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267A -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267A
KR20090078267A KR1020080004122A KR20080004122A KR20090078267A KR 20090078267 A KR20090078267 A KR 20090078267A KR 1020080004122 A KR1020080004122 A KR 1020080004122A KR 20080004122 A KR20080004122 A KR 20080004122A KR 20090078267 A KR20090078267 A KR 2009007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angelica
angelate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891B1 (ko
Inventor
강재선
황성우
이진영
김강민
김천규
홍용근
최광진
이상길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건강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건강 (주) filed Critical 한국생명건강 (주)
Priority to KR102008000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8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로서 지질대사개선 효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방법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참당귀의 추출 정제방법을 개선하여 인체에 투여 가능한 형태로 물, 에탄올, 헥산으로만 추출 정제하였고 추출물의 주성분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로 구성되었다.
참당귀, 세발당귀,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HDL cholesterol, 당뇨

Description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 추출물과 그 추출방법{The extrac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gigas Jiri that have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as active ingredients that affect the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the extra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방법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참당귀의 추출 정제방법을 개선하여 인체에 투여 가능한 형태로 물, 에탄올, 헥산으로만 추출 정제하였고 추출물의 주성분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로 구성되었다.
참당귀는 한국이 원산지로서 그 사용 범위가 보혈제로서 한방약제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한국산 지표물질인 데커신과 주요 성분인 데커시놀이 혈류개선 작용과 항 헬리코박터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본 발명자 등이 밝힌 순수 정제된 데커신이 신장독성 억제와 당뇨합병증에 의한 신부전증의 예방 효과 및 당뇨성 고혈압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밝힌 바 있 다.(PCT / KR1999 /000632).
그리고 본 발명자는 기존의 방법보다 간편하고 추출량을 다량 확보할 수 있는 농축 방법을 확보하여 제조하였고 이것을 액제로 제조하여 실험동물에 경구적으로 투여할 때 장관에서 용이하게 흡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구조 이성질체로서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본 발명자 등이 그 작용을 연구하여 왔으며 그 분석법에 관한 것도 확립하여 밝힌바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데커신류의 함량은 99%이상의 주정 알콜 및 약전 에탄올을 사용하였을 때 그 농축된 함유량이 높게 나와 최대 75% 이상 88%까지 함유하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한국특허 등록번호 : 10-0509843, 2005.08.24, 4-5쪽)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정제법을 더욱 개선하여 주성분함량이 95%이상을 가질 수 있도록 물과 에탄올로만 추출하였고, 고순도를 위하여 온도차이와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밝힌바 있다.(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07-45441)
당뇨병이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는 세포가 부족하여 생기는 병으로서, 당뇨병의 종류에는 제 1형 당뇨 (인슐린 의존성 당뇨, IDDM), 제 2형 당뇨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 NIDDM), 훗날 제 2형 당뇨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임신성 당뇨가 있다. 이 중 제 2형 당뇨는 주로 40세 이후에 발병하며 전체 당뇨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 특징을 보면 세포에 인슐린 저항이 생겨, 점진적으로 인슐린에 대한 반응이 약화되고 결국 세포가 인슐린에 저항이 생겨 포도당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어 혈당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초기에는 혈당이 높아지면 여기에 반응하는 인슐린이 더 많이 분비되어 어느 정도까지는 정상혈당치를 유지하지만 결국 인슐린 저항이 더욱 강해져서 췌장이 만들어내는 인슐린은 부족하게 된다. 이 시점부터 혈당치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당뇨의 증상으로는 소변량의 증가와 갈증, 활력 저하와 식욕 항진, 체중저하, 시력장애, 저린 느낌과 통증, 혼란과 의식소실, 고 삼투압성 혼수 등이 있다. 당뇨는 합병증이 더욱 심각한 문제인데, 주요 합병증으로는 망막병증, 신병증, 심장혈관의 죽상동맥경화증, 말초혈관 질환, 신경병증, 감염 등이 위험하다. 특히 고혈압을 앓고 있는 당뇨환자의 경우 신장손상이 아주 쉽게 일어난다.
2001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환자 비율이 1971년 1.5%에서 1993년 9.1%로 20년 사이에 6배 이상 늘었으며, 이 추세로 나가면 10년 후에는 우리나라 4명 중 1명이 당뇨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심혈관질환의 발생 증가율이 감소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당뇨환자의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신장손상과 같은 합병증의 발병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농도가 증가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나아가 심근경색 및 관상동맥경화 등을 일으키는 제 1 위험요소이다. 체내에서 적정한 콜레스테롤의 조절이 일어나면 혈장과 조직에 콜레 스테롤 축적이 일어나지 않으나 이 수치가 높아지게 되면 고 콜레스테롤 혈증이 나타나며,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이상이 생긴 경우 LDL, HDL 콜레스테롤 등 지단백 성분이 양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지금까지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질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주로 식이 섬유소에 대한 실험이 가장 많았고, 사포닌, 비타민 C, 비타민 E, 필수 아미노산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약물치료를 탈피하여 지속적인 치료와 예방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천연물에서 분리하는 연구가 상당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은 인체내에 축척되어 혈관을 막거나 대사 등에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반면 HDL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노폐물이나 지방 등을 간으로 이행시켜 인체에 많은 잇점을 주고 있는 물질이다. 또한 중성지방( Triglyceride)은 설탕 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지방으로서 현대인에게서 인스턴트 음식물, 탄산음료의 과다복용 등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지방이다. 중성지방은 간질환과 혈관질환의 지표로 이용되는 것이며 이 지방을 낮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투여 가능하도록 물, 에탄올 그리고 헥산만을 이용하여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참당귀와 한국의 지리산에서만 서식하는 세발당귀로부터 주성분을 정제하였고, 순도 98%이상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포함토록 정제하였으며, 이물질을 이용하여 당뇨에서의 지질개선 효과와 체중증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추출물이 고도로 정제되지 않을 경우에는 혈관에 대한 영향을 일으켜 과도한 혈압 하강에 의한 치명적인 결과를 보일 수 있다. 동물실험 결과 순도가 낮을 경우에 혈압 하강을 일으키고 정상 혈압으로 회복이 잘되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뇨에서 과도한 혈압강하를 일으키지 않기 위하여 고도로 정제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하도록 참당귀 및 세발당귀를 추출농축하는 방법과 이 추출농축물을 지질대사개선이라는 신규한 용도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생체내 투여를 통한 당뇨질환의 경감이나 회복을 위해 적절한 투여용량을 결정하여야하는데 예비실험을 통하여 혈당개선작용은 최소 경구 투여량이 0.5 mg/kg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음용수 복용량과 실험용 쥐의 사육상태 관찰시에 2mg/kg 이상을 경구투여 할 경우에 정상군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연구결과를 도출 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로서 지질대사개선 효과를 가진 참당귀 및 세발당귀 농축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추출방법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참당귀의 추출 정제방법을 개선하여 인체에 투여 가능한 형태로 물, 에탄올, 헥산으로만 추출 정제하였고 추출물의 주성분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로 구성된 참당귀 및 세발당귀의 농축추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및 세발당귀에서 정제된 농축물은 주성분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가 98%이상 함량된 고 정제물로서 추출용매를 에탄올, 헥산과 물만을 사용한 개선된 정제법을 이용한 것으로써 의약품으로 개발할 때 매우 유용한 것이며,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의 신규한 용도인 우수한 지질개선 작용을 보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당뇨 질환에서의 체중증가를 일으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제 실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험 예에서는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로부터 주성분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98%이상 함유토록 하는 개선된 추출방법에 관한 것과 또한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체에 적용할 경우에 당뇨질환에서의 지질개선효과와 체중증가를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1] 참당귀 및 세발당귀로부터 고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의 제조
참당귀 및 세발당귀로부터 데커신(Decursin)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를 분리 농축하는 방법으로서 식품용 및 의약용으로 사용키 위하여 추출 용매는 약전 에탄올, 주정 알콜 및 헥산을 사용하였고 물을 사용할 때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원료인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를 40메시 (40 mesh)이하로 잘게 분쇄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고 약전용 알콜 또는 주정알콜(이하 '에탄올'로 표기)로 분쇄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의 2배에서 5배를 첨가하여 진탕하에서 상온에서 16~24시간 추출하였고 이것을 여과하여 정량하였다. 이 경우에는 농축물에 함유된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이 33%~ 43%이었다.
이 농축물을 증발 건고하여 점성이 높은 물질을 얻었다. 이 물질 1 킬로그람당 에탄올 1 리터를 넣어 주성분을 녹이고 영하 20도에서 10시간 이상 방치하여 생 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등액을 증발건고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이 농축물에 60% 에탄올 50 리터을 넣어 용출하였다. 이는 순수하게 합성 정제된 데커신을 이용하여 용해도를 산출한 결과 60%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가 6.6mg/ml임을 알아내었고, 이러한 데커신의 60%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순도를 높이는데 이용한 것이다.
용출 후 원심분리하여 60% 에탄올 층만을 얻었다. 이것을 증발 건고하여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경우에는 농축물에 함유된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이 약 95%이었다.
이 농축물을 헥산과 정제수를 동일한 량으로 넣어 헥산층만을 수거하여 증발건고 하였고, 이것을 액체크로마토그램 (HPLC)으로 분석한 결과는 총 데커신(Decursin)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함량은 98% 이상을 보였다 (도 1a,도1b 참조).
한국특허출원 10-2007-45441에서는 상기 60% 에탄올 층을 증발건고하여 얻은 농축물을 99% 에탄올에 녹여 상등액을 취하여 최종 농축물을 얻는 추출방법으로서, 데커신의 99% 에탄올에 대한 용해도(4,870 mg/ml)를 이용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60% 에탄올 층을 증발건고하여 얻은 농축물을 헥산과 정제수를 동일한 량으로 넣어 헥산층을 수거하여 최종 농축물을 얻는 추출방법으로 데커신의 헥산에 대한 용해도를 이용하여 순도를 높이게 한 것이다. 99% 에탄올을 이용할 때는 순도가 95%이상을 보였으나 헥산을 이용하였을 때 순도가 98% 이상 보였다.
그리고 본발명의 추출농축방법으로 참당귀 및 세발당귀를 정제하였을 때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을 도 2a, 도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의 혈압에 대한 영향
웅성 SD rat 각 1 마리에 43% 순도의 데커신(Decursin, D)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DA) 추출농축물(D/DA)을 5mg/kg으로 투여한 군과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을 동량으로 투여한 군을 4시간과 53시간 뒤에 각각 혈압을 3회씩 재어 보았다.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은 100% 에탄올에 녹여서 경구투여 하였으며, 그 결과 98% 정제물 투여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정상혈압으로 회복되는 패턴을 보였지만, 불순물이 함유된 43%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은 의 경우에는 혈압이 하강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볼 때, 고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은 혈압에 일시적인 혈압강하가 있었으며 과도한 혈압 하강이 일어나지 않지만, 불순물이 함유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의 경우는 과도한 혈압 하강과 장시간에 걸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1 참조)
이는 당뇨 환자에게 43%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 물(D/DA)을 5 mg/kg으로 투여하였을 경우 혈압이 상승하거나 하강한 결과를 비교해 볼 때, 불순물이 더 많이 함유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은 혈압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실험과 임상적용에서는 정제된 98%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을 사용하여야 혈압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1] 43%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과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의 경구투여시 혈압에 대한 영향
43% D/DA (5mg/kg, P.O.) 98% D/DA (5mg/kg, P.O.)
투여전 투여후 4시간 투여후 53시간 투여전 투여후 4시간 투여후 53시간
AVE. 134.89 mmHg 110.71 mmHg 119.00 mmHg 130.32 mmHg 123.00 mmHg 136.40 mmHg
S.D. 3.51 3.82 5.51 4.13 3.67 4.09
AVE : 평균, S.D. 표준편차, P.O. 경구투여, D/DA(decursin/dercursinol angelate)
[실시예 3] 참당귀 추출농축물의 당뇨병에서의 지질개선효과 시험(HDL-Cholesterol 농도 증가)시험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 50 mg/kg을 복강투여한 군 (양성 대조군),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 50 mg/kg을 복강투여하고 10분 뒤에 참당귀 추출물인 98%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을 1 mg/kg을 경구투여한 실험 군 (실험군 : STZ + D/DA 1 mg/kg)의 2그룹으로 나누어서 시험하였다. 각 군은 3마리의 rat으로 하였다. 약물의 투여는 단회 투여 후 다음날 혈액을 이용한 지질 분석에서 total cholesterol은 당뇨유발 그룹에 비해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 투여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단회 투여의 결과임에도 HDL-Cholesterol은 당뇨유발 그룹에 비해 참당귀 추출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 1mg/kg 투여군에서 35.89 % 증가하였다.
[표 2]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 50 mg/kg을 복강투여한 군(양성대조군)과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 50 mg/kg을 복강투여하고 10분 뒤에 참당귀 추출물인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 1mg/kg 투여군(실험군)에서의 HDL-Cholesterol 농도 비교
Samples 대조군1 대조군2 대조군3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HDL mg/dl 55 51 50 72 76 64
[실시예 4]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의 당뇨병에서의 지질개선효과 시험
참당귀 추출물의 당뇨유발그룹에서의 H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 효과를 바탕으로 세발당귀 추출물을 대상으로 반복투여 실험에서의 결과를 관찰하였다.
예비실험에서 육안 관찰의 결과로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0.5 mg/kg투여군에서는 다뇨와 다음의 정상이 뚜렷하여 음용수의 복용량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다량의 소변 배출로 실험군의 털이 젖은 결과 를 보였다. 또한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1 mg/kg의 투여에서는 음용수의 복용량이 줄어 들었으나 비슷한 모양으로 보였으며,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2 mg/kg 복용군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과 같은 음용수의 복용량과 외모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투여용량을 2 mg/kg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웅성 SD rat에서 대조군 (음성 대조군 : N_CON), 스트렙토조토신 (streptozotocin, STZ) 50 mg/kg을 복강투여한 군 (양성 대조군 : P_CON), 스트렙토조토신 (STZ) 50 mg/kg을 복강투여하고 10분 뒤에 세발당귀 추출물인 98% 순도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을 2 mg/kg을 경구투여하고 매일 1회씩 28일간 반복 투여한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의 3그룹으로 나누어서 시험하였다.
각 군은 3마리의 rat으로 하였다. 식이는 자율식이로 하되 음성 대조군(N_CON)은 정상적인 식이(실험개시 1일부터 28일까지 일반 수돗물을 음용수로 복용)를 복용하였고, 양성대조군((P_CON) 및 실험군(STZ+D/DA 2mg/kg)은 당뇨를 충분히 유발시키고 신기능을 저하시키기 위해 실험개시 1일부터 시작 후 6일까지는 2% 수크로즈(2% S로 표기)를 음용수로 복용하였고 7일부터 실험종료일인 28일까지는 일반 수돗물(N으로 표기)을 음용수로 복용시켰다.
주기적으로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당뇨의 주 증상인 다갈 다뇨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용수의 섭취량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혈당을 꼬리 정맥혈을 채취하여 당뇨 킷트 (슈퍼글루코카드TM II, GT-1640, (주) 동방인터내셔널)로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혈청을 분리하여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G (Triglyceride)을 분석하였다.
체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세발당귀 추출물인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2mg/kg 투여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에서는 스트렙토조토신(STZ)과 2% sucrose 식이로 당뇨를 유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3 참조) 이로부터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이 당뇨 발병시 영양분 (당) 흡수 장해에 의한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혈당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서도 정상식이를 한 7일째에 스트렙토조토신(STZ)만 투여한 군(양성대조군, P_CON)에서는 500 mg/dl에 달하는 혈당치를 유지하였으나.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2mg/kg 투여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에서는 음성 대조군(N_CON)과 비슷한 100 mg/dl 정도까지 혈당이 떨어졌고, 이후에도 스트렙토조토신만 투여한 군(양성대조군, P_CON)에 비해서 낮은 혈당치를 유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도 4 참조)
지질 분석에서도 total cholesterol은 당뇨유발 그룹(양성 대조군,P_CON)에 비해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2mg/kg 투여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에서 10-16% 감소하였고, TG (Triglyceride)또한 당뇨유발 그룹(양성 대조군, P_CON)에 비해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 2mg/kg 투여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에서 20-30% 감소하였으며, HDL-Cholesterol은 당뇨유발 그룹(양성 대조군, P_CON)에 비해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 (D/DA) 2mg/kg 투여군(실험군 : STZ + D/DA 2 mg/kg)에서 19-21% 증가하였다.(도 5 참조)
상기 결과로 볼 때 심혈관 질환 중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는 TG(Triglyceride)와 total cholesterol의 양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질환을 개선시키는 HDL-cholesterol의 수치는 증가시켜주는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다.
도1a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에서 추출 분리 정제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의 HPLC분석자료 및 구조이고, 도1b는 및 세발당귀에서 추출 분리 정제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의 HPLC분석자료 및 구조임
도2a는 추출 정제된 98% 순도의 참당귀 추출농축물이고, 도2b는 98% 순도의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임
도3은 당뇨가 유발된 설치류에서 세발당귀 추출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의 체중증가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음성 대조군(N_CON)은 정상적인 식이(음용수로 실험개시 1일부터 28일까지 일반 수돗물을 복용)를 한 군이며, 양성대조군(P_CON)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STZ)을 50 mg/kg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군이고, 실험군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50 mg/kg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98%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을(D/DA) 2 mg/kg을 매일 1회씩 28일간 경구투여한 군(STZ+D/DA 2mg/kg)이다.
양성대조군((P_CON) 및 실험군(STZ+D/DA 2mg/kg)의 음용수는 실험개시 1일부터 시작 후 6일까지는 2% 수크로즈(2% S로 표기)를 음용수로 복용하였고 7일부터 실험종료일인 28일까지는 일반 수돗물(N으로 표기)을 음용수로 복용시켰다.
도4는 동물 실험의 결과로 정상적인 실험군인 음성대조군(N_CON), Streptozotocin을 50 mg/kg을 실험용 쥐의 복강에 투여한 양성대조군(P_CON), 그리고 Streptozotocin을 50 mg/kg을 실험용 쥐의 복강에 투여한 뒤 세발당귀 추출물인 98% 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을 2 mg/kg 투여한 군(STZ+D/DA 2mg/kg)에서의 혈액중의 혈당 변화를 비교한 결과
음성 대조군(N_CON)은 정상적인 식이(실험개시 1일부터 28일까지 일반 수돗물을 음용수로 복용)를 한 군이며, 양성대조군((P_CON) 및 실험군(STZ+D/DA 2mg/kg)의 음용수는 실험개시 1일부터 시작 후 6일까지는 2% 수크로즈(2% S로 표기)를 음용수로 복용하였고 7일부터 실험종료일인 28일까지는 일반 수돗물(N으로 표기)을 음용수로 복용시켰다.
도5는 동물 실험의 결과로 정상적인 실험군인 음성대조군(N_CON), Streptozotocin을 50 mg/kg을 실험용 쥐의 복강에 투여한 양성대조군(P_CON),그리고 Streptozotocin을 50 mg/kg을 실험용 쥐의 복강에 투여한 뒤 세발당귀 추출물인 98%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D/DA)을 2 mg/kg 투여한 군(STZ+D/DA 2mg/kg)에서의 혈액 중의 지질 변화를 비교한 결과

Claims (10)

  1. 당뇨성 질환에서의 중성지방(trigyceride)의 혈중농도는 감소시키고 HDL cholesterol의 혈중농도를 높이는 지질대사개선작용을 가지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은 total cholesterol의 혈중농도를 낮추는 지질대사개선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이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이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5. 당뇨성 질환에서의 체중증가효과가 있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당귀 추출농축물이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당귀 추출농축물
  7. 당뇨성 질환에서의 HDL cholesterol의 혈중농도를 높이는 지질대사개선작용 을 가지는 참당귀 추출농축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추출농축물이란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당귀 추출농축물
  9.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를 에탄올을 첨가하여 진탕하에서 추출하고 농축하여 점성이 높은 물질을 얻는 단계 ;
    이 물질을 에탄올로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에 함유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녹이고 영하의 온도에서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여 상등액을 얻고 상등액을 증발건고하여 농축물을 얻는 단계 ;
    이 농축물에 물로 희석된 에탄올을 사용하여 가용화시키는 단계;
    희석에탄올에 녹지 않는 불순물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희석 에탄올층을 취하여 증발 건고하는 단계;
    증발건고된 물질에 헥산과 물을 넣어 녹인 후 헥산층을 수거하는 단계;
    수거한 헥산층을 증발건고 하여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를 추출농축하는 방법
  10.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를 40메시(40 mesh)이하로 잘게 분쇄하여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고 약전용 알콜 또는 주정알콜(이하 에탄올로 표기)로 분쇄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의 2배에서 5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진탕하에서 상온에서 16~24시간 추출하고 이것을 여과하고 이 여과물을 증발 건고하여 점성이 높은 물질을 얻는 단계 ;
    이 물질을 1 kg : 에탄올 1 liter 비율로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에 함유된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녹이고 영하 20℃ 이하에서 10시간 이상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상등액을 증발건고하여 농축물을 얻는 단계 ;
    이 농축물에 60%에탄올 50리터를 넣어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용출시키는 단계 ;
    60% 에탄올에 녹지 않는 불순물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
    60% 에탄올층을 취하여 증발 건고하는 단계;
    증발 건고된 물질에 물과 헥산을 동량 넣어 헥산층을 수거하는 단계;
    수거한 헥산층을 증발건고하여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추출농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당귀 또는 세발당귀를 추출농축하는 방법
KR1020080004122A 2008-01-14 2008-01-14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KR10099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22A KR100995891B1 (ko) 2008-01-14 2008-01-14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22A KR100995891B1 (ko) 2008-01-14 2008-01-14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67A true KR20090078267A (ko) 2009-07-17
KR100995891B1 KR100995891B1 (ko) 2010-11-23

Family

ID=4133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122A KR100995891B1 (ko) 2008-01-14 2008-01-14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8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67B1 (ko) * 2010-11-26 2013-02-1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0961B1 (ko) 2015-06-19 2016-03-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사용 현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883A (ko) 2015-02-06 2016-08-17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치료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KR20210155995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에버그린바이오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유 분획물의 제조방법
CN116585304A (zh) * 2023-04-25 2023-08-15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急性肝损伤保护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29A (ko) 2020-06-04 2021-12-1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 및 인디루빈 농축물을 포함하는 건선 또는 비염치료용 조성물
KR20230035919A (ko) 2021-09-06 2023-03-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간단 분리 공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67B1 (ko) * 2010-11-26 2013-02-1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883A (ko) 2015-02-06 2016-08-17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치료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KR101600961B1 (ko) 2015-06-19 2016-03-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사용 현탁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5995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에버그린바이오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유 분획물의 제조방법
CN116585304A (zh) * 2023-04-25 2023-08-15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急性肝损伤保护药物及其制备方法
CN116585304B (zh) * 2023-04-25 2024-04-05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急性肝损伤保护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891B1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entes et al. Hypoglycemic activity of Bauhinia candicans in diabetic induced rabbits
Hannan et al. Effect of soluble dietary fibre fraction of Trigonella foenum graecum on glycemic, insulinemic, lipidemic and platelet aggregation status of Type 2 diabetic model rats
Prince et al.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aemic effect of alcoholic Syzigium cumini seed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albino rats
KR100995891B1 (ko)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참당귀 및 세발당귀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JP6053873B2 (ja) サポニンの生体利用率増進組成物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29057B1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Frederick et 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mistletoe (Tapinanthus bangwensis) leaves grown on orange trees for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its physiological effect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in laboratory animals
KR101072905B1 (ko) 구아바와 가시오가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조성물
CN104857154A (zh) 一种治疗“三高”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985917B (zh) 用于降血糖、降血脂、控制糖尿病并发症的组合物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1512997A (ja) 分離された防風多糖及びその用途
Umar et al. In vivo antihyperglycaemic activity of crude and partitioned fractions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Patil et al. Antihyperglycemic and hypoglycemic effect of Ficus racemosa leaves
CN106822338A (zh) 降血糖降血脂、预防和/或治疗糖尿病及其并发症的复方组合物及其用途
Azadbakht et al. Effect of Pistacia khinjuk hydroalcoholic fruit extract on some biological parameters in male rats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Ekhaise et 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mistletoe (Tapinanthus Bangwensis) leaves grown on orange Trees for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its physiological effect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in laboratory animals
JP2007228872A (ja) エゾウコギ抽出物を用いた高血糖値改善作用を有する飲食品
KR102655708B1 (ko) 골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maru et al. Antidiabetic potentials of leaves extract of Barringtonia Racemosa (L) in Alloxan-induced Albino rats
KR102599594B1 (ko) 융단사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53757B1 (ko) 황새냉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