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729A -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729A
KR20090076729A KR1020080002832A KR20080002832A KR20090076729A KR 20090076729 A KR20090076729 A KR 20090076729A KR 1020080002832 A KR1020080002832 A KR 1020080002832A KR 20080002832 A KR20080002832 A KR 20080002832A KR 20090076729 A KR20090076729 A KR 2009007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braid
braiding
layer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073B1 (ko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0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06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with spool carriers moving always in the same direction in endless path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24Devices for controlling spool carriers to obtain patterns, e.g. devices on guides or track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다층 구조의 편조물과, 이 편조물을 한 번의 편조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편조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는, 편조사를 서로 엮어서 편조물을 편조하는 편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기본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기본 편조부: 상기 기본 편조층의 편조과정에서 그 외부 또는 내부에 적어도 한 층 이상의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본 편조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접속되어 소정 궤도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부가 편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편조부 및 상기 부가 편조부에는 상기 기본 편조층 또는 상기 부가 편조층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조물을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편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구성과 강도가 요구되는 물품이나 사용개소에 새로운 소재로 제공하여 관련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심선, 다층 구조, 편조층, 편조장치, 도전선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STRATIFORM BRAID AND BRAIDING MACHINE THEREOF }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다층 구조의 편조물과, 이 편조물을 한 번의 편조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편조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조사를 엮어서 형성되는 편조물(통상적으로 직조끈 또는 브레이드로 호칭됨)은 호스, 또는 신발끈과 같은 결속용 끈으로 사용된다. 즉 끈으로 된 심선의 외주면에 편조사를 엮어서 외피층을 형성한 것으로, 심선의 신축, 이완작용을 보완하거나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심선을 보호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전술한 편조물을 편조하기 위한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7291호의 "안내장치를 갖는 편조장치용 캐리어" 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8360호의 "다각 편조된 브레이드 및 그 편조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편조장치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5)가 이동되는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12)과, 캐리어(15)를 가이드판(12)의 궤도를 따라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이송기어(13), 및 다수의 이송기어(13)를 구동하는 전동기어(17), 상기 이송기어(13) 및 전동기어(17)가 수용되는 베이스판(11)를 구비한다.
캐리어(15)는 가이드판(12)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그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기구(152)와, 편조사가 감김되는 편수기구(153)를 포함한다. 지지기구(152)는 이송구(14)의 궤도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두 개의 지지판(154)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구(14)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궤도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캐리어(15)를 이송시키면서 편조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편조장치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편조물을 권취하도록 가이드판(12)의 상측에 구성되는 다수의 롤러(18),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동기어(17)로 인가하도록 벨트가 연결되는 풀리(17a), 및 전동기어(17)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칭수단(19)을 구비한다.
가이드판(12)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굴곡부를 갖도록 원형곡선으로 형성되는 2개의 궤도(12a,12b)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송기어(13)에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송홈(141)이 형성된 이송구(14)가 별도로 결합되거나,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송홈(141)을 갖는 이송구(14)가 이송기어(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편조장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편조물은 신발끈 과 같은 띠 형태의 편조물, 또는, 도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심선(21)을 구비하고 심선의 외부에 커버 형태로 단일의 편조층(24)을 형성한 편조물(2)을 제조할 수 있고, 등록특허 제10-0348360호에 의하면, 편조층의 표면이 다각 편조되는 편조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발끈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편조물 외에도 그 사용개소와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편조물이 요구되고 있다. 즉, 특정 소재로 형성한 편조층의 외면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거나, 높은 내구성과 강도가 요구되는 물품이나 사용개소의 경우, 다층 구조로 형성한 편조물을 요구한다. 특히, 이러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은 한정된 단면적내에서 보다 조밀하게 편조사를 편조할 수 있어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고강도와 내구성을 갖게 되므로 다양한 물품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고, 관련 분야의 기본 소재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편조장치는 단층 구조의 편조층만을 편조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요구를 만족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한번의 편조에 의해 다층의 편조층을 형성한 편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층 구조의 편조층을 갖는 편조물을 한 번의 편조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편조할 수 있도록 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을 갖는 도전선을 한 번의 편조공정을 통해 구성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은, 복수의 편조사에 의해 선형으로 편조되는 편조물에 있어서, 상기 편조물은, 상기 편조사에 의해 편조되어 선형으로 형성되는 기본 편조층과;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한 층이상으로 편조, 형성되는 부가 편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되는 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선은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 편조층은 도전성을 갖는 선재에 의해서만 편조되거나, 섬유사와 도전성을 갖는 선재가 혼사되어 편조되고, 상기 부가 편조층은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에 의해 편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편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조케이블은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상에 나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조케이블을 편조하는 편조사는 도전성을 갖는 선재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을 갖는 선재는 절연층이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편조층 및 상기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는 편조사는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섬유사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는, 편조사를 서로 엮어서 편조물을 편조하는 편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기본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기본 편조부: 상기 기본 편조층의 편조과정에서 그 외부 또는 내부에 적어도 한층 이상의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본 편조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접속되어 소정 궤도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부가 편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편조부 및 상기 부가 편조부에는 상기 기본 편조층 또는 상기 부가 편조층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편조장치의 최하부에는 상기 편조물의 중심선을 형성하는 심선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심선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선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을 갖는 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심선이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공급되는 편조사가 밀착되어 엮겨짐과 동시에 상기 심선의 외면상으로 슬라이딩되어 편조되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선이 당겨져 소정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심선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편조부는,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캐리어가 안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캐리어안착부를 구비한 안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편조부는, 상기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편조부와 상기 부가 편조부는 편조사의 엮김 속도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캐리어의 지지기구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이송홈이 요입된 복수의 이송구; 상기 각 이송구가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이송기어; 및 상기 이송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편조부는,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본 편조층을 형성하는 궤도와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는 보조궤도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궤도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편조케이블의 형성을 위한 편조사를 공급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구동을 위한 이송구, 및 이송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편조부의 하측에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부에 심선을 공급하도록 심선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궤도는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주면에 한 쌍의 상기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판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편조케이블을 포함하는 기본 편조층의 외주면에 부가 편조층이 편조되도록 상기 기본 편조부의 상측에 부가 편조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조물을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편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구성과 강도가 요구되는 물품이나 사용개소에 새로운 소재로 제공하여 관련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선을 한 번의 편조공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고, 특히, 높은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신축성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분야와 섬유분야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관련 산업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a 내지 도5c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a 내지 도5c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혼돈되지 않은 범위에서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을 형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3)은, 편조사(a)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311)를 갖도록 편조되어 선형으로 형성되는 기본 편조층(31)과, 기본 편조층(31)의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한 층이상으로 편조, 형성되는 부가 편조층(32)을 포함한다.
기본 편조층(31)과 부가 편조층(32)은 소정 궤도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되는 캐리어상에 권취된 편조사에 의해 편조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편조장치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기본 편조층(31)은 도전성을 갖는 선재에 의해서만 편조되거나, 통상의 섬유사와 도전성을 갖는 선재가 혼사되어 편조됨으로써 전류의 통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가 편조층(32)은 기본 편조층(31)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재의 절연을 위해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편조층(31)의 편조시에 중공부 내부로 심선을 공급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심선(33)을 내설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심선(33)은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선재로 구성된다. 예컨대, 심선(33)은, 실리콘 수지, 스판사, 고무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3)은 기본 편조층(31)에 부가 편조층(32)이 덧씌워져 형성되므로 기본 편조물(31)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외부적 요인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편조층(31) 및 부가 편조층(32)이 서로 엮겨지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대해 신축성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기본 편조층(31)에 도전성을 갖는 선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신축성을 갖는 도전선을 형성할 수 있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3)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사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편조되어 선형으로 형성되는 기본 편조층(31)과, 기본 편조층(31)의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한 층이상으로 편조, 형성되는 부가 편조층(32)을 포함하되, 기본 편조층(31)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편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조케이블(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편조층(31)의 내부에 심선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편조케이블(34)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대해 신축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기본 편조층(34)의 외면상에 나선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편조케이블(34)을 편조하는 편조사는 도전성을 갖는 선재로 구성된다. 이 도전성을 갖는 선재는 도전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선재를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탄소섬유사, 금속미세선, 및 도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선 등으 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을 갖는 선재는 절연층이 코딩된 것이 바람직하고, 기본 편조층(31) 및 부가 편조층(32)을 형성하는 편조사는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섬유사로 구성됨으로써, 편조케이블(34)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은 도전성을 갖는 선재로 형성된 편조케이블(34)에 부가 편조층(32)이 덧씌워져 형성됨으로 편조케이블(34)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충분한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기본 편조층(31), 부가 편조층(32), 및 편조케이블(34)이 서로 엮겨지는 구조 즉, 편조되어 형성되므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대해 신축성을 갖게 되고, 편조케이블(34)이 도전성을 갖게 되므로 신축성을 갖는 도전선을 형성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의 전원공급선, 신호공급선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을 편조하는 편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는, 프레임(4), 이 프레임(4)상에 구성되어 기본 편조층(31)을 형성하는 기본 편 조부(5), 및 기본 편조층(31)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가 편조층(32)을 형성하도록 프레임(4)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부가 편조부(6)를 포함한다.
그리고, 편조장치에는 편조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는 편조물(3)을 권취하도록 다수의 롤러(9, 도1b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됨),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리칭수단(미도시;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를 매개로 풀리(17a)로 전달된 동력을 전동기어(17)로 전달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기본 편조부(5)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사(a)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51),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521,522)를 갖는 가이드판(52),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캐리어(51)를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53)을 포함한다.
부가 편조부(6)는 부가 편조층의 형성위치에 따라 기본 편조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성된다. 즉, 부가 편조층을 기본 편조부(5)의 상측에 구성하게 되면 편조과정에서 기본 편조층(31)의 외부에 부가 편조층(32)을 형성할 수 있고, 기본 편조부(5)의 하측에 구성하게 되면 편조과정에서 기본 편조층의 내부에 부가 편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기본 편조부(5)의 하측에 부가 편조부(6)를 구성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기본 편조부(5) 및 부가 편조부(6)에는 편조된 심선(33), 기본 편조층(31) 또는 부가 편조층(32)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59)을 구비한다.
한편, 기본 편조층(31)의 내부에 심선(33)을 내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조 장치의 최하부에 심선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심선공급부(7)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편조장치의 세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캐리어(51)는 통상의 편조장치에 널리 적용되는 것(도1a 또는 도1b에 도시된 캐리어(15)가 적용됨)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기구와, 편조사(a)가 감김되는 편수기구를 포함한다. 지지기구는 이송구의 궤도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두 개의 지지판을 구비하여 이송구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궤도(521,522)를 따라 이동된다.
가이드판(52)은 대략 원판 형상을 갖는 판형부재의 중앙에 상기 이동공(59)이 관통되고, 이동공(59)을 중심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는 한 쌍의 궤도(521,522)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궤도(521,522)의 교차 지점은 캐리어(5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 형태로 형성된다.
동력전달수단(53)은, 캐리어(51)의 지지기구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이송홈이 요입된 복수의 이송구, 각 이송구가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이송기어, 및 이송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 등을 구비한다.
부가 편조부(6)는, 심선공급부(7)로부터 공급되는 심선(33)상에 부가 편조층(32)을 편조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제1 실시예에서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편조부(5)의 하측에 해당되는 프레임(4)상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62)와, 회동체(62)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캐리어(61)가 안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캐리어안착부(631)를 구비한 안착체 (63)를 포함한다.
캐리어(61)는 편조사가 권취된 롤 형태로 구성되고, 회동체(62)는 안착체(63)의 몸체와 연결되는 축(621)상에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된 체인(623)이 접속되는 기어(622)를 구비한 형태로 형성된다.
안착체(63)의 캐리어안착부(631)는 롤의 양단이 걸림되는 걸림편(6311)과, 상기 캐리어(61)로부터 인출되는 편조사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을 갖는 안내편(6312)을 구비한다.
한편, 부가 편조부(6)는 도4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전술한 기본 편조부(5)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캐리어가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부가 편조부(6)를 기본 편조부(5)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도록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는 궤도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보조궤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편조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비도시)는 단일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전동기어와 접속된 풀리 사이에 벨트를 연결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기본 편조부와 부가 편조부를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기본 편조부(5)와 부가 편조부(6)는 편조사(a)의 편조 속도나 편조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심선공급부(7)로부터 공급되는 심선(33)과 부가 편조부(6)로부터 공급되는 편조사(a)가 서로 엮기는 지점에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3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81)을 갖는 가이드핀(8)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핀(8)은 심선(33)이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공급되는 편조사(a)가 밀착되어 엮겨짐과 동시에 슬라이딩되어 심선(33)의 외면상으로 편조되도록 테이퍼면(82)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가이드핀(8)은 편조사(a)가 직접 심선(33)에 엮겨지는 경우, 심선의 가요성(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됨)으로 인해 편조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편조사(a)를 직접 심선(33)의 외면에 편조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퍼면(82)에서 감긴된 후 심선(33)의 외면상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편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심선공급부(7)로부터 공급되는 심선(33)이 신축성을 갖게 될 경우 소정의 장력이 작용되어 당겨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심선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장력조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장력조정수단은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심선(33)이 당겨지게 설치되는 텐션롤러, 또는 심선(33)을 잡아서 당기는 픽업장치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정해진 편조사(a)가 감김된 편수기구를 장착한 캐리어(51,61)를 기본 편조부 (5) 및 부가 편조부(6)의 궤도상에 위치하도록 이송구에 결합하고, 심선공급부(7)에 신축성을 갖는 심선(33)을 권취한 캐리어(71)를 결합한 후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게 되면, 부가 편조부(6)의 캐리어(61)는 회전되고, 기본 편조부(5)의 캐리어(51)는 궤도(521,522)를 따라 이동되는 한편, 심선(33)은 부가 편조부(6)의 이동공(69)측으로 이동되면서 편조동작을 수행한다.
즉, 정해진 동력전달순서에 따라 기본 편조부(5)의 이송기어가 회동되고, 이송기어의 상측 이송구가 연동되면서 캐리어(51)를 이동시키게 되면서 기본 편조층(31)을 편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부가 편조부(6)의 회동체(62)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안착체(63)가 회동되면 캐리어안착부(631)에 설치된 캐리어(61)로부터 풀림되는 편조사는 안내편(6312)의 안내공을 경유하여 가이드핀(8)의 테이퍼면(82)에 엮겨짐과 동시에 슬라이딩 되면서 안내공(81)을 통해 배출되는 심선(33)의 외면상에 편조되면서 부가 편조층(32)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작용에 의하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33), 기본 편조층(31) 및 부가 편조층(32) 순으로 편조된 편조물(3)이 롤러(9)의 당김작용에 의해 상측으로 배출된다.
도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이송기어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는, 프레임(4), 기본 편조층(31)을 형성하는 기본 편조부(5), 및 부가 편조층(32)을 형성하는 부가 편조부(6)를 프레임에 구성하되, 기본 편조층(31)의 외주면에 부가 편조층(32)이 편조되도록 부가 편조부(6)를 기본 편조부(5)의 상측에 구성한 것이다.
상기 기본 편조부(5)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편조층(31)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편조케이블(34)을 형성하도록, 기본 편조층(31)을 형성하는 궤도(521,522)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보조궤도(524)를 구비한다. 이때, 기본 편조층(31)을 형성하는 궤도(521,522)와 보조궤도(524)의 연결부위는 캐리어(5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대략 굴곡된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52)상에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궤도(524)를 따라 이동되면서 편조케이블(34)의 형성을 위한 편조사를 공급하기 위한 캐리어를 설치하고, 베이스판(54)상에는 캐리어의 구동을 위한 이송구, 및 이송기어(55)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궤도(524)는 형성하고자 하는 편조케이블(34)의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보조궤도(524)의 형성위치는 편조케이블(524)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가이드판(52)상에 형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편조층(31)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편조케이블(34)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판(52)의 좌우측에 보조궤도(524)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판(52)의 좌우측에 보조궤도(524)를 형성하고, 캐리어 (51)에 도전성을 갖는 선재를 권취하여 편조하게 되면,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편조층(31)의 좌우측에 편조케이블(34)을 구비한 편조물(3)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 편조부(5)의 하측에 기본 편조층(31)의 중심선을 형성하는 심선(33)을 공급하도록 심선공급부(7)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심선공급부(7)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에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핀(8), 장력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a 내지 도1d는 종래 편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e는 종래 편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의 이송기어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편조사 3:편조물
31:기본 편조층 32:부가 편조층
33:심선 34:편조케이블
4:프레임 5:기본 편조부
51,61,71:캐리어 52:가이드판
521,522:궤도 524:보조궤도
6:부가 편조부 62:회동체
63:안착체 7:심선공급부
8:가이드핀 81:안내공
9:롤러

Claims (19)

  1. 복수의 편조사에 의해 선형으로 편조되는 편조물에 있어서,
    상기 편조물은,
    상기 편조사에 의해 편조되어 선형으로 형성되는 기본 편조층과;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면 또는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한 층이상으로 편조, 형성되는 부가 편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되는 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은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선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층은 도전성을 갖는 선재에 의해서만 편조되거나, 섬유사와 도전성을 갖는 선재가 혼사되어 편조되고, 상기 부가 편조층은 절연성, 내열성, 및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에 의해 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 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편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케이블은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상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케이블을 편조하는 편조사는 도전성을 갖는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을 갖는 선재는 절연층이 코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층 및 상기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는 편조사는 신축성과 절연 성을 갖는 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10. 편조사를 서로 엮어서 편조물을 편조하는 편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기본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는 기본 편조부:
    상기 기본 편조층의 편조과정에서 그 외부 또는 내부에 적어도 한 층 이상의 부가 편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본 편조부의 상측 또는 하측의 상기 프레임상에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가 접속되어 소정 궤도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부가 편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편조부 및 상기 부가 편조부에는 상기 기본 편조층 또는 상기 부가 편조층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장치의 최하부에는 상기 편조물의 중심선을 형성하는 심선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심선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공을 갖는 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심선이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공급되는 편조사가 밀착되어 엮겨짐과 동시에 상기 심선의 외면상으로 슬라이딩되어 편조되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이 당겨져 소정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심선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편조부는,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캐리어가 안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캐리어 안착부를 구비한 안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편조부는,
    상기 편조사가 감김되는 복수의 캐리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궤도를 갖는 가이드판; 및
    편조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캐리어를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부와 상기 부가 편조부는 편조사의 엮김 속도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동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7. 제10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캐리어의 지지기구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이송홈이 요입된 복수의 이송구;
    상기 각 이송구가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이송기어; 및
    상기 이송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부는,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본 편조층을 형성하는 궤도와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는 보조궤도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궤도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편조케이블의 형성을 위한 편조사를 공급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구동을 위한 이송구, 및 이송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편조부의 하측에 상기 기본 편조층의 내부에 심선을 공급하도록 심선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궤도는 상기 기본 편조층의 외주면에 한 쌍의 상기 편조케이블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판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편조케이블을 포함하는 기본 편조층의 외주면에 부가 편조층이 편조되도록 상기 기본 편조부의 상측에 부가 편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편조물의 편조장치.
KR1020080002832A 2008-01-08 2008-01-08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KR10096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32A KR100964073B1 (ko) 2008-01-08 2008-01-08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832A KR100964073B1 (ko) 2008-01-08 2008-01-08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29A Division KR100998806B1 (ko) 2009-12-17 2009-12-17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29A true KR20090076729A (ko) 2009-07-13
KR100964073B1 KR100964073B1 (ko) 2010-06-16

Family

ID=4133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832A KR100964073B1 (ko) 2008-01-08 2008-01-08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0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73B1 (ko) * 2014-03-31 2014-07-11 최용현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폴의 제조장치
KR20160093870A (ko) * 2015-01-30 2016-08-09 김성태 신발끈 제조장치
KR20170020460A (ko) * 2014-06-16 2017-02-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구역 신장 제한기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품
KR102024816B1 (ko) * 2018-09-27 2019-11-14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재귀반사유색표시피복부를 구비하는 다기능 다중피복 안전로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248B1 (ko) * 2015-03-31 2017-02-27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1621B1 (en) * 1998-08-05 2001-08-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GB0114976D0 (en) * 2001-06-19 2001-08-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able
JP4314785B2 (ja) * 2002-06-14 2009-08-19 村田機械株式会社 組物の積層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73B1 (ko) * 2014-03-31 2014-07-11 최용현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폴의 제조장치
KR20170020460A (ko) * 2014-06-16 2017-02-2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구역 신장 제한기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품
KR20160093870A (ko) * 2015-01-30 2016-08-09 김성태 신발끈 제조장치
KR102024816B1 (ko) * 2018-09-27 2019-11-14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재귀반사유색표시피복부를 구비하는 다기능 다중피복 안전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073B1 (ko)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073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및 그 편조장치
JP7397017B2 (ja) 弾性ヤーン用のフィラメント状コア、弾性複合ヤーン、織物布地、ならびに前記弾性ヤーン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275471B2 (en) Mixed wire braided device with structural integrity
CA2960709C (en) Electronically functional yarns
US20050150370A1 (en) Striped braided element
EP2236654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ic composite yarn, correspon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5396829A (en) Apparatus for multiple layer tubular braiding
US20120144984A1 (en) Braided Carbon Nanotube Threa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397799B1 (en) Electronic strip yarn
CN109891124B (zh) 导电带
US451142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heet molding compound
KR101803182B1 (ko)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0998806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편조물
KR101615838B1 (ko) 편조선의 제조 방법 및 편조선의 제조 장치
JP5130098B2 (ja) 巻線装置
JP2009004287A (ja) 4線式伝送線路の編組装置
US4092897A (en) Apparatus for weaving braided-wire sheathing including means for twisting bundled strands to equalize tension
CN108463590B (zh) 编织机
JP2004144105A (ja) ポリウレタン製歯付ベルト
KR20160074363A (ko) 접속단자를 갖는 섬유기반도전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0028A (ko) 브레이디드 도전 케이블, 그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CN219362836U (zh) 纱线送料设备及水带生产线
CN103314417B (zh) 绞盘设备
KR102670196B1 (ko) 전자 스트립 얀
DE102020108046B4 (de) Rotationsflecht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