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675A -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675A
KR20090078675A KR1020080004612A KR20080004612A KR20090078675A KR 20090078675 A KR20090078675 A KR 20090078675A KR 1020080004612 A KR1020080004612 A KR 1020080004612A KR 20080004612 A KR20080004612 A KR 20080004612A KR 20090078675 A KR20090078675 A KR 2009007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rake
brake device
li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675A/ko
Publication of KR2009007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16D55/227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by two or mor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을 경량화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밀착되어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패드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라이너는 복원력의 불균형을 이루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브레이크방치,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BRAKE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을 경량화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캘리퍼 브레이크의 제동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캘리퍼 브레이크(2)는 브레이크 오일이 캘리퍼 피스톤(4)을 밀고, 이 반력으로 브레이크 패드(6)와 브레이크 디스크(8)가 마찰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제동 전에는 디스크(8)와 패드(6)의 갭이 0.5mm로 형성되고 있으나 제동 후에는 피스톤에 전달된 오일은 변형된 피스톤 씰(10)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되면서 제동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캘리퍼 브레이크(2)의 경우 피스톤 씰(10)이 피스톤(4)을 리턴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복원력이 충분치 않아 드래그가 항상 잔존하며, 또한 제동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디스크(8)와 패드(6)의 온도가 올라가면 디스크(8)와 패드(6)의 열팽창에 의해 드래그는 더욱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동시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제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는 제동시 열팽창에 의하여 오버랩(OL)이 발생하여 디스크와 패드의 접촉시간이 연장되어 드래그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패드의 저면 및 둘레면을 감싸는 패드 라이너를 설치하여 제동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에 변형된 패드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는 패드 라이너가 패드의 하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 외에는 별도의 작동을 행하기 못하므로 제동 작동이 중지되었을 때에 패드를 디스크로부터 효과적으로 이탈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는 금속재질의 패드 라이너의 무게를 줄이기 어려우므로 차량의 경량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동 작동이 종료된 후에 필요 이상의 마찰 작용을 억제토록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크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밀착되어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패드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라이너는 복원력의 불균형을 이루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드 라이너는 상단이 연결된 한 쌍의 패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의 하단에 상기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홈부는 양측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U'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는 패드 라이너에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패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이 불균형을 이루어 패드가 디스크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되게 하므로 제동 작동이 종료된 후에 패드가 디스크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불필요한 마찰작동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패드의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는 패드 라이너에 형성되는 홈부만큼 금속재질의 패드 라이너의 무게가 감소되므로 차량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브레이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는 디스크(8 : 도 1 참조)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60)와, 브레이크 패드(60)에 밀착되어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브레이크 패드(60)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패드 라이너(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패드 라이너(70)는 수직 방향을 긴 한 쌍의 패널이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연결된 모양의 패널로 이루어져 각각의 패널에 브레이크 패드(60)가 밀착된다.
이러한 패드 라이너(70)는 브레이크 패드(60)의 양측 단부를 하측으로부터 받치는 역할을 행하고, 브레이크 패드(60) 사이의 공간에 디스크(8)가 배치된다.
이로써, 실린더(50)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60)가 디스크(8) 쪽으로 가압되면 브레이크 패드(60)와 디스크(8)가 접촉되면서 제동 작동이 개시된다.
제동 작동이 종료되어 브레이크 패드(60)가 디스크(8)로부터 분리되면 패드 라이너(70)가 브레이크 패드(60)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서 브레이크 패드(6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촉진시키게 된다.
패드 라이너(70)는 복원력의 불균형을 이루는 홈부(80)를 포함하므로 패드 라이너(70)의 각 부분에서 브레이크 패드(6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82)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불규칙적인 힘(82)들에 의해 패드 라이너의 외측 방향, 즉 X축 방향의 힘(86)이 발생된다.
이렇게 패드 라이너(70)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힘(86)은 제동 작동이 종료된 후에 브레이크 패드(60)가 디스크(8)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촉진시키게 되므로 브레이크 패드(60)가 필요 이상으로 디스크(8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홈부(80)는 패드 라이너(70)를 이루는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므로 패널의 각 부분이 형성되는 불규칙한 힘(82)들이 브레이크 패드(6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82)과, 브레이크 패드(60)를 디스크(8)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84)이 공존되도록 한다.
또한, 홈부(80)는 브레이크 패드(60)의 양측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U' 모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드 라이너(70)가 장기간 동안 변형, 또는 복원되는 동작 이 반복되어도 홈부(80) 내측에 형성되는 곡면에 의해 패드 라이너(70)의 파손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동 작동이 개시되면 실린더(50)가 브레이크 패드(60)를 디스크(8) 쪽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패드(60)와 디스크(8)가 접촉되면서 제동 작동이 개시된다.
이후에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실린더(50)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60)가 디스크(8)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때, 패드 라이너(70)의 탄성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60)가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동시에 디스크(8)로부터 먼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브레이크 패드(60)가 디스크(8)와 필요 이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의 브레이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브레이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캘리퍼 브레이크의 제동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패드 라이너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린더 60 : 브레이크 패드
70 : 패드 라이너 80 : 홈부

Claims (3)

  1. 디스크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밀착되어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패드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라이너는 복원력의 불균형을 이루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라이너는 상단이 연결된 한 쌍의 패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의 하단에 상기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양측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U'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KR1020080004612A 2008-01-15 2008-01-15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KR20090078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612A KR20090078675A (ko) 2008-01-15 2008-01-15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612A KR20090078675A (ko) 2008-01-15 2008-01-15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675A true KR20090078675A (ko) 2009-07-20

Family

ID=4133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612A KR20090078675A (ko) 2008-01-15 2008-01-15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8282B2 (en) 2019-09-03 2022-08-30 Hyundai Mobis Co., Ltd. Pad liner for brak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8282B2 (en) 2019-09-03 2022-08-30 Hyundai Mobis Co., Ltd. Pad liner for brak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8342B2 (ja)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保持装置
JP5333205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471512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積層シムと該積層シムを備えるパッドユニット
JP42846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10066684B2 (en) Pad liner for reducing drag in brake caliper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90078675A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US20170219031A1 (en) Brake lining in disc brakes, in particular of vehicles, having a groove configuration in the friction lining
KR20090043182A (ko) 캘리퍼 브레이크
KR20100023666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0625018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598802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パッドサポート
JP20071984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28200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283439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55273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어셈블리
KR102173982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2013227992A (ja) 鋳鉄部品
KR10163777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200266237Y1 (ko) 자동차용디스크브레이크의시임
TW200604040A (en) Bicycle wheel rim
KR1011253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드래그 방지용 캘리퍼 구조
KR1012820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50028599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JPH0821039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用ブレーキ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