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016B1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016B1
KR101366016B1 KR1020120037682A KR20120037682A KR101366016B1 KR 101366016 B1 KR101366016 B1 KR 101366016B1 KR 1020120037682 A KR1020120037682 A KR 1020120037682A KR 20120037682 A KR20120037682 A KR 20120037682A KR 101366016 B1 KR101366016 B1 KR 10136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adio
volume
inform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429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Priority to KR102012003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01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은,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기기; 및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라디오 수신을 위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제 2 기기로 음향 크기의 제어를 위한 음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테레오 헤드셋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헤드셋의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주파수 및 음량을 동기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Radio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의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 간의 라디오 주파수 및 음량을 제어하고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셋은 모노 헤드셋과 스테레오 헤드셋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스테레오 형태로 구현된 헤드셋의 경우,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은 유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활동성 및 편리함이 떨어진다.
그러나, 헤드셋의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을 무선으로 구현할 경우,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음량을 동기화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최근의 헤드셋은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 각각에 라디오 수신기가 탑재되어 있어, 별도로 음악을 수신 가능하게 하여 스테레오 헤드셋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같은 채널에서 송신하는 라디오 방송을, 같은 크기의 음향으로 들을 수 있도록, 즉 실질적 의미의 스테레오 헤드셋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주파수 및 음량을 동기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스테레오 헤드셋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헤드셋의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주파수 및/또는 음량을 동기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은,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기기; 및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라디오 수신을 위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제 2 기기로 음향 크기의 제어를 위한 음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 2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제 1 기기로부터의 음량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는 제 2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a) 제 1 기기에서 제어 주파수 또는 제어 음량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 1 기기에서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제 1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상기 (a+1) 단계 이후에, (a+2)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기기와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테레오 헤드셋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헤드셋의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주파수 및/또는 음량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100)의 외관도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100)은, 소정 주파수의 라디오를 수신하여, 라디오에 포함된 스테레오 음향 신호 중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기기 및/또는 소정 주파수의 라디오를 수신하여, 스테레오 음향 신호 중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기(20)를 포함한다. 즉, 제 1 기기(10) 및 제 2 기기(20)의 실시예로는 헤드셋(또는 이어폰)을 들 수 있고, 스테레오 헤드셋(또는 이어폰)으로 구현하기 위해 제 1 기기(10)가 오른쪽 스피커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면, 제 2 기기(20)가 왼쪽 스피커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기기(10) 및 제 2 기기(20)는 와이어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100)은 제 1 기기(10) 및 제 2 기기(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기기(10)는, 제 1 라디오 수신부(11), 제 1 블루투스 통신부(12), 제 1 음향 선택부(13), 제 1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14), 제 1 주파수 제어부(15), 제 1 음량 제어부(16), 제 1 송수신 제어부(17), 제 1 스피커부(18) 및 제 1 사용자 조작부(19)를 포함한다.
제 1 라디오 수신부(11)는 라디오의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조작부(19)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라디오 주파수 및 음량을 설정하면, 제 1 라디오 수신부(11)에서 원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한다. 이때 제 1 음향 선택부(13)는 제 1 라디오 수신부(11)로부터의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음향 중 하나인 제 1 음향 신호만을 선택하고, 제 1 스피커부(18)로 설정된 음량으로, 즉 음향의 크기로 출력하여 사용자는 음악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블루투스 통신부(12)는, 제 1 기기(10)가 다른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 SPP)를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주파수 제어부(15)는, 다른 기기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제 1 기기(10)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 음량 제어부(16)는, 다른 기기로 음량 정보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의 음량 정보에 따라 제 1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송수신 제어부(17)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제 1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14)가 마스터로 선택되었다면, 제 1 기기(10)는 마스터로 동작하게 되어, 설정된 주파수 정보 및/또는 음량 정보에 따라 주파수 및/또는 음량을 변경하고, 제 1 주파수 제어부(15)는 다른 기기에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고, 제 1 음량 제어부(16)는 다른 기기에 음량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제 1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14)가 슬레이브로 선택되었다면, 제 1 주파수 제어부(15)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제 1 기기(10)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고, 제 1 음량 제어부(16)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음량 정보에 따라 제 1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게 된다.
제 2 기기(20)는, 제 2 라디오 수신부(21), 제 2 블루투스 통신부(22), 제 2 음향 선택부(23), 제 2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24), 제 2 주파수 제어부(25), 제 2 음량 제어부(26), 제 2 송수신 제어부(27), 제 2 스피커부(28) 및 제 2 사용자 조작부(29)를 포함한다.
제 2 라디오 수신부(21)는 라디오의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조작부(29)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라디오 주파수 및 음량을 설정하면, 제 2 라디오 수신부(21)에서 원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한다. 이때 제 2 음향 선택부(23)는 제 2 라디오 수신부(21)로부터의 제 1 음향 신호 및 제 2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음향 중 하나인 제 2 음향 신호만을 선택하면, 제 2 스피커부(28)로 설정된 음량에 의해 출력하여 사용자는 음악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블루투스 통신부(22)는, 제 2 기기(20)가 다른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 SPP)를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주파수 제어부(25)는, 다른 기기에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제어 명령에 따라 제 2 기기(20)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 음량 제어부(26)는, 다른 기기에 음량 제어 명령을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의 음량 정보에 따라 제 2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송수신 제어부(27)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제 2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24)가 마스터로 선택되었다면, 제 2 기기(20)는 마스터로 동작하게 되어, 설정된 주파수 정보 및/또는 음량 정보에 따라 주파수 및/또는 음량을 변경하고, 제 2 주파수 제어부(25)는 다른 기기에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음량 제어부(26)는 다른 기기에 음량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제 2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24)가 슬레이브로 선택되었다면, 제 2 주파수 제어부(25)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제 2 기기(20)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고, 제 2 음량 제어부(26)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음량 정보에 따라 제 2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게 된다.
제 1 기기(10)와 제 2 기기(20)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 1 기기(10)가 마스터로 선택되고, 제 2 기기(20)가 슬레이브로 선택된 상황을 가정하여 제 1 기기(10) 및 제 2 기기(2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주파수 제어부(15)는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고, 제 2 기기(20)에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고, 제 1 음량 제어부(16)는 설정된 음량 정보에 따라 음량을 변경하고, 제 2 기기(20)에 음량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 2 주파수 제어부(25)는, 제 1 기기(10)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제 2 라디오 수신부(21)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한다. 또한, 제 1 음량 제어부(16)는 제 2 기기(20)에 음량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음량 제어부(26)는 제 1 기기(1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제 2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제 1 기기(10)에서 제어 주파수 또는 제어 음량을 설정하는 단계(S10), 제 1 기기(10)에서 S10 단계에서 설정된 제어 주파수 또는 제어 음량을 저장하는 단계(S20), 제 1 기기(10)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제 1 기기(10)에 제 2 기기(20)가 연결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연결이 확인된 경우, 제 1 기기(10)에서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기기(20)로 송신하는 단계(S40), 제 2 기기(20)가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S50), 제 2 기기(20)가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제어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기기(20)의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S60), 및 제 1 기기(10)가 제 2 기기(20)의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 정보를 수신하여, 제 2 기기(20)와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또한, S30 단계에서 연결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제 1 기기(10)와 제 2 기기(20)가 연결되었다는 확인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S80).
또한, S10 단계에서 제어 주파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저장된 다수의 주파수 정보로부터 선택하거나, 이전 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로부터 단계적으로 더하거나 빼는 방법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100)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스테레오 헤드셋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헤드셋의 오른쪽 스피커 측과 왼쪽 스피커 측의 주파수 및 음량을 동기화할 수 있다.
100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10 : 제 1 기기 20 : 제 2 기기
11 : 제 1 라디오 수신부 12 : 제 1 블루투스 통신부
13 : 제 1 음향 선택부 14 : 제 1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
15 : 제 1 주파수 제어부 16 : 제 1 음량 제어부
17 : 제 1 송수신 제어부 18 : 제 1 스피커부
19 : 제 1 사용자 조작부
21 : 제 2 라디오 수신부 22 : 제 2 블루투스 통신부
23 : 제 2 음향 선택부 24 : 제 2 마스터 슬레이브 선택부
25 : 제 2 주파수 제어부 26 : 제 2 음량 제어부
27 : 제 2 송수신 제어부 28 : 제 2 스피커부
29 : 제 2 사용자 조작부

Claims (15)

  1. 라디오를 수신하고, 제 1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기기; 및
    라디오를 수신하고, 제 2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상기 제 2 기기의 라디오 수신을 위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 1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제 2 기기로 음향 크기의 제어를 위한 음량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음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량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는 제 1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로 라디오 수신을 위한 주파수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 2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제 1 기기로 음향 크기의 제어를 위한 음량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음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량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음향 신호의 출력 크기를 변경하는 제 1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6. 라디오를 각각 수신하는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를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기기에서 라디오 수신을 위한 제어 주파수 또는 제어 음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 1 기기에서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기기가 상기 제어 주파수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제 1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상기 제 1 기기에 상기 제 2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동기화 방법은, 상기 (a+1) 단계 이후에,
    (a+2)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 또는 음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기기와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
  10. 제 6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방법.
  11. 라디오를 수신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기기를 포함하는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라디오의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라디오 수신 주파수 정보를 상기 제 2 기기로 송신 또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라디오 수신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또는 제 2 기기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기기의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 1 주파수 제어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음량 정보를 상기 제 2 기기로 송신 또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음량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음량 또는 상기 제 2 기기로부터 음량 정보에 따라 출력하는 음향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 1 음량 제어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라디오의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기기와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상기 제 2 기기에의 정보 송수신은 블루투스의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KR1020120037682A 2012-04-12 2012-04-12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2A KR101366016B1 (ko) 2012-04-12 2012-04-12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682A KR101366016B1 (ko) 2012-04-12 2012-04-12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29A KR20130115429A (ko) 2013-10-22
KR101366016B1 true KR101366016B1 (ko) 2014-02-24

Family

ID=4963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682A KR101366016B1 (ko) 2012-04-12 2012-04-12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0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313A (ja) * 2002-09-26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KR20080014241A (ko)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무선 mp3 이어폰
KR20090077643A (ko) * 2007-12-06 2009-07-15 유필종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313A (ja) * 2002-09-26 2004-04-15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KR20080014241A (ko) * 2006-08-10 2008-02-14 강인석 무선 mp3 이어폰
KR20090077643A (ko) * 2007-12-06 2009-07-15 유필종 다기기간 음향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스피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29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156B1 (ko) 이어폰 무선 통신 방법, 마스터 이어폰, 슬레이브 이어폰 및 이어폰 시스템
US9904508B1 (en) Method for changing type of streamed content for an audio system
KR20110072650A (ko)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
KR1013917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사운드 제어방법
WO2015117533A1 (zh) 一种实现多声道立体声输出的方法、终端和系统
EP3306958B1 (en) Audio system, audio device, and audio device setting method
KR20170139534A (ko) 멀티-소스 무선 헤드폰 및 오디오 스위칭 디바이스
US10474424B2 (en) Control method, audio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10306366B2 (en) Audio system, audio device, and audio signal playback method
US9936310B2 (en) Wireless stereo hearing assistance system
US11483612B2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paired wireless connections for multiple wireless headphones and related methods
JP2010252134A (ja) 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2006339856A (ja) テレビ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の出力制御方法
KR101468605B1 (ko) 능동적인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66016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라디오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64109A1 (en) Speaker arrangement
CN112105005A (zh) 一种控制蓝牙设备播放的方法及装置
CN110740400B (zh) 充电盒、tws耳机及其系统、重连装置和方法
CN105744288A (zh) 一种音视频播放系统中的播放控制方法及装置
KR20110113667A (ko) 마스터 블루투스 단말기와, 적어도 두 개의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노 단말기를 통해 멀티 채널 음향을 듣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104122U (zh) 无线音响系统及其适用的音响模块
EP4131984A1 (en) Sound input/output control device, sound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70013384A1 (en) Remote control and audio a2dp for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782980B1 (ko) 모바일 기기와 채널 스피커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709655A (zh) 移动终端、播放系统和播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