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516B1 -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 Google Patents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516B1
KR102365516B1 KR1020190168740A KR20190168740A KR102365516B1 KR 102365516 B1 KR102365516 B1 KR 102365516B1 KR 1020190168740 A KR1020190168740 A KR 1020190168740A KR 20190168740 A KR20190168740 A KR 20190168740A KR 102365516 B1 KR102365516 B1 KR 10236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yelash cosmetic
styrene
composition accor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277A (ko
Inventor
김태완
채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516B1/ko
Priority to CN202011030395.1A priority patent/CN112972297A/zh
Priority to JP2020209173A priority patent/JP2021095403A/ja
Publication of KR2021007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277A/ko
Priority to KR1020220019518A priority patent/KR102486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속눈썹에 도포되어 건조된 후에 투명함을 유지하면서 속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A mascara with transparent film which improves eyelash sagging}
본 발명은 속눈썹 처짐이 개선된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된다. 속눈썹에 도포하는 마스카라는 이의 화장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마스카라의 지속성은 색소의 번짐이 없어야 하고, 가루 떨어짐이 없어야 하며, 컬처짐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등의 속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안된 마스카라 제형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투명 탑코트가 있다. 탑코트는 이미 마스카라가 도포된 속눈썹 위에 덧발라서 더욱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속눈썹 위에 도포하여 컬링 효과를 얻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투명 탑코트의 경우 주로 수상 필름포머를 적용한 수분산 제형의 제품이 주가 된다. 이러한 수분산 탑코트는 건조 후 투명하게 피막을 형성하여 시각적인 측면에서 화장을 잘 유지시켜주지만, 속눈썹에 도포 후 쉽게 컬처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눈물이나 땀에 의해서 쉽게 지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속눈썹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무수 또는 유중수형(W/O) 마스카라를 바르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제형의 마스카라는 워터프루프 마스카라, 픽서 또는 탑코트로 제품화되고 있는데, 무수 또는 W/O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게 되면 속눈썹에 수분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컬이 처지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제형에 사용되는 왁스와 피막제 등이 마를 때 균일하지 못한 표면에 의해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거나 고상이 남아 하얗게 떠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색소 없이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힘들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수 또는 W/O 제형의 마스카라에 색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데 색소로 인한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른바 '쌩얼 화장'이라 불리는 한 듯 안 한 듯한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효과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이 해결되어 속눈썹에 도포하여 건조된 후에도 투명함을 유지하면서도 컬처짐이 없는 마스카라 제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속눈썹에 도포하여 건조된 후에 투명함을 유지하면서 속눈썹의 컬처짐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스티렌 계열의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피막형성제 및 휘발성 오일을 조합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 마스카라 조성물이 건조된 뒤에도 투명할 뿐만 아니라 속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 및 자연스런 화장 효과가 우수하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컬처짐'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정된 속눈썹이 점차적으로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조성물의 도포 직후 대비 속눈썹의 각도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피막형성제 및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막형성제는 속눈썹 또는 피부상에 필름막을 형성시키며,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필름막이 비가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피막형성제 및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의 조합은 투명하고 균일한 화장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오일을 베이스로 하는 유분산(또는 무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오일, 바람직하게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를 효과적으로 유분산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휘발성 오일이 빠르게 건조되어 마스카라, 립글로스, 메이크업 픽서 또는 탑코트 등의 제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었을 때 고유의 항복값(yield value)을 갖는다. 항복값이 높은 점증제는 제형 제조 후 발생되는 미세 기포를 제거하기 어렵다. 제형 내에 미세 기포가 존재할 경우, 속눈썹 위에 형성된 피막의 표면이 불균일하고 매끄럽지 않게 건조되어 빛의 난반사를 유발시켜 제형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항복값이 낮기 때문에 기포가 쉽게 제거되어 제형의 투명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로 사용되는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0364258-pat00001
상기 R은 이소프렌의 첨가 중합으로 생성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Figure 112019130364258-pat00002
,
Figure 112019130364258-pat00003
또는
Figure 112019130364258-pat00004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중 스티렌 블록의 질량 비율은 0.1 내지 5, 바람직하게 0.2 내지 4, 더욱 바람직하게 0.3 내지 4, 가장 바람직하게 0.35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형성된 피막의 투명도 및 균일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상기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는 시판중인 KratonTM G1701 폴리머(제조사: Shell)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 3 내지 1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가 1 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낮아 사용시 흘러내려 속눈썹 화장(마스카라)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며, 20 중량% 초과하면 제형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가역적인 필름막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균일한 화장막 형성 및 상 안정화를 위해,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외의 추가적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점증제가 포함되는 경우, 제형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항복값이 낮은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가 점증제의 총 중량 대비 6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8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 90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 점증제는 아카시아검, 산탄검, 카라기난,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셀룰로오즈유도체,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피브이피/에이코신 공중합체, 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폴리쿼터늄-4)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막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투명하고 균일한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피막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3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피막형성제가 1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피막형성 능력이 부족하고, 30 중량% 초과이면 제형의 투명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당업계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휘발성 오일이라면 제한하지 않고 포함될 수 있으며,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등의 액상 오일, 고형 오일, 반고형 오일 중에서도 휘발성 오일에 속하면, 본 발명의 휘발성 오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소 및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오일로 파라핀 또는 이소파라핀과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휘발성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수가 8~20인 분지 형태의 알칸,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알칸은 탄소수 8~20의 이소 알칸으로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이소도데칸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6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휘발성 오일을 상기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유분산시키고, 사용시 휘발성 오일이 빠르게 건조되어 마스카라, 립글로스, 메이크업 픽서 또는 탑코트 등의 제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를 1:0.1 내지 5, 바람직하게 1:0.5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5의 중량비(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피막형성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두 성분을 상기와 같은 특정한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투명하고 균일한 피막 형성 및 속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색소 및 광물계 증점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형의 균일성 및 투명도가 우수하고, 속눈썹 상에 형성된 피막에 자연스런 화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왁스, 색소 및 광물계 점증제(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등은 입자의 고유한 성질 때문에, 조성물이 도포된 후 불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고, 이로 인한 빛의 난반사에 의해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색소 및 광물계 증점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 2 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색소는 속눈썹상에 형성된 피막의 표면을 불균일성을 유발하는 피그먼트 계열의 색소를 의미한다. 염료계 색소의 경우에도 자연스러운 화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속눈썹상에 형성된 피막의 표면을 불균일하게 하지 않는다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적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염료계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 2 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속눈썹 또는 피부에 도포 및 건조된 후 투명한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형성된 필름막에 의해 시간에 따른 속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시킨 후 형성된 필름에 대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L값의 차이(ΔL)가 2.5 이하, 바람직하게 0.1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ΔL값은 샘플 측정값(L)-흑색지 측정값(L0)이며, 예를 들어 Konica Minolta Chroma Meter CR-300의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카라, 립글로스, 메이크업 픽서, 및 탑코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하고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여 화장 고정력 또는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마스카라 또는 탑코트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학적 제형을 제조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유화제, 보습제, 방부제, pH 조정제, 침투 보조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 외관향상제, 향료, 금속이온봉쇄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속눈썹에 도포되어 건조된 후에 투명함을 유지하면서 속눈썹의 컬처짐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 건조 실험을 수행하여 각각의 투명도 및 균일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색차계 측정 실험을 수행한 후, ΔL를 3회 측정 후 평균 값으로 계산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3의 인비트로 컬처짐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1의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4의 인비보 컬처짐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1에서 측정된 눈썹의 각도이며, 도 5는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 또는 표 2에 개시된 조성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는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 내지 10은 비수계 마스카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점증제들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1은 일반적인 수분산 투명 탑코트 제형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Kraton G1701 10 10 - - - - -
Bentone 38VCG - - 10 - - - -
Rheopearl TT2 - - - 10 - - -
Rheopearl KL2 - - - - 10 - -
Oleocraft LP-10 - - - - - 10 -
Oleocraft LP-20 - - - - - - 10
TSPL-30-ID 20 - 20 20 20 20 20
KP-550 - 20 - - - - -
Isododecane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정제수 - - - - - - -
에탄올 - - - - - - -
PVA - - - - - - -
VP/VA Copolymer - - - - - - -
카보머 - - - - - - -
Triethanolamine - - - - - - -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Kraton G1701 - - - - - -
Bentone 38VCG 10 - - - - -
Rheopearl TT2 - 10 - - - -
Rheopearl KL2 - - 10 - - -
Oleocraft LP-10 - - - 10 - -
Oleocraft LP-20 - - - - 10 -
TSPL-30-ID - - - - - -
KP-550 20 20 20 20 20 -
Isododecane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정제수 - - - - - to 100
에탄올 - - - - - 5
PVA - - - - - 5
VP/VA Copolymer - - - - - 5
카보머 - - - - - 정량
Triethanolamine - - - - - 정량
Kraton G1701: (제조사: Shell, 미국)Bentone 38 VCG: DISTEARDIMONIUM HECTORITE (제조사: ELEMENTIS SPECIALTIES, 영국)
Rheopearl TT2: 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제조사: CHIBA FLOUR, 일본)
Rheopearl KL2: DEXTRIN PALMITATE (제조사: CHIBA FLOUR, 일본)
Oleocraft LP-10: ETHYLENEDIAMINE/STEARYL DIMER DILINOLEATE COPOLYMER (제조사: ARIZONACHEMICAL, 미국)
Oleocraft LP-20: POLYAMIDE-8 (제조사: ARIZONA CHEMICAL, 미국)
TSPL-30-ID: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 (제조사: SHIN ETSU, 일본)
KP-550: ACRYLATES/DIMETHICONE COPOLYMER (제조사: SHIN ETSU, 일본)
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0의 제조 방법
① 이소도데칸에 점증제와 필름형성제를 넣고 80도로 가온
② 점증제가 모두 녹으면 디스퍼믹서로 10분간 분산
③ 28도로 냉각 및 탈포
2. 비교예 11의 제조 방법
① 정제수에 PVA를 넣고 70도로 가온
② 10분간 디스퍼믹서로 분산 및 50도로 냉각
③ 카보머를 천천히 넣고 10분간 분산시킨 후, TEA, 에탄올 및 VP/VA 코폴리머를 넣고 5분간 분산
④ 28도로 냉각 및 탈포
실험예 1: 필름 건조 실험
하기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 건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① 유리판에 50㎛의 두께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내지 10을 각각 일정한 크기로 도포하고 2시간 동안 건조
② 흑색지 위에 각각의 유리판을 두고 사진 촬영
③ 육안으로 생성된 필름의 투명도와 균일도를 확인
상기 필름 건조 실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2는 투명하고 균일한 필름이 형성된 반면, 비교예 1 내지 10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거나 불균일한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색차계 측정 실험
하기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색차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① 색차계(Konica Minolta Chroma Meter CR-300)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 흑색지의 L값을 측정 (흑색지: LENETA Form 2A Opacity Chart)
② 유리판에 50㎛의 두께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10을 각각 일정한 크기로 도포, 및 2시간 동안 건조된 샘플을 흑색지 위에 두고 색차계로 L값을 측정
③ 대조군인 흑색지의 L값과 샘플들의 L값을 비교하여 ΔL 계산 *ΔL=(L-L0) (L=샘플 측정값, L0=흑색지 측정값)
ΔL 값이 작을수록 투명한 필름이 생성된 것을 확인
상기 색차계를 사용하여 ΔL를 3회 측정 후 평균 값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에서 사용한 LENETA Form 2A Opacity Chart의 L0=44.06 (3회 측정 후 평균).
ΔL*
실시예 1 1.05
실시예 2 1.42
비교예 1 25.50
비교예 2 9.33
비교예 3 9.94
비교예 4 10.28
비교예 5 9.31
비교예 6 9.30
비교예 7 20.37
비교예 8 3.75
비교예 9 3.02
비교예10 19.63
투명한 필름의 ΔL은 0≤ΔL<2.5이며 이 범위의 필름의 경우 육안으로 투명하다고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2.5≤ΔL<6.0의 경우 육안으로 반투명하다고 판단이 가능하다. 6≤ΔL 일 경우, 육안으로 불투명하다고 판단이 가능하다. 실시예 1, 2의 경우 육안으로 투명하며, ΔL은 2.5 이하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3: 인비트로(in vitro) 컬처짐 실험
하기와 같은 실험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비트로 컬처짐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① 고정된 인조 속눈썹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1을 브러쉬로 각각 도포
② 도포 직후, 1시간 후, 4시간 후의 사진을 찍은 뒤, 컬 바닥면에서 털 끝까지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 (기온 24도, 습도 60%)
상기 실험을 통해 측정된 측정각을 표 4에 나타내었으며,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을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인 투명 탑코트 제형인 비교예 11에 비해, 실시예 1을 사용할 경우 컬처짐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측정각* (˚)
도포 직후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34.4 34.4 34.4
비교예 11 33.4 29.2 29.0
* 컬 바닥면에서 털 끝까지의 각도 측정 (참고문헌: 일본등록특허 6293345B1)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 (˚)
도포 직후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0 0 0
비교예 11 0 -4.2 -4.4
실험예 4: 인비보(in vivo) 컬처짐 실험
① 피실험자의 양쪽 눈을 뷰러로 올린 후 도포 전 사진 촬영
② 한 쪽 눈에는 실시예 1을 도포하고 다른 쪽 눈에는 비교예 11을 도포
③ 도포 직후, 10분 후, 1시간 후, 4시간 후의 사진을 촬영 (실험조건: 기온 24도, 습도 60%)
④ 촬영된 사진에서 Curl-up 각도* 측정 (*참고문헌: J.I. Na et al.,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6, 155, pp1170-1176)
상기 실험을 통해 측정된 측정각을 표 6 및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을 표 7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인 투명 탑코트 제형인 비교예 11에 비해, 실시예 1을 사용할 경우 컬처짐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측정각* (˚)
도포 전 도포 직후 10분 후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79.2 78.7 77.6 74.9 73.7
비교예 11 71.9 54.4 49.8 46.5 46.4
*Curl-Up angle 측정 (참고문헌: J.I. Na et al.,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6, 155, pp1170-1176)
초기 대비 각도 감소량 (˚)
도포 전 도포 직후 10분 후 1시간 후 4시간 후
실시예 1 0 -0.5 -1.6 -4.3 -5.5
비교예 11 0 -17.5 -22.1 -25.4 -25.5

Claims (14)

  1.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 피막형성제 및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며,
    광물계 증점제를 포함하지 않는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산 제형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77484940-pat00005

    상기 R는
    Figure 112021077484940-pat00006
    ,
    Figure 112021077484940-pat00007
    또는
    Figure 112021077484940-pat00008
    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중 스티렌 블록의 질량 비율은 0.1 내지 5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탄화수소 주쇄 고분자 점증제는 점증제의 총 중량 대비 60 중량% 이상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내지 95 중량%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색소 또는 이들 모두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및 건조된 후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는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시킨 후 형성된 필름에 대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L값의 차이(ΔL)가 2.5 이하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카라 또는 탑코트인 속눈썹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68740A 2019-12-17 2019-12-17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KR10236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40A KR102365516B1 (ko) 2019-12-17 2019-12-17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CN202011030395.1A CN112972297A (zh) 2019-12-17 2020-09-27 对卷翘的下垂进行改善的透明睫毛膏
JP2020209173A JP2021095403A (ja) 2019-12-17 2020-12-17 カール垂れを改善した透明マスカラ
KR1020220019518A KR102486503B1 (ko) 2019-12-17 2022-02-15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40A KR102365516B1 (ko) 2019-12-17 2019-12-17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518A Division KR102486503B1 (ko) 2019-12-17 2022-02-15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77A KR20210077277A (ko) 2021-06-25
KR102365516B1 true KR102365516B1 (ko) 2022-02-18

Family

ID=763446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40A KR102365516B1 (ko) 2019-12-17 2019-12-17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KR1020220019518A KR102486503B1 (ko) 2019-12-17 2022-02-15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518A KR102486503B1 (ko) 2019-12-17 2022-02-15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095403A (ko)
KR (2) KR102365516B1 (ko)
CN (1) CN1129722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0351B (zh) * 2023-04-28 2023-11-03 珠海市嘉琪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防水且卸妆方便的睫毛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820A (ja) * 2006-12-08 2008-06-26 Kao Corp 乳化化粧料
KR101168622B1 (ko) 2008-02-26 2012-08-03 로레알 특수한 실리콘 공중합체, 휘발성 용매 및 특수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KR101227822B1 (ko) 2006-03-17 2013-01-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3306B2 (en) * 1999-02-26 2002-07-23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di-block, tri-block, multi-block and radial block copolymers
EP1733711A4 (en) * 2004-03-19 2012-09-26 Kao Corp COSMETIC PREPARATION FOR CIL
JP2005263702A (ja) * 2004-03-19 2005-09-29 Kao Corp ケラチン繊維付着用化粧料
US8586016B2 (en) * 2006-03-13 2013-11-19 L'oreal Hydrocarbon complex mascara
US8388940B2 (en) * 2006-03-13 2013-03-05 L'oreal Mascara compositions
FR2946873A1 (fr) * 2009-06-18 2010-12-24 Oreal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supramoleculaire a base de polyalcene et un polymere sequence et un solvant volatil.
EP2353582A1 (fr) * 2009-12-18 2011-08-10 L'Oréal Composition de maquillage des cils et des sourcils
US20140286887A1 (en) * 2013-03-22 2014-09-25 L'oreal Stable, long 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film forming polymers and a microcrystalline wax
KR101975850B1 (ko) * 2016-10-27 2019-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22B1 (ko) 2006-03-17 2013-01-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08143820A (ja) * 2006-12-08 2008-06-26 Kao Corp 乳化化粧料
KR101168622B1 (ko) 2008-02-26 2012-08-03 로레알 특수한 실리콘 공중합체, 휘발성 용매 및 특수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777A (ko) 2022-03-03
JP2021095403A (ja) 2021-06-24
CN112972297A (zh) 2021-06-18
KR20210077277A (ko) 2021-06-25
KR102486503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040B2 (ja) 油性化粧料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EP1867664B1 (en) Cosmetic for eyelash
JP3405588B2 (ja) 水中油型まつ毛用化粧料
KR102486503B1 (ko)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WO2012133293A1 (ja) 睫用化粧料
KR20200001029A (ko)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07071B2 (ja) 睫用化粧料
KR1009640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525845B2 (ko)
CN115154366A (zh) 具有悬浮油珠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441528B1 (ja) 化粧下地用組成物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KR100307803B1 (ko) 전처리 활성탄을 함유하는 수분산 제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99182B1 (ko)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62763B1 (ko) 립스틱 조성물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439758B1 (ko) 제주 조릿대 숯 파우더를 함유하는 아이라이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721B1 (ko) 섬유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8645A (ko) 지속성이 우수한 수중유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3322A (ko) 실리콘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437A (ko)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속눈썹 화장용 조성물
KR20220015644A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