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276A -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276A
KR20090079276A KR1020080005132A KR20080005132A KR20090079276A KR 20090079276 A KR20090079276 A KR 20090079276A KR 1020080005132 A KR1020080005132 A KR 1020080005132A KR 20080005132 A KR20080005132 A KR 20080005132A KR 20090079276 A KR20090079276 A KR 2009007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cara
water
cosmetic composition
eyelashes
chi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기
김영호
유재원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276A/ko
Publication of KR2009007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볼륨 효과와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성능을 갖는 필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0.01 ~ 50%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또한 포함된다.
마스카라, 화장료, 키틴, 셀룰로오즈, 컨쥬게이트, 볼륨, 상향성, 보습

Description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OF MASCARA}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진하고 길어 보이게 하여 눈의 윤곽을 뚜렷하게 함으로서, 사람의 얼굴과 표정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신체 부위인 눈을 아름답고 개성 있게 연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카라 조성물은 수중유 유화형 마스카라이며, 수중유 유화형 마스카라는 크게 용매 및 분산제로서 물, 두께감을 부여하기 위한 왁스,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착색안료 및 상향성과 점증을 위한 수지 등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제조된 마스카라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속눈썹에 도포하며, 용매의 자연증발에 의한 건조 원리를 이용하여 마스카라 화장을 마무리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마스카라는 상기와 같은 원료들을 주로 이용하여 수중유 유화형 형태로 제조를 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속눈썹에 도포를 하며,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화장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볼륨 효과와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성능을 갖는 필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볼륨 효과와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성능을 갖는 필름막을 형성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 도포력 향상, 2) 상향성 효과, 3) 빠른 마무리, 4) 부담감 저하, 5) 도포 직후 묻어남 방지, 5) 번짐 방지, 6) 건조 후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남 방지의 효과가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틴은 갑각류의 외골격을 구성하는 천연에 널리 존재하는 다당류 고분자 물질로 일반용매에 용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지만, 수용화한 키틴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 의약물질과 화장품 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다(Y. Ibata, Fragrance J. 66, 73(1984)).
셀룰로오즈는 자연으로부터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 고분자로 물에 불용성이지만 수용화시키면 보습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10-0144372).
본 발명에 이용된 키틴과 셀룰로우즈가 콘쥬게이트된 수용성 수지(대한민국 특허 10-0144372)는 키틴과 셀룰로오즈를 모노클로로초산나트륨으로 동시에 수용화시키고 분자 사슬이 서로 수소결합으로 콘쥬게이트 되어 있는 수용성 수지로서 보습력이 히아루론산보다 월등히 뛰어나고 보발에 대한 보호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10-0144372).
일반적으로 기존의 마스카라 화장료는 상기와 같은 원료를 주로 이용하여 수중유 유화형 형태로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속눈썹에 도포하고, 상기와 같은 원리로 건조시켜 마무리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여러 번 덧발라야 도포력 있는 속눈썹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마스카라 도포과정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눈을 계속 치켜뜨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눈이 시리고 고통스러우며 번거롭다. 이것은 마스카라의 도포력이 부족하다는 내용과 일맥상통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향성 효과가 부족하며 도포 후 눈 주위에 부담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눈을 깜박이면 눈 아래쪽에 속눈썹에 도포된 마스카라 액이 묻어나와 지저분해 진다. 또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를 완료하고 마스카라가 건조된 후에 땀 또는 눈물 등이 속눈썹이 도포된 마스카라에 닿아 흐르면 마스카라가 번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를 완료하고 마스카라가 건조된 후에 땀 또는 눈물 등이 마스카라에 닿으면 눈을 깜박일 때 눈 아래쪽에 묻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마스카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당면해 왔던 문제점이고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마스카라에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 시 볼륨과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필름막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 도포력 향상, 2) 상향성 효과, 3) 빠른 마무리, 4) 부담감 저하, 5) 도포 직후 묻어남 방지, 5) 번짐 방지, 6) 건조 후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남 방지의 효과가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키틴과 셀룰로오즈 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0.01 ~ 50%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볼륨 효과와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성능을 갖는 필름막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 도포력 향상, 2) 상향성 효과, 3) 빠른 마무리, 4) 부담감 저하, 5) 도포 직후 묻어남 방지, 5) 번짐 방지, 6) 건조 후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남 방지 등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효과를 갖는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 시 볼륨과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필름막을 형성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 도포력 향상, 2) 상향성 효과, 3) 빠른 마무리, 4) 부담감 저하, 5) 도포 직후 묻어남 방지, 5) 번짐 방지, 6) 건조 후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남 방지의 효과가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이하, 키툴로즈(Chitulose)]를 0.01 ~ 50%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또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발라서 속눈썹을 진하고 길어 보이게 하여 눈의 윤곽을 뚜렷하게 함으로서, 사람의 얼굴과 표정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신체 부위인 눈을 아름답고 개성 있게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이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스카라는 수중유 유화형 마스카라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중유 유화형 마스카라를 중심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용매 및 분산제로서 물, 두께감을 부여하기 위한 왁스,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착색안료 및 상향성과 점증을 위한 수지 등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제조된 마스카라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속눈썹에 도포하며, 용매의 자연증발에 의한 건조 원리를 이용하여 마스카라 화장을 마무리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마스카라 화장료는 상기와 같은 원료를 주로 이용하여 수중유 유화형 형태로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속눈썹에 도포하고, 상기와 같은 원리로 건조시켜 마무리하므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여러 번 덧발라야 도포력 있는 속눈썹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눈을 계속 치켜뜨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눈이 시리고 고통스러우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를 도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2 ~ 3회 도포하고 어느 정도 마스카라가 건조되기를 기다리며 눈을 치켜뜨고 있어야 한다. 이때 눈 아래쪽에 묻어나오지 아니하도록 눈을 깜박여서는 아니 된다. 그 후 마스카라가 어느 정도 건조되고 나면 마스카라를 2 ~ 3회 다시 속눈썹에 도포하고 어느 정도 마스카라가 건조되기를 또 기다리며 눈 아래쪽에 묻어나오지 아니하도록 눈을 치켜뜨고 있는 과정을 3 ~ 4회 반복하여 마무리한다. 따라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눈을 계속 치켜뜨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눈이 시리고 고통스러우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마스카라의 도포력이 부족하다는 내용과 일맥상통한다 할 수 있다.
또한, 상향성 효과가 부족하여 상향성이 우수한 마스카라를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마스카라가 도포 된 눈 주위에 도포 된 마스카라로 인한 부담감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눈을 깜박이면 눈 아래쪽에 속눈썹에 도포된 마스카라 액이 묻어나와 지저분해 진다.
또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를 완료하고 마스카라가 건조된 후에 땀 또는 눈물 같은 물이 속눈썹에 도포된 마스카라에 닿아 흐르면 마스카라가 팽윤되어 내부와 표면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가 물을 따라 흐르면서 마스카라가 번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속눈썹에 마스카라 도포를 완료하고 마스카라가 건조된 후에 땀 또는 눈물 같은 물이 마스카라에 닿으면 마스카라가 팽윤되어 내부와 표면에 함유되어 있는 마스카라 색소가 눈을 깜박일 때 눈 아래쪽에 묻어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마스카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당면해 왔던 문제점이고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키틴은 갑각류의 외골격을 구성하는 천연에 널리 존재하는 다당류 고분자 물질로 일반용매에 용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지만, 수용화한 키틴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 의약물질과 화장품 원료로서 이용이 가능하다(Y. Ibata, Fragrance J. 66, 73(1984)).
셀룰로오즈는 자연으로 부터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 고분자로 물에 불용성이지만 수용화시키면 보습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10-0144372).
본 발명에 이용된 키틴과 셀룰로우즈가 콘쥬게이트된 수용성 수지(대한민국 특허 10-0144372)인 키툴로오즈는 키틴과 셀룰로오즈를 모노클로로초산나트륨으로 동시에 수용화시키고 분자 사슬이 서로 수소결합으로 콘쥬게이트 되어 있는 수용성 수지로서 보습력이 히아루론산보다 월등히 뛰어나고 보발에 대한 보호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10-0144372). 한편, 키툴로오즈를 마스카라에 함유시키고 속눈썹에 도포 시 볼륨과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필름막을 형성하는 효과가 제공되어, 1) 도포력 향상, 2) 상향성 효과, 3) 빠른 마무리, 4) 부담감 저하, 5) 도포 직후 묻어남 방지, 5) 번짐 방지, 6) 건조 후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남 방지의 효과가 매우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키툴로오즈를 함유시킴으로서 속눈썹에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볼륨 효과와 상향성 효과 및 보습, 눈가 자극이 적은 등의 성능을 갖는 필름막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키툴로오즈를 0.01 ~ 50%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또한 포함된다.
마스카라에 키툴로오즈를 0.01% 미만으로 함유시킬 때는 목표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50%를 초과하여 함유시킬 때는 목표하는 사용감을 얻기 어렵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Ⅰ. 비교예 실시예
하기에 도시된 표 1을 참조하여 마스카라 제조공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인 실시예와 대조군으로서 비교예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표 1의 비교예와 실시예와 같이 원료 1 ~ 6에 해당하는 용매 및 분산제로서 정제수, 효능을 위한 키툴로오즈 또는 비교를 위한 폴리비닐알코올,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흑색산화철 및 pH 조절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 그리고 방부제를 함께 평량한 후 70 ~ 80℃로 가열ㆍ교반 및 용해ㆍ분산하여 균질화 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열ㆍ교반 및 용해ㆍ분산시킨 용액에, 원료 7 ~ 9에 해당하는 밀납과 스테아릭애씨드, 소포제로서 디메치콘을 별도로 함께 평량하고 70 ~ 80℃로 가열ㆍ교반 및 용해ㆍ분산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서서히 투입하여 호모믹서(T. K. robo mics, Model 957015B, Tokushu Kika Kogyo Co., 일본)로 10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30℃로 냉각하여 밀폐 저장한다.
원     료 비교예 실시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2. 폴리비닐알코올 2.00
  3. 키툴로오즈 10.00
  4. 흑색산화철 10.00 10.00
  5. 트리에탄올아민 3.00 3.00
  6. 방부제 q.s. q.s.
  7. 밀납 10.00 10.00
  8. 스테아릭애씨드 10.00 10.00
9. 디메치콘 1.00 1.00
Ⅱ. 시험예
시험예 1: 경시변화에 대한 비교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인 비교예 및 기존의 마스카라인 실시예를 제조하여 30℃ 항온조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점도(RVT, helipath No. E, 50 rpm, Brookfield Co., 미국)를 측정하여 경시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단위는 cps이다.
물 성 비교예 실시예
점도(1일) 21,500 21,000
점도(10일) 23,000 22,000
점도(1달) 23,000 21,000
점도(3달) 24,000 23,000
점도(6달) 30,000 29,000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의 경시변화는 키툴로오즈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의 경시변화와 장기간 차이가 크게 없이 유사하게 안정적인 경시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키툴로오즈를 마스카라 화장료에 사용하여도 경시변화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와 실시예의 사용 효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시험예 2: 사용 효과의 비교
대조군으로서 기존제품인 비교예의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와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실시예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마스카라를 1개월 씩 교대로 사용하게 한 후, 묻어남(사용 즉시 묻어나지 아니함), 도포력(두껍게 발리는 정도), 지속성(도포 완료 후 번지지 아니함), 부착력(도포 완료 후 묻어나지 아니함), 전연성(깔끔하게 발리는 정도), 상향성(속눈썹이 위로 휘는 정도), 안전성(자극이 없음), 사용감(전체적인 느낌) 등의 항목을 평가하게 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비교예 실시예
묻어남(사용 즉시 묻어나지 아니함) 3.2 4.8
도포력(두껍게 발리는 정도) 3.8 4.6
지속성(도포 완료 후 번지지 아니함) 3.3 4.8
부착력(도포 완료 후 묻어나지 아니함) 3.9 4.7
전연성(깔끔하게 발리는 정도) 3.7 4.1
상향성(속눈썹이 위로 휘는 정도) 3.1 4.0
안전성(자극이 없음) 3.3 4.8
사용감(전체적인 느낌) 2.8 4.5
* 평가: 5점(매우 양호), 4점(양호),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실시예)은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비교예)보다 품질이 전 항목에 걸쳐 우수하였다. 이것은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이 사람을 대상으로하는 품질 비교에서 묻어남 방지, 도포력 향상, 건조 후 번짐과 묻어남 방지, 상향성 향상, 자극 및 전체적인 사용감에서 탁월함을 증명한다.
시험예 3: 마스카라 도포 즉시 묻어남 측정 결과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하고, 즉시 눈을 깜박일 때 눈 아래쪽에 묻어남의 개선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두 개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평평한 유리판 위에 나란히 놓은 후 즉시 거름종이(Filter paper #2, cat No. 1002 110, whatman Co., 영국)를 덮고 가볍게 누른 후 거름종이를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거름종이에 묻어나온 마스카라의 질량을 전자저울(Model Mettle PM-4000, Mettle Co., 스위스)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g이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초기 질량 0.86 0.86
묻어나온 질량 1.02 0.93
0.16 0.07
표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키툴로오즈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기존의 마스카라인 비교예보다 거름종이에 묻어나오는 마스카라의 질량이 더 적었다. 상기 결과는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를 바르자마자 눈을 깜박여도 키툴로오즈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기존의 마스카라보다 묻어나오는 정도가 더 적다는 것을 증명한다.
시험예 4: 도포력 측정 결과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인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실시예 마스카라와 기존의 마스카라인 키툴로오즈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마스카라의 도포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조 속눈썹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마스카라를 각각 10회씩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영상분석기(Image Analyzer, Model CP15U, Mitsubishi Co., 일본)를 이용하여 인조 속눈썹에 도포 된 마스카라 두께를 촬영한 후 도포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도포력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mm이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두 께 0.35 0.47
표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인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실시예가 기존의 마스카라인 키툴로오즈를 함유하지 아니하는 비교예보다 도포 두께가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기존의 마스카라보다 도포력이 현저히 높아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시험예 5: 마스카라 건조 후 번짐 측정 결과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속눈썹에 도포되어 건조된 후에 도포된 마스카라에 물이 닿았을 때 번지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두 개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50℃ 항온조에서 1시간 동안 충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샘플을 각각 순수 200 mL가 정확히 담겨 있는 300 mL 비이커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교반기(Heidon mixer, Model BL 1200, 新東科學 Co., 일본)를 사용하여 200 rpm으로 1시간 교반시킨 다음 침출수를 거름종이(Filter paper #2, cat No. 1002 110, whatman Co., 영국)로 거르고 자외ㆍ가시 흡광광도계(model CARY 1E, Varian Co., 미국)를 이용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컬러의 침출 정도를 알아보아 건조된 마스카라에 물이 닿았을 때 번짐의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파장구분 400 nm 500 nm 600 nm 700 nm
비교예 96.54 97.38 98.69 97.88
실시예 99.13 99.53 99.73 99.72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투과도가 가시광선 영역에서 기존 마스카라인 비교예보다 더 높게 측정되어 번짐 현상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가 건조 후에 다시 물이 닿아도 기존의 마스카라에 비해 컬러가 침출되어 나오는 번짐 현상이 현저히 낮아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시험예 6: 마스카라 건조 후 묻어남 측정 결과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속눈썹에 도포되어 건조된 후에 도포된 마스카라에 물이 닿았을 때 눈을 깜박이면 눈 아래쪽에 마스카라가 묻어나오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두 개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50℃ 항온조에서 한 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샘플을 동시에 순수에 30초간 완전히 담갔다 꺼낸 후 평평한 유리판 위에 모두 나란히 놓고 즉시 거름종이를 덮어 가볍게 누른 후 거름종이를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g이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초기 질량 0.86 0.86
묻어나온 질량 0.92 0.88
0.06 0.02
표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키툴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포 되어 건조된 후에 물이 닿았을 때 묻어나오는 정도가 기존의 마스카라보다 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건조된 후에 도포 된 마스카라에 물이 닿았을 때 눈을 깜박이면 눈 아래쪽에 마스카라가 묻어나오는 정도가 기존의 마스카라보다 더 적다는 것을 증명한다.

Claims (2)

  1.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키틴과 셀룰로오즈가 컨쥬게이트 된 수용성 수지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0.00 중량%가 되도록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KR1020080005132A 2008-01-17 2008-01-17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32A KR20090079276A (ko) 2008-01-17 2008-01-17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32A KR20090079276A (ko) 2008-01-17 2008-01-17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76A true KR20090079276A (ko) 2009-07-22

Family

ID=4129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32A KR20090079276A (ko) 2008-01-17 2008-01-17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6666B2 (ja) 弾性混合物を使用した美容ケア組成物及び方法
CN102370605A (zh) 一种润泽保湿乳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940899A (zh) 一种防水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
AU2006240287B2 (en) Silicone elastomer exfoliating compositions
JP5769910B2 (ja) 化粧料
JP4664049B2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CN113645949A (zh) 富含直链淀粉的淀粉作为具有屏障和固定作用的成膜剂在化妆品中的用途
WO2016062484A1 (de) Temporäre farbveränderung von haaren mit pigmenten, alkoholen und kationische cellulosen
JP2013515721A (ja)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エステル末端ポリエステルアミド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FR2561915A1 (fr) Produit hydratant
TWI806859B (zh) 水分散型的液態眼部化妝品組成物
KR101596021B1 (ko) 필링 화장 재료 및 그의 사용 방법
CN102860949B (zh) 眼部抗皱护肤品及其制备方法
JP6437961B2 (ja) 爪用水性化粧料
EP1790324A1 (de) Transparente oder transluzente Gele
TW201713305A (zh) 具有改善的抗脫妝效果的油包水型化妝品組成物
KR20090079276A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334A (ko) 두께감 있는 속눈썹 미화 조성물
KR20090079340A (ko) 상향성 있는 속눈썹 미화 조성물
EP3777823A1 (en) Pigment dispersion liquid for cosmetic compositions, and aqueous liquid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CN113876603A (zh) 用于替代环五聚二甲基硅氧烷的复配物及其应用
TWI526225B (zh) 皮膚外用劑
KR20090079345A (ko) 연장성 있는 속눈썹 미화 조성물
KR102365516B1 (ko)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