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12A -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12A
KR20110013012A KR1020090070966A KR20090070966A KR20110013012A KR 20110013012 A KR20110013012 A KR 20110013012A KR 1020090070966 A KR1020090070966 A KR 1020090070966A KR 20090070966 A KR20090070966 A KR 20090070966A KR 20110013012 A KR20110013012 A KR 2011001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tank
reservoir
liquid storag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489B1 (ko
Inventor
최연식
김재홍
이보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489B1/ko
Priority to CN2010101778303A priority patent/CN101838920B/zh
Priority to US12/845,596 priority patent/US8485000B2/en
Priority to DE102010032887.1A priority patent/DE102010032887B4/de
Priority to CN2010102438116A priority patent/CN101988256B/zh
Publication of KR2011001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드럼 내부에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분사 수단;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저장조 설치부; 상기 저장조 설치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액체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저장조 설치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저장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조는 상기 결합 수단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액체분사 수단과 연결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건조기, 카트리지, 슬라이드.

Description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A LIQUID CARTRIDGE}
본 발명은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처리 과정에서 처리 대상인 의류에 분사하기 위한 액체를 저장하고 있는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에 의류를 투입한 후 이를 물과의 마찰 에너지 및 충격 에너지 등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의류 처리과정에 있어서, 건조가 완료된 의류에 특정향 향을 입히기 위한 목적으로 건조 과정 중에 드럼 내부에 발향액을 분사하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과건조로 인해서 의류가 지나치게 뻣뻣해지거나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의류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분사될 발향액 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하기 위 한 분사 수단으로서 펌프 및 노즐 등도 포함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저장조를 연결하는 밸브 등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저장조는 의류처리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 및 사용시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본체의 상측에 배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액체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에, 작동 과정에서 액체가 새어나오거나 펌프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용되고 있는 저장조 장착 방식 중 하나가 드로워 타입이다.
드로워 타입이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저장조 장착부를 갖는 형태를 말하며, 전면 패널의 일부, 즉 드로워 커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면 드로워 커버의 배면에 결합된 드로워가 레일을 따라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저장조를 장착하거나, 드로워 내부로부터 저장조를 꺼낼 수 있다.
한편, 드로워 타입의 경우 단순히 드로워를 밀어 넣기만 하면 펌프와 저장조가 서로 연결되므로 사용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사용 과정에서 펌프와 저장조 사이의 연결부가 헐거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로워가 적당한 정도의 마찰력을 갖도록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야 하며, 이는 드로워의 인출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저장조를 꺼내기 위해서는 최소한 드로워가 저장조의 길이 보다는 길게 외부로 인출되어야 하며, 이러한 인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출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마찰이나 편심 이동을 막아야 하므로, 별도의 레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의 일부가 드로워 커버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이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패널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도 작용한다. 특히, 최근에는 기능 보다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전면 패널의 형태가 의류처리장치의 디자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제약은 치명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 패널의 형태에 제약이 없으면서도 액체저장조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드럼 내부에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분사 수단;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저장조 설치부; 상기 저장조 설치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액체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저장조 설치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저장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조는 상기 결합 수단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액체분사 수단과 연결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액체저장조를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서 저장조 설치부로 투입한 후 슬라이드시켜서 액체분사 수단과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저장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여 원활한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결국, 상기 측면에서는 전면 패널에는 아무런 구성 요소를 갖지 않으므로 전면 패널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액체저장조가 초기에 투입되는 위치를 액체분사 수단과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액체저장조가 슬라이드 해야되는 거리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레일의 설치를 불필요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 수단은 내측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저장조 설치부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 설치부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 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 및 저면은 각각 상기 액체저장조의 저면과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 설치부에 상기 액체분사 수단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에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저장조가 정위치에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액체저장조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결합 수단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결합 수단과 함께 이동하는 표시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자;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표시자를 상기 결합 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체저장조의 일측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액체저장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손잡이부는 액체저장조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에서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액체저장조를 투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면 패널에는 아무런 구성 요소를 갖지 않으므로 전면 패널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액체저장조가 초기에 투입되는 위치를 액체분사 수단과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액체저장조가 슬라이드 해야되는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레일과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액체저장조를 갖는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반드시 건조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세탁기 등과 같이 내부 공간에 의류를 투입한 후 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건조기 본 체(10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2)의 상부에는 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12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미도시)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어셈블리(130)가 상기 본체(102)의 전면에 힌지(미도시)를 통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을 통해서 건조 과정에서 드럼 내부로 분사될 액체(예를 들면, 물 또는 발향액)를 저장하는 액체저장조로서의 카트리지(미도시)가 장착되는데, 상기 카트리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미도시)가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덮는 도어(110)가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도어(11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어(110)는 상기 본체(10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절개부(104)의 일측면에 두 개의 힌지(112)에 의해 본체(102)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112)는 상기 도어(110)측 및 상기 본체(102)측에 모두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는, 소위 "더블 힌지"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절개부(104)의 내측으로 카트리지(15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04)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커버(20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절개부(104)의 일부를 덮어서 본체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가리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버(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상기 카트리지(15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150)는 뚜껑부(154) 및 용기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160)의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고, 상기 뚜껑부(154)는 용기부(160)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뚜껑부(154)는 상기 용기부(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용기부(16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162)와 뚜껑부(154)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 날개(158, 도 5 참조)가 결합되면서 뚜껑부(154)를 용기부(160)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200)의 측면부 일측에는 인디케이터(2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250)는 상기 카트리지(150)의 위치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이동 프레임과 결합되어 카트리지(150)의 장착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절개부(104)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액체분사 수단으로서의 펌프와 연결되는 체크 밸브(142)가 위치하며, 상기 체크 밸브(142)의 주위에는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가이드 부(140)가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부(140)는 후술할 카트리지(150)의 배출구(166, 도 5 참조)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커버(2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에는 경사면(202)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202)의 좌측으로 인디케이터 설치부(210)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 설치부(210)의 내부에는 상술한 인디케이터(250)가 삽입되기 위한 슬롯(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12)의 내부로 상기 인디케이터(2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52)가 관통하여 삽입 된다. 상기 결합부(252)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후술할 이동 프레임(300)과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300)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카트리지(150)의 이동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디케이터(250)가 상기 인디케이터 설치부(210)에서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상기 카트리지(150)의 배출구(166)가 상기 가이드 부(14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 해당하고,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는 상기 가이드 부(140)로부터 분리되어 카트리지(15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카트리지(150)를 분리하거나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분리 또는 결합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200)의 일측에는 완충 부재(220)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 과정에서 도어(110)가 부딛히면서 생길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카트리지(150)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용기부(160)의 저면에는 3개의 돌기부(164)가 용기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64)는 후술할 이동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맞물려 상기 카트리지(150)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50)의 일측면에는 배출구(16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160)의 상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66)가 용기부(160)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에 비해서, 상술한 체크 밸브(142)와의 연결과정에서 액체가 상기 배출구(166)를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용기부(160) 내의 액체의 잔량이 얼마남지 않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부(160)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배출관(168)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출관(168)는 상기 배출구(166)와 상기 용기부(160)의 바닥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태를 갖게 되며, 도 5에서는 꺾임부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출구(166)와 상기 용기부(160)의 바닥면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150)의 배출구(166)측의 측면 일부는 용기부의 하측 부분에 비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는 손잡이 부(156)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 부(156)는 상술한 커버(200)의 경사면(20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경사면(202)과 손잡이 부(156)의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러한 이격 공간의 내부에 손을 넣어 카트리지(150)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뚜껑부(154)의 중앙부에는 보조 캡(152)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 캡(152)은 상기 뚜껑부(154)에 형성되는 유입구(미도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카트리지(150)의 내부에 액체를 보충하는 경우 상기 보조 캡(152)을 열어서 유입구를 통해 액체를 보충하고, 카트리지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뚜껑부(154)을 열어서 용기부(16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에는 필터(미도시)를 설치하여 보충하고자 하는 액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카트리지 내 부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상기 커버(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300) 및 저장조 설치부(4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프레임(300)은 내부에 상기 카트리지(15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150)가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측벽 및 바닥면은 상기 카트리지(150)의 저면과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되어 카트리지(150)를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150)의 측면에는 상술한 고정 날개(158) 및 고정 돌기(162)가 위치하므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양 측벽에는 절개부(30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바닥면에는 3개의 오목부(304)가 위치하는데, 상기 오목부(304)는 상술한 카트리지(150)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부(164)와 맞물려서 카트리지(150)가 상기 이동 프레임(300) 내부에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측벽 상단부에는 가이드 플랜지(306)가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랜지(306)는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300)의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인디케이터(250)의 결합부(252)가 끼워지는 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인디케이터(250)는 상기 결합부(252)가 상기 홈(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이동 프레임(300)이 움직이는 경우 그와 함께 이동하게 된 다.
상기 이동 프레임(300)은 건조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저장조 설치부(40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는 상부가 개방된 채널(channel) 형태를 갖고 있으며, 측벽(402) 및 저면(40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가이드 플랜지(306)가 놓이게 되는, 플랜지 지지부(4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 내부에는 격벽(4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440)에 상술한 가이드 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440)의 후측으로 액체분사 수단으로서의 펌프(4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펌프(442)와 상기 가이드 부(142) 내부에 위치하는 체크 밸브(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격벽(440)의 전면에는 정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센서 설치부(444)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 설치부(444)의 내부에 수위 감지센서(410)가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잔량을 감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 감지센서(410)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양에 따른 유전율 변화를 측정하는 정전용량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액체를 보충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상기 도어(110)를 개방한 후 상기 손잡이 부 등을 잡고 카트리지(150)를 본체의 전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카트리지(150)와 함께 결합되어 있 던 이동 프레임(300)이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카트지리(150)의 배출구(166)가 상기 가이드 부(142)로부터 인출되어 분리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카트리지(150)를 상기 절개부(104)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이동 프레임(300)이 후퇴되어 있는지를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확인하고, 만일 후퇴상태가 아니라면 이동 프레임(300)을 후퇴시킨 후 이동 프레임(300)의 내부에 카트리지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오목부(304) 및 돌기부(164)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하면 카트리지가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카트리지(150)를 본체의 후측으로 밀면 상기 이동 프레임(300)이 저장조 설치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166)가 상기 가이드 부(142)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카트리지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의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카트리지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이를 생략하고 실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300) 없이 카트리지를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의 내부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카트리지(150)의 측벽과 저면은 상기 저장조 설치부의 측벽과 저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 되어 카트리지가 저장조 설치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 프레임(300)의 저면에 형성되었던 오목부는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와 돌기부를 통해서 상기 카트리지가 어느 정도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지만,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저장조 설치부의 저면에 밀림 방지턱(430)이 설치된다. 상기 밀림 방지턱(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카트리지가 정위치에 있는 경우 일측면이 상기 카트리지의 측면과 맞닿아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밀림 방지턱(43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저장조 설치부(400)의 저면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420)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림 방지턱(430)과 상기 고정 브라켓(420)의 저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22)이 설치되어 있어, 밀림 방지턱(430)에 상향의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밀림 방지턱(430)은 카트리지의 바닥면에 눌려서 상기 고정 브라켓(42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지만, 카트리지를 슬라이드 시켜서 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42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면서 카트리지가 뒤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밀림 방지턱(430)을 눌러서 상기 고정 브라켓(420)의 내부로 밀어넣은 후 상기 카트리지를 슬라이드 시켜서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 프레임 및 저장조 설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저장조 설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 중 밀림 방지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4)

  1.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드럼 내부에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분사 수단;
    상기 본체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저장조 설치부;
    상기 저장조 설치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 수단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액체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저장조 설치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저장조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조는 상기 결합 수단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액체분사 수단과 연결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설치부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설치부에 상기 액체분사 수단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에 상기 배출구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조가 정위치에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액체저장조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기 결합 수단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결합 수단과 함께 이동하는 표시 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자;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 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결합 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향으로 돌출되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조의 일측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액체저장조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저면이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내측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저장조 설치부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90070966A 2009-07-31 2009-07-31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114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66A KR101148489B1 (ko) 2009-07-31 2009-07-31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N2010101778303A CN101838920B (zh) 2009-07-31 2010-05-09 具备有液体储存槽的衣物处理装置
US12/845,596 US8485000B2 (en) 2009-07-31 2010-07-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reservoir
DE102010032887.1A DE102010032887B4 (de) 2009-07-31 2010-07-30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Flüssigkeitsreservoir
CN2010102438116A CN101988256B (zh) 2009-07-31 2010-08-02 带有液体蓄存器的衣服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66A KR101148489B1 (ko) 2009-07-31 2009-07-31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12A true KR20110013012A (ko) 2011-02-09
KR101148489B1 KR101148489B1 (ko) 2012-05-23

Family

ID=4274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66A KR101148489B1 (ko) 2009-07-31 2009-07-31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8489B1 (ko)
CN (1) CN1018389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48B1 (ko) * 2009-07-31 2012-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US8485000B2 (en) 2009-07-31 2013-07-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reservoir
CN114788886A (zh) * 2022-03-30 2022-07-26 合肥品冠科技有限公司 用于衣物护理机的香薰盒结构及其衣物护理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87B1 (ko) * 2001-07-24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481520B1 (ko) * 2008-03-2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020418B1 (ko) * 2008-12-24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1076508B1 (ko) * 2009-02-02 2011-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카트리지를 가진 드로워 타입의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148448B1 (ko) * 2009-07-31 2012-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48B1 (ko) * 2009-07-31 2012-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US8485000B2 (en) 2009-07-31 2013-07-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reservoir
CN114788886A (zh) * 2022-03-30 2022-07-26 合肥品冠科技有限公司 用于衣物护理机的香薰盒结构及其衣物护理机
CN114788886B (zh) * 2022-03-30 2023-08-22 安徽荣事达智能家电家居有限公司 用于衣物护理机的香薰盒结构及其衣物护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489B1 (ko) 2012-05-23
CN101838920B (zh) 2012-04-25
CN101838920A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335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1863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CA2893205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ealing unit
CA2893213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accommodation unit
KR100479083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20079403A (ko) 세탁기
CA2893182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moisture recovery unit
KR1015900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48489B1 (ko)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101148448B1 (ko) 액체 저장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090089059A (ko) 세제공급장치
KR101203568B1 (ko) 세탁기의 세제통 흔들림 방지 구조
KR10117648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101020418B1 (ko)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EP398516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KR10193929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65611B1 (ko) 건조기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142200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568038B1 (ko) 세탁기
KR20040024246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24008110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04937B1 (ko) 세탁장치
KR20200007549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