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38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384A
KR20090076384A KR1020080002302A KR20080002302A KR20090076384A KR 20090076384 A KR20090076384 A KR 20090076384A KR 1020080002302 A KR1020080002302 A KR 1020080002302A KR 20080002302 A KR20080002302 A KR 20080002302A KR 20090076384 A KR20090076384 A KR 2009007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penser
valve
supply pipe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김명희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384A/ko
Publication of KR2009007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부와; 저장실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워터탱크와; 워터탱크와 디스펜스부를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워터탱크와 인접한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디스펜서부와 인접한 급수배관으로 바이패스하여 급수배관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배관과;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순환유로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와; 살균모드 운전시 히터와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급수배관을 용이하게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 디스펜서, 살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배관의 살균기능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 외에 기능성 및 편의성을 고려한 여러 가지 다양한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도어의 전면에 마련되는 홈바(home bar) 및 디스펜서(dispenser)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실에 저장하는 워터탱크와, 워터탱크와 디스펜서부를 연결하는 급수배관을 갖는다. 즉,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고내로 유입된 물은 필터에서 정수되고 워터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디스펜서부를 작동하면 급수배관을 거쳐 외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 이외에는 급수배관의 청소 및 세척 등을 할 수 없어서 바이오필름 또는 미생물 증식 등의 위험을 그대로 방치해야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배관을 용이하게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워터탱크와; 상기 워터탱크와 상기 디스펜스부를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워터탱크와 인접한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디스펜서부와 인접한 상기 급수배관으로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수배관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배관과;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유로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와;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히터와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순환배관의 분기영역에 마련되는 제1밸브와,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순환배관의 합류영역에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순환유로가 폐루프가 되도록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순환유로를 이동하 는 물을 70℃이상으로 가열하여 5~40분 동안 순환하도록 상기 히터 및 펌프를 제어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경보부를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살균모드 운전의 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가 작동하고 난 후 상기 디스펜서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상기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살균모드 운전 후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순환유로상에 남아있는 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 및 드레인부를 제어함으로써, 살균모드 운전 후에 순환유로상에 남아있는 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순환배관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펜서부는 냉수디스펜서와 온수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냉수디스펜서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온수디스펜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냉수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디스펜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여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온수가 입력되면 상기 순환배관과 상기 디스펜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펜서부가 작동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배관의 살균기능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10a, 10b)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10)과, 저장실(10a, 10b)을 개폐하는 도어(15)와, 도어(15)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부(20)와, 저장실(10a, 10b)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워터탱크(33)와, 워터탱크(33)와 디스펜서부(20)를 연결하는 급수배관(34)과, 워터탱크(33)와 인접한 급수배관(34)으로부터 분기되어 디스펜서부(20)와 인접한 급수배관(34)으로 바이패스하여 급수배관(34)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배관(35)과,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순환유로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39)와,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40)와, 살균모드 운전시 히터(39)와 펌프(40)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체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장실(10a, 10b)이 중간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중간격벽의 좌측에는 냉동실(10a)이 형성되며, 우측에는 냉장실(10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저장실(10a, 10b)의 전면 개구에는 저장 실(10a, 10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5)가 마련되어 있고, 도어(15)의 내측에는 병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 가이드(미도시)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냉동실(10a)을 개폐하는 도어(15)에는 디스펜서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10b)에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필터(30)와, 필터(30)에서 정수된 물을 저온 저장하는 워터탱크(33)와, 저장물을 분리 수납할 수 있는 선반(미도시) 및 서랍(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필터(30)는 냉장실(10b)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정수한다. 필터(30)는 외부연결부(31)를 통하여 고내로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필터(30)는 주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30)는 냉장실(10b)에 마련된다고 전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캐비닛(10)의 어디에도 마련될 수 있다.
외부연결부(31)는 고외에서 고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일단은 외부의 급수원(32)에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된 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30)와 연결된다. 필터(30)에서 정수된 물은 워터탱크(33)로 이동한다.
워터탱크(33)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저온 저장하도록 냉장실(10b)에 배치된다. 워터탱크(33)와 디스펜서부(20)는 급수배관(34)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급수배관(34)은 순환배관(35)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순환배관(35)은 워터탱크(33)와 인접한 급수배관(34)으로부터 분기되어 디스펜서부(20)와 인접한 급수배관(34)으로 바이패스하여 급수배관(34)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급수배관(34)과 순환배관(35)의 분기영역에는 제1밸브(36)가 마련 되어 있고, 합류영역에는 제2밸브(37)가 마련되어 있다.
제1밸브(36)는 워터탱크(33)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6a)와, 급수배관(34)으로 연결되는 제1유출구(36b)와, 순환배관(35)으로 연결되는 제2유출구(36c)를 포함한다. 제1밸브(36)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1유출구(36b) 및 제2유출구(36c)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된다.
제2밸브(37)는 급수배관(34)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7a)와, 순환배관(35)으로 연결되는 제1유출구(37b)와, 디스펜서부(20)로 연결되는 제2유출구(37c)를 포함한다. 제2밸브(37)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1유출구(37b) 및 제2유출구(37c)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된다.
히터(39)는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물을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39)는 급수배관(34)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급수배관(34)의 일영역에는 급속재질의 가열배관(34a)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히터(39)는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열배관(34a)은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마련된다.
급수배관(34)은 고무재질로 마련되지만 급수배관(34) 중 히터(39)와 접촉하는 영역은 금속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히터(39)는 가열배관(34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가열배관(34a)에 열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판상으로 마련되어 가열배관(34a)과 접촉하여 가열배관(34a)에 열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열배관(34a)은 히터(39)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복수회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는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강제순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40)는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나, 펌프(40)는 급수배관(34)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와, 타이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살균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부(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시 히터(39)와 펌프(4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살균모드를 입력하면 온도센서(50)와 타이머(60)에 의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순환유로를 이동하는 물을 70℃이상으로 가열하여 5~40분 동안 순환하도록 히터(39) 및 펌프(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의 가열온도 및 순환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순환유로가 폐루프가 되도록 제1밸브(36)와 제2밸브(37)를 제어한다. 즉, 제1밸브(36)의 제1유출구(36b)와 제2유출구(36c)를 상호 연통시키고 유입구(36a)를 폐쇄하며, 제2밸브(37)의 유입구(37a)와 제1유출구(37b)를 상호 연통시키고 제2유출구(37c)를 폐쇄한다. 이에, 펌프(40)의 구동에 의하여 물이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00)는 순환유로상을 유동하는 물을 바로 70℃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하는 물을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70℃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물의 온도가 70℃를 유지하도록 히터(39)를 온오프하며 제어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실시예에서 살균모드 운전시 시간에 따른 균수의 감소효과를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모드 운전시 급수배관(34) 내부의 물의 균수가 현저하게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배관(34)의 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완전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8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청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알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이 완료되면 경보부(80)를 작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경보부(80)가 작동하고 난 후 디스펜서부(20)가 작동하면, 순환유로상의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펌프(40)를 구동한다. 이에, 사용자는 살균모드 운전의 종료를 인식하고 디스펜서부(20)를 작동하여 순환유로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살균모드를 선택하여 살균모드 운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100)에 의하여 일정 주기를 가지고 자동으로 살균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밸브(36)는 3방밸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6a), 제1유출구(36b) 및 제2유출구(36c)가 연통되어 있으며 차단 부(36d)의 회전에 의하여 유입구(36a), 제1유출구(36b) 및 제2유출구(36c)가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유동하는 물이 정/역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밸브(37)도 제1밸브(36)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냉장고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입력부(70)를 통하여 살균모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제1밸브(36) 및 제2밸브(37)를 제어하여 폐루프의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히터(39)와 펌프(40)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순환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70℃로 유지하도록 히터(39)를 제어하며, 펌프(40)를 정해진 시간동안 운전한다. 살균모드 운전을 마치고 난 후, 제어부(100)는 히터(39)와 펌프(40)를 구동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경보부(8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살균모드 운전의 종료를 알려준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스펜서부(20)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00)는 펌프(40)를 구동하여 순환유로에 남아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순환유로에 남아있던 물이 다 배출되고 나면, 제1밸브(36)의 유입구(36a)와 제1유출구(36b)를 연통시키도록 개방하고 제2유출구(36c)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2밸브(37)의 유입구(37a) 및 제2유출구(37c)를 연통시키도록 개방하고 제1유출구(37b)를 폐쇄한다. 이에, 사용자가 디스펜서부(20)를 작동하여 워터탱크(33)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 명은 생략하며, 중복되는 구성의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워터탱크(33)와 필터(30)의 배치를 바꾼 것이다. 이에, 워터탱크(33)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필터(30)에서 제거하며, 이후 급수배관(34)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열수 세척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온수공급기능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부(20)는 냉수디스펜서(20a)와 온수디스펜서(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급수배관(34)은 제1밸브(36)로부터 분기되어 냉수디스펜서(20a)로 연결되고, 순환배관(35)은 제1밸브(36)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디스펜서(20b)로 연결된다.
제2밸브(137)는 냉수밸브(137a)와 온수밸브(137b)를 포함한다. 냉수밸브(137a)는 급수배관(34)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구(137aa)와, 유입구(137aa)로부터 분기되어 냉수디스펜서(20a)에 연결되는 제1유출구(137ab)와, 유입구(137aa)로부터 분기되어 후술하는 온수밸브(137b)의 제2유출구(137bc)에 연결되는 제2유출구(137ac)를 갖는다.
온수밸브(137b)는 순환배관(35)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구(137ba)와, 유입구(137ba)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디스펜서(20b)에 연결되는 제1유출구(137bb)와, 유입구(137ba)로부터 분기되어 냉수밸브(137a)의 제2유출구(137ac)에 연결되는 제2유 출구(137bc)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40)는 급수배관(34)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히터(39) 및 온도센서(50)는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시 제1밸브(36)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냉수밸브(137a)의 제1유출구(137ab)를 폐쇄하고 유입구(137aa)와 제2유출구(137ac)를 상호 연통되도록 개방하며, 온수밸브(137b)의 제1유출구(137bb)를 폐쇄하고 유입구(137ba)와 제2유출구(137bc)를 상호 연통되도록 개방하여 폐루프의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이 종료되고 나면, 제1밸브(36)의 유입구(36a), 제1유출구(36b) 및 제2유출구(36c)를 모두 개방한다. 또한, 냉수밸브(137a)의 제1유출구(137ab)와 유입구(137aa)를 상호 연통하도록 개방하고 제2유출구(137ac)를 폐쇄하며, 온수밸브(137b)의 제1유출구(137bb)와 유입구(137ba)가 상호 연통하도록 개방하고 제2유출구(137bc)를 폐쇄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온수디스펜서(20b)가 작동되면 제어부(100)는 히터(39)를 구동한다. 사용자는 냉수디스펜서(20a)를 작동하여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온수디스펜서(20b)를 작동하여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살균기능과 온수공급기능을 겸비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에서 자동으로 순환유로상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부(90)를 더 포함한다. 드레인부(90)는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는 드레인배관(91)과, 순환유로와 드레인배관(91)의 분기영역에 마련되는 드레인밸브(9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드레인배관(91)은 급수배관(34)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배관(35)으로부터 분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드레인밸브(93)는 급수배관(34)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93a)와, 유입구(93a)로부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분기되어 급수배관(34)에 연결되는 제1유출구(93b)와, 유입구(93a)로부터 분기되어 드레인배관(91)에 연결되는 제2유출구(93c)를 갖는다. 여기서, 드레인배관(91)의 단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통(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시 제1밸브(36)와 제2밸브(137)를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하되, 드레인밸브(93)의 유입구(93a) 및 제1유출구(93b)를 개방하고 제2유출구(93c)를 폐쇄하여 폐루프의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살균모드 운전이 종료되고 나면, 제1밸브(36)와 제2밸브(137)를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하되, 드레인밸브(93)의 유입구(93a) 및 제2유출구(93c)를 개방하는 동시에 펌프(40)를 구동하며, 제1유출구(93b)를 폐쇄한다. 이에, 살균모드 운전이 종료되고 난 후, 자동으로 순환유로에 남아있는 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히터(39)를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장착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히터(39)가 순환배관(35)의 일 영역에 장착되며, 펌프(40)가 급수배관(34)의 일 영역에 장착된다. 그러나, 펌프(40)가 순환배관(35)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입력부(70)는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냉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급수배관(34)과 디스펜서부(20)가 연통되도록 제2밸브(37)의 유입구(37a)와 제2유출구(37c)를 개방하고 제1유출구(37b)를 폐쇄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급수탱크(33)와 급수배관(34)이 연통되도록 제1밸브(36)의 유입구(36a)와 제1유출구(36b)를 개방한다. 이에, 급수탱크(33)의 물이 급수배관(34)을 통하여 디스펜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온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순환배관(35)과 디스펜서부(20)가 연통되도록 제2밸브(37)의 제1유출구(37b) 및 제2유출구(37c)를 개방하고 유입구(37a)를 폐쇄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급수탱크(33)와 순환배관(35)이 연통되도록 제1밸브(36)의 유입구(36a)와 제2유출구(36c)를 개방한다. 이에, 급수탱크(33)의 물이 순환배관(35)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입력부(70)에서 온수가 입력되고 난 후 디스펜서 부(20)가 작동되면 히터(39)를 구동한다. 이에, 순환배관(35)을 유동하는 물이 히터(39)에서 가열된 후 디스펜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변형으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 히터(39)를 순환배관(35)에 장착하여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제2밸브(137)를 두 개로 마련하여 온수디스펜서(20b)와 냉수디스펜서(20a)로 각각 연결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2밸브(37)를 하나로 마련하고 디스펜서부(20)를 하나로 마련하여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살균모드 운전시 시간에 따른 균수의 감소효과를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캐비닛 15 : 도어
20 : 디스펜서부 30 : 필터
33 : 워터탱크 34 : 급수배관
35 : 순환배관 36 : 제1밸브
37 : 제2밸브 39 : 히터
40 : 펌프 50 : 온도센서
60 : 타이머 70 : 입력부
80 : 경보부 90 : 드레인부
100 : 제어부

Claims (1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워터탱크와;
    상기 워터탱크와 상기 디스펜스부를 연결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워터탱크와 인접한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디스펜서부와 인접한 상기 급수배관으로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수배관과 함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배관과;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유로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와;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히터와 펌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순환배관의 분기영역에 마련되는 제1밸브와,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순환배관의 합류영역에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순환유로가 폐루프가 되도록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상에 마련되어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시 상기 순환유로를 이동하는 물을 70℃이상으로 가열하여 5~40분 동안 순환하도록 상기 히터 및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경보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가 작동하고 난 후 상기 디스펜서부가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 레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모드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순환유로상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펌프 및 드레인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순환배관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부는 냉수디스펜서와 온수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냉수디스펜서로 연결되고, 상기 순환배관은 상기 제1밸브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온수디스펜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냉수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배관과 상기 디스펜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온수가 입력되면 상기 순환배관과 상기 디스펜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펜서부가 작동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02302A 2008-01-08 2008-01-08 냉장고 KR20090076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02A KR20090076384A (ko) 2008-01-08 2008-01-0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02A KR20090076384A (ko) 2008-01-08 2008-01-0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84A true KR20090076384A (ko) 2009-07-13

Family

ID=4133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02A KR20090076384A (ko) 2008-01-08 2008-01-0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3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438A (ko) * 2017-01-17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0107546B2 (en) 2015-03-3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7546B2 (en) 2015-03-3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544985B2 (en) 2015-03-31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84438A (ko) * 2017-01-17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5809A (ko) 온수공급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51261A1 (en) Hot water supply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35515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US11612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eaning and washing ice cream or yogurt machine
KR20160054286A (ko) 냉장고, 냉장고 제어 방법 및 냉장고용 물탱크 교체 방법
KR20100053978A (ko) 냉장고
KR101639447B1 (ko) 냉장고
JP6248162B2 (ja) 冷温水器及び冷温水器の殺菌方法
KR1019458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6384A (ko) 냉장고
KR20170133197A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100002897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및 그 제빙기의 청소방법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JP200634755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101162121A (zh) 电冰箱净水装置
KR20070044247A (ko) 냉장고
KR2007010625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101729B1 (ko) 냉장고
KR20070105650A (ko) 냉장고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20120011455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56172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5378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7010876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