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495A -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 Google Patents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495A
KR20080105495A KR1020070053160A KR20070053160A KR20080105495A KR 20080105495 A KR20080105495 A KR 20080105495A KR 1020070053160 A KR1020070053160 A KR 1020070053160A KR 20070053160 A KR20070053160 A KR 20070053160A KR 20080105495 A KR20080105495 A KR 2008010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leg
built
shoe sol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529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07005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52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밑창의 구조로 인해 착용자의 체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안쪽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밑창의 외측부를 경질부재로 형성하고, 내측부를 연질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신발 밑창의 외측부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각홈 및 음각홈 사이의 돌출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신발 밑창의 내/외측부의 재질이나, 그 밑창 구조로 인해 신발 밑창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면을 갖게 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SHOES FOR REMEDY OF FEE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비착용과 착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2,212:밑창, 60:경질부,
70:연질부, 124:내측부,
126:외측부, 150:음각홈,
248:돌기.
본 발명은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신발 밑창의 구조로 인해 착용자의 체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안쪽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발은 26개의 뼈와 100개가 넘는 인대, 근육, 힘줄 및 신경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이 하나의 복합체로 작용하고 있어, 이중 하나라도 다치면 연관되는 부분에 모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발은 전체적으로 궁(Arch)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앞뒤로는 종아치, 폭으로는 횡아치가 있어서 반복되는 체중 부하에 잘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일 선천적인 이유로나, 후천적인 발의 손상 때문에 발의 아치구조가 무너져서 평발이 되면 조금만 걸어도 쉽게 발에 피로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
발에는 큰 근육과 작은 근육이 같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연동되어 일을 하게 되면 큰 근육은 일을 많이 해도 잘 견디지만, 작은 근육은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근육이 모여 있는 아치 밑과 발가락 사이에 쉽게 피로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
조사에 의하면 현재도 맨발로 사는 오지의 원주민들은 발의 기형이 별로 없 다고 한다. 신발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단순한 발의 보호 기구에서 일종의 장신구의 기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앞이 뾰쪽한 포인트 스타일(Pointed style), 뒷굽이 높은 하이힐, 통굽, 뽀바이 신발 등 다양한 형태의 신발들이 발에 생기는 기형이나 질병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족부 기형이나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대부분(80% 이상)이 여성인 것만 보아도 신발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었을 때 발생하는 기형이나 질병으로는 엄지 발가락이 발의 바깥쪽으로 치우쳐 지면서 심하면 둘째 발가락 밑으로 들어가는 모지 외반증이 대표적이고 그외 발가락이 구부러지는 망치족, 굳은 살이나 티눈, 후천적인 평발, 그 외 엄지 발가락 발톱이 살로 파고 들거나 발가락 사이가 저리는 지간 신경통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뼈의 강도가 약화되어 체중 압박에 의해 다리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휘는 팔자걸음이나 오(O)자형 다리의 형태로 휘게 변형된다. 이러한 오(O)자형 다리의 경우에는 교정이 필요한 다리로서 쉽게 발목인대 부상이나 다리 또는 발목의 골절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신발은 오(O)자형 다리의 교정 기능성을 갖는 신발이 전무하며, 단순히 미관상 우수한 신발 또는 디자인이 우수한 신발의 개발에 집중되고 있고, 기능성 신발의 경우에는 쿠션력이 우수한 신발이나 발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신발 등이 전부인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발 밑창의 외측부를 경질부재로 형성하고, 내측부를 연질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 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안쪽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에만 길이방향으로 홈과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력에 의해 밑창의 돌기가 좌우로 밀려 신발의 밑창이 안쪽으로 치우쳐지도록 한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밑창의 외측부를 경질부재로 형성하고, 내측부를 연질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 밑창은 그 전단부가 경질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신발 밑창의 내구성을 높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 밑창의 내측부는 전체 신발 밑창의 길이방향 분할 면적의 1/2보다 더 작은 세로방향(신발 밑창의 폭방향) 길이를 갖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의 외측부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각홈 및 음각홈 사이의 돌출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착 용자의 체중에 의해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각홈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로 갈수록 그 바닥면의 세로방향 길이가 더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면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로 갈수록 그 세로방향 길이가 더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의 외측부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가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각홈 및 음각홈 사이의 돌출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부 및 내측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별도의 음각홈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부에는 그 가장자리가 상호 연장되지 않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은 신발 밑창의 외측부를 경질부재로 형성하고, 내측부를 연질부재로 형성함 으로써 착용자의 체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안쪽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신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은 통상의 신발과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발바닥 중앙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상승된 중간 요홈(30)을 기준으로 그 전단에 앞굽(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후단에는 뒷굽(40)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의 앞굽(20)은 그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23)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에 앞굽 외측부(26)가 형성되며, 그 안쪽에 앞굽 내측부(24)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고, 그 앞굽 내측부(24)와 외측부(26)에는 각각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그 폭방향(길이방향의 수직방향/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음각홈(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음각홈(50)과 다른 음각홈(50)의 사이에는 지면과 밀착되는 돌출면(48)이 구성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의 앞굽(20)은 그 앞굽 외측부(26)를 경질부재로 구성하고, 앞굽 내측부(24)를 연질부재로 구성하며, 앞굽(20)의 전단부(22)는 지면과 빈번하게 밀착되어 마찰되게 되므로 경질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앞굽(20)의 전단부(22)는 밑창의 앞굽 선단으로부터 5㎝ 내외 정도이면 충분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의 뒷굽(40)도 앞굽(20)과 마찬가지로 그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46)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에 뒷굽 외측부(44)가 형성되며, 그 안쪽에 뒷굽 내측부(42)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뒷굽 외측부(44)는 경질부재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뒷굽 내측부(42)는 연질부재로 형성되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 밑창(12)의 앞굽 및 뒷굽 내측부(24,42)는 전체 신발 밑창(12)의 길이방향 분할 면적의 1/2보다 더 작은 세로방향(신발 밑창의 폭방향) 길이를 갖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신발 밑창(12)을 길이방향으로 3등분할 경우 내측 1등분할 영역 정도가 연질부재인 앞굽 및 뒷굽 내측부(24,42)가 형성되도록 함이 교정각도 형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의 밑창(12)은 그 앞굽 외측부(26)와 뒷굽 외측부(44) 및 밑창(12)의 전단부(22)가 경질부재로 이루어진 경질부(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앞굽 내측부(24)와 뒷굽 내측부(42)는 각각 연질부재로 이루어진 연질부(7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을 착용하고 지면에 접지하게 되면, 상기 경질부(60)보다 연질부(70)가 더 큰 쿠션력을 갖게 되므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연질부(70)의 방향으로 신발(10)이 기울어지게 된다. 그로인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신발 밑창(12)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게 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질부(60)보다 연질부(70)를 신발 밑창(12)에 구성하는 대신, 상기 신발 밑창(12)의 저면을 내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밑창(12)의 경사면에 의해 보행감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은 보행시 신발(10)을 들어 올리면 상기 연질부(70)의 쿠션복원력에 의해 연질부(70)의 저면이 경질부(60)와 동일한 높이가 되며, 신발 밑창(12)을 접지하게 되면 상기 연질부(70)의 쿠션에 의해 서서히 내측방향으로 밑창(12)의 각도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처음 착용하는 경우에도 보행감이 우수하고 갑작스런 보행감의 변화에 의해 착용자가 넘어지는 일이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0)은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연질부(70)가 경질부(60)에 의해 더 쉽게 닳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밑창(12)에 내측부(24,42)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비착용과 착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10)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에만 길이방향으로 홈과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 의 체중과 대응된 적정한 가압력에 의해 밑창의 돌기가 좌우로 밀려 신발의 밑창이 안쪽으로 치우쳐지도록 하여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신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10)은 착용자의 발바닥 중앙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상승된 중간 요홈(130)을 기준으로 그 전단에 앞굽(1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후단에는 뒷굽(140)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10)의 앞굽(120) 및 뒷굽(140)은 그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123, 146)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에 외측부(126)가 형성되며, 그 안쪽에 내측부(124)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고, 그 내측부(124)에는 각각 동심호 형상 또는 횡방향 홈(144)이 형성되고 그 홈(144)과 홈(144)의 사이에는 돌출면(148)이 형성된 돌기(147)를 이루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10)의 앞굽(120)과 뒷굽(140)의 내측부(124)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음각홈(1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음각홈(150)과 이웃하는 다른 음각홈(150)의 사이는 돌출면(147)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신발(110)의 밑창(112)이 지면에 접지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돌출면(147)의 종단부(148)가 상기 음각홈(150)의 내부로 비틀어지거나 신장되게 변형되므로 신발(110)이 기울어지게 된다. 그로인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신발 밑창(112)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면을 갖게 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음각홈(150)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124: IN)로 갈수록 그 바닥면의 세로방향(폭방향) 길이가 더 넓어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 내측부(124)로 갈수록 상기 돌출면(147)의 지지력이 더욱 약화되어 쉽게 내측부(124)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면(147)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124: IN)로 갈수록 그 세로방향(폭방향) 길이가 더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바, 이 역시 그 내측부(124)로 갈수록 상기 돌출면(147)의 지지력이 더욱 약화되어 쉽게 내측부(124)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의 밑창 구조도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밑창의 내측부에 다수의 돌기와 홈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후 접지시 쉽게 내측부 방향으로 신발이 경사지게 하여 휜다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은 휜다리 교정기능은 물론, 보행감도 향상시킨 밑창(212)을 갖는 바,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은 착용자의 발바닥 중앙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오목하게 상승된 중간 요홈(230)을 기준 으로 그 전단에 앞굽(2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후단에는 뒷굽(240)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의 앞굽(220) 및 뒷굽(240)의 외측부(226,244)는 그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준홈을 중심으로 그 바깥쪽에 외측부(226)를 이루며, 그 안쪽에 앞굽 내측부(224) 및 뒷굽 내측부(242)가 각각 전체의 내측부(224)를 이루고 있다. 그 내측부(224)에는 각각 동심호 형상 또는 횡방향 홈(225)이 형성되고 그 홈(225)과 홈(225)의 사이에는 돌출면(227)이 형성된 돌기(147)를 이루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의 내측부(124)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음각홈(2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음각홈(250)과 이웃하는 다른 음각홈(250)의 사이는 돌출면(249)이 형성되어 돌기(248)를 이룬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의 내측부(124)의 저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248)는 이웃하는 다른 돌기(248)와 상호 이웃하지 않게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부(226)의 돌출면(227)은 횡방향으로 형성된 음각홈(225)에 의해 좌우 어느 횡방향으로든지 경사지게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되지만, 상기 내측부(224)에 형성된 돌기(248)는 그 음각홈(250)에 의해 일정한 경사를 갖게 기울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외측부(226)가 기울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내측부(224)에 형성된 음각홈(250)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은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면을 갖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2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신발 밑창(212)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면을 갖게 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은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신발 밑창의 내/외측부의 재질이나, 그 밑창 구조로 인해 신발 밑창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면을 갖게 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신발 밑창의 외측부를 경질부재로 형성하고, 내측부를 연질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적정한 가압 교정각도로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은 그 전단부가 경질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신발 밑창의 내구성을 높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의 내측부는 전체 신발 밑창의 길이방향 분할 면적의 1/2보다 더 작은 세로방향(신발 밑창의 폭방향) 길이를 갖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4. 신발 밑창의 외측부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각홈 및 음각홈 사이의 돌출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신발이 내측부 방향으로 치우쳐져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로 갈수록 그 바닥면의 세로방향 길이가 더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신발 밑창의 내측부로 갈수록 그 세로방향 길이가 더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7. 신발 밑창의 외측부가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가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각홈 및 음각홈 사이의 돌출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부 및 내측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별도의 음각홈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부에는 그 가장자리가 상호 연장되지 않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1020070053160A 2007-05-31 2007-05-31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10089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160A KR100890529B1 (ko) 2007-05-31 2007-05-31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160A KR100890529B1 (ko) 2007-05-31 2007-05-31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495A true KR20080105495A (ko) 2008-12-04
KR100890529B1 KR100890529B1 (ko) 2009-03-27

Family

ID=4036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160A KR100890529B1 (ko) 2007-05-31 2007-05-31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64B1 (ko) * 2019-04-16 2020-10-26 조정명 자세교정이 가능한 쿠션 신발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37785A1 (en) * 2022-04-22 2023-10-26 James Yoshitatsu Kobayashi Anatomically pliant athletic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04A (ja) * 1995-07-13 1997-01-28 Nippon Solid Co Ltd 履 物
KR100736711B1 (ko) * 2005-11-25 2007-07-06 김진호 골프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64B1 (ko) * 2019-04-16 2020-10-26 조정명 자세교정이 가능한 쿠션 신발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529B1 (ko) 200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2140044B1 (ko)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KR200414204Y1 (ko) 신발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US20220248806A1 (en) Footwear insert assembly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CA3105468A1 (en) An assembly for providing footwear with a plurality of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footbeds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58865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99947B1 (ko) 앞 굽이 높은 신발
KR100552339B1 (ko)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KR20130044683A (ko) 발가락 교정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깔창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KR200313793Y1 (ko)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KR101848900B1 (ko) 교정용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