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861A -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 Google Patents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861A
KR20090074861A KR1020080000544A KR20080000544A KR20090074861A KR 20090074861 A KR20090074861 A KR 20090074861A KR 1020080000544 A KR1020080000544 A KR 1020080000544A KR 20080000544 A KR20080000544 A KR 20080000544A KR 20090074861 A KR20090074861 A KR 2009007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upplied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655B1 (ko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6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AC 전원 오프(Off)시 발생하는 화면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램프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토대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특정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AC 전원 감지부; 및, 상기 AC 전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AC 전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 오프, 잔상 방지

Description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Display device having afterimage protec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AC 전원 오프(Off)시 발생하는 화면잔상을 방지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약칭함)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안성이 우수하고 평균 소비전력도 같은 CRT에 비해 화면크기도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 또한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표시장치(PDP)나 전계방출표시장치(FED)와 함께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전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LCD는 특수하게 표면 처리된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물질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위의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작동원리를 갖는데, 이 LCD는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표시 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술한 LCD 모듈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0)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전면에 광원을 공급하는 램프(20)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 및 램프(20)를 포함한 각 IC에 해당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전원 공급부(30)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전원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상용전원을 토대로 상기 각 IC에 해당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램프(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가 하나의 보드에 장착된 LIPS(Lcd Inverter and Power Supply) 보드이다.
이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전원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토대로 상기 램프(20) 및 디스플레이모듈(10)이 구동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은 상기 구동되는 램프(20)의 밝기를 기준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는 AC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의 상/하측에 바(Bar) 형태로 잔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이러한 화면 잔상을 방지하기 위해 AC 전원의 오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회로를 적용하여, 상기 AC 전원의 오프(OFF)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램프가 꺼지는 시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공급되는 5V를 먼저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AC 오프시 상기 화면상에 발생하는 잔상을 방지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검출회로는 1차 측의 AC 전원을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입력부를 동작시켜 2차 측의 포토 커플러로 해당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검출회로는 상기 1차 측에서부터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회로가 매우 복잡하여 불량의 발생 소지가 있으며, 현재의 소형 영상표시기기에는 공간상 상기 검출회로를 적용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상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수(1차 측 15개, 2차 측 6개)가 많아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AC 전원 오프시 화면상에 발생하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측의 전원을 토대로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램프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토대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특정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AC 전원 감지부; 및, 상기 AC 전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AC 전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2차 측 전원을 토대로 상기 AC 전원의 오프 시점을 감지함으로써, 회로의 신뢰성 및 AC 검출 동작의 오류를 방지하여 효과적인 화면 잔상 제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AC 전원 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의 부품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단가의 상승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AC 전원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상용 전원을 토대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각 IC에 해당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소정의 밝기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전면으로 빛을 공급하는 램프(120), 상기 전원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특정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AC 전원 감지부(130)와,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AC 전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00)는 외부로부터 AC 상용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101)와, 상기 전원 입력부(101)를 통해 AC 상용 전원이 인가되면 입력 전원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AC 입력 전원 필터(102)와, 상기 AC 입력 전원 필터(102)를 통해 필터링 된 교류 전원(AC)을 직류 전원(DC)으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103)와, 상기 정류부(103)를 통해 정류된 전압을 공급받고, 1차 측에 공급된 전원을 2차 측으로 유기시키는 트랜스포머(104)와, 상기 트랜스포머(104)를 통해 출력된 전원을 다시 정류하여 각 IC에 해당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부(105)와, 상기 램프(120)에 해당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00)가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램프의 전류 제어를 위한 인버터가 하나의 보드(Board)에 장착된 LIPS(Lcd Inverter and Power Supply) 보드를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전원부와 인버터가 각각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입력부(101)를 통해 AC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AC 전원 필터(102)는 상기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여 정류부(10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정류부(103)는 상기 입력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고, 상기 트랜스포머(104)는 상기 정류부(103)로부터 정류된 전압을 공급받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1차 측에 공급된 전원을 2차 측으로 유기시키며, 전원 출력부(105)는 상기 트랜스포머(108)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다시 정류하여 각 IC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별도로 구비된 비디오 프로세서(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액정패널이 구동되어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인버터(106)는 상기 전원 출력부(105)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 램프(120)를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밝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화면의 밝기는 상기 인버터(106)를 통하여 구동 전류를 상기 램프(120)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제어되며, 이는 상기 전원 출력부(105)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압에 따른 전류에 의해 상기 램프(120)로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변화시켜 조정한다.
AC 전원 감지부(130)는 상기 전원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되는 특정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해당 AC 전원 상태를 상기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하,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는 상기 전원 출력부(105)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토대로 충전 또는 방전하는 콘덴서(41)와, 상기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AC 전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는 전압 흐름을 위한 다이오드 및 저항이다.
상기 콘덴서(41)는 상기 트랜지스터(42)의 에미터(Emitter)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 일단이 접지되며, 노멀 동작(AC ON)시 상기 전원 출력부(105)를 통해 공급 되는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AC 전원 오프 시 상기 전원 출력부(105)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레벨의 변동에 따라 상기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132)는 베이스와 에미터의 전위차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132)는 노멀 동작시 상기 베이스 전압과 에미터 전압은 동일하므로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에미터 전압은 상기 콘덴서(131)를 토대로 충전이 되어 있다.
그리고, AC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베이스 전압이 상기 충전된 에미터 전압보다 먼저 떨어져 상기 베이스와 에미터단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132)는 상기 콘덴서(131)의 방전 시간만큼 턴 온 되어 해당 AC 전원 오프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즉, AC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에미터 단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콘덴서의 방전에 따라 특정 전압을 유지하고, 상기 베이스 단에 입력되는 전압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미터 단과 베이스 단에 전위차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132)가 턴 온 되어 해당 컬렉트로 상기 AC 전원 오프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AC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특정 전압은 15V 또는 5V가 사용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기 15V가 5V보다 빨리 방전이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AC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15V의 변동 여부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15V는 로드가 매우 크며, 상기 램프의 오프 후에 급격히 방전이 시 작하나, 상기 5V는 여러 IC 및 회로 부품에 사용되어 방전 시간이 15V에 비해 느리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AC 전원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단속한다.
즉,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를 통해 정상적인 AC 전원의 공급에 따른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현 상태를 유지시키고, 비정상적인 AC 전원의 공급에 따른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램프(120)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차단되기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의 차단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AC 전원 오프에 따른 화면 잔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 오프 시점에서 15V가 5V보다 더 빨리 방전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AC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공급되는 15V의 변동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132)가 턴 온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트랜지스터(132)가 턴 온 됨에 따라 발생하는 AC 전원의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로 공급되는 5V를 차단하며, 상기 5V가 차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오프된 이후에 상기 램프를 오프시킴으로써 화면 잔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AC 전원 감지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00)가 포함된 전원 보드 상에 추가할 수도 있고, 메인 보드 상에 추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원 보드 상에 추가할 시는 상기 전원 보드와 메인보드 사이에 상기 AC 감지 신호를 전달하 기 위한 커넥터 1핀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는 2차 측 전원을 토대로 상기 AC 전원의 오프 시점을 감지함으로써, 회로의 신뢰성 및 AC 검출 동작의 오류를 방지하여 효과적인 화면 잔상 제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의 부품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단가의 상승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AC 전원 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원 공급부 110: 디스플레이모듈
120: 램프 130: AC 전원 감지부
140: 제어부

Claims (7)

  1. 램프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토대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특정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AC 전원 감지부; 및,
    상기 AC 전원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AC 전원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AC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AC 상용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전원을 2차 측으로 유기시키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 포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재정류하여 각 IC에 해당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토대로 충전 또는 방전하는 콘덴서와, 상기 전압 레벨의 변동 여부에 따라 AC 전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AC 전원의 오프 시점에서 발생하는 에미터단과 베이스단의 전위차를 기준으로 턴 온 되어 상기 AC 전원의 이상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15V의 변동 여부에 따라 AC 전원의 상태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 전원 감지부를 통해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5V)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차단 시점은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KR1020080000544A 2008-01-03 2008-01-03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KR10138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44A KR101389655B1 (ko) 2008-01-03 2008-01-03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44A KR101389655B1 (ko) 2008-01-03 2008-01-03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861A true KR20090074861A (ko) 2009-07-08
KR101389655B1 KR101389655B1 (ko) 2014-04-28

Family

ID=4133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544A KR101389655B1 (ko) 2008-01-03 2008-01-03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148B1 (ko) * 2011-10-07 2012-09-13 주식회사 지티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 검출 시스템
US10186184B2 (en) 2015-04-17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image retention compensation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934B1 (ko) * 1991-10-30 1994-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의 화면과도현상방지회로
KR100218533B1 (ko) * 1996-11-27 1999-09-01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의 파워 오프 방전 회로
KR100429218B1 (ko) * 2001-10-15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피 모듈 보호회로 및 그 방법
KR100589407B1 (ko) * 2003-11-10 2006-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148B1 (ko) * 2011-10-07 2012-09-13 주식회사 지티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 검출 시스템
US10186184B2 (en) 2015-04-17 2019-01-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image retention compensation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655B1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6639A1 (zh) 显示面板的驱动装置及驱动方法、显示设备
KR100751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1786201A2 (en) Display device having plurality of power suppl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493312B1 (ko) Lcd 모니터의 피드백 시스템
KR100940563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389655B1 (ko) 잔상 방지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KR101461115B1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422024B1 (ko) 평판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장치
US20100045647A1 (en) Driving circuit for backlight unit having reset function
US83450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KR20120006793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04873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원 공급 장치
JP2009037020A (ja)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残留電荷の放電方法
KR1007354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원장치
KR20100029596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013989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배면조명 제어방법
KR100952383B1 (ko) Pdp 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오방전 방지장치및 방법
KR101102724B1 (ko) 인버터용 집적 회로를 이용한 제로 디밍장치
KR100778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1079363B1 (ko) 보호 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구동 장치
KR20110034809A (ko) 백라이트 유닛의 과전압 보호장치
KR101067041B1 (ko) 백라이트 구동방법
KR1005214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559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10082963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