모든 컬러들에 대하여 상기 모든 컬러들이 색역(GA2) 내의 컬러들로 변환되는 방법을 규정한다. 실제로, 논의된 컬러 맵핑의 효과는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 부스팅인 반면, 포화된 컬러들(R 및 G)은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종래 기술의 컬러 맵퍼들에서, 2의 고정된 강도 부스팅 팩터 대신에 통상적으로 사용자 제어가능한 팩터가 사용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 팩터는 원색들의 컬러에 따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색역들(GA1 및 GA2)이 상이할지라도, 이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대안적으로, 이미지 처리는 2개의 동일한 색역들 사이의, 또는 더 작은 색역 으로의 컬러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작은 색역으로의 컬러 맵핑이 발생하는 경우에, 강도 부스팅은 강도 감소일 수 있다. 따라서, 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컬러 맵핑은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를 변화시킨다.
이제, 모든 컬러들은 3원색들(R, G, Y)로 표현될 수 있는 색역(GA2) 내에 존재하고, 3개의 R, G, Y 서브-픽셀들의 3개의 구동 신호들이 획득되도록 R, G 컬러 공간으로부터 R, G, Y 컬러 공간으로의 실제 다원색 변환이 수행되어야 한다. 다원색 변환은 도 2b 및 2c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2c는 컬러(P4')가 3원색들(R, G, Y)의 값들의 상이한 조합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방법의 많은 가능성들 중 2개의 예들을 R, G, Y 컬러 공간에서 도시한도면이다. 제 1 가능성은 Y, bR 및 bG를 합산하는 것이고, 제 2 가능성은 cY, aR 및 aG를 합산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다원색 변환기(3)의 태스크(task)는 많은 가능한 상이한 조합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원색 변환기는 예를 들면, 가능하다면, Y 컨트리뷰션(contribution)의 루미넌스가 조합된 R 및 G 컨트리뷰션의 루미넌스와 동일한 합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제약 하에서 이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3은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 및 적응형 컬러 맵퍼가 직렬로 배열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테일 검출기(1)는 고역-통과 필터(10),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11) 및 제어 신호 생성기(12)를 포함한다. 고역-통과 필터(10)는 저역-통과 필터(101) 및 가산기(102)를 포함한다. 저역-통과 필터(101)는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수신하여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를 공급한다. 가산기(102)는 입력 이미지 신호(IS)로부터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를 감산하여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HFI)를 공급한다.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11)는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HFI)의 크로미넌스에서 디테일을 결정한다. 크로미넌스 신호는 U=R-G, 및 V=B-G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제,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11)는 처리될 현재 샘플을 포함한 로컬 영역 내의 샘플 값들에 대하여 각각 U 값들 및 V 값들 사이의 델타(들)를 결정한다. 제어 신호 생성기(12)는 로컬 차이(LDC)라고도 언급되는 델타 값들을 수신하여 제어 신호(CS)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CS)는 로컬 크로미넌스 디테일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CS)는 0으로부터 1까지의 범위 내의 팩터(k)를 포함한다. 팩터(k)는 크로미넌스 디테일이 더 많이 검출될수록 증가한다. 저역-통과 필터는 1 또는 2-차원 커널(kernel)을 가질 수 있다. 검출기(11)는 크로미넌스 디테일 대신에,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의 총 디테일 또는 루미넌스 디테일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맵퍼(2)는 종래 기술의 컬러 맵퍼(20), 승산기(21), 승산기(23) 및 가산기(2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컬러 맵퍼(20)는 도 2a 및 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맵핑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컬러 맵퍼는 적용될 강도 부스트의 량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가능한 팩터를 수신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팩터는 예를 들면, 자신의 최대 값(2)으로 고정된다. 컬러 맵퍼(2)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신호(LIS)는 종래 기술의 컬러 맵퍼(20)에 의해 맵핑되어 이미지 신호(I1)를 획득한다. 승산기(21)는 이미지 신호(I1)를 팩 터(1-k)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2)를 획득한다. 승산기(23)는 컬러 맵퍼(20)의 입력 이미지 신호인 이미지 신호(LIS)를 팩터(k)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3)를 획득한다. 가산기(22)는 이미지 신호(I2 및 I3)를 합산하여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를 획득한다.
따라서, 현재 처리된 입력 샘플에 대하여 더 많은 로컬 디테일이 검출되는 경우에, 컬러 맵퍼(2)의 출력 신호는 작은 값만큼 승산되는 반면, 이미지 신호(LIS)는 거의 1에 가까운 값만큼 승산된다. 결과적으로,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는 맵퍼(2)의 입력 신호(LIS)와 거의 동일하다. 로컬 디테일이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적은 량(높은 빈도)의 로컬 디테일만이 검출되는 경우에, 팩터(k)의 값은 작고(거의 0), 팩터(1-k)의 값은 거의 1이다. 결과적으로,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는 종래 기술의 맵핑된 이미지 신호(I1)와 거의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컬러 맵퍼(2)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LIS)를 수신한다.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4)는 저역-통과 필터(101), 승산기(42), 승산기(43) 및 가산기(41)를 포함한다. 승산기(42)는 저역-통과 필터(101)의 출력 이미지 신호(TIS)를 팩터(k)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4)를 획득한다. 승산기(43)는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팩터(1-k)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5)를 획득한다. 가산기(41)는 이미지 신호들(I4 및 I5)를 합산한다. 따라서, 더 많은 로컬 디테일이 검출되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LIS)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와 동일하고, 로컬 디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미지 신호(LIS)는 입력 이미지 신호(IS)와 동일하다. 이러한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크로미넌스에 대해서보다 루미넌스에 대해서 더 높은 경우에 특히 유용한데, 이는 예들 들어, RGBW 서브-픽셀에 대하여 그러하다. 예를 들면, 펜타일 구조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 종류의 디스플레이들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의 루미넌스 해상도가 입력 신호의 루미넌스 해상도를 충족시키는데 충분한 경우에, 로컬 디테일 검출기(1)는 크로미넌스에서만 로컬 디테일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4)가 사전-공개되지 않은 유럽 특허 출원 05110562.5(또는 PCT 출원 IB2006/054005)로부터 공지되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도 4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 및 적응형 컬러 맵퍼가 병렬로 배열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디테일 검출기(1)는 2개의 팩터들(k 및 k-1) 대신에, 이제, 선택적으로, 검출된 로컬 디테일에 따른 값들을 가지는 3개의 팩터들(k1, k2 및 k3)이 생성된다는 점에서만 도 3에 도시된 디테일 검출기(1)와 상이하다. 도 4에서, 디테일 검출기(1) 및 컬러 맵퍼(2) 둘 모두는 자신들의 입력 이미지 신호로서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수신한다.
이 실시예의 컬러 맵퍼(2)는 종래 기술의 컬러 맵퍼(20) 및 승산기(21)를 포함한다. 승산기(21)는 컬러 맵퍼(20)로부터의 컬러 맵핑된 이미지 신호(I6)를 팩터(k2)와 승산하여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를 공급한다. 다시, 이 팩터(k2)는 맵핑된 이미지 신호가 더 억제될수록, 즉,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가 입력 신호(IS)에 가까울수록,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 더 많은 로컬 디테일이 존재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는 저역-통과 필터(101), 승산기(5), 선택적 승산기(7), 및 가산기(6)를 포함한다. 승산기(5)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를 팩터(k1)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7)를 획득한다. 팩터(k1)는 로컬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해야 한다. 승산기(7)는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팩터(k3)와 승산하여 이미지 신호(I8)를 획득한다. 팩터(k3)는 로컬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해야 한다(그리고, 일반적으로 k1+k2+k3=1을 유지한다). 가산기(6)는 이미지 신호들(I7 및 I8)을 가산하여 출력 이미지 신호(SIS)를 공급한다. 실제로, 도 3의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 및 제어된 컬러 맵퍼(2)는 이제 병렬로 배열됨으로써, 필요한 가산기들 및 승산기들의 수를 최소화한다.
처음으로, 승산기(7)가 없는 실시예가 설명되며, 팩터(k1)는 도 3의 팩터(k)와 동일할 수 있고, 팩터(k2)는 도 3의 팩터(k-1)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디테일이 검출되는 경우에, 출력 이미지 신호(SIS)는 주로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에 의해 결정된다. 낮은 량의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 이미지 신호(SIS)는 주로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에 의해 결정된다.
승산기(7)를 갖는 실시예에서,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TIS), 맵핑된 입력 이미지 신호(MIS), 및 입력 이미지 신호 자체(IS)의 량을 검출된 로컬 디테일의 함수로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높은 량의 로컬 크로미넌스 디테일에 대하여, 팩터(k1)는 1이고 팩터들(k2 및 k3)은 0이어서, 출력 이미지 신호(SIS)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신호(TIS)이다. 저역-통과 필터링(101)은 입 력 신호(IS)의 크로미넌스 컴포넌트들 상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낮은 량의 로컬 크로미넌스 디테일에 대하여, 팩터들(k1 및 k3)은 0일 수 있고, 팩터(k2)는 1이다. 팩터(k3)는 중간 량의 크로미넌스 디테일에 대하여 0이 아닐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컬 디테일의 량에 따르지 않거나 따라서, 팩터(k3)는 자신이 또한 출력 이미지 신호(SIS)에 기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많은 크로미넌스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가 획득되고, 낮은 량의 크로미넌스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원래(필터링되지 않은) 신호가 획득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신호(TIS) 및 맵핑된 입력 이미지 신호(MIS), 뿐만 아니라, 입력 이미지 신호(IS) 자체가 출력 신호에 기여할 수 있는 선택이 이제 가능하다.
도 5는 디테일 제어된 포화해제를 부가적으로 수행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는 도 4의 블록도와 거의 유사하다. 유일한 차이는 포화해제 블록(8)이 입력 신호(IS)를 승산기(7)에 제공하는 브랜치(branch)에 부가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IS)의 프랙션(fraction)을 부가하는 대신에, 이제 포화해제된 입력 신호(SDI)의 프랙션이 출력 신호(SIS)에 기여하고 있다. 프랙션 및 이에 따른 로컬 포화해제의 량이 로컬 디테일에 따른 팩터(k3)에 의해 결정된다. 포화해제는 입력 신호(IS)의 조합된 입력 R, G, B 픽셀들의 루미넌스 강도를 개별적인 입력 서브-픽셀 강도들(R, G, B)과 믹싱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믹싱은 가중 팩터들을 사용한 선형 가산일 수 있다. 가중 팩터들은 상수이거나 또는 검출된 로컬 디테일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 적으로, R, G, B 서브-픽셀 강도들의 평균 값이 개별적인 R, G, B 서브-픽셀 값들과 믹싱된다. 대안적으로, 루미넌스 디테일(입력 신호의 고역 통과 필터링된 루미넌스)가 루미넌스 자체 대신 부가될 수 있다. 도 5의 블록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이 도 6과 관련하여 더 설명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블록도에서의 믹싱 팩터들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검출된 로컬 디테일의 함수로서, 팩터들(k1, k2 및 k3)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로컬 디테일은 수평축을 따라 도시되고, 0(디테일이 없음) 내지 1(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최대 디테일)의 범위에서 표준화되었다. 또는 상이하게 말하면, 낮은 값의 로컬 디테일은 높은 빈도들(또는 로컬 구조)의 낮은 콘텐트(content)를 나타내고, 높은 값의 로컬 디테일은 높은 빈도들(또는 로컬 구조)의 높은 콘텐트를 나타낸다.
팩터(k2)는 맵핑된 입력 이미지 신호(MIS)의 출력 이미지 신호(SIS)로의 컨트리뷰션을 제어한다. 이 팩터(k2)는 낮은 디테일을 갖는 영역들에 대한 것이고, 최대 디테일을 갖는 영역들에 대하여 0으로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컬러 또는 색역 맵핑의 량은 로컬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높은 로컬 디테일을 갖는 영역들에서 컬러 또는 색역 맵핑에 기인한 아티팩트들을 감소시킨다.
팩터(k1)는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신호(TIS)의 출력 이미지 신호(SIS)로의 컨트리뷰션을 제어한다. 로컬 디테일이 낮은 경우에, 맵퍼(20)는 아티팩트들을 초래함이 없이 완전히 활성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팩터(k1)는 낮은 로컬 디테일에 대하여 0일 수 있다. 많은 로컬 디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 맵퍼 출력 신호는 억제되고, 저역-통과된 신호가 아티팩트들 없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충분히 낮은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더 많은 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TIS)가 출력 신호(SIS)에 부가된다. 따라서, 팩터(k1)는 특정한 로컬 디테일(도시된 예에서, 0.5)에서 자신의 0 값으로부터 최대 로컬 디테일에서 자신의 최대 값인 1까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디테일은 로컬 크로미넌스 디테일이다.
팩터(k3)는 포화 감소된 이미지 신호(SDI)의 컨트리뷰션을 제어한다. 팩터(k3)는 낮은 로컬 디테일에 대하여 0이고; 입력 이미지 신호(IS)에 로컬 디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채도가 감소될 필요가 없다. 로컬 디테일이 증가하는 경우에, 포화된 배경들에서 로컬 디테일에 기인한 아티팩트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 이미지 신호(SIS)에 더 많은 포화 감소된 이미지 신호(SDI)를 부가하도록 팩터(k3)가 또한 증가한다. 미리결정된 값의 로컬 디테일에서, 포화 감소된 이미지 신호(SDI)의 출력 신호로의 컨트리뷰션은 디스플레이의 크로미넌스 해상도가 너무 낮아서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기 때문에, 로컬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저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TI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선택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가중된(팩터 k4) 컨트리뷰션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포화해제의 량은 디테일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화해제의 량은 미리결정된 디테일 레벨까지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 미리결정된 디테일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최대 크로미넌스 디테일일 수 있다. 디테일이 미리결정된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포화해제는 매우 디테일한 영역들에서 아티팩트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테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입력 이미지의 RGB 입력 샘플들로부터 RGBW 디스플레이의 서브-픽셀들의 구동 값들로의 변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단지 예로서, 서브-픽셀들의 특정한 구성에 대한 변환을 설명한다.
모바일 디스플레이들(mobile displays)의 해상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픽셀 피치(pixel pitch) 및 이에 따른 픽셀의 서브-픽셀들의 크기가 감소한다. 그러나, 배선(wiring)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각각의 서브-픽셀 내의 전자장치들(electronics)이 픽셀들의 크기에 따라 스케일링(scaling)하지 않고, 서브-픽셀들의 개구는 이들의 크기보다 훨씬 더 빠르게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루미넌스 및 이에 따른 백라이트(backlight)의 전력 소모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동일한 휘도를 획득하기 위해 증가되어야 한다. 종래의 적색, 녹색, 청색 디스플레이들(RGB 디스플레이들이라고도 언급됨)에서, 각각의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이 백색 광을 생성하는 경우에, 서브-픽셀 각각에 대하여, 충돌하는 백색 광 중 1/3만을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컬러 필터가 필요하다. 백색 서브-픽셀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들로의 부가는 백색(W) 서브-픽셀에 컬러 필터가 필요하지 않아서 백라이트 유닛의 백색 광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전송되기 때문에, 휘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여분의 백색 픽셀로,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루미넌스만이 부스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픽셀들은 특정한 구성으로 배열된 RGBW 서브-픽셀들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에서, 2개의 입력 픽셀들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픽셀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2개의 입력 픽셀들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픽셀의 RGB 서브-픽셀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2개의 입력 픽셀들 중 다른 하나는 W 서브-픽셀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동일한 컬러를 갖는 서브-픽셀들이 컬럼들(columns)에 배열되고 하나의 입력 픽셀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픽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형 기술(RGB striped technology)과 동일한 감지된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절한 서브-픽셀 렌더링(rendering)이 사용된다. 이 구성은 평균적으로 픽셀당 2개의 서브-픽셀들을 획득하기 위해 서브-픽셀 컬럼들의 2/3만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RGB 스트라이프형 기술보다 더 큰 픽셀 개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임의의 RGBW 서브픽셀 구성, 또는 심지어 다른(RGBX 또는 더 일반적인) 다원색 구성들에서 이점들을 갖는다는 점을 주의하라.
표준 RGB 이미지 신호를 RGBW 서브-픽셀들에 대한 구동 신호들로 변환하는 변환 시스템은 색역 맵핑(2) 및 다원색 변환(3)을 포함한다. 색역 맵핑(2)은 입력 RGB 색역(GA1)을 RGBW 서브-픽셀들로 표현될 수 있는 상이한 색역(GA2) 상으로 맵핑한다. 개략적으로 말하면, 이 맵핑은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를 부스팅한다. 부스팅된 포화되지 않은 컬러가 RGBW 색역(GA2) 외부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컬러는 RGBW 색역(GA2)의 경계에 클립핑(하드 클립핑)되거나 심지어 RGBW 색역(GA2) 내부에 클립핑(소프트 클립핑)된다. 포화된 컬러들은 강도 부스팅되지 않는다. 다원색 변환(3)은 맵핑된 RGB 값들을 RGBW 서브-픽셀들을 구동하는데 적합한 RGBW 구동 값들로 변환한다. 다원색 변환은 동일한 입력 픽셀에 의해 구동되는 서 브-픽셀들의 수를 반감하는 서브-픽셀 샘플링보다 선행한다. 서브-픽셀 샘플링 방법은 (RGB 서브-픽셀 트리플릿(triplet) 상에서 RGBW 픽셀을 맵핑하는) 백색에 대한 구동 값을 폐기하거나, (백색 서브-픽셀 상에서 RGBW 픽셀을 맵핑하는) 적색, 녹색, 청색에 대한 구동 값을 폐기한다. 이것은 RGB 트리플릿 및 백색 서브-픽셀 둘 모두가 루미넌스 픽셀들로서 사용되지만, 크로미넌스 해상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루미넌스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7은 입력 이미지의 4개의 인접한 RGB 입력 픽셀들(I11, I12, I21, I22)의 블록에 대한 이 변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RGB 입력 픽셀(Iij)은 3개의 값들(Rij, Gij, Bij)을 포함한다. 변환은 처음으로 맵핑(2) 및 다원색 변환(3)을 수행하여 RGBW 색역(GA2)에서 대응하는 4개의 RGBW 값들(S11, S12, S21, S22)을 획득한다. 4개의 RGBW 값들(Sij) 각각은 4개의 값들(RIij, GIij, BIij, 및 WIij)을 포함한다. 4개의 RGBW 값들(S11, S12, S21, S22)의 세트는 펜타일 구성의 디스플레이의, 제 1 픽셀의 대응하는 서브-픽셀들(RP11, GP11, BP11, WP11), 및 제 2 픽셀의 WP21, RP21, GP21, BP21 각각에 대한 4개의 서브-픽셀 구동 값들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RGBW 구동 신호들(D12, D22)로 서브-샘플링된다. 서브-샘플링은 서브-픽셀들(RP11, GP11, BP11, WP11)을 포함하는 제 1 픽셀에 대하여 값들(S11)의 RGB 값들(RI11, GI11, BI11) 및 값들(S12)의 W 값(W12)을 선택한다. 서브-샘플링은 서브-픽셀들(WP21, RP21, GP21, BP21)을 포함하는 제 1 픽셀에 대하여 값들(S22)의 RGB 값들(RI22, GI22, BI22) 및 값들(S21)의 W 값(W21)을 선택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크로미넌스 해상도는 자신의 루미넌스 해상도의 1/2이 다. W 서브-픽셀 및 서브-픽셀들의 RGB 트리플릿 둘 모두가 루미넌스에 기여하지만, RGB 서브-픽셀들만이 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화된 컬러들을 갖는 작은 텍스트 또는 얇은 라인들(예를 들면, 1 픽셀 폭)이 입력 이미지에 존재하는 경우에, 디테일은 손실될 수 있다. 또는 상이하게 말하면, RGBW 서브-픽셀 구성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가장 높은 루미넌스 해상도 만큼 높은 크로미넌스 해상도를 갖는 입력 이미지 내의 정보는 자신의 해상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아티팩트들 없이 RGBW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는 없다. 이들 아티팩트들은 입력 이미지의 크로미넌스 컴포넌트들(YUV 신호의 U 및 V)을 저역-통과 필터링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더 많은 크로미넌스 디테일이 검출되는 경우에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의 컨트리뷰션을 증가시키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루미넌스 해상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입력 이미지들의 크로미넌스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사전-공개되지 않은 유럽 특허 출원 05110562.5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이 저역-통과 필터링은 처리되고 있는 입력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에서의 로컬 디테일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빠른 것과 관련된 특정 이미지 신호들에 대하여 스틸 아티팩트들(still artifacts)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논의된 실시예에서, 이들 아티팩트들은 로컬 디테일에 따른 맵핑을 또한 제어함으로써 감소된다.
도 8은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선택 드라이버(62) 및 데이터 드라이버(64)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60)를 포함한다. 선택 드라이버(62)는 픽 셀들을 라인 바이 라인(line by line)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드라이버(64)가 픽셀들의 선택된 라인에 데이터를 라인-방식(line-wise)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력 픽셀들의 컬러 및 강도를 결정하는 RGB 이미지 입력 샘플들(IS)이 디스플레이 제어기(66)에 공급된다. 유닛(68)은 디테일 검출기(1) 및 컬러 맵퍼(2)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유닛(청구항들에서는 컬러 맵핑 시스템)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유닛(68)은 컬러 맵핑 시스템, 디테일 검출기(1) 및 다원색 변환(3)을 포함한다. 컬러 맵핑 시스템 및 변환 시스템 둘 모두는 부가적으로 로컬 디테일 제어되는 크로미넌스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유닛(68)은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서브-픽셀 샘플링 문제가 RGBW 디스플레이들에 대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상기 서브-픽셀 샘플링 문제는 특히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루미넌스 및 크로미넌스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디스플레이들에 대해서도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은 부가적인 서브-픽셀(x)이 임의의 컬러, 예를 들면, 황색 또는 청록색을 가질 수 있는 RGBx 디스플레이들이다. 동일한 문제가 서브-샘플링이 적용되는 종래의 RGB 디스플레이들, 또는 입력 픽셀들의 입력 컴포넌트들의 부분에 대한 저역-통과 필터링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서브-픽셀들의 특정한 구성이 제시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서브-픽셀들의 또 다른 구성이 사용되는 다른 구현예들과 관련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설명하고, 당업자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디자인(design)할 것이라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LCD들(액정 디스플레이들), PDP들(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 DMD(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VCSEL 디스플레이들(수직-캐비티 표면-방출 레이저들), LED 또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에서 유용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셀 강도 및 컬러가 규정되는 방법과 관계없이 이미지 신호들에 적용될 수 있다. 컬러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희망하는 포맷(format), 예를 들면, RGB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더 넓은 애플리케이션 분야(field of application)를 가질지라도, 본 발명은 루미넌스 해상도보다 더 낮은 크로미넌스 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들에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RGBW 디스플레이들, 그리고 특히 디스플레이가 서브-픽셀 값들의 서브-샘플링된 세트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들에 대해서 그러하다. 물론, 이 접근법은 또한 RGBX 디스플레이들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X는 부가적인 원색이다.
로컬 이미지 구조는 전형적으로 관련된 컬러 값들의 픽셀들 사이의 임의의 공간적인 관계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더 밝은 로컬 배경 상에 어떤 크기의 어두운 그레인들(dark grains)과 같은 텍스처(texture)가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측정치, 예를 들면, 텍스처 측정치, 또는 인식기로부터 출력된 어떤 값(예를 들면, 패턴 정합기(pattern matcher), 또는 로컬 스페시오-컬러 픽셀 분포들(local spatio- color pixel distributions)을 통계적, 의미론적, 등으로 분석하는 학습 시스템으로부터의 로컬 형상의 등급 번호)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 그 다음, 이것은 예를 들면, 다수의 값들(예를 들면, 높은 고=복잡한 텍스처; 저=더 단순한 텍스처) 중 하나일 수 있는 제어 신호, 또는 연속적인 커브(curve), 또는 심지어 다차원 신호로 변환된다(물론, 또는, 부가적인 또는 포함된 맵핑이 존재하여, 최종적인 대조 신호가 컬러 변환을 행하도록 정확한 크기로 이루어져서, 예를 들면, 평균적인 뷰어(viewer)에 대하여, 출력 픽처가 더 만족스럽게 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괄호들 사이의 배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동사 "포함한다(comprise)" 및 이의 활용형의 사용은 청구항에서 진술된 것들 이외의 소자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자 앞의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의 이러한 소자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상이한 소자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러 수단을 열거한 디바이스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들 중 여러 개는 하드웨어의 하나이고 동일한 아이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수단들이 서로 다른 종속 청구항들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Claims (18)

  1. 컬러 맵핑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IS)에서의 로컬 이미지 구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IS)에서의 로컬 이미지 구조의 유형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S)를 생성하는데 유용한 이미지 구조 측정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검출기(1), 및
    상기 로컬 이미지 구조의 함수로서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상기 제어 신호(CS)의 제어 하에서 컬러 변환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맵핑하기 위한 컬러 맵퍼(2)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이미지에서의 로컬 디테일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CS)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디테일 검출기(1)로서, 상기 입력 이미지는 입력 이미지 신호(IS)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디테일 검출기(1), 및
    상기 로컬 디테일의 함수로서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상기 제어 신호(CS)의 제어 하에서 컬러 변환에 의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상기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맵핑하는 상기 컬러 맵퍼(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는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 또는 필터링된 입 력 이미지 신호(LIS)인, 컬러 맵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맵퍼(2)는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 변화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맵퍼(2)는 상기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상기 강도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상기 강도를 국소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강도 변화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맵퍼(2)는 상기 로컬 디테일의 증가의 함수로서 포화되지 않은 컬러들의 채도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검출기(1)는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크로미넌스 컴포넌트(chrominance component)의 로컬 디테일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CS)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컬러 맵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검출기(1)는:
    고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IS)인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HFI)를 공급하기 위한 고역 통과 필터(10),
    상기 고역-통과 필터링된 이미지 신호(HFI)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영역 내에서 크로미넌스 값들의 로컬 차이(LDC)를 결정하기 위한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11)로서, 상기 영역은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의 현재 컬러 맵핑될 픽셀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미넌스 디테일 검출기(11), 및
    상기 로컬 차이(LDC)를 수신하여 크로미넌스 디테일의 로컬 량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CS)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기(12)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는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제 1 색역(GA1)보다 더 큰 제 2 색역(GA2)을 갖는, 컬러 맵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역(GA1)은 3원색들(R, G, B)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 2 색역(GA2)은 상기 3원색들(R, G, B) 및 백색 원색(W)에 의해 규정되는, 컬러 맵핑 시 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맵핑 시스템은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수신하여 저역-통과 필터링되는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공급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4)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 필터(4)는 증가하는 디테일의 함수로서 자신의 저역-통과 필터링 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테일 검출기(1)에 결합되는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4)인, 컬러 맵핑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저역-통과 필터(4)는: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수신하여 제 3 이미지 신호(TIS)를 공급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101), 및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 및 상기 제 3 이미지 신호(TIS)의 가중된 조합인 상기 저역-통과 필터링된 입력 이미지 신호(LIS)를 공급하기 위한 조합기(41)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는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이고,
    변환 시스템은:
    상기 입력 이미지 신호(IS)를 수신하여 상기 제 3 이미지 신호(TIS)를 공급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101), 및
    상기 제 3 이미지 신호(TIS) 및 상기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의 가중된 조합인 출력 이미지 신호(SIS)를 공급하기 위한 조합기(6)를 더 포함하는, 컬러 맵핑 시스템.
  14. M-원색 이미지 신호(R, G, B)를 N-원색 이미지 신호(R, G, B, W)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시스템으로서, 상기 N은 상기 M보다 큰, 상기 변환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이미지 신호(FIS)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 둘 모두가 M-원색 이미지 신호들인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상기 컬러 맵핑 시스템, 및
    상기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를 상기 N-원색 이미지 신호(NIS)로 변환하기 위한 다원색 변환기(3)를 포함하는, 변환 시스템.
  15. M-원색 이미지 신호(R, G, B)를 N-원색 이미지 신호(R, G, B, W)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시스템으로서, 상기 N은 상기 M보다 큰, 상기 변환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이미지 신호(FIS)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 둘 모두가 M-원색 이미지 신호들인 청구항 제 11 항에 따른 컬러 맵핑 시스템, 및
    출력 이미지 신호(SIS)를 상기 N-원색 이미지 신호(NIS)로 변환하기 위한 다원색 변환기(3)를 포함하는, 변환 시스템.
  16.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상기 컬러 맵핑 시스템,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를 수신하여 상기 서브-픽셀들에 대한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컬러 맵핑 방법에 있어서: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의 로컬 이미지 구조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CS)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이미지 구조의 함수로서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신호(CS)의 제어 하에서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컬러 맵핑하는 단계(2)를 포함하는, 컬러 맵핑 방법.
  18.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입력 이미지 신호(IS)에서의 로컬 이미지 구조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CS)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이미지 구조의 함수로서 제 1 이미지 신호(FIS)의 강도 및/또는 채도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신호(CS)의 제어 하에서 상기 제 1 이미지 신호(FIS)를 맵핑된 이미지 신호(MIS)로 컬러 맵핑하는 단계(2)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97009846A 2006-10-19 2007-10-15 색역 맵핑 KR20090079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2574.4 2006-10-19
EP06122574 2006-10-19
EP07107499.1 2007-05-04
EP07107499 2007-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949A true KR20090079949A (ko) 2009-07-22

Family

ID=3931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846A KR20090079949A (ko) 2006-10-19 2007-10-15 색역 맵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33494A1 (ko)
EP (1) EP2111613A2 (ko)
JP (1) JP2010507311A (ko)
KR (1) KR20090079949A (ko)
RU (1) RU2009118625A (ko)
WO (1) WO20080472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146A (ko) * 2011-11-11 2013-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4원색 표시장치 및 그의 픽셀데이터 랜더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536A (zh) * 2009-04-01 2010-10-06 深圳市融创天下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视频编解码的图像视觉效果提升方法
US8537177B2 (en) * 2009-06-15 2013-09-17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 and methods for gamut bounded saturation adaptive color enhancement
WO2011045716A1 (en) * 2009-10-15 2011-04-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gamut control
CN102770906B (zh) * 2010-02-26 2015-02-25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方法
MX2012012034A (es) 2010-04-16 2013-05-30 Flex Lighting Ii Llc Dispositivo de iluminacion frontal que comprende una guia de luz a base de pelicula.
EP2558775B1 (en) 2010-04-16 2019-11-13 FLEx Lighting II, LLC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 film-based lightguide
US8576243B2 (en) * 2010-10-08 2013-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color function image conversion
JP5140206B2 (ja) * 2010-10-12 2013-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色信号処理装置
KR20130087927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JP6035940B2 (ja) * 2012-07-23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019679B1 (ko) * 2013-08-28 2019-09-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색역 매핑 방법
US10192477B2 (en) * 2015-01-08 2019-01-29 Lighthouse Technologies Limited Pixel combination of full color LED and white LED for use in LED video displays and signag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538B1 (en) * 1997-09-26 2003-05-13 Nikon Corporation Interpolation device, process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nterpol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US6954287B1 (en) * 1999-11-05 2005-10-11 Xerox Corporation Gamut mapping preserving local luminance differences with adaptive spatial filtering
US6882449B2 (en) * 2001-06-18 2005-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ace varying gamut mapping
US6961477B2 (en) * 2001-07-12 2005-11-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based selection of gamut mapping
US7082218B2 (en) * 2001-07-27 2006-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correction of images
US6947589B2 (en) * 2001-09-20 2005-09-20 Canon Kabushiki Kaisha Dynamic gamut mapping selection
US7079705B2 (en) * 2002-10-30 2006-07-18 Agilent Technologies, Inc. Color interpolation for image sensors using a local linear regression method
KR101058456B1 (ko) * 2003-12-29 2011-08-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146A (ko) * 2011-11-11 2013-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4원색 표시장치 및 그의 픽셀데이터 랜더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1613A2 (en) 2009-10-28
US20100033494A1 (en) 2010-02-11
WO2008047291A3 (en) 2009-03-19
WO2008047291A2 (en) 2008-04-24
RU2009118625A (ru) 2010-11-27
JP2010507311A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949A (ko) 색역 맵핑
CN101529496B (zh) 颜色映射方法、系统和显示器设备
US8044967B2 (en) Converting a three-primary input color signal into an N-primary color drive signal
KR101995870B1 (ko) 영상데이터를 혼합 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049051B1 (ko) 컬러 입력 신호 변환 방법
KR101842904B1 (ko) 영상표시방법 및 표시 시스템
JP5554788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上で画像を提示する方法
JP4799823B2 (ja) 属性を向上させる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9417479B2 (en) Method for reducing simultaneous contrast error
JP5256283B2 (ja) 2次元サブピクセルレイアウト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ための画像色バランス調整
KR101994179B1 (ko) 영상표시방법
US8872861B2 (en) Apparatus for selecting backlight color values
US7091941B2 (en)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US8390643B2 (en) Dynamic gamut control
US201202871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ubpixel rendering
WO2005004104A2 (en) Transforming three color input signals to more color signals
KR20080069675A (ko)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US82591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saturation of images rendered on high brightness displays
KR102222725B1 (ko) 동시 대비 오류의 제거를 위한 영상표시방법
KR20120128091A (ko) 영상데이터 조합방법, 표시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
EP1758092A1 (en) Converting a three-primary input color signal into an N-primary color drive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