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964A - 보조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964A
KR20090078964A KR1020080004846A KR20080004846A KR20090078964A KR 20090078964 A KR20090078964 A KR 20090078964A KR 1020080004846 A KR1020080004846 A KR 1020080004846A KR 20080004846 A KR20080004846 A KR 20080004846A KR 20090078964 A KR20090078964 A KR 2009007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ving
processing apparatus
injection device
cloth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630B1 (ko
Inventor
한동주
최철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조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수용되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보조

Description

보조의류처리장치 {Supplemental cloth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되는 의류를 효과적으로 리프레쉬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세탁을 완료한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기 및 건조기를 묶어서 하나의 복합적인 의류처리장치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세탁기 및 건조기의 하부, 또는 세탁기 및 건조기 사이의 공간에 의류를 수용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탁기 및 건조기를 지면에서 소정간격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세탁기 및 건조기 사이의 공간에 보조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의류를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세탁 및 건조를 마친 의류는 세탁 및 건조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의 드럼과의 마찰 등에 의해 옷감에 구김이 발생하게 되며, 원래 의류의 형상 을 유지하지 못하고 이그러진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세탁 및 건조를 마친 의류를 직접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별도의 다림질 과정 등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의류에 냄새가 배여 있는 경우, 세탁을 하더라도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바로 의류를 착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를 거쳐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에 공기를 분사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에 공기를 골고루 분사함으로써, 의류를 효과적으로 리프레쉬할 뿐만 아니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분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분사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 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분사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만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이동프레임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장치,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공기를 분사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의류에 골고루 분사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할 뿐만 아니라, 의류에 배인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장치(80, 90)와, 의류처리장치(80, 9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의류처리장치(80, 9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를 하나 구비하는 경우,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능을 갖춘 건조겸용 세탁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80, 9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측 의류처리장치(80)는 세탁기, 타측 의류처리장치(90)는 건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처리장치(80, 9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기(80) 및 건조기(9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의류처리장치가 하나로만 구성된다면,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의 측면부에는 의류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개구부(도 2 참조, 13)가 형성되며, 개구부(13)는 도어(도 2 참조, 1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전면부에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8)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8)을 조작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는 프레임(20)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20)은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개구부(13)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14)를 개방하고, 프레임(20)을 개구부(13)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의류를 거치하고, 다시 프레임(20)을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20)은 개구부(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0)의 양측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개구부(13)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20)이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프레임(20)의 이동구조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공기를 분사하는 이동분사장치(30)를 구비한다.
이동분사장치(30)는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분사장치(30)가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의류에 공기를 분사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에서는 수용되는 의류에 골고루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소정 압력의 공기를 의류를 향해 분사하게 되므로, 의류의 부풀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이동분사장치(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분사장치(30)는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32), 이동프레임(32)에 구비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4) 및 분사노즐(34)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도 4 참조, 50)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32)은 도 3에서 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내부에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프레임(32)은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프레임(32)의 양측에는 기어(3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우징(12)에는 이동프레임(3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8)이 형성될 수 있다(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 기어(36) 및 일측 가이드 홈(38) 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하우징(12)에는 이동프레임(32)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구동부(40)는 가이드홈(38)의 일측에 고정되어 기어(36)와 치합하는 고정래크(42)와, 가이드홈(38)의 타측에 설치되어 기어(36)와 치합하며 회전하는 체인(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인(44)은 한 쌍의 회전축(45)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축(45)의 적어도 하나는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45)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44)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체인(44)의 회전에 따라 기어(36) 및 이동프레임(3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45)의 회전방향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회전축(45)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프레임(3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프레임(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은 하나의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프레임(32)의 적어도 일측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4)이 설치된다. 분사노즐(34)은 이동프레임(32)의 일측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도 4는 이동프레임(32)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공급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공급장치(50)는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시키는 공기압축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압축기(52)는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여 공기공급라인(58)을 통하여 분사노즐(34)로 공급한다. 공기압축기(52)로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압축기()에 인접한 이동프레임(3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관통홀(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공급라인(58)에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59)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밸브(59)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분사노즐(34)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14)를 개방하고 프레임(20)을 인출하여 의류를 거치한 다음, 프레임(20)을 다시 인입시키고 도어(14)를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컨트롤 패널(18)을 조작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컨트롤패널(18)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는 이동프레임(31) 및 공기공급장치(5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모터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 전시켜 이동프레임(32)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공기공급장치(50)의 압축기를 구동시켜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분사노즐(34)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이동프레임(32)이 상측 및 하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공기가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동프레임(32)이 하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만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이동프레임(32)이 상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공기를 분사하게 되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의류가 펄럭이게 되고, 이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2)에 의류의 일부가 걸려 말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동프레임(32)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시간 동안 공기를 분사하여 리프레쉬과정을 마치게 되면, 사용자는 다시 의류를 인출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프레임(32)이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2)에 의해 공기를 의류에 골고루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본 실시예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의류의 일측에만 뿌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32)이 설치되지 않은 의류의 반대편은 공기가 직접 공급되지 않아 부풀림 효과 등을 기대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의류의 양측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10)는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양측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2, 132)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이동프레임(32, 132)이 이동하는 구성, 공기공급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이동프레임(32, 132)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각 이동프레임(32, 132)은 동일하게 상승 및 하강을 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이동프레임(32,132)이 연동하여 움직이는 경우는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각 이동프레임(32, 132)이 동일하게 이동을 하게 되면, 각 이동프레임(32, 132)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의류의 소정부위의 앞뒤에서 동시에 분사된다. 따라서, 의류에 배인 냄새를 의류의 양측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이동프레임(32, 132)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의류의 소정부위의 양측에 동시에 분사되면, 의류의 양측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구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풀림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냄새 제거보다는 옷감의 부풀림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각 이동프레임(32, 132)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이동프레임(32, 32)이 독립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하게 되므로, 의류의 소정부위에 동시에 양측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양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 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2, 132)에 의해서 의류의 양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의 양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서 의류의 부풀림효과를 최대로 하여 리프레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2, 132)이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양측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하우징(12)의 양측에 각각 이동프레임(32, 132)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해지고 보조의류처리장치(110)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이동프레임이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분사장치(230)가 이동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프레임(232) 위주로 도시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238)이 하우징(12)의 내측에서 ∩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래크 및 체인이 가이드홈(238)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동프레임(232)이 ∩자형의 가이드홈(238)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하우징(12)의 내부 상부를 통해서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이동프레임(232)은 고정부재(235)에 구비되며, 고정부재(235)는 가이드홈(238)을 따라 이동하는 기어(2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프레임(232)이 가이드홈(238)을 따라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도 6에서 A위치에서 B위치를 거쳐 C위치에 도달하더라도, 이동프레 임(232)의 상하는 바뀌지 않게 된다. 즉,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이동프레임(32)이 기어(36)에 고정되어 연결된다면, ∩자형의 가이드홈(238)을 따라 이동프레임(232)이 이동을 하는 경우에 상하가 전복되게 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공급장치(50)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프레임(232)이 연결된 고정부재(235)를 기어(2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동프레임(232)이 하우징(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상하가 바뀌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사노즐(34)은 이동프레임(23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34)이 이동프레임(232)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이동프레임(232)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공기를 의류를 향해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도 6의 실시예에서도 하우징(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232)에 의해 의류의 양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리프레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장치가 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공급장치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기공급장치에서 연장된 공기공급라인이 이동프레임의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이동분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이동프레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보조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보조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분사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분사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만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이동프레임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5. 의류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장치,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의류처리장치.
KR1020080004846A 2008-01-16 2008-01-16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144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46A KR101448630B1 (ko) 2008-01-16 2008-01-16 보조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46A KR101448630B1 (ko) 2008-01-16 2008-01-16 보조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64A true KR20090078964A (ko) 2009-07-21
KR101448630B1 KR101448630B1 (ko) 2014-10-08

Family

ID=4133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846A KR101448630B1 (ko) 2008-01-16 2008-01-16 보조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034A (ko) * 2012-06-08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에러 은닉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CN105442245A (zh) * 2014-09-28 2016-03-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方法及应用该洗涤方法的洗衣机
WO2018030692A1 (ko) * 2016-08-10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597A (ja) * 2001-07-23 2003-02-04 Wandaa Kikaku:Kk 噴射式洗濯方法及び噴射式洗濯方法を使用した全自動洗濯システム
KR100808193B1 (ko) * 2006-05-10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세탁장치
KR100710315B1 (ko) *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034A (ko) * 2012-06-08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에러 은닉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20200004917A (ko) * 2012-06-08 2020-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에러 은닉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 복호화방법 및 장치
CN105442245A (zh) * 2014-09-28 2016-03-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方法及应用该洗涤方法的洗衣机
EP3199686A4 (en) * 2014-09-28 2018-04-25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ing said method
WO2018030692A1 (ko) * 2016-08-10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기기
CN109563668A (zh) * 2016-08-10 2019-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N109563668B (zh) * 2016-08-10 2021-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11168426B2 (en) 2016-08-10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630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57B1 (ko) 의류처리장치
EP2055827B1 (en) Control method of dryer
US8695232B2 (en) Dryer
KR101435811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90260406A1 (en) Washing Machine
KR20090052458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96948A (ko) 의류처리장치
CN110325680B (zh) 干燥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US793440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90078964A (ko) 보조의류처리장치
KR20090098302A (ko) 의류처리장치
US2009022931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997375B2 (en) Operating method for laundry equipment including a scent supply module
KR20090059358A (ko) 의복 복원 장치
AU2017205824B2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EP2883998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20090078962A (ko)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1708693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90036421A (ko) 드럼세탁장치
KR20100124128A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246380B1 (ko) 캐빈 드라이어 기능을 갖는 세탁기
KR20110013012A (ko)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170869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667329B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