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501A -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501A
KR20090076501A KR1020080002491A KR20080002491A KR20090076501A KR 20090076501 A KR20090076501 A KR 20090076501A KR 1020080002491 A KR1020080002491 A KR 1020080002491A KR 20080002491 A KR20080002491 A KR 20080002491A KR 20090076501 A KR20090076501 A KR 2009007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heel
spring
plat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712B1 (ko
Inventor
안준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스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스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스텝
Priority to KR102008000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7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굽을 갖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내부에 마련되는 안창과, 상기 바닥창의 둘레방향과 연결된 신발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굽의 내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측벽에 대향하게 마련한 축공과; 상기 굽에 마련된 제 1 스프링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스프링과 접촉되고 양측 벽에 설치된 축이 상기 축공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 측에 접촉되고 일단이 상기 바닥창과 안창을 관통하여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 단부에 고착된 아치보정판을 포함하여 발뒤꿈치 부분이 지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 타 측이 들려 발의 아치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발뒤꿈치에 실리는 사람의 체중에 의한 가압력이 회동판의 일 측을 가압하면 그 가압력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판의 타 측을 들어 올려 아치보정판이 발의 아치 또는 아치보형물을 지지 보정함으로써 변형된 아치로 인한 통증을 완하시켜 보행이 편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변형된 또는 변형되어 가는 아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통증 및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치보정, 아치보형물, 회동판

Description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arch revising possible shoe}
본 발명은,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발뒤꿈치 부분이 지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회동하여 한쪽이 들리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변형된 발의 아치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된 또는 변형이 진행되는 아치 때문에 기인하는 각종 통증과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발은 사람마다 얼굴모습이 다르듯이 각자의 발 모양도 다르며, 이와 같은 발에 신발을 착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충격흡수에 있다. 발이 받는 충격을 완화 또는 흡수시키는 것은, 신발에 단순히 쿠션을 두껍게 깔아서도 아니고, 기타 여러 종류의 안창 또는 깔창을 깔아서도 아니며, 이는 발바닥의 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발의 아치는 걷거나 뛰어오를 때 발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발바닥 아치는(arch), 발뒤꿈치와 발바닥 앞쪽의 볼록한 부분만으로 지면을 밟을 때, 척추에 오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행하는 한편, 아치 의 뼈대 끝부분에는 부드러운 연골이 두텁게 덮여 있어서 아치의 충격 완화기능을 도와준다. 특히, 아치 정도의 유무에 따라 의학적으로 정상인발, 평발(편평 족발) 등으로 구분되어지며 현재 기존의 신발 또는 각종 보형물로서는 후천적 평발이 계속 양산되어지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평발(Flat Foot)은, 발 안쪽이 움푹 파인 아치가 내려 앉은 발로서, 선천성과 후천성 요인이 반반이며, 선천성은 중고교시절부터 발이 아프기 시작하지만, 후천성은 평발증세와 함께 통증도 나타난다. 평발의 발생원인은, 대부분 유전적이나 다리가 X자 형일 때 발생하며, 아킬레스건이 단단할 때와, 체내 호르몬 균형이 잘못되었을 때 또는, 몸에 이상이 있을 때이다. 그리고 한편으론 체중이 증가될 때와, 잘 맞지 앉는 구두를 착용할 때 발생된다.
이와 같은 평발의 증상 및 고통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구두창의 내부 쪽이 빨리 닿고 또한 발뒤꿈치 뒤쪽 외부가 정상인 보다 많이 닳는 것이며, 요철이 심한 길을 걸을 때 적응이 잘 안되고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또한, 지면의 진동이 올 때 잘 흡수하지 못하며 이로 인한 고통이 다리, 무릅 등으로까지 이전된다. 그리고 아치건 내부에 긴장과 고통을 주고 발목 내부가 부으며, 발목 외부가 아프고 충격 흡수력이 약하며 발, 발목, 발가락마디에 관절염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정강이 뼈, 무릎 등에 통증이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평발에서 기인하는 각종 증상 및 통증을 처방할 수 있는 방법은 ,발의 평발 정도를 조기에 발견하여 발의 아치 정도를 감안한 보형물 등을 신발 속에 덧까는 방법이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보형물은, 대체로 발길이, 발형태, 발폭, 발등 크기 특히, 발바닥의 아치 형상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발바닥전체를 접촉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깔창(쿠션부재)수준의 보형물로서 이는 아치의 보정이 미약한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형물은, 크기만 다를 뿐 그 형상, 구조 및 아치 정도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신발 속에 덧깔면 단기간 동안은 발이 편할 수 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발의 통증과 변형은 물론, 인체 상부 및 전체에 (관절디스크 순환계통 등)문제가 발생된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종래의 보형물은 신발을 착용하며 각기 다른 아치 정도를 갖고 있는 각 사용자 발의 아치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없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형물은, 아치의 크기 및 형태가 보행시 변형되는 것을 감안할 수 없기 때문에 아치부의 보정효과가 미비하며 단순히, 깔창(쿠션)으로서의 역할을 일시적으로 행하는 정도로만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외국기술에 의존하여 수입되어 신발 속에 덧깔린 보형물은 그들의 체형에 맞는 아치 형태를 갖고 있고, 아치 정도의 크기 및 형태도 획일적이고 고정적이어서 변형되어 가는 아치의 보정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감안할 때 변형되어가는 발의 아치를 보정할 수 있는 보형물이 제안되어 선천적 아치를 보정하고, 후천적으로 진행되는 아치를 받쳐 줌으로써 아치변형으로 야기되는 관절, 디스크, 순환계통과 외반무지 변형에 따른 통증제거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신발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내부에 별도의 아치보형물을 넣지 않고도 사람이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변형된 또는 변형되어가고 있는 아치를 보정함으로써 비정상의 아치로 야기되는 통증과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 속에 덧깔리는 아치보형물이 오랜 시간의 사용으로 변형되었을 때 그 아치보정물의 저면에서 해당 아치보형물을 발의 아치 측으로 가압하여 아치보형물이 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아치로 야기되는 통증과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굽을 갖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내부에 마련되는 안창과, 상기 바닥창의 둘레방향과 연결된 신발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굽의 내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측벽에 대향하게 마련한 축공과; 상기 굽에 마련된 제 1 스프링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스프링과 접촉되고 양측 벽에 설치된 축이 상기 축공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 측에 접촉되고 일단이 상기 바닥창과 안창을 관통하여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 단부에 고착된 아치보정판을 포함하여 발뒤꿈치 부분이 지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 타 측이 들려 발의 아치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치보정판 상면에는 아치보형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간 내부에 마련된 회동판의 상하부면에 충진한 제 1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창과 안창 사이에 마련한 제 2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발뒤꿈치에 실리는 사람의 체중이 회동판의 일 측을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타 측을 들어 올려 아치보정판이 발의 아치 또는 아치보형물을 지지 보정함으로써 통증을 완하시켜 보행이 편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변형된 또는 변현되어 가는 아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통증 및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10)은, 굽(21)을 갖는 바닥창(20)과, 바닥창의 내부에 마련되는 안창(30)과, 바닥창(20)의 둘레방향과 연결된 신발피(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신발(10)은 남성 및 여성구두 와 운동화 등 각종 신발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 한다.
상부측이 연질로 형성된 굽(21)의 내부에는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 공간(50)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간(5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측벽(51)에는 축공(53)을 대향하게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굽(21)이 위치하는 공간(50)에는 제 1 스프링(60)을 마련하고 있으며, 공간(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양측 벽에 축(71)이 설치된 회동판(70)을 배치하되 축(71)이 상기 축공(53)에 삽입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판(70)이 마치 시소와 같이 좌우 회동하면서 어느 한쪽이 반복적으로 들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공간(50)의 깊이는 회동판(70)이 회동 운동할 수 있는 각도로 제안할 수 있는데, 따라서 공간(5)의 깊이는 제조자의 임상경험에 따라 임의적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판(70)의 타 측에는 제 2 스프링(80)을 설치하고 있으며, 제 2 스프링(80)은 상기 바닥창(20)과 안창(30)을 관통하여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 2 스프링(80)의 단부에는 아치보정판(90)을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스프링(60)(80)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판(70)과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60)(80)과 안창(30) 및 이하에서 설명될 아치보형물(100)의 상관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굽(21)의 내부 공간(50)에 마련된 제 1 스프링(60)은 회동판(70)의 일 측 저 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제 2 스프링(80)은 회동판(70)의 타 측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을 향하여 탄발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제 2 스프링(80)은 바닥창(20)과 안창(30)을 관통하여 탄발력을 아치보정판(9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아치보형물(100)은 없애도 아치보정판(90)의 탄발력은 발의 아치에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아치 보형물(100)이 덧깔린 신발(10)에도 상기 아치보정판(90)은 그 탄발력을 상기 아치보형물(100)의 저면에 전달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변형된 아치보형물(100)을 저면에서 지지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쿠션부재(110)는 굽(21)의 영역 상면에 마련된 안창(30)과 바닥창(20)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발뒤꿈치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굽(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에 제 1 쿠션부재를 충진한 상태의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는 도 2와 달리 공간(50)의 내부에서 제 1 쿠션부재(12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공간(50)의 내부에는 제 2 쿠션부재(120)의 설치 없이도 회동판(70)은 발뒤꿈치의 가압력에 의해 축(71)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할 수 있으나, 공간(50)의 내부 즉 회동판(70)의 상면과 하면에 제 1 쿠션부재(120)를 충진하면 보행시 발뒤꿈치의 가압력이 회동판(70)의 저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60) 측에 쉽게 전달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10)은, 아치가 이미 변형되었거나 또는 변형이 진행 중인 사람이 보행시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나 또는 더 이상의 아치 변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려고 착용하며, 이러한 신발(10)의 내부에는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치보형물(100)을 덧 깔 수도 있다.
신발(10)을 착용하고 보행을 시작하면, 사람의 보행 습관 대부분이 발뒤꿈치부터 지면에 닿은 후 발앞꿈치가 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발뒤꿈치에 실리는 착용자의 체중에 의한 가압력은 상측이 연질로 형성된 굽(21)에 전달되고, 따라서 그 가압력은 굽(21)의 상부 영역을 가압하여 공간(50)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판(70)의 일 측에 전달되면, 제 1 스프링(6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회동판(70)은 축(71)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일 측이 내려가면 타 측이 들리도록 회동판(70)이 회동한다.
회동판(70)의 타 측이 들리면 회동판(70)의 타 측은 제 2 스프링(80)을 상측으로 가압하고, 가압되는 제 2 스프링(80)은 아치보정판(9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착용자의 아치와 접촉되어 아치를 보정하게 된다. 이때는 신발(10)에 아치보형물(100)이 덧깔리지 않은 상태로서 아치보정판(90)이 직접 아치에 접촉되어 변형된 아치를 보정하는 것이며, 신발(10)에 아치보형물(100)이 덧깔렸을 경우, 아치보정판(90)은 아치보형물(100)의 저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아치보형물(100)이 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행시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는 것에 이어서 발앞꿈치가 지면에 닿으면 발뒤꿈치가 들리게 되고, 따라서 발뒤꿈치에 가하여졌던 가압력은 해제되므로 회동판(70)의 일 측은 마치 시소와 같이 제 1 스프링(8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되면 회동판(70)의 타 측은 가압력이 해제된 제 2 스프링(80)에 의해 하부로 탄발되므로 아치 또는 아치보형물(100)을 지지하고 있던 아치보정판(90)은 이들로부터의 접촉이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10)을 착용한 후 보행하면 보행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과, 그 가압력의 해제에 의해 회동판(70)은 축(71)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좌우 회동하는 것으로서 아치보정판(90)을 아치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아치보형물(100)의 저면을 지지 보정하는 것을 반복, 변형된 또는 변형되어 가는 아치를 보정하여 통증이 없는 편안한 보행을 돕는다.
전술 및 첨부도면에서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판에 접촉되어 아치보정판을 상측으로 지지하는 제 2 스프링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제 2 스프링은 도시한 바와 같은 형식의 제 2 스프링에 한정하여 실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판 또는 아치보정판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 및 고정되어 마치 시소와 같이 회동하는 회동판에 의해 아치보정판을 타 측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축 형상의 지지부재라면, 어떠한 형상과 형식의 지지부재라도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에 제 1 쿠션부재를 충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발 20 : 바닥창
21 : 굽 30 : 안창
40 : 신발피 50 : 공간
51 : 양측 벽 53 : 축공
60 : 제 1 스프링 70 : 회동판
71 : 축 80 : 제 2 스프링
90 : 아치보정판 100 : 아치보형물
110 : 제 2 쿠션부재 120 : 제 1 쿠션부재

Claims (4)

  1. 굽을 갖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내부에 마련되는 안창과, 상기 바닥창의 둘레방향과 연결된 신발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굽의 내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측벽에 대향하게 마련한 축공과;
    상기 굽에 마련된 제 1 스프링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스프링과 접촉되고 양측 벽에 설치된 축이 상기 축공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 측에 접촉되고 일단이 상기 바닥창과 안창을 관통하여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 단부에 고착된 아치보정판을 포함하여 발뒷꿈치 부분이 지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 타 측이 들려 발의 아치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보정판 상면에는 아치보형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부에 마련된 회동판의 상하부면에 충진한 제 1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과 안창 사이에 마련한 제 2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KR1020080002491A 2008-01-09 2008-01-09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KR10092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91A KR100928712B1 (ko) 2008-01-09 2008-01-09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91A KR100928712B1 (ko) 2008-01-09 2008-01-09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01A true KR20090076501A (ko) 2009-07-13
KR100928712B1 KR100928712B1 (ko) 2009-11-30

Family

ID=4133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91A KR100928712B1 (ko) 2008-01-09 2008-01-09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845B1 (ko) 2020-07-20 2022-03-30 강춘성 발아치 높이와 체중을 자동컨트롤하며 발의 균형을 잡아주는 서스펜션기능의 스마트인솔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자연치유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37A (ko) * 2001-03-30 2001-08-04 이재익 발의 스트레스 분산 기능 및 냉온기능성 신발
JP3653633B2 (ja) 2001-05-07 2005-06-02 文雄 菅原 履物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712B1 (ko) 200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1794A1 (en) Insole for shoes
US20100018077A1 (en) Spring-supported arch support and method
KR20210018435A (ko) 신발용 인솔
KR102226475B1 (ko)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CN217446856U (zh) 一种孩童用矫正鞋垫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EP2136761A1 (en) Foot orthosis apparatus
KR100961520B1 (ko) 신발용 발 교정구조
US20200060382A1 (en) Digital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KR100498615B1 (ko) 족저근막염 안창
KR200312254Y1 (ko)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KR100552339B1 (ko)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333132Y1 (ko) 중족골통환자용 신발
CA3209671C (en) Auxiliary or integrated inner sole structure for footwear
KR20130044683A (ko) 발가락 교정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깔창
US20230309654A1 (en) Insole
KR200386619Y1 (ko)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KR200389448Y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20080105495A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100601584B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200313793Y1 (ko)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CN115024552A (zh) 一种孩童用矫正稳步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