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624A -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624A
KR20090076624A KR1020080002674A KR20080002674A KR20090076624A KR 20090076624 A KR20090076624 A KR 20090076624A KR 1020080002674 A KR1020080002674 A KR 1020080002674A KR 20080002674 A KR20080002674 A KR 20080002674A KR 20090076624 A KR20090076624 A KR 2009007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tdmb
gsm
r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919B1 (ko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정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to KR102008000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9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이 가능한 TDMB 및 GSM로밍 겸용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TDMB안테나, GSM안테나, 주파수를 단말기로 전달하는 커넥터, 커넥터와 TDMB안테나 또는 GSM안테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을 다른 하나와의 연결로 전환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로 TDMB안테나 기능과 GSM안테나 기능 모두를 통합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하면, 하나의 안테나로 TDMB안테나 기능과 GSM안테나 기능 모두를 가능하게 하며 손쉽게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외장형 안테나, TDMB, GSM 로밍, 스위칭.

Description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External Antenna for TDMB and GSM Roaming}
본 발명은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TDMB 및 GSM 로밍 겸용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악 감상, 사진이나 영화 내지는 동영상 등 영상물의 감상, 화장 통화 등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특히, TDMB(지상파 DMB)의 수신이 가능하여 일명 DMB폰이라 불리는 단말기가 구형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와 같이 TDMB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단말기는 TDMB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TDMB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양호한 수신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크기와 대비하여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TDMB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는 단말기에 착탈되거나 고정되는 외장형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우리나라 내에서만이 아닌 해외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해서 단말기 로밍(roaming)이 이루어지고 있다. 로밍이란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 안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로밍 서비스를 받으려면 외국과 우리나라의 통신방식이 같아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CDMA 방식을 주로 써 온 반면에 유럽이나 동남아 등에서는 GSM 방식을 쓰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따로 GSM 주파수 대역에서의 글로벌 로밍을 위한 안테나(본 명세서에서는 'GSM 로밍 안테나'라 함)를 달아서 GSM 주파수 대역에서의 글로벌 로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TDMB 수신과 GSM 로밍을 위해서는 별도의 외장형 안테나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이들을 각각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외장형 안테나라는 특성으로 인해서 TDMB 기능과 GSM 로밍 기능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휴대성과 보관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외장형 TDMB 안테나와 외장형 GSM 로밍 안테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TDMB 안테나 및 GSM 로밍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DMB 안테나와 GSM 로밍 안테나를 원활하게 상호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킨 TDMB 안테나 기능 및 GSM 로밍 안테나 기능을 모두 가지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제1 안테나부, 제1 안테나부와는 다른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 단말기로 주파수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제1 안테나부 또는 제2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커넥터를 제1 안테나부 또는 제2 안테나부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도록 전환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안테나부는 TDMB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부는 GSM안테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부는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일단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제1 안테나부는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외곽을 감싸는 헬리컬(helical) 형태이고, 제2 안테나부는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내측에 위치하고 PCB 구조로 되어 있다.
스위칭부는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를 회전시켜 제1 안테나부 또는 제2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를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회전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와 분리시에 커넥터를 덮을 수 있는 뚜껑부를 더 구비하고, 이러한 뚜껑부의 일단에는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사용하면, TDMB 안테나와 GSM 로밍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이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TDMB 안테나와 GSM 로밍 안테나 사이의 전환을 위한 스위칭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는 단말기에 손쉽게 착탈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뚜껑부와 걸이부를 통해 단말기에 용이하게 부착시켜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와 단말기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이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단말기(1)에서는 TDMB 안테나와 GSM 주파수 대역에서 글로벌 로밍을 하기 위한 안테나를 외장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 또한 단말기(1)의 일측에 결합부(50)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TDMB 안테나(10)와 GSM 로밍 안테나(20)를 모두 내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회전식 스위치에 의해 손쉽게 전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TDMB 안테나(10), GSM 로밍 안테나(20), 커넥터(30), 스위칭부(40), 결합부(50), 및 힌지부(80)로 이루어져 있어, DMB 기능과 GSM 글로벌 로밍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TDMB 안테나(1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외측을 감싸는 헬리컬(helical)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상파 DMB의 수신에 쓰인다. 특히, 이러한 TDMB 안테나(1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상부측(1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커넥터(30)와의 접촉을 위한 연결부가 상부측(110)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다.
GSM 로밍 안테나(2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PCB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GSM 로밍 안테나(20)는 GSM 주파수 대역에서 글로벌 로밍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GSM 로밍 안테나(20)는 단말기 외장형 하우징(100)의 상부측(110)에 내장되어 있는데, GSM 로밍 안테나(20) 주위를 TDMB 안테나(10)가 헬리컬 타입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접하지 않고 있다. TDMB 안테나(10)와 GSM 로밍 안테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수신하기 때문에, 둘 사이의 충돌은 일어나지 않는다. GSM 로밍 안테나(20)의 일단에는 커넥터(30)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하부측(120)에 내장되어 있고,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단말기(1) 내부로 수용된다. 커넥터(30)의 타단은 TDMB 안테나 또는 GSM 로밍 안테나 중 어느 하나와 접하게 되어, TDMB 안테나 또는 GSM 로밍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1)로 전달한다.
TDMB 안테나와 GSM 로밍 안테나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므로, 스위칭부(40)가 TDMB 안테나 또는 GSM 로밍 안테나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상태의 커넥터(30)를 다른 하나와 연결되게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부(4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상부측(110)이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량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도 2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40)에 의해 상부측(110)은 일정량만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볼펜자루가 이등분 되어 있어서 볼펜자루를 돌리면 볼펜심이 나오게 하는 볼펜의 구조와 유사하다.
스위칭부(4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는 커넥터(30)가 GSM 로밍 안테나(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TDMB 안테나 기능을 구형하고자 할 때에는, 스위칭부(40)에 의해 상부측(11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커넥터(30)가 TDMB 안테나(10)와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스위칭부(40)에 의해 상부측(110)을 반시계방향(도 2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넥터(30)는 GSM 로밍 안테나(20)와의 연결이 끊어짐과 동시에 TDMB 안테나(10)와 다시 연결되어,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TDMB 안테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다시금 GSM 로밍 안테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위칭부(40)에 의해 상부측(110)을 시계방향(도 2에서는 왼쪽 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스위칭부(40)는 별도의 복잡한 구조나 장비를 요하지 않고서도 TDMB 안테나와 GSM 로밍 안테나의 상호 전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부측(110)의 회전식 구성으로 손쉽게 스위칭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결합부(50)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하부측(120)의 일단에 위치하며, 단말기(1)의 대응부(미도시)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돌출 형상의 원기둥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부(50)가 원기둥 돌기 형상으로 단말기(1)에 끼워맞춤 결합되므로, 단말기(1)에 대해 안테나 상부측(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 상부측(110)이 최적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주파수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결합부(50)의 외측으로는 커넥터(30)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50)에 의해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가 단말기(1)에 결합되면, 커넥터(30)는 단말기(1) 내부에 수용되어 주파수 신호를 단말기(1)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외면은 크게 상부측(110)과 하부측(120)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힌지부(8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80)는 상부측(11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부여한다. 이는 결합부(50)에 의한 방향성 부여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상부측(110)이 최적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주파수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도 4는 뚜껑부(60)와 걸이부(70)를 더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주파수 수신을 위해 단말기(1)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외부 안테나이기 때문에, 휴대성과 보관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뚜껑부(60)와 걸이부(70)를 구비하여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킨다.
뚜겅부(60)는 일단이 막혀 있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다. 개방되어 있는 타단은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하부측(120)과 끼워맞춤 되는 직경으로 구성되어, TDMB 기능이나 GSM 주파수 대역에서의 로밍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뚜껑부(60)를 사용하여, 결합부(50)와 커넥터(30)를 덮어 보호한다.
걸이부(70)는 뚜겅부(60)의 막혀 있는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70)가 핸드폰 고리로 되어 있어,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의 미사용시에도 단말기(1)에 부착시켜 필요할 때에만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를 뚜껑부(60)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70)를 핸드폰 고리로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뚜껑부(60)의 일단에 고정되어 단말기(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100)는 TDMB 안테나(10)와 GSM 로밍 안테나(20)를 통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다른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단말기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뚜껑부와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10 : TDMB 안테나
20 : GSM 로밍 안테나 30 : 커넥터
40 : 스위칭부 50 : 결합부
60 : 뚜껑부 70 : 걸이부
80 : 힌지부 100 :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110 : 상부측 120 : 하부측

Claims (8)

  1. 제1 안테나부;
    상기 제1 안테나부와는 다른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
    단말기로 주파수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제1 안테나부 또는 상기 제2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안테나부 또는 상기 제2 안테나부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도록 전환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는 TDMB대역의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GSM대역의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일단에 위치한 안테나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는 상기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외곽을 감싸는 헬리컬(helical) 형태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의 내측에 위치하고, PCB 구조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안테나부 또는 상기 제2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회전식 스위치인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를 상기 단말기와 분리시, 상기 커넥터를 덮는 뚜껑부를 더 구비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일단에는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걸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KR1020080002674A 2008-01-09 2008-01-09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KR10095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674A KR100956919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674A KR100956919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624A true KR20090076624A (ko) 2009-07-13
KR100956919B1 KR100956919B1 (ko) 2010-05-11

Family

ID=4133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674A KR100956919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24Y1 (en) 1995-01-12 2000-03-15 Nec Corp Portable radio apparatus
JP2001230617A (ja) 2000-02-18 2001-08-24 Tokin Corp アンテナ
KR101191193B1 (ko) * 2006-03-0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919B1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9044A1 (en) Earphone Antenna
JP4624302B2 (ja) 携帯端末
JP4031776B2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JP4417343B2 (ja) 共用アンテナ連結部を備えた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装置
JP3891831B2 (ja) 携帯無線機
US757423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JP2007074491A (ja) 携帯端末機器
US20060164323A1 (en) Detachable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956919B1 (ko) 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KR100724425B1 (ko)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97626B1 (ko) 다중 대역 슬라이드형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
CN201838705U (zh) 转换器一体式广播天线装置
KR100619995B1 (ko)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장치
US7994989B2 (en) Handheld device with switchable signal receiving modes
US7609214B2 (en)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JP2000049649A (ja) アンテナ装置
JP2005117482A (ja) アンテナ及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
JP2008219537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013442A (ja) 携帯無線機器
KR200372720Y1 (ko) 위성 안테나를 갖는 헤드셋
KR1005843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087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407163Y1 (ko) 수납구조가 컴팩트한 dmb 수신기
CN101385194B (zh) 蜂窝电话和多媒体接收终端
KR20070121349A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디엠비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