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93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93A
KR20120006793A KR1020100067450A KR20100067450A KR20120006793A KR 20120006793 A KR20120006793 A KR 20120006793A KR 1020100067450 A KR1020100067450 A KR 1020100067450A KR 20100067450 A KR20100067450 A KR 20100067450A KR 20120006793 A KR20120006793 A KR 20120006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tandby
error signal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793A/ko
Publication of KR2012000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보드로부터 전원신호를 제공받아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입력부, 전원 입력부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구동 회로부 및 메인보드와 전원입력부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보드로부터 에러신호가 감지되면 전원신호를 차단하여 전원 입력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스탠바이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약칭함)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CRT에 비해 작을 뿐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나 전계방출 표시 장치(FED)와 함께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전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보호회로 동작시 에러신호를 감지되면 소정의 시간 이후에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보드로부터 전원신호를 제공받아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입력부, 전원 입력부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구동 회로부 및 메인보드와 전원입력부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보드로부터 에러신호가 감지되면 전원신호를 차단하여 전원 입력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스탠바이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스탠바이 전환부는 메인보드에 배치되는 에러신호 감지부를 통해 제공되는 에러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와 딜레이부에 의해 지연된 에러신호를 제공받아 턴 온되어 전원신호를 차단하는 스탠바이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딜레이부는 커패시터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부는 전원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전원 스위칭부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바이 스위칭부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칭부는 스탠바이 스위칭부가 턴 온하면 턴 오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보호회로 동작시에 에러신호가 감지되면 스탠바이 전환부를 통해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보호회로 동작시에 에러신호가 감지되면 보호회로 이외에 스탠바이 전환부를 통해 스탠바이 모드로 한번 더 전환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이중으로 스탠바이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스탠바이 모드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 입력부(110), 구동 회로부(120) 및 스탠바이 전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전원 입력부(110)는 메인보드(Mainboard)로부터 전원신호(Power-on)를 제공받아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 입력부(110)는 저항부, 커패시터부 및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스위칭부(Q2)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저항부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포함하고, 커패시터부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 스위칭부(Q2)를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로 용이하게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원 입력부(110)는 전원신호(Power-on)를 공급받아 제2 저항(R2), 제3 저항(R3), 제2 커패시터(C2) 및 전원 스위칭부(Q2)를 경유하여 구동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 회로부(120)는 전원 입력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서 제공되는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회로를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부(1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트랜스포머(Transformer), 션트 레귤레이션(Shunt Regulation),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저항(R4 내지 R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커패시터(C3 내지 C9),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D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인덕터(L1 내지 L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탠바이 전환부(130)는 메인보드(Mainboard)와 전원 입력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보드(Mainboard)로부터 에러신호(Error)가 감지되면 전원신호(Power on)를 차단하여 전원 입력부(110)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탠바이 전환부(130)는 딜레이부(131)와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메인보드(Mainboard)는 파워보드(Powerboard)가 포함되지 않아 메인보드(Mainboard)의 자체에서 파워보드(Powerboard)의 기능을 포함된 것을 설명한 것이다. 이와 달리, 메인보드(Mainboard)에 파워보드(Powerboard)가 포함될 경우에는 파워보드(Powerboard)로부터 에러신호(Error)가 감지되면 전원신호(Power on)를 차단하여 전원 입력부(110)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메인보드(Mainboard)에 파워보드(Powerboard)가 형성될 수도 있고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딜레이부(131)는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파워보드(Powerboard)에 배치되는 에러신호 감지부를 통해 제공되는 에러신호(Error)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딜레이부(131)는 제1 커패스터(C1)와 제1 저항(R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스터(C1)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또는 제1 저항(R1)의 저항력이 증가할수록 에러신호 감지부를 통해 제공되는 에러신호(Error)가 지연되는 지연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연된 에러신호(Error)는 후술할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는 딜레이부(131)에 의해 지연된 에러신호(Error)를 제공받아 턴 온(Tuen on)되어 전원신호(Power on)를 차단하는 것이다.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가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로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에러신호(Error)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제공될 때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가 턴 온(Turn on)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파워보드(Powerboard)에 형성된 보호회로가 동작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동작될 때에는 메인보드(Mainboard)로부터 전원신호(Power on)를 제공받아 전원 스위칭부(Q2)가 턴 온(Turn on)되는 것이다. 즉, 전원 스위칭부(Q2)의 베이스단(B)을 통해 전원신호(Power on)가 공급됨으로써, 전원 스위칭부(Q2)가 턴 온(Turn on)되어 구동전압을 구동 회로부(120)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스탠바이 전환부(130)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파워보드(Powerboard)에 형성된 보호회로가 동작하면 에러신호(Error)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변경되는 것이다. 즉, 에러신호(Error)가 전압이 0V에서 5V로 높아짐으로써,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상승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러신호(Error)는 에러신호 감지부를 통해 스탠바이 전환부(13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에러신호(Error)가 스탠바이 전환부(130)에 공급되더라도 바로 동작하지 않고 딜레이부(131)를 통해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메인보드(Mainboard)에서 보호회로에 의해 오프된 전원신호(Power off)가 전달되어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는 시간을 기다리는 것이다. 딜레이부(131)를 통해 소정의 시간을 지연한 후에 스탠바이 전환부(130)를 동작시킴으로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의 오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시킬 수 있어 에러신호(Error)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연된 에러신호(Error)가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의 게이트단(G)에 공급되면,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가 턴 온(Turn on)되고, 전원 스위칭부(Q2)의 베이스단(B)으로 기준전압(GND)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스위칭부(Q2)가 턴 오프(Turn off)됨으로써,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는 것이다.
즉, 스탠바이 전환부(130)에 배치된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가 턴 온(Turn on)하여 기준전압(GND)을 전원 입력부(110)에 배치된 전원 스위칭부(Q2)에 공급하면 턴 오프(Turn off)됨으로써, 강제적으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원신호(Power on)에 상관없이 전원 스위칭부(Q2)가 스탠바이 스위칭부(132,Q1)에 의해 턴 오프(Turn off)됨으로써,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전원 입력부 120: 구동 회로부
130: 스탠바이 전환부 131: 딜레이부
132: 스탠바이 스위칭부

Claims (6)

  1. 메인보드로부터 전원신호를 제공받아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상기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회로를 동작시키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전원입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에러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전원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스탠바이 전환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전환부는
    상기 메인보드에 배치되는 에러신호 감지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에러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와
    상기 딜레이부에 의해 지연된 상기 에러신호를 제공받아 턴 온되어 상기 전원신호를 차단하는 스탠바이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커패시터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전원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스위칭부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상기 스탠바이 스위칭부가 턴 온하면 턴 오프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00067450A 2010-07-13 2010-07-13 전원 공급 장치 KR20120006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50A KR20120006793A (ko) 2010-07-13 2010-07-13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50A KR20120006793A (ko) 2010-07-13 2010-07-13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93A true KR20120006793A (ko) 2012-01-19

Family

ID=4561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50A KR20120006793A (ko) 2010-07-13 2010-07-13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7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23U (ko) 2017-03-23 2018-10-04 (주)소낭구 옷장 정리용 칸막이
CN109994065A (zh) * 2017-12-29 2019-07-09 乐金显示有限公司 供电装置以及包括供电装置的显示装置
WO2021020601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23U (ko) 2017-03-23 2018-10-04 (주)소낭구 옷장 정리용 칸막이
CN109994065A (zh) * 2017-12-29 2019-07-09 乐金显示有限公司 供电装置以及包括供电装置的显示装置
CN109994065B (zh) * 2017-12-29 2022-11-15 乐金显示有限公司 供电装置以及包括供电装置的显示装置
WO2021020601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518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US11070047B2 (en) Overcurrent protection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TWI464717B (zh) 時序控制電路及使用其的電子裝置
US20140085756A1 (en)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85016B2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standby detection circuit
US20210325741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and display panel
CN107482755B (zh) 一种电子设备的电力切换方法及切换电路
KR20120006793A (ko) 전원 공급 장치
TWI521336B (zh) 顯示裝置
US7843151B2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with micro controller feeding operating state of load circuit back to pulse width modulation integrated circuit
US20180213618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voltage output module
US83450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US7999804B2 (en) Monitor
TWI404032B (zh) 外接圖像訊號源之液晶顯示裝置
US7474281B2 (en) Multi-mode switch for plasma display panel
US8339821B2 (en) Electrical appliance and power supply thereof
CN108320713A (zh) 背光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I714995B (zh) 背光裝置以及顯示裝置
KR20090027010A (ko) 전원공급장치
KR20120023378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20090022222A (ko) 전원제어장치
KR1007354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원장치
TWI806735B (zh) 高穩定度之電腦裝置
KR20110133906A (ko) 인버터의 보호장치
KR20110037083A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