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706A -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706A
KR20090076706A KR1020080002795A KR20080002795A KR20090076706A KR 20090076706 A KR20090076706 A KR 20090076706A KR 1020080002795 A KR1020080002795 A KR 1020080002795A KR 20080002795 A KR20080002795 A KR 20080002795A KR 20090076706 A KR20090076706 A KR 20090076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content
vod server
video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706A/ko
Publication of KR2009007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구내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복수의 영상장치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버, 상기 VOD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여 보유하는 영상장치 및 상기 VOD 서버가 보유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목록 및 상기 영상장치가 저장하여 보유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목록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VOD 서버는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영상장치가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지시한다. 많은 수의 영상장치에 대하여 동시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여야 하는 VOD 서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VOD 시스템을 확장하여 영상장치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서버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VOD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VOD 서버의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다수의 영상장치에 분산시켜 관리할 수 있으며, VOD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영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Video On Demand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video contents}
본 발명은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OD 서버의 과부하를 줄이고 영상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VOD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문형 영상(VOD; Video On Demand) 시스템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는 VOD 서버가 영상 컨텐츠를 요구하는 다수의 영상장치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다. VOD 서버는 대용량의 저장매체에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다수의 영상장치에게 영상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전송량(traffic)을 조절하고 관리한다.
VOD 서버가 영상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운로드(download) 방식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방식은 영상장치로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모두 전송된 후,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 는 방식이다. 스트리밍 방식은 영상장치가 VOD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다운받으면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방식이다. 다운로드 방식으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VOD 서버는 다수의 영상장치에 대한 전송량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영상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영상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큰 저장장치를 별도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기다리지 않고 영상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저장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운로드 방식보다는 스트리밍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영상 컨텐츠를 요청하게 되면, VOD 서버는 한정된 통신 회선으로 인하여 모든 사용자를 수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많은 수의 영상장치가 사용되는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는 VOD 서비스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VOD 서버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보조 서버를 마련하여 VOD 서버의 과부하를 분산시켜야 한다. 이는 별도의 서버를 필요로 하므로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VOD 서버의 과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별도의 서버를 마련할 필요 없이 VOD 서버의 과부하를 줄이고 영상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서버를 마련할 필요 없이 VOD 서버의 과부하를 줄이고 영상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내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복수의 영상장치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버, 상기 VOD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여 보유하는 영상장치 및 상기 VOD 서버가 보유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목록 및 상기 영상장치가 저장하여 보유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목록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VOD 서버는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영상장치가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VOD 서버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 제공하는 VOD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VOD 서버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A/V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장치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VOD 서버가 복수의 영상장치에 대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이전에 제2 영상장치로 제공되어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면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상장치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응답하고,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VOD 서버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장치로부터의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1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많은 수의 영상장치에 대하여 동시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여야 하는 VOD 서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VOD 시스템을 확장하여 영상장치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서버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VOD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VOD 서버의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다수의 영상장치에 분산시켜 관리할 수 있으며, VOD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영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문형 영상(VOD; Video On Demand) 시스템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는 VOD 서버(10), VOD 서버(1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장치(20) 및 VOD 서버(10)와 영상장치(20)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VOD 시스템은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를 통하여 불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또는 구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 VOD 시스템은 구내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한다.
VOD 서버(10)는 대용량의 저장매체로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영상 컨텐츠를 요청하는 영상장치(20)로 해당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한다. VOD 서버(10)가 영상장치(20)로 영상 컨텐츠를 직접 스트리밍하는 것을 주 스트리밍(primary streaming)이라 한다. VOD 서버(10)는 영상 컨텐츠를 다양한 매체 방식으로 저장하여 보유할 수 있으며, 이를 영상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를 요구하는 영상장치(20)의 기능에 따라 ASF(Active Streaming Format), WMV(Window Media Video) 등 다양한 확장자로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 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의 내용은 영화, 뮤직 비디오, 애니메이션, 광고 등 제한이 없다.
영상장치(20)는 VOD 서버(10)로 영상 컨텐츠를 요청하고, VOD 서버(1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영상장치(20)는 VOD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면서 자신의 저장매체에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장치(20)의 저장매체는 일반적인 영상 컨텐츠를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영상장치(20)는 VOD 서버(10)의 명령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를 다른 영상장치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장치(20) 간에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보조 스트리밍(sub-sreaming)이라 한다. 영상장치(20)는 VOD 서버(10)로 영상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또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컨텐츠를 중개하는 셋톱박스(step-top box) 등이 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는 VOD 서버(10)가 보유한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목록 및 영상장치(20)가 저장하여 보유하는 영상 컨텐츠의 목록을 관리한다. VOD 서버(10)로부터 영상장치(10)로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면 관리 서버(30)는 영상장치(10)가 보유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갱신한다. 관리 서버(30) VOD 서버(10)의 요청에 따라 각 영상장치(10)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제공하여, VOD 서버(10)가 주 스트리밍 또는 보조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영상장치(10)로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는 영상장치(20)를 이 용하는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관리 서버(30)는 영상장치(20)를 통하여 로그온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유료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 등을 관리한다.
VOD 서버(10), 영상장치(20) 및 관리 서버(30)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 또는 유무선 혼합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의 예로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을 이용하는 홈피엔에이(HomePNA; Home Phone Networking Alliance), AV 기기들의 실시간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직렬버스 방식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멀티포인트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RS-485 등이 있다. 무선망의 예로는 IEEE 802.11 계열로서 2.4GHz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근거리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2.4GHz 대역의 무선접속 산업표준인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광대역 통신 기술인 UWB(Ultra Wide Band),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산업 표준인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VOD 서버(10)는 다수의 영상장치(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요청 받으면 관리 서버(3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영상장치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아 주 스트리밍 또는 보조 스트리밍을 결정한다. VOD 서버(10)는 보조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로 결정한 경우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요청하는 영상장치로 스트리밍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 메시 지를 수신한 영상장치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VOD 서버(10)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스트리밍하거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VOD 서버(10)와 관리 서버(3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VOD 서버(10)와 관리 서버(30)는 하나의 서버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문형 영상 시스템은 구내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내 통신망에서는 VOD 서버 및 관리 서버가 각 영상장치에 대한 지배적인 권한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광역 통신망과 같이 불특정 사용자의 영상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 필요치 않다. 예를 들어, 호텔의 각 객실마다 영상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호텔의 VOD 서버 및 관리 서버가 제어하는 경우는 각 영상장치의 상황을 VOD 서버 및 관리 서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영상장치 간의 보조 스트리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문형 영상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정 내 각종 영상장치 간에 영상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홈서버가 보유하는 각종 컨텐츠를 가정내 각종 영상장치로 제공하고, 임의의 영상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른 영상장치로 스트리밍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영상장치는 VOD 서비스를 위한 VOD용 셋톱박스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VOD 서버(100) 및 다른 영상장치(300)와 영상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VOD 서버(100)로 영상 컨텐츠를 요청하는 제어부(220),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A/V(audio/video) 디코더(230), 영상 컨텐츠를 기록하는 저장부(240) 및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파일로 변환하는 VOD 스트리밍 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VOD 서버(100) 및 다른 영상장치(3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방식에 따른 각종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방식으로 PLC, HomePNA, IEEE1394, RS-485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랜,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V 디코더(230)는 VOD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재생한다. A/V 디코더(230)는 저장부(240)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다. A/V 디코더(230)는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각종 코덱(Codec)을 이용한다.
저장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저장부(240)는 일반적인 영상 컨텐츠를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 기록되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매체의 용량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 유지되거나 VOD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저장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내장형 저장매체 또는 외장형 저장매체로 구비될 수 있다.
VOD 스트리밍 모듈(250)은 저장부(240)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통신부(210)를 통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른 영상장치(300)로 전송한다. 스트리밍 모듈(250)은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에 적절한 크기의 패킷 데이터로 생성하여 다른 영상장 치(300)로 전송한다. VOD 스트리밍 모듈(250)은 기록된 영상 컨텐츠의 파일 형식을 다른 영상장치(3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트리밍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영상장치(300)가 저장부(240) 기록된 파일 형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VOD 스트리밍 모듈(250)이 영상 컨텐츠의 파일 형식을 적절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영상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방식, 터치패드 방식,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고, 제어부(220)는 이를 통신부(210)를 통하여 VOD 서버(100)로 요청한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가 A/V 디코더(230)를 통하여 재생되도록 하고,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240)에 기록할 것인지 결정한다. 제어부(220)는 영상 컨텐츠의 기록 여부를 VOD 서버(100)로 보고한다. VOD 서버(100)로부터 저장부(240)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다른 영상장치(300)로 스트리밍하라는 제어 메시지를 받으면, 제어부(220)는 스트리밍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VOD 서버(100)로 보고한다. 저장부(240)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다른 영상장치(300)로 스트리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VOD 스트리밍 모듈(250)로 보내어 다른 영상장치(300)로 스트리밍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미 저장부(24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저장부(240)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A/V 디코더(230)로 보내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VOD 서버는 제1 영상장치로부터 임의의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는다(S100). VOD 서버는 제1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여부의 인증을 관리서버로 요청한다(S110). 제1 영상장치가 구내 통신망 내에서 VOD 서버의 제어를 받으며 미리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컨텐츠의 사용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제1 영상장치의 인증 여부 또는 제1 영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하여 VOD 서버로 알려준다.
관리 서버로부터 제1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인증되지 않으면 VOD 서버는 제1 영상장치로 인증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는 보낸다(S120).
제1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인증되면, VOD 서버는 제1 영상장치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다른 영상장치들(제2 영상장치)이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관리 서버는 VOD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목록 및 각 영상장치들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목록을 기반으로 제1 영상장치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영상장치에 대한 정보를 VOD 서버로 알려준다.
제1 영상장치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제2 영상장치가 없는 경우, VOD 서버는 주 스트리밍(primary streaming)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한다(S140).
제1 영상장치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제2 영상장치가 있으 면, VOD 서버는 보조 스트리밍(sub-streaming)을 수행할 것인지 판단한다(S150). VOD 서버는 자신과 연동하는 각 영상장치를 모니터링하여 보조 스트리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VOD 서버는 보조 스트리밍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2 영상장치로 전송하고 제2 영상장치로부터의 응답 메시지(ACK/NACK)를 통하여 보조 스트리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VOD 서버는 자신의 작업량에 따라 보조 스트리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VOD 서버는 제2 영상장치로 보조 스트리밍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VOD 서버는 자신에게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거나 제2 영상장치가 보조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한다(S140).
VOD 서버는 제1 영상장치가 요청한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제2 영상장치가 보조 스트리밍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스트리밍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2 영상장치로 전송한다(S160). 제어 메시지에는 제1 영상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영상 컨텐츠 ID(identification), 전송 관련 오프셋(offset)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영상장치는 VOD 서버로부터 주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제2 영상장치로부터 보조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VOD 시스템은 호텔에서 사용되는 영상제공 시스템일 수 있다. 즉, VOD 서버는 호텔에서 객실의 영상장치들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영상장치는 각 객실마다 설치되는 TV,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호텔 VOD 서버는 각 객실의 체크인(check in), 체크아웃(check out) 등의 객실 정보, 객실의 영상장치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호텔 VOD 서버는 주 스트리밍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보조 스트리밍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면서 객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 VOD 서버는 객실이 사용 중인지 여부, 객실 영상장치가 영상 컨텐츠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 객실이 사용 중이지만 스트리밍이 가능한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주 스트리밍 또는 보조 스트리밍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7)

  1. 구내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복수의 영상장치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버;
    상기 VOD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여 보유하는 영상장치; 및
    상기 VOD 서버가 보유한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목록 및 상기 영상장치가 저장하여 보유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목록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VOD 서버는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영상장치가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VOD 서버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기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로 제공하는 VOD 스트리밍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영 상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VOD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A/V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장치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형 영상 시스템.
  5. VOD 서버가 복수의 영상장치에 대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이전에 제2 영상장치로 제공되어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면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장치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응답하고, 상기 제2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할 수 없으면 상기 VOD 서버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장치로부터의 상기 영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상기 제1 영상장치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080002795A 2008-01-09 2008-01-09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KR20090076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95A KR20090076706A (ko) 2008-01-09 2008-01-09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95A KR20090076706A (ko) 2008-01-09 2008-01-09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06A true KR20090076706A (ko) 2009-07-13

Family

ID=4133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95A KR20090076706A (ko) 2008-01-09 2008-01-09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7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0408B2 (en) Streaming poli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349356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65368B1 (ko)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CN101682743B (zh) 内容分发装置、内容分发方法、程序及内容分发系统
US20090254960A1 (en) Method for a clustered centralized streaming system
EP3216223B1 (en) Collaborative distributed/unstructured service management framework for wireless-display platform
JP2017229099A (ja) 無線メディア・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
US20050267946A1 (en) Method, media renderer and media source for controlling content over network
KR20120114016A (ko)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240670A1 (en) Picture recording system and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5150459B2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受信装置
EP25645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 to plurality of devices
JP4247614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情報要求方法
WO200909369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指示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指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700221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audio with location based control, management, and delivery
JP5142216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端末から広域ネットワークへ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76706A (ko) 주문형 영상 시스템 및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KR20140103377A (ko) 컨텐츠 서버 및 서버의 컨텐츠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