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317A -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317A
KR20090078317A KR1020090057230A KR20090057230A KR20090078317A KR 20090078317 A KR20090078317 A KR 20090078317A KR 1020090057230 A KR1020090057230 A KR 1020090057230A KR 20090057230 A KR20090057230 A KR 20090057230A KR 20090078317 A KR20090078317 A KR 2009007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eating
sleeve tube
heating unit
fusion spl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427B1 (ko
Inventor
송재섭
전상철
서영배
Original Assignee
일신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테크(주) filed Critical 일신테크(주)
Priority to KR102009005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4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2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reshaping or reforming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using thermal heating, e.g. tapering, forming of a lens on light guid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하며 용이하게 광섬유를 융착접속시키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기에 설치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키는 가열부에는 한번에 다수개의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킬 수 있도록 ┖┚자 형태의 가열판에 하나 이상의 분할판이 설치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또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기에 설치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키는 가열부에는 슬리브관의 융착상태가 뛰어나도록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 형상으로 가열판이 설치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광섬유, 모니터, 융착접속기, 가열부, 가열판

Description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Optical fiber interface adapter for carrying along}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하며 용이하게 광섬유를 융착접속시키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기에 설치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키는 가열부에 슬리브관이 설치된 광섬유을 1개 이상을 설치하여 융착시킬 수 있도록 가열부에 하나 이상의 분할판이 설치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도 1과 같이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 상측에는 두 개의 광섬유의 단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부(20)와, 상기 접속부에서 접속된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부(3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작동시키는 조작부(5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접속부 내의 상황을 모니터링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니터(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USB 포트, 전원포트, 비디오 외부단자 포트 등의 다수개의 포 트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외부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20)는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고정덮개와, 광섬유를 용접하는 전극봉과, 몸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방풍덮개와, 대물렌즈와, 조명램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부(3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시키는 가열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는 연결할 2개의 광섬유 단부의 피복을 탈피하고 절단한 후, 절단된 2개의 광섬유를 접속부(20)에서 서로 맞대어 접속시키고, 상기 접속부에서 접속된 부분에 슬리브관이 위치하도록 하고 가열부(30)에 설치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접속부(20)에 2개의 광섬유를 설치하되, 2개의 광섬유의 단부가 허용범위 안에서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또한 접속과정시 정확하게 연결되는지 연결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작업자는 접속부(20) 내의 상황을 모니터(40)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된 모니터(40)가 첨부된 도 1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이동 및 보관시 외부충격에 의하여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자 모니터를 보호하기 모니터 덮개가 설치되어 사용되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자주 모니터 덮개가 분실되어 모니터를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열부(30)는 1개의 광섬유가 설치되어 슬리브관이 융착되도록 이루어져, 광섬유 연결작업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보통 광섬유의 단부에 있는 피복을 탈피하고 세척하고 절단하는 시간은 약 7초가 소요되며, 접속부에서 접속되는 시간은 약 10초가 소용된다. 즉, 광섬유의 연결작업시간은 약 24초가 소요된다. 그러나, 가열부에서 예열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시간은 보통 45~60초가 소요된다.
그러므로 2개의 광섬유 단부를 탈피하고, 접속하는 시간보다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자 미국특허 US20060280417A1으로 도 2와 같은 가열부를 형성하여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은 각각의 가열판이 설치되는 2개의 가열부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단가(비용)가 높아지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제시되어 있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접속부에서 광섬유 용접작업시 광섬유에 삽입되어 설치된 슬리브관이 늘어져 있는 광섬유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 광섭유를 따라 내려온 슬리브관이 바닥면에 있는 물 또는 이물질과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오염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광섬유의 융착상태가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부에서 가열판을 가열하여 슬리브관을 광섬유에 융착 시킨 후 슬리브관을 냉각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리브관을 가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열판은 슬리브관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됨으로써 슬리브관 냉각시 송풍되는 바람은 슬리브관의 길이방향의 측면에서 송풍된다. 이로 인하여 슬리브관의 길이방향으로 냉각속도가 불균일해지는 단점이 발생함으로써 슬리브관의 융착상태가 좋지 못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고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가능하도록 휴대용 융착접속기에 전원용 배터리가 내장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배터리 충전(잔여)량 체크를 융착접속기를 작동시켜 모니터에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잔여)량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용되거나, 다른 이상 형상과 같은 문제점으로 모니터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는 확인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가열부에 분할판을 설치하여 슬리브관이 설치된 광섬유를 1개 이상을 설치하여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모니터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인 본 발명은,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2개의 광섬유가 동시에 설치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부에 분할판이 설치된다.
또한, 모니터와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창이 이동 및 보관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모니터가 융착접속기의 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에 2개의 광섬유가 동시에 설치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판이 설치된 가열부에 분할판이 설치된다.
상기 가열판의 단면형상은 측면에서도 열이 발산되도록 ┖형,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형으로 이루어진 가열판이 설치된 가열부에 분할판을 설치하게 되면 ┖┸┚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는,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 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는 가열판이 하측으로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 형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가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 형상으로 설치된 가열판이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 형상으로 설치된 가열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가열판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부에 분할판을 설치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히 하는 동시에 한번에 다수개의 광섬유를 슬리브관을 융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부에 설치되는 가열판의 단면형상을 ┖형 ┖┚형 형태로 형성하여 측면에서도 열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응답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부에 설치되는 가열판을 '∨'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리브관의 냉각시 개구부를 통하여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되어 슬리브관이 거의 균일하게 냉각됨으로써 슬리브관의 융착상태를 좋게 하고, 빠른 작업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 기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는 크게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측에 설치된 두 개의 광섬유의 단부를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부(20)와, 상기 몸체(10) 상측에 설치된 상기 접속부(20)에서 접속된 광섬유(2)에 슬리브관(3)을 융착시키는 가열부(30)와, 상기 몸체(10) 상부면에 설치된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작동시키는 조작부(50)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확인장치(7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모니터(40)와, 다른 일측면에는 형성된 USB 포트, 전원포트, 비디오 외부단자 포트 등의 다수개의 포트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보통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한다.
상기 접속부(20)는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고정시키는 고정덮개와, 광섬유를 용접하는 전극봉과, 대물렌즈와, 조명램프와, 방풍덮개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접속부(20)는 단부가 탈피되어 세척 및 절단된 2개의 광섬유를 고정덮개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전극봉으로 용접하여 2개의 광섬유의 단부를 접속(연결)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4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몸체(10)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대(12)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돌출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모니터(4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모니터(40)의 하측의 양쪽에 힌지축(42)을 가지는 결합구(41)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2)에는 가이드 블록(43)이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43)은 가이드 대(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3)에 안치되며, 상기 모니터(40)의 하측에는 라운드(4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42)에 가이드 블록(4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손이나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져야 회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니터(40)가 회동 후 소정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양측의 가이드 대(12)에 보호판(15)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판(15)의 높이는 모니터(40)가 가이드 홈(13)을 따라 이동한 후 회동할 경우, 회동에 방해를 주지 않을 정도의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으로 돌출된 모니터(40)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대(1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13)에 요철부(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가이드 홈(1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43)이 요철부(14)에 안치됨으로써 모니터(4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몸체(10)에 설치되는 모니터(40)는 가이드 대(12)의 가이드 홈(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모니터(40)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확인장치(70)는 배터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메타 게이지(71)와, 상기 레벨메타 게이지(71)에 배터리 용량이 표시되도록 하는 레벨메타 게이지용 스위치(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벨메타 게이지용 스위치(72)를 이용하여 온/오프 시킴으로써 레벨메타(71)에 배러리의 용량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배터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충전용 배터리의 경우에는 충전시기를 알 수 있으며, 또는 일반 배터리의 경우에는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 9와 도 10과 같이 접속부(20)의 일측으로 설치되도록 슬리브관(3)을 안취시킬 수 있는 고정대(6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대(60)는 보통 몸체(10)에 홈(62)을 형성하고, 상기 홈(62)에 삽설되는 고정대(60)에 돌기(61)를 형성하여, 상기 홈(62)에 돌기(61)를 삽설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60)에는 슬리브관(3)이 안취될 수 있도록 안취홈(63)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가열부에 대한 도면으로, 첨부된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30)는 몸체(10) 에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32)와,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시키는 가열판(33)과, 상기 가열판(33)에 설치되는 분할판(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판(34)은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판(34)이 설치되는 수에 따라 가열부(30)에 설치될 수 있는 슬리브관(3)이 설치된 광섬유의 수량은 달라진다.
가장 바람직한 분할판(34)은 가열부(30)에 2개의 광섬유가 설치될 수 있도록 1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판(33)은 측면에서도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그 단면형상은 ┖형, ┖┚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 형태의 가열판(33) 중앙에 분할판(34)이 설치도록 하여 2개의 슬리브관이 설치된 광섬유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열부(30)는 그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으며, 아래면과 측면으로부터 열을 발산하도록 함으로 응답성이 빠른 장점이 있다.
상기 가열판(33)은 보통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며, 상기 덮개(32)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다.
첨부된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가열부에 대한 도면으로, 첨부된 도 13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3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32)와, 상 기 하우징(31)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시키는 가열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판(33)은 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개구부(35)가 형성된 '∨' 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2개의 평판 가열판을 각각 경사지게 설치하되, 2개의 가열판을 하측은 틈이 형성되도록 가깝게 설치하고, 상측을 멀게 설치하면 된다.
이는 하측면에서 슬리브관(3)을 가열함으로써 가열이 용이하고, 또한 하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부(35)에 의하여 슬리브관(3)이 광섬유(2)에 융착이 이루어진 후 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을 위한 바람이 개구부(35)를 통하여 유입됨으로써 슬리브관(3)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하여 불균일한 슬리브관(3)의 냉각으로 인한 불량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15와 같이 복수개의 슬리브관(3)을 가열하여 융착시킬 수 있도록 가열부(30)는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35)가 형성된 '∨' 형상으로 가열판(33)을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판(33)이 복수개로 설치될 경우 각각의 가열판(33)에 공급되는 전류를 상이하게 하여 각각의 가열판(33)의 가열속도를 달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가열부에 대한 도면으로, 첨부된 도 16과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30)는 몸체(10)에 설치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32)와,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시키는 가열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판(33)은 3개의 평면 가열판을 도 17과 같이 2개의 평면 가열판을 각각 상측으로 멀리 하측을 가깝게 설치하고, 중앙에 1개의 평면 가열판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러면, 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설치되고, 하측으로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35)가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가열판이 더 설치된 형태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사용되는 가열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되는 모니터의 대략적인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되는 모니터의 대략적인 설치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슬리브관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슬리브관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되는 가열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가열부의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되는 가열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가열부의 부분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가열부의 가열판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설치되는 가열부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난 가열부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2 : 광섬유
3 : 슬리브관
10 : 몸체 20 : 접속부
30 : 가열부 40 : 모니터
*50 : 조작부 60 : 고정대
70 : 배터리 확인장치

Claims (5)

  1.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에는 가열판(33)이 하측으로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구부(35)가 형성되도록 '∨' 형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에는 개구부(35)가 형성되도록 '∨' 형상으로 설치된 가열판(33)이 복수개로 배치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3.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에는 가열판(33)이 하측으로 냉각을 위한 바람이 유입되도록 개구부(35)가 형성되도록 '∨'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열판(33)의 중앙에 수직으로 가열판(3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4.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에 2개 이상의 슬리브관이 설치된 광섬유가 동시에 설치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분할판(3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5. 광섬유에 삽입된 슬리브관을 가열하여 광섬유에 슬리브관을 융착시키는 가열부가 장착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30)에 설치된 가열판(33)의 단면형상은 ┖형 또는 ┖┚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KR1020090057230A 2009-06-25 2009-06-25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KR10095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30A KR100951427B1 (ko) 2009-06-25 2009-06-25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30A KR100951427B1 (ko) 2009-06-25 2009-06-25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992A Division KR20080112895A (ko) 2007-06-22 2007-09-17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317A true KR20090078317A (ko) 2009-07-17
KR100951427B1 KR100951427B1 (ko) 2010-04-07

Family

ID=4133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30A KR100951427B1 (ko) 2009-06-25 2009-06-25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4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64U (ko)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그루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21149028A (ja) * 2020-03-23 2021-09-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機
CN114002773A (zh) * 2021-11-04 2022-02-01 藤野(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放置机构及光纤熔接机
KR20220037726A (ko) 2020-09-18 2022-03-25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95B1 (ko) 2010-07-08 2011-06-01 박찬설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KR102034535B1 (ko) 2018-12-26 2019-11-08 유씨엘스위프트(주) 광섬유 융착접속장치의 방전개시전압 및 방전지연시간 감소를 위한 광섬유 융착 접속방법
KR102034536B1 (ko) 2018-12-26 2019-10-21 유씨엘스위프트(주) 유전체를 구비한 방전안정화용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425A (ja) * 1994-03-08 1995-09-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部材の加熱装置
WO2006132182A1 (ja) * 2005-06-09 2006-12-1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加熱補強処理装置、その加熱補強処理装置を含む融着接続器、および融着接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64U (ko)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그루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21149028A (ja) * 2020-03-23 2021-09-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機
KR20220037726A (ko) 2020-09-18 2022-03-25 유씨엘 주식회사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CN114002773A (zh) * 2021-11-04 2022-02-01 藤野(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放置机构及光纤熔接机
CN114002773B (zh) * 2021-11-04 2024-02-23 藤野(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放置机构及光纤熔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427B1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2895A (ko)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KR100951427B1 (ko)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KR101586964B1 (ko) 융착 접속기
JP5303673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105988163B (zh) 光纤熔接器以及具备该光纤熔接器的光纤熔接装置
KR100868591B1 (ko) 납땜 인두 및 이를 위한 팁 홀더
RU2009122333A (ru) Держате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ащивания сплавлением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оптического коннектора
JP2021529679A (ja) 鉄道レール作業用機械工具システム
WO2018106037A1 (ko) 용접 헬멧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4671B1 (ko) 시설물의 조사측정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보안경
US4509104A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lighting device
BR112015019805B1 (pt) dispositivo sensor óptico para a detecção de imagens de um par de eletrodos de solda por pontos
CN112427806A (zh) 一种动力电池模组激光焊接新型组合除尘装置
WO2018038937A1 (en) Fiber optic connector termination testing tool
KR20180003364U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CN213054211U (zh) 一种光纤研磨装置及光纤检测装置
US20060188208A1 (en) Optical connector field termination oven and kit
WO2009002054A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CN219956853U (zh) 一种光纤熔接机镜头检测装置
CN214983317U (zh) 便携式测温型热熔器
CN211206842U (zh) 一种光纤线专用的熔接机
CN109514085A (zh) 激光焊接装置
CN217112841U (zh) 基于光纤熔接机镜头的检测装置
CN215238541U (zh) 一种光纤传输手持式激光焊接机的聚焦装置
JP2004191597A (ja) 融着接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