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129A -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 Google Patents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129A
KR20090079129A KR1020080005109A KR20080005109A KR20090079129A KR 20090079129 A KR20090079129 A KR 20090079129A KR 1020080005109 A KR1020080005109 A KR 1020080005109A KR 20080005109 A KR20080005109 A KR 20080005109A KR 20090079129 A KR20090079129 A KR 20090079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insole
shoe
so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343B1 (ko
Inventor
정만호
Original Assignee
정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호 filed Critical 정만호
Priority to KR102008000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3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43B21/433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rotatably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회동몸체가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회동되며 인솔안착대의 후방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키높이 기능 및 키높이 기능의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신발의 내부에서 인솔이 안착되는 강성부재로, 선단은 신발 밑창의 소정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기 밑창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인솔안착대와; 상기 인솔안착대와 상기 밑창 사이에서 상기 인솔안착대에 맞닿는 지지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몸체와; 신발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회동몸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된 경우 상기 회동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높이, 신발, 인솔

Description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SHOES FOR CONTROLLING THE HEIGHT HAVING MULT-FUCTION}
본 발명은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회동몸체가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회동되며 인솔안착대의 후방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키높이 기능 및 키높이 기능의 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자가 외출시에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신발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것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일예로 키높이 신발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키를 커보이도록 하기 위해 신발의 밑창을 높인 것과 신발의 내부에 착용하는 인솔의 두께를 높인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키높이 신발은 신발을 신고 있는 동안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으나, 벗어놓은 경우에는 신발 밑창이나 인솔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사람이 키높이 신발임을 쉽게 눈치챌 수 있어 이를 감추고 싶은 키높이 신발의 사용자로서 신발을 벗는 장소에서의 모임을 꺼려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공고실용신안 제20-0186694호에는 기계식 키높이 조절신발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공지기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74')를 통하여 키높이 신발의 높낮이를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신속하게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공지기술은 소정 높이를 갖는 신발 뒷굽(18')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프터(52')로 인해 키높이 조절을 함으로써 키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물이 상하방향으로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 적용가능한 신발은 신발에 소정 높이의 뒷굽이 있는 신발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물의 구조상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52', 54')가 존재하게 되어 차지하는 길이에 비해 키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키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물을 신발상에서 해체하기 힘들어 세탁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레버를 통하여 신속하게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고 키높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키높이 신발임을 밝히기 꺼려하는 착화자의 자존심을 지켜줄 수 있고, 장시간 높은 뒷굽에 노출되어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으며, 바지의 길이 등에 따라 키높이를 달리하여 착화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회동되는 회동몸체를 통하여 키높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키높이 기능 전에는 회동몸체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운동화 등 뒷굽이 없는 신발에도 키높이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고, 키높이 기능 수행시에는 회동몸체의 회전반경에 상응하는 만큼 키높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키높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회동몸체를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로 구성하고, 원통몸체를 고정하는 돌출블럭을 상하방향의 탄성을 갖도록 구비하며, 인솔안착대의 선단에 탄력밴드를 구비하여 보행자가 앞으로 발을 내딛으며 인솔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인솔안착대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 및 돌출블럭을 하방으로 누르며 후방으로 밀렸다가, 발로 지면을 박차며 인솔의 후단부에 가압력을 해제하는 경우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 및 돌출블럭에 의해 인솔안착대가 상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탄력밴드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발뒷꿈치를 전방으로 밀게 함으로써 보행에 탄력을 부가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솔안착대와, 회전축 및 원통몸체고정축과, 원통몸체와, 레버를 각각 신발에서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한편, 원통몸체의 교체가 용이한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밑창으로부터 소정간격의 틈을 갖고 가장자리가 신발의 갑피 내부에 고정된 고정인솔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인솔이 에어쿠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착화자가 보행하며 상기 고정인솔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틈을 통하여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순환되며 발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 갑피의 신발폭조절홈에 폭조절밴드를 구비하여 키높이 기능 수행시와 키높이 기능 해제시에 발생될 수 있는 발등의 압력 및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신발의 내부에서 인솔이 안착되는 강성부재로, 선단은 신발 밑창의 소정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기 밑창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인솔안착대와; 상기 인솔안착대와 상기 밑창 사이에서 상기 인솔안착대에 맞닿는 지지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몸체와; 신발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회동몸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된 경우 상기 회동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회동몸체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된 원통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신발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몸체를 회동시키고, 상기 몸체고정부는, 상기 원통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원통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몸체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의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원통몸체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상기 돌출블럭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으며, 상기 인솔안착대는 선단이 상기 밑창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인솔안착대의 선단은 상기 고정인솔의 하부에 위치한 밑창에 탄력밴드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인솔안착대 는, 그 선단이 상기 고정인솔의 하부에 위치한 밑창에 벨크로파스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원통몸체는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서 이어지는 원통몸체고정축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해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회동몸체는 소정길이를 갖는 블럭형상의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서 신발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블럭몸체의 일단 양측면이 상기 밑창의 후방부에 신발의 폭방향으로 힌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블럭몸체가 상기 밑창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의 타단이 상기 인솔안착대와 면접촉이 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핀에 연결되어 상기 블럭몸체를 회동시키고, 상기 몸체고정부는 상기 블럭몸체가 상기 밑창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의 후면을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후면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의 위치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회동몸체의 지지부에는 신발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인솔안착대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의 회동 및 상기 인솔안착대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궤적에 대응하여 절개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인솔안착대의 전방에서 상기 밑창의 상부에는 상기 밑창으로부터 소정간격의 틈을 갖고 가장자리가 신발의 갑피 내부에 고정된 고정인솔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신발의 갑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패인 신발폭조절홈을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폭조절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레버를 통하여 신속하게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고 키높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키높이 신발임을 밝히기 꺼려하는 착화자의 자존심을 지켜줄 수 있고, 장시간 높은 뒷굽에 노출되어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으며, 바지의 길이 등에 따라 키높이를 달리하여 착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회동되는 회동몸체를 통하여 키높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키높이 기능 전에는 회동몸체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운동화 등 뒷굽이 없는 신발에도 키높이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고, 키높이 기능 수행시에는 회동몸체의 회전반경에 상응하는 만큼 키높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키높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상기 회동몸체를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로 구성하고, 원통몸체를 고정하는 돌출블럭을 상하방향의 탄성을 갖도록 구비하며, 인솔안착대의 선단에 탄력밴드를 구비하여 보행자가 앞으로 발을 내딛으며 인솔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인솔안착대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 및 돌출블럭을 하방으로 누르며 후방으로 밀렸다가, 발로 지면을 박차며 인솔의 후단부에 가압력을 해제하는 경우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 및 돌출블럭에 의해 인솔안착대가 상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탄력밴드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발뒷꿈치를 전방으로 밀게 함으로써 보행에 탄력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인솔안착대와, 회전축 및 원통몸체고정축과, 원통몸체와, 레버를 각각 신발에서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한편, 원통몸체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밑창으로부터 소정간격의 틈을 갖고 가장자리가 신발의 갑피 내부에 고정된 고정인솔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인솔이 에어쿠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착화자가 보행하며 상기 고정인솔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틈을 통하여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순환되며 발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신발 갑피의 신발폭조절홈에 폭조절밴드를 구비하여 키높이 기능 수행시와 키높이 기능 해제시에 발생될 수 있는 발등의 압력 및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1)은, 인솔안착대(10)와, 회동몸체(20)와, 레버(30)와, 몸체고정부(40)와, 가이드부(50)와, 고정인솔(60)과, 폭조절밴드(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발(1)은 일반적으로 밑창(A)과, 상기 밑창(A)의 상부에서 착화자의 발이 안착되는 인솔(B)과, 상기 밑창(A)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내부에 착화자의 발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갑피(C)로 구성된다.
상기 인솔안착대(10)는 신발(1)의 내부에서 인솔(B)이 안착되는 강성부재로, 선단은 상기 밑창(A)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턱(A1)에 걸려 전방으로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기 밑창(A)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인솔안착대(10)는 키높이 기능의 수행시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 만을 회동몸체(20)가 들어올리게 되는데,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꺽이거나 부러지기 쉬운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중간부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키높이 기능 수행시에도 착화자의 발을 충분히 받혀줄 수 있도록 강성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선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키높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선단에는 탄력밴드(11a)가 부착되고, 상기 탄력밴드(11a)는 벨크로파스너(12a)에 의해 고정인솔(60)의 하부에 위치한 밑창(A)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는, 착화자의 보행시 보행에 탄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인데 후술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21a) 및 돌출블럭(40a)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작용효과가 나타나므로 그에 대한 설명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벨크로파스너(12a)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를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발(1)의 세탁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회동몸체(20)는 상기 인솔안착대(10)와 상기 밑창(A) 사이에서 상기 인솔안착대(10)에 맞닿는 지지부(21)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회전축(22)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22)의 일단에서 이어지는 원통몸체고정축(25a)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해체 가능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21a)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은 신발(1)의 외부로 돌출되어 레버(3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에 의해 상기 회전축(22)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회전축(22)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22)의 일단에 연결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원통몸체(21a)는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렸다가 최고점에 이른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2)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가 다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원통몸체고정축(25a)은 상기 원통몸체(21a)가 헛돌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의 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22)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22)이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22)과 레버(30) 사이의 신발(1)의 내부에는 회전축지지부재(26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회동몸체(20)의 구성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전에는 상기 회동몸체(20)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운동화 등 뒷굽이 없는 신발(1)에도 키높이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수행시에는 상기 회동몸체(20)의 회전반경에 상응하는 만큼 키높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키높이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통몸체(21a)는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됨으로써 후술할 돌출블럭(40a)과 함께 착화자의 발뒤꿈치가 받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몸체(20)의 지지부(21)인 원통몸체(21a)에는 신발(1)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24)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후술할 가이드부(50)에 의해 상기 원통몸체(21a)의 회동 및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몸체고정축(25a) 또한 상기 가이드핀(24)의 역할을 아울러 수행하게 된다.
도 3의 부분사시도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몸체(21a)와, 상기 회전축(22) 및 원통몸체고정축(25a)과, 상기 가이드핀(24)과, 상기 레버(30)가 모두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해체가 가능함으로써 신발의 세탁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30)는 신발(1)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원통몸체(21a)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레버(30)를 통하여 상기 원통몸체(21a)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고 키높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키높이 신발임을 밝히기 꺼려하는 착화자의 자존심을 지켜줄 수 있고, 장시간 높은 뒷굽에 노출되어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30)는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레버(30)가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에서 헛돌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30)와 신발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22) 간에는 신발(1)의 내부로 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몸체고정부(40)는 상기 회동몸체(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가 상기 밑창(A)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된 경우 상기 회동몸체(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을 탄성을 갖는 돌출블럭(4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블럭(40a)은 상기 원통몸체(21a)가 상기 회전축(22)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원통몸체(21a)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몸체(21a)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A)의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돌출블럭(40a)이 상기 원통몸체(21a)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원통몸체(21a)의 회동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인솔지지대(10)의 후단부, 상기 원통몸체(21a), 상기 돌출블럭(40a)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고정되어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블럭(40a)의 상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몸체(21a)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의 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블럭(40a)은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블럭(40a)을 상호 포개져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상부블럭(401a)과 하부블럭(402a)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블럭(401a)과 하부블럭(402a) 사이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403a)을 장착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였다.
전술한 상기 탄력밴드(11a)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상기 원통몸체(21a)와, 상하방향을 탄성을 갖는 상기 돌출블럭(40a)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착화자의 보행에 탄력을 부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즉, 보행자가 앞으로 발을 내딛으며 상기 인솔(B)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인솔안착대(10)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상기 원통몸체(21a) 및 상기 돌출블럭(40a)을 하방으로 누르며 후방으로 밀렸다가, 발로 지면을 박차며 상기 인솔(B)의 후단부에 가압력을 해제하는 경우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상기 원통몸체(21a) 및 상기 돌출블럭(40a)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가 상방으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탄력밴드(11a)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발뒷꿈치를 전방으로 밀게 함으로써 보행에 탄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원통몸체(21a)의 회동 및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핀(24)의 궤적에 대응하여 절개된 가이드홈(51)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50)의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가이드홈(51)을 형성하여 상기 원통몸체고정축(25a) 또한 상기 가이드핀(2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원통몸체(21a)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될 때 최고점에 이르기까 지는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최고점에 이른 후에는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는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나 마찰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핀(24) 및 상기 가이드부(50)에 형성된 가이드홈(51)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를 하부방향으로 끌어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수행시와 키높이 기능 수행 해제시 상기 가이드핀(24)이 위치되는 곳인 상기 가이드홈(51)의 양말단부에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상태유지홈(511)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양상태의 정확한 상태유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고정인솔(60)은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전방에서 상기 밑창(A)의 상부에 상기 밑창(A)으로부터 소정간격의 틈(61)을 갖고 가장자리가 신발(1)의 갑피(C)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밑창(A)과 상기 고정인솔(60) 사이에 소정의 틈(61)인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인솔(60)이 에어쿠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착화자가 보행하며 상기 고정인솔(60)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틈(61)을 통하여 공기가 신발(1)의 내부로 순환되며 발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폭조절밴드(70)는 탄성재질로 신발(1)의 갑피(C)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패인 신발폭조절홈(C1)을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 4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폭조절홈(C1)의 신축을 가 능하게 하여 키높이 기능 수행시와 키높이 기능 해제시에 발생될 수 있는 발등의 압력 및 유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솔안착대(10)와, 회동몸체(20)와, 레버(30)와, 몸체고정부(40)와, 가이드부(50)와, 고정인솔(60)과, 폭조절밴드(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솔안착대(10)는 신발(1)의 내부에서 인솔(B)이 안착되는 강성부재로, 선단은 상기 밑창(A)의 소정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기 밑창(A)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솔안착대(10)를 강성부재로 하고,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선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키높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몸체(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솔안착대(10)와 상기 밑창(A) 사이에서 상기 인솔안착대(10)에 맞닿는 지지부(21)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 대(10)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회동몸체(20)는 소정길이를 갖는 블럭형상의 블럭몸체(21b)와, 상기 블럭몸체(21b)의 측면에서 신발(1)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2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2)은 상기 블럭몸체(21b)의 일단 양측면이 상기 밑창(A)의 후방부에 신발(1)의 폭방향으로 힌지(22b)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밑창(A)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21b)의 타단이 상기 인솔안착대(10)와 면접촉이 되도록 경사면(211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블럭몸체(21b)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22)이 되고, 상기 블럭몸체(21b)의 타단은 상기 지지부(21)가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면(211b)은 블럭몸체(21b)의 타단에 형성되는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밑창(A)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즉,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인솔안착대(10)와 면접촉이 되도록 전방하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발뒷꿈치에서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블럭몸체(21b)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게 되고, 돌출턱(40b)에 의해 후방으로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 상기 블럭몸체(21b)는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고 직립상태를 유지한 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핀(23b)은 상기 블럭몸체(21b)의 측면에서 신발(1)의 외부로 돌출되어 레버(30)에 연결되게 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수행전 에는 가이드부(50)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블럭몸체(21b)의 측면에서 돌출되어야 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에 의해 상기 블럭몸체(21b)의 측면이 회동되면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밑창(A)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가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된다.
상기와 같은 회동몸체(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전에는 상기 회동몸체(20)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운동화 등 뒷굽이 없는 신발(1)에도 키높이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높이 기능 수행시에는 상기 회동몸체(20)의 회전반경에 상응하는 만큼 키높이를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키높이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회동몸체(20)의 지지부(21)인 상기 블럭몸체(21b)의 타단에는 신발(1)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24)이 구비되어 후술할 가이드부(50)에 의해 상기 블럭몸체(21b)의 회동 및 상기 인솔안착대(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받게 된다.
상기 레버(30)는 신발(1)의 외부에서 상기 연결핀(23b)에 연결되어 상기 블럭몸체(21b)를 회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전축(22)이 레버(30)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22)을 회전시킨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핀(23b)이 상기 레버(30)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연결되어야 상기 블럭몸체(21b)를 회동시킬 수 있다 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핀(23b)이 상기 회전축(22)인 블럭몸체(21b)의 타단과 편심되게 상기 블럭몸체(21b)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레버(30)에는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밑창(A)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즉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레버에서 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지는 돌기와 그에 대응되는 홈 및 스프링장치 등을 둠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30)와 신발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핀(23b) 간에는 신발(1)의 내부로 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신발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레버(30)를 통하여 상기 블럭몸체(21b)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고 키높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키높이 신발임을 밝히기 꺼려하는 착화자의 자존심을 지켜줄 수 있고, 장시간 높은 뒷굽에 노출되어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고정부(40)는 상기 회동몸체(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10)의 후단부가 상기 밑창(A)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된 경우 상기 회동몸체(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돌출턱(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턱(40b)은 상기 블럭몸체(21b)가 상기 밑창(A)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21b)의 후면을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블럭몸체(21b)의 후면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A)의 위치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50)와, 상기 고정인솔(60)과, 상기 폭조절밴드(7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의 측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높이 조절 신발의 측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신발
A 밑창
A1 걸림턱
B 인솔
C 갑피
C1 신발폭조절홈
10 인솔안착대
11a 탄력밴드
12a 벨크로파스너
20 회동몸체
21 지지부
21a 원통몸체
21b 블럭몸체
211b 경사면
22 회전축
22b 힌지부
23b 연결핀
24 가이드핀
25a 원통몸체고정축
26a 회전축지지부재
30 레버
40 몸체고정부
40a 돌출블럭
401a 상부블럭
402a 하부블럭
403a 스프링
40b 돌출턱
50 가이드부
51 가이드홈
511 상태유지홈
60 고정인솔
61 틈
70 폭조절밴드

Claims (8)

  1. 신발의 내부에서 인솔이 안착되는 강성부재로, 선단은 신발 밑창의 소정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기 밑창의 후방부까지 연장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인솔안착대와;
    상기 인솔안착대와 상기 밑창 사이에서 상기 인솔안착대에 맞닿는 지지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궤적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몸체와;
    신발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몸체를 회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회동몸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솔안착대의 후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된 경우 상기 회동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된 원통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신발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원통몸체를 회동시키고,
    상기 몸체고정부는, 상기 원통몸체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동 되는 경우 상기 원통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원통몸체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의 위치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상기 돌출블럭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으며,
    상기 인솔안착대는, 선단이 상기 밑창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인솔안착대의 선단은 상기 고정인솔의 하부에 위치한 밑창에 탄력밴드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안착대는, 그 선단이 상기 고정인솔의 하부에 위치한 밑창에 벨크로파스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원통몸체는,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서 이어지는 원통몸체고정축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및 해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는, 소정길이를 갖는 블럭형상의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측면에서 신발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블럭몸체의 일단 양측면이 상기 밑창의 후방부에 신발의 폭방향으로 힌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블럭몸체가 상기 밑창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의 타단이 상기 인솔안착대와 면접촉이 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핀에 연결되어 상기 블럭몸체를 회동시키고,
    상기 몸체고정부는, 상기 블럭몸체가 상기 밑창에서 직립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블럭몸체의 후면을 지지하여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후면에 대응되는 상기 밑창의 위치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몸체의 지지부에는 신발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인솔안착대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의 회동 및 상기 인솔안착대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궤적에 대응하여 절개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안착대의 전방에서 상기 밑창의 상부에는 상기 밑창으로부터 소정간격의 틈을 갖고 가장자리가 신발의 갑피 내부에 고정된 고정인솔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신발의 갑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패인 신발폭조절홈을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폭조절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KR1020080005109A 2008-01-16 2008-01-16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KR10095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09A KR100954343B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09A KR100954343B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29A true KR20090079129A (ko) 2009-07-21
KR100954343B1 KR100954343B1 (ko) 2010-04-21

Family

ID=4133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09A KR100954343B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3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50B1 (ko) * 2012-10-21 2013-03-06 문현광 키 높이 신발용 패드
CN104544727A (zh) * 2014-10-20 2015-04-29 邹继明 隐形增高鞋垫
CN105105409A (zh) * 2015-09-19 2015-12-02 温州碧戈之都鞋业有限公司 一种运动鞋
WO2017185439A1 (zh) * 2016-04-27 2017-11-02 江宗儒 可调整鞋跟高度的鞋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14Y1 (ko) * 1992-11-09 1996-03-20 우은하 뒤굽 높이 조절구를 내장한 신발
KR100442189B1 (ko) * 2001-03-26 2004-07-30 박점권 신발 뒷굽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94552B1 (ko) 2007-01-25 2008-01-17 박영춘 신발 높이조절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50B1 (ko) * 2012-10-21 2013-03-06 문현광 키 높이 신발용 패드
CN104544727A (zh) * 2014-10-20 2015-04-29 邹继明 隐形增高鞋垫
CN105105409A (zh) * 2015-09-19 2015-12-02 温州碧戈之都鞋业有限公司 一种运动鞋
CN105105409B (zh) * 2015-09-19 2016-11-09 陈卡丹 一种运动鞋
WO2017185439A1 (zh) * 2016-04-27 2017-11-02 江宗儒 可调整鞋跟高度的鞋子
CN107307507B (zh) * 2016-04-27 2020-10-13 江宗儒 可调整鞋跟高度的鞋子
US11197516B2 (en) 2016-04-27 2021-12-14 Tsung-Ju Chiang Shoes capable of adjusting heel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343B1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97267B1 (en)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EP3471570B1 (en) High heel shoe
JP2018515205A (ja) 靴中敷
WO2013088113A2 (en) Multiple use footwear
US20120324760A1 (en) Footwear with heel based arcuate panel-shaped impact absorbing resilient concealed tongue
KR100954343B1 (ko)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KR100882190B1 (ko) 마사이워킹 신발의 미드솔
KR102115972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신발
EP2906065B1 (en) Sole structure for biomechanical control
KR101375521B1 (ko) 구두 뒷굽의 착탈이 용이한 구두
KR20180099467A (ko) 양말
MX2011012922A (es) Zapato de bienestar y metodo.
KR102055057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NL1034807C1 (nl) Samenstel van een onderwerk voor schoeisel, zoals een schoen of een laars, en een instelorgaan.
JP2015047266A (ja)
KR101868089B1 (ko) 굽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출형 슈즈
US2601509A (en) Foot support
JPH03106303A (ja) 特にスキー靴用調節可能な土踏まず支持体
CN204682649U (zh) 自定心式登山鞋
KR101068228B1 (ko) 착탈 가능한 이동형 지압기구를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
KR101840945B1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CN201790088U (zh) 足弓调整鞋垫
CN214904175U (zh) 一种后跟翻转式凉鞋
KR200352368Y1 (ko) 실내용 슬리퍼 밑창의 구조
JP3135875U (ja) S字型婦人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