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421A - 드럼세탁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421A
KR20090036421A KR1020070101602A KR20070101602A KR20090036421A KR 20090036421 A KR20090036421 A KR 20090036421A KR 1020070101602 A KR1020070101602 A KR 1020070101602A KR 20070101602 A KR20070101602 A KR 20070101602A KR 20090036421 A KR20090036421 A KR 2009003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oor
nozzle
circulato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3676B1 (ko
Inventor
김효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0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676B1/ko
Priority to DE102008050862.4A priority patent/DE102008050862B4/de
Priority to US12/285,573 priority patent/US8671720B2/en
Publication of KR2009003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421A/ko
Priority to US13/712,190 priority patent/US201301673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06F39/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도어에 묻은 오물이 세탁장치의 동작시 자동으로 세척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부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와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장치, 도어부 세척

Description

드럼세탁장치{Drum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도어부가 세척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에서 세탁조 내의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세탁물들간의 마찰 등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수류식 세탁기와, 드럼의 회전으로 드럼에 투여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형성된 리프터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이후 세탁물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세탁장치 중 드럼식 세탁기는 수류식 세탁기에 비해 옷감 손상이 덜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드럼식 세탁장치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도어부가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과정에서 오염물질이나 세탁물의 보풀 등이 도어부에 부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어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세탁조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에 오염물질 등이 묻게 되면 사용자는 세탁장치가 더럽다고 생각하게 된다. 물론, 사람이 도어부를 직접 세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그 세척이 반드시 용이한 것이 아니고, 그 세척에는 많은 노력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더러워진 도어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부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와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순환기는 상기 도어부를 향하는 도어부 순환기노즐과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는 드럼 순환기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기는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과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기노즐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드럼노즐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발생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기는 상기 도어부를 향하는 도어부 증기노즐과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는 드럼 증기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기는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과 상기 드럼 증기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증기노즐밸브를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의 단면적은 상기 드럼 증기노즐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부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그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급수단계 이후, 적어도 상기 순환기가 상기 도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도어부를 세척하는 도어부순환수분사단계가 수행되는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터브를 가열하는 터브열공급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단계와 상기 도어부순환수분사단계 사이에, 상기 터브열공급기에 의해 상기 터브가 가열되는 터브가열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단계와 상기 터브가열단계 사이에, 상기 도어부에 가열된 증기가 분사되는 도어부증기분사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드럼세탁기가 세탁행정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도어가 세척되어, 청결이 유지되고, 외관이 향상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드럼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드럼세탁기(W)는, 드럼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실행되는 세탁조(40)와, 상기 세탁조(40)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4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15)과,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도어부(8A)가 형성되며, 캐비닛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된 캐비닛 커버(8)와, 상기 캐비닛 커버(8)의 도어부(8A)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0)와,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통과하면서 세제와 혼합되는 세제공급기(60)와, 세제공급기(60)로부터 후술하는 터브(30)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62)와,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50)와, 상기 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한 증기가 후술하는 순환기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20) 내부로 공급되도록, 그 증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증기호스(80)와, 상기 증기호스(80)로부터 유도된 증기를 상기 드럼(20) 내부와 상기 도어부(8A)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분사하며, 순환기의 일 구성요소 중 하나를 이루는 노즐(100)등을 구비한다.
상기 세탁조(40)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스프링(12A)과 댐퍼(12B)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 내에 배치되어, 터브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터브열공급기(35)와, 상기 터브(30) 내에 배치되고, 터브(30) 내에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노즐(100)을 통해 분 사되도록 세탁수를 흡수하며, 후술하는 순환기(C)의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흡수부(32), 상기 터브(30)의 내측에 상기 구동원(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고 세탁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통공(20A)이 형성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20)의 내 측면에 설치된 리프터(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세탁기(W)는. 터브(30)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흡입하여 상기 드럼(20) 내부와 도어부(8A)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C)를 구비한다. 상기 순환기(C)는, 상기 터브(30)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압력차를 발생시켜 흡입하는 흡수부(32), 흡수부(32)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유도하는 순환기호스(90)와, 상기 순환기호스(90)를 통해 유도된 세탁수를, 드럼(20) 내부와 도어부(8A)를 향하여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10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노즐(100)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8A) 내의 상면에 위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드럼세탁기(W)에 구비되는 노즐(1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100)은 순환기 노즐과 증기노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기 노즐은 상기 도어부(8A)를 향하고, 상기 흡수부(32)로부터 흡입된 세탁수를 도어(10)를 향하여 분사하는 도어부 순환기 노즐(122)과, 상기 드럼(20) 내부를 향하고, 상기 흡수부(32)로부터 흡입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20) 내부를 향하여 분사 하는 드럼 순환기 노즐(1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노즐은, 도어부를 향하고, 상기 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한 증기를 도어(10)를 향해 분사하는 도어부 증기노즐(112)과, 드럼(20)을 향하고, 상기 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한 증기를 드럼(20)을 향하여 분사하는 드럼 증기노즐(11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122)과 드럼 순환기노즐(124)은 상기 순환기호스(9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순환기호스(90)는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과 드럼 순환기노즐을 향하여 세탁수가 유도될 수 있도록, 유로가 T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유로가 반드시 T 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122)의 단면적이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124)의 그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순환기노즐(124)에서 분사되는 세탁수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빨리 젖도록 함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 그 목적이기 때문에,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124)에서 분사되는 세탁수는 그 양이 많은 것이 발마직하다. 그러나,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124)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는, 드럼에 붙은 오물 등을 떼어낼 수 있을 정도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속도가 커져, 세탁물에 부딪힐 때의 압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세탁수의 속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노즐의 단면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하면, 상기 도어(10)의 세척에 효과적이면서도, 순환기의 본래 목적인 세탁물을 빨리 젖게 만드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112)과 드럼 증기노즐(114) 또한, 유입된 세탁수가 각각의 노즐을 향하여 유도될 수 있도록 그 유로가 T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 다. 또한, 그 단면적의 크기도,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112)의 단면적이 상기 드럼증기노즐(114)에 비해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100)이 설계되면, 순환기(C)가 작동하여 세탁수가 상기 드럼(20) 내부로 분사될 때, 도어(10)에도 세탁수가 분사되어 도어가 세척되기 때문에 별도로 도어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청결이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브 열공급기(35)에 의해 세탁수가 가열되고, 가열된 세탁수가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122)을 통해 상기 도어(10)에 분사되면, 도어에 붙은 오물이 쉽게 부풀러지게 되고, 그에따라, 분사되는 세탁수의 압력만으로도 오물이 쉽게 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럼세탁기가 드럼(20)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는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112)을 통해, 가열된 증기가 상기 도어(10)를 향해서도 분사되기 때문에, 도어(10)에 붙은 오물 등이 쉽게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드럼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노즐(200)에 순환기노즐밸브(226)와 증기노즐밸브(216)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W)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노즐(200)은 도어부 순환기노즐(222)과 드럼 순환기노즐(2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순환기노즐밸브(226)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기호 스(90)를 거쳐 세탁수가 유입되면,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222)과 드럼 순환기노즐(224)각각에는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어, 각 노즐로 세탁수가 분사되나,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가 있어서,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222)을 향해 가는 세탁수가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가 닫히게 되면, 세탁수는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224)을 통하여서만 분사된다. 반면에,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가 열리게 되면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222)이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세탁수가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222)과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224) 각각으로부터 분사된다.
이때,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의 제어는 제어모터 등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 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순환기 노즐밸브(226)는, 스프링(226b)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226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수준의 압력 이상으로 세탁수가 흡입되어 노즐(100)로 유입되고, 상기 스프링(226b)의 탄성력을 극복할 만큼의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볼(226a)이 밀려 상기 순환기노즐밸브(226)가 열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224)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도어(10)를 향해 세탁수가 분사된다. 한편, 압력의 조절은 상기 흡수부(32)에서 세탁수를 흡입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순환기 펌프(미도시)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고, 순환기 펌프(미도시)는 일반적으로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으므로, 그 출력의 조절은 구동원(15)의 회전수등을 제어함으로써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200)은,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212)과 드럼 증기노즐(2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증기노즐밸브(2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노즐밸브(216) 또한, 볼(216a)과 스프링(216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기 노즐밸브(226)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212)의 개방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은 상기 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에서 도어부를 세척하는 과정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와 관련, 본 발명인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드럼세탁기가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밸브(52, 도 2참조)가 개방되면, 세제공급기(60)를 거쳐 상기 터브(30) 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급수단계(S110)가 수행된다. 상기 급수단계(S110)가 수행된 이후, 상기 터브(30) 내의 세탁수를 가열하는 터브가열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동 터브가열단계(S120)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가열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면, 세척효율이 증대되기 때문에, 동 단계(S120)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브가열단계(S120) 이후, 상기 도어부(8A)에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도어부 증기분사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동 단계(S130) 또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동 단계(S130)에서 증기가 상기 도어(10)에 분사됨으로써, 도어(10)에 붙은 오물 등이 증기에 의해 부풀려져 쉽게 떼어질 수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부 증기분사단계(S130)가 반드시 상기 터브가열단계(S120)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부 증기분사단계(S130) 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도 아니다.
이후, 상기 터브(30)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흡수부(32)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도어(10)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도어부순환수분사단계(S130)가 수행된다. 동 단계(S130)에서 도어(10)에 붙은 오물이 분사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제거된다.
이후, 본래의 세탁행정과 관련한 각종 단계인 기타단계(S150)가 수행된 이후 세탁행정이 종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적용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세탁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고,
도 3 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드럼세탁기가 구비하는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드럼세탁기가 구비하는 노즐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의 도어부 세척을 위한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 세탁장치 80: 증기호스
90: 순환기호스 100, 200: 노즐
112, 212: 도어부 증기노즐 114, 214: 드럼 증기노즐
122, 222: 도어부 순환기노즐 124, 224: 드럼 순환기노즐
216: 증기노즐밸브 226: 순환기노즐밸브

Claims (11)

  1. 도어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와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는 상기 도어부를 향하는 도어부 순환기노즐과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는 드럼 순환기노즐을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는 상기 도어부 순환기노즐과 상기 드럼 순환기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순환기노즐밸브를 더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노즐의 단면적이 상기 드럼노즐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드럼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는 상기 도어부를 향하는 도어부 증기노즐과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는 드럼 증기노즐을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는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과 상기 드럼 증기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증기노즐밸브를 더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증기노즐의 단면적이 상기 드럼 증기노즐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드럼세탁기.
  9. 도어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 또는 상기 도어부에 그 세탁수를 분사하는 순환기를 구비하 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단계 이후, 적어도 상기 순환기가 상기 도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여 도어부를 세척하는 도어부순환수분사단계가 수행되는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터브를 가열하는 터브열공급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단계와 상기 도어부순환수분사단계 사이에, 상기 터브열공급기에 의해 상기 터브가 가열되는 터브가열단계가 수행되는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탁기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급수단계와 상기 터브가열단계 사이에, 상기 도어부에 가열된 증기가 분사되는 도어부증기분사단계가 수행되는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70101602A 2007-10-09 2007-10-09 드럼세탁장치 KR10148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1602A KR101483676B1 (ko) 2007-10-09 2007-10-09 드럼세탁장치
DE102008050862.4A DE102008050862B4 (de) 2007-10-09 2008-10-08 Trommelwasch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S12/285,573 US8671720B2 (en) 2007-10-09 2008-10-08 Drum washing machine
US13/712,190 US20130167304A1 (en) 2007-10-09 2012-12-12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1602A KR101483676B1 (ko) 2007-10-09 2007-10-09 드럼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21A true KR20090036421A (ko) 2009-04-14
KR101483676B1 KR101483676B1 (ko) 2015-01-16

Family

ID=4051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1602A KR101483676B1 (ko) 2007-10-09 2007-10-09 드럼세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671720B2 (ko)
KR (1) KR101483676B1 (ko)
DE (1) DE10200805086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4230B1 (es) * 2009-12-17 2012-12-21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parato electrodoméstico.
KR102421649B1 (ko) 2015-06-30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120253B (zh) * 2016-08-26 2019-01-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用自清洗结构及滚筒洗衣机
US11572652B2 (en) 2019-01-31 2023-02-07 Ecolab Usa Inc. Controlling water levels and detergent concentration in a wash cycle
MX2021009283A (es) 2019-01-31 2021-09-08 Ecolab Usa Inc Controlador para un sistema de reutilizacion de agua de enjuague y metodos de us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627A (en) * 1982-12-16 1984-08-28 Whirlpool Corporation Pump for a dispen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asher
KR100223801B1 (ko) * 1997-07-25 1999-10-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분사노즐 구조
KR19990038154A (ko) * 1997-11-03 1999-06-05 전주범 수온조절 세탁기
GB0003008D0 (en) * 2000-02-11 2000-03-29 Notetry Ltd A method of operating a domestic appliance
KR100517612B1 (ko) * 2003-03-31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KR100504501B1 (ko) * 2003-04-14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525820B1 (ko) * 2003-08-13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순환수/증기 공급장치
EP1507030B1 (en) 2003-08-13 2010-09-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vapour generator and water circulation
DE102004043671B4 (de) * 2004-09-07 2008-04-10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Trommelwaschmaschine mit Wäscheabweiser an der Faltenbalgdichtung
KR20070026923A (ko) 2005-08-2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DE102005055776B4 (de) 2005-11-21 2009-04-09 Miele & Cie. Kg Stirnseitig 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oder Waschtrock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50862A1 (de) 2009-05-07
KR101483676B1 (ko) 2015-01-16
DE102008050862B4 (de) 2018-03-15
US8671720B2 (en) 2014-03-18
US20130167304A1 (en) 2013-07-04
US20090106911A1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256B2 (en) Laundry lint filter cleaning machine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7210A (ko)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KR20090036421A (ko) 드럼세탁장치
KR20110009926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30025674A (ko) 세탁장치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90460B1 (ko) 드럼 세탁기
JP484467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1092541A (ja) 洗濯機
KR20080010718A (ko) 식기 세척기
KR101234069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82932A (ko) 세탁장치
KR101448629B1 (ko) 보조의류처리장치
KR20070009193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
JP2011067297A (ja) 洗濯機
KR20110035029A (ko) 의류 처리 기기
KR100565252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주름저감방법
CN218492013U (zh) 一种衣物局部洗护设备
KR20110035031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KR101431439B1 (ko) 세탁기
KR100777687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054126B1 (ko) 리프레쉬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JP2024040597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