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643A -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643A
KR20090077643A KR1020080049685A KR20080049685A KR20090077643A KR 20090077643 A KR20090077643 A KR 20090077643A KR 1020080049685 A KR1020080049685 A KR 1020080049685A KR 20080049685 A KR20080049685 A KR 20080049685A KR 20090077643 A KR20090077643 A KR 2009007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transmitter
speaker
ear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필종
Original Assignee
유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필종 filed Critical 유필종
Publication of KR2009007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이어피스(ear-piece) 간에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아도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며, 하나의 음향기기로 여러 개의 헤드셋에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RF 트랜스미터와, 송출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좌,우 1쌍의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헤드셋으로 이루어진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RF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스캔 수단을 통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검색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정보는 상기 RF 트랜스미터와 이어피스에 구비된 무선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상기 이어피스에 전달하여 각각의 이어피스에 구비된 RF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헤드셋, 무선 스피커

Description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A WIRELESS HEADSET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UDIO SIGNAL BETWEEN MULTIPLE DEVICES, A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ND WIRELESS SPEAK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으로 오디오 기기를 청취할 수 있는 헤드셋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좌,우 1쌍의 이어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CD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기기의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고, 하나의 오디오 기기의 음향신호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수신하여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는 헤드셋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헤드셋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존의 유선 스피커에 적용하여, 유선 스피커를 일대다 출력이 가능하고 좌,우로 분리된 무선 스피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헤드셋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기로서,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기를 말하며, 이러한 헤드셋은 통상 오디오 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조와, 상기 고정구조에 설치되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좌,우 1쌍의 이어피스와, 이들 이어피스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오디오 기기와 연결된 케이블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나 동글(DONGGLE)을 사용하여 오디오 기기와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음향 신호를 스테레오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무선 헤드셋을 구성하는 좌,우 이어피스 간에는 케이블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이어피스 간의 케이블도 사용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84096호에는 블루투스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제1 이어피스와 제2 이어피스에 각각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어피스 간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테레오신호 통신용 시스템과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블루투스 방식의 경우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1:1 간의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테레오 출력을 위하여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양쪽의 이어피스에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보내기 위해 오디오 기기에 연결되는 트랜스미터에 좌,우의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2개의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어야하며, 이는 제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방식은 주로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디오 기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거리에서는 작동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박물관, 공연장, 버스, 선박 등에서 하나의 오디오 기기를 통해 여러 사용자에게 무선 헤드셋을 통해 음향 신호 또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면 오디오 기기나 트랜스미터에 전달하고자 하는 헤드셋의 수(스테레오 출력을 위해서는 헤드셋 수의 2배) 만큼의 블루투스 모듈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방식은 현실적으로 다기기(즉 일대다(一對多)) 간의 음향신호 전달을 위한 무선 헤드셋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무선으로 출력될 수 있는 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별도로 판매되는 고가의 무선 스피커 시스템이나 무선 스피커용 송수신 장치를 구매해야 했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제품은 좌,우가 분리돼있지 않은 일체형 무선 스피커가 대부분인데, 이와 같이 일체형 무선 스피커가 대부분인 가장 큰 이유는 이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솔루션(solution)이 없고 좌,우 분리를 위해서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체형 무선 스피커들은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더라도 음원이 방출되는 스피커 자체가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노 스피커에 비해 크게 향상된 음질을 즐기기 어려웠다.
더욱이 MP3, PMP, DMB, 컴퓨터 등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오디오 제품들 대부분이 스피커가 본체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분리된 출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좌,우 1쌍의 이어피스(earpiece) 간에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아도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며, 하나의 음향기기와 여러 세트의 헤드셋 간(즉, 일대다)의 자유로운 쌍방향 제어가 가능하고,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제조원가가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헤드셋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스피커의 무선 수신장치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없이 기존의 유선 스피커를 좌,우 분리될 뿐 아니라 일대다 출력이 가능한 무선 스피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은, 사용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주파수를 검색하여 설정하는 스캔수단과, 설정된 주파수로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송출하는 RF신호 송출수단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트랜시버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오디오 기기에 배치되는 RF 트랜스미터;와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제1 무선트랜시버와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제2 무선트랜시버와, 수신한 RF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과,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좌,우 분리된 1쌍의 이어피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헤드셋을 포함하며, 상기 RF 트랜스미터에서 설정된 주파수로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헤드셋에서 설정된 주파수에 맞추어 송출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다기기간 오디오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은 사용환경에서 가능한 주파수를 찾아서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각 이어피스에서는 공중으로 송출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RF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하나의 칩으로, 오디오 신호가 도달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헤드셋에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방식과 같이 트랜스미터에 다수의 칩을 구비하지 않아도 일대다(一對多)의 오디오 신호 전달이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은 RF 트랜스미터와 헤드셋을 구성하는 각 이어피스 상호 간에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트랜시버를 구비함으로써, RF 각 기기 간에 쌍방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RF신호로는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주파수 대역이나 가능하나, 사용 가능한 영역의 면적, 비용 등의 측면에서 FM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어피스에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이어피스에 구비된 무선트랜시버와 함께 입력장치를 통해 각 이어피스에서 RF 트랜스미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캔 수단은 사용환경에서 사전에 정해진 수만큼 검색하여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며, 복수의 RF 트랜스미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방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일방의 RF 트랜스미터는 다른 RF 트랜스미터가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를 사전에 정해진 수만큼 스캔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주파수를 처리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겹치는 RF신호 송출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이어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휴대폰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RF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의해, 오디오신호를 포함하는 RF신호 수신 또는 휴대폰의 음성신호의 수신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RF 트랜스미터와, 송출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좌,우 1쌍의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헤드셋으로 이루어진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RF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스캔 수단을 통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검색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정보는 상기 RF 트랜스미터와 이어피스에 구비된 무선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상기 이어피스에 전달하여 각각의 이어피스에 구비된 RF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RF신호는 FM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의 검색은 이어피스에 구비된 스캐너를 사용하고, 검색된 정보를 RF 트랜스미터에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으로서, 상기 좌,우 분리된 1쌍의 이어피스의 제2 제어수단과 스피커 사이에 출력신호분리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신호분리모듈로부터 외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는 출력단자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와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연결되는 외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피커는 AUX단자와 같이 외부 입력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라면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피스를 거치하여 충전하는 크래들(cradle)에 장착된 외부 스피커를 이용할 경우 이어피스를 충전하면서 크래들을 좌,우 분리된 스피커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를 장시간 이용할 경우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은 다수의 기기에 송출되는 RF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어칩을 구비한 하나의 RF 트랜스미터로 다수의 무선 헤드셋에 음향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사용 영역도 상당히 확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은 종래의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동등 이상의 기능, 즉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은 좌,우 이어피스 간의 스테레오 출력과 하나의 오디오 기기에 대해 여러 개의 헤드셋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종래의 무선 헤드셋에 비해 제조원가를 1/3 ~ 1/4의 정도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을 활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은, 무선 헤드셋에 구비된 무선 송, 수신 시스템을 스피커에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헤드셋과 기존의 스피커의 입력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케이블과 같은 저가의 연결수단만 추가로 구비하면 무선 스피커가 되므로, 소비자가 별도로 고가의 무선 스피커를 구매하지 않아도 무선 스피커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스피커 시스템은 좌,우 분리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스피커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유선 스피커를 좌,우 분리 가능한 무선 스피커로 구현할 수 있어, 좌,우 분리형 홈시어터와 같은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된 무선 헤드셋 시스템이 일대다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음원으로부터 다수의 스피커에도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무선 헤드셋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어피스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은, 크게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 TV, 휴대폰 등과 같이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오디오 기기의 출력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랜스미터(10)와, 사용자 양쪽 귀의 좌우측에 부착되어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출력되는 FM 신호를 받아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이어피스(20)와 제2 이어피스(30)로 구분된다.
상기 트랜스미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기기의 음향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FM신호송출기(11)와, 사용자의 사용환경에서 사용이 되지 않는 빈 주파수를 스캔하는 스캐너(12)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터(10)의 외부에 형성된 키패드(16)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장치(14)와, 상기 제1 이어피스(20) 및 제2 이어피스(30)와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제1 무선트랜시버(15)와, 이들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마이컴(1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무선트랜시버(15)로는 일 대 다의 통신이 가능한 nRF24L01모델을 사용하였고, 상기 마이컴(13)으로는 상용의 8 비트급 마이컴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1 이어피스(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 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26)과 키패드(27)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M신호송출기(11)로부터 송출되는 FM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테레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FM 수신기(21)와, 상기 키패드(27)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장치(23)와, 상기 트랜스미터(10) 및 제2 이어피스(30)와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제2 무선트랜시버(24)와, 이들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마이컴(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컴(22)과 제2 무 선트랜시버(24)는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2 이어피스(3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우측 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36)과 키패드(37)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M신호송출기(11)로부터 송출되는 FM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테레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FM 수신기(31)와, 상기 키패드(37)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장치(33)와, 상기 트랜스미터(10) 및 제1 이어피스(20)와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제3 무선트랜시버(34)와, 이들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마이컴(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컴(32)과 제2 무선트랜시버(34)는 상기 트랜스미터(10)와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였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트랜스미터에 2개의 이어피스가 1개의 세트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랜스미터에 4개의 이어피스와 같이 다수 개의 이어피스를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 TV, 휴대폰 등과 같이 음향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 기기의 출력부에 트랜스미터(10)의 입력부를 접속시킨다.
트랜스미터(10)와 제1 및 제2 이어피스(20,30)의 전원을 ON한 후, 트랜스미터(10)에 구비된 키패드(16)을 통해, 주파수 스캔을 입력하면, 트랜스미터(10)는 스캐너(12)를 통해 현재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4개의 주파수를 검색하여 사용 주파 수로 설정한다.
이어서 설정된 주파수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고 상기 제1 무선트랜시버(15)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어피스(20,30)의 제2 및 제3 무선트랜시버(24,34)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보낸다.
그리고, 트랜스미터(10)는 상기 오디오 기기의 출력부로부터 받은 음향신호를 선택된 사용 주파수 대역의 FM 신호로 변환하여, FM신호송출기(11)를 통해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이어피스(20,30)에서는 정해진 주파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FM 신호를 수신하며, 제1 또는 제2 이어피스(20,30)에 구비된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한다. 이때 스테레오 출력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 좌,우의 스테레오 신호로 분리하여 수신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이어피스(20,30)에 구비된 키패드(27,37)를 통해, "play", "stop"과 같은 작동키를 누르게 되면, 제1 또는 제2 이어피스(20,30)에 구비된 제2 또는 제3 무선트랜시버(24,34)를 통해 제어신호가 상기 트랜스미터(10)의 제1 무선트랜시버(15)로 전해지며, 이를 통해 트랜스미터(10)는 작동을 중지하거나 시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트랜스미터를 작동할 필요가 없이, 귀에 장착된 이어피스를 통해 용이하게 트랜스미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무선 스피커 시스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스피커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크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어셋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피커 시스템을 위하여, 좌,우 이어피스(20,30)의 마이콤(22,32)과 스피커(25,35)의 사이에는 출력신호를 분리하는 출력신호분리모듈(26,36)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출력신호분리모듈(26,36)로부터 외부 스피커(41a,41b)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27,37)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스피커(40)로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어피스의 밧데리를 충전하며 외부입력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크래들(50)에 장착된 스피커(41a,41b)를 사용한다.
상기 크래들(50)의 상부에는 이어피스(20,30)를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51)은 각각 1개의 이어피스(20,30)와 트랜스미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어피스(20,30)가 수용되는 홈의 상면에는 크래들(50)에 구비된 스피커(41a,41b)의 외부입력단자(5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어피스(20,30)를 장착하였을 때, 이어피스(20,30)의 출력부가 상기 외부입력단자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무선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PMP, MP3, CD 플레이어 등의 오디오로부터 방출된 오디오신호는 트랜스미터(10)를 통해 무선으로 좌,우 이 어피스(20,30)로 전해지고 좌,우 이어피스(20,3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상기 출력신호분리모듈(26,36)을 통해 이어피스(20,30)의 출력부(27,37)와 외부 스피커(41a,41b)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스피커로 오디오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50)에 장착된 외부 스피커(41a,4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리된 무선 스피커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크래들(50)에 장착된 외부 스피커를 사용하였으나, 외부 입력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피스(20,30)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스피커라면 어떠한 스피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어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트랜스미터에 다수 개의 이어피스가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스피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어셋을 충전하기 위한 크래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크래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어셋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크래들을 이용하여 좌,우 분리된 무선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Claims (11)

  1. 사용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주파수를 검색하여 설정하는 스캔수단과, 설정된 주파수로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송출하는 RF신호 송출수단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트랜시버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오디오 기기에 배치되는 RF 트랜스미터와,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제1 무선트랜시버와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제2 무선트랜시버와, 수신한 RF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과,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좌,우 분리된 1쌍의 이어피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헤드셋을 포함하며,
    상기 RF 트랜스미터에서 설정된 주파수로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헤드셋에서 설정된 주파수에 맞추어 송출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다기기간 오디오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신호는 FM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에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 는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수단은 사용환경에서 사전에 정해진 수만큼 검색하여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RF 트랜스미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방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일방의 RF 트랜스미터는 다른 RF 트랜스미터가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를 사전에 정해진 수만큼 스캔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RF 트랜스미터와 복수 개의 이어피스에 구비된 입력수단과 무선트랜시버를 통해 다자간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좌,우 이어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휴대폰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RF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의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RF신호 수신 또는 휴대폰의 음성신호의 수신이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
  8.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RF 트랜스미터와, 송출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좌,우 1쌍의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헤드셋으로 이루어진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RF 트랜스미터 또는 이어피스에 구비된 스캔 수단을 통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검색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정보는 상기 RF 트랜스미터와 이어피스에 구비된 무선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상기 이어피스 또는 RF 트랜스미터에 전달하여 각각의 이어피스에 구비된 RF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RF신호는 FM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무선 헤드셋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으로서, 상기 좌,우 분리된 1쌍의 이어피스의 제2 제어수단과 스피커 사이에 출력신호분리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신호분리모듈로부터 외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는 출력단자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와 외부 스피커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연결되는 외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스피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피커는 상기 이어피스를 거치하여 충전하는 크래들(cradle)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스피커 시스템.
KR1020080049685A 2007-12-06 2008-05-28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KR20090077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6300 WO2009072684A1 (en) 2007-12-06 2007-12-06 A wireless headset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udio signal between multiple devices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PCT/KR2007/006300 2008-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643A true KR20090077643A (ko) 2009-07-15

Family

ID=4071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685A KR20090077643A (ko) 2007-12-06 2008-05-28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77643A (ko)
WO (1) WO20090726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16B1 (ko) * 2012-04-12 2014-02-24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820B1 (en) * 1999-04-02 2002-07-23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Inductively coupled wireless system and method
JP3770586B2 (ja) * 2000-12-27 2006-04-2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WO2004052049A1 (en) * 2002-12-04 2004-06-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reo signal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transceivers in earpieces
US20050136839A1 (en) * 2003-05-28 2005-06-23 Nambirajan Seshadri Modular wireless multimedia device
US8050203B2 (en) * 2004-12-22 2011-11-01 Eleven Engineering Inc. Multi-channel digital wireless audio system
KR20070051109A (ko) * 2005-11-14 2007-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헤드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16B1 (ko) * 2012-04-12 2014-02-24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684A1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289B2 (en) Wireless stereo headset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100285750A1 (en) Wireless Audio Stereo and Intercom System
KR20040045841A (ko) 셀폰 또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용 모듈러 헤드셋
US20080137896A1 (en) Headset Capable of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s
EP0872032A1 (en) Short-range magnetic communication system
CN111447600B (zh) 无线耳机的音频共享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0413422Y1 (ko) 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
WO2013002558A2 (ko) 다기능 무선 헤드셋
CN108093332B (zh) 可拆分的组合式音箱
KR200397845Y1 (ko)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CN217770320U (zh) 一种具备音频切换功能的tws耳机充电仓
KR102251322B1 (ko)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어폰 시스템
KR20090077643A (ko)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KR101664195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CN204498356U (zh) 可分离的环绕音箱系统
CN1988733A (zh) 可遥控携带型信息处理装置的无线耳机
EP2339765A1 (en) Flush mounted bluetooth audio interfac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to a mobile device provided with a bluetooth peripheral device
KR200412452Y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CN204652644U (zh) 无线耳麦、音频处理设备及音频处理系统
CN216134569U (zh) 无线麦克风系统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CN214544596U (zh) 无线盒子及直播系统
KR100777976B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