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592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592A
KR20090065592A KR1020070132964A KR20070132964A KR20090065592A KR 20090065592 A KR20090065592 A KR 20090065592A KR 1020070132964 A KR1020070132964 A KR 1020070132964A KR 20070132964 A KR20070132964 A KR 20070132964A KR 20090065592 A KR20090065592 A KR 2009006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voltage
saving mod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592A/ko
Publication of KR2009006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모드(DPMS MODE)에서 일반모드로 진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시점인 Vcc ON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Vcc ON 신호에 따라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정상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타이밍을 제공해줌으로써, 파워 시퀀스(Power Sequence)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Vcc, Va, Vs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전모드(DPMS MODE)에서 일반모드로 진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기판의 동일면 상에 스캔 전극(이하, 'Y 전극' 이라 함)과 서스테인 전극(이하, 'Z 전극' 이라 함)을 형성하고, 하부기판에 어드레스 전극(이하, 'X 전극' 이라 함)을 형성하고, 인접한 셀과의 누화(cross-talk)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X 전극 간에 격벽을 형성하고, 격벽과 X 전극 주위에 형광체 층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사이의 공간에 불활성 가스를 봉입하여 방전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X 전극과 Y 전극 사이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X 전극과 Y 전극 사이에 대향 방전이 일어나서 벽전하가 발생하고, Y 전극과 Z 전극에 서로 극성이 반대인 방전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면, 벽전하에 의해 Y 전극과 Z 전극 상호 간 에 소정의 전위차가 유지되어 면방전이 일어난다.
그 결과, 방전영역의 불활성 가스로부터 자외선이 발생하면, 이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 층을 여기(excited) 시키고, 발광된 형광체 층에 의해 각 화소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시간 동안 외부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신호(RGB, HDMI PC의 H/V Sync signal)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이 존재하지 않거나, 입력 소스(Source)를 제공해주는 기기가 오프(Off)되면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절전 모드란 일반적으로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모드라고도 하며, 모니터 및 외부장비가 비 작동중일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파워 세이빙(Power Saving)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관리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후 외부로부터 실제 입력신호가 존재하거나,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이 입력되거나, 입력 소스를 제공해주는 기기가 온(On)되면, 그에 따라 절전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이네이블(Display Enable)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화면이 펄럭이거나 오방전 혹은 잔상성 오방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시퀀스에서 실질적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Va와 Vs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상기 Va, Vs 전압은 5V Vcc ON 신호를 기준으로 Ton 타임으로 설정된 500ms 이후에 인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5V Vcc 전압은 계속 인가되는 상태이고, 상기 일반 모드로 진입시 Va, Vs는 5V Vcc ON을 기준으로 상승을 하여야 하지만, 5V ON이 계속 하이(High)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Va 및 Vs가 기준으로 할 수 있는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일반 모드로 진입시 상기 어드레스 전압(Va)과 서스테인 전압(Vs)이 비적절한 타이밍에 켜지게 되고, 이는 각종 오방전이나 잔상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워 시퀀스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절전 모드 해제시 발생하는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Va)과 서스테인 전압(Vs)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에 따라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진입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의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는 특정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차단한 특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의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을 재공급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파워 시퀀스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타이밍을 제공해줌으로써, 파워 시퀀스(Power Sequence)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 해제시 파워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와,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에 따라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진입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의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신호 처리부(10)는 별도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연결된 특정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별도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1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모듈(20)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10)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모듈(2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 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는 제어부(40)에 릴레이 온(Relay On) 신호 및 Vcc 온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정격 전압을 토대로 턴 온 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IC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전원 공급부(30)는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구동하기 위한 Vcc, Va, Vs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공급되는 Vcc 전원만을 유지하고, 상기 Va, Vs 전원은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한다.
즉, 제어부(40)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비정상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비정상적이라 함은 상기 별도로 구비된 인터페 이스부(미도시)에 특정 외부기기가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상기 연결된 외부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실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존재해도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이 존재하지 않아도, 상기 입력 상태를 비정상적이라 판단하고,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전 모드는 일반적으로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라고도 하며, 모니터 및 외부장비가 비 작동중일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파워 세이빙(Power Saving)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관리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부(3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압(Va) 및 서스테인 전압(Vs)을 차단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Va 및 Vs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를 통해 판단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를 통해 입력되는 Va, Vs 온/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30)를 제어하여, 절전 모드로의 진입 및 해제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Va, Vs 전압만이 차단될 뿐, 상기 공급되는 Vcc 전원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40)는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신호의 입 력 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진입한 절전모드의 해제 명령을 출력한다.
이때, 외부로부터 실제 입력되는 H/V SYNC를 토대로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H/V SYNC ON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공급되던 전압 중 상기 차단한 Va, Vs 전압이 재공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Va, Vs가 인가되는 시점은 제어부(40)의 제어하에 Vcc 전압이 공급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T_on)이 지난 시점이지만,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해도 상기 Vcc 전압은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던 상태이므로, 상기 Va, Vs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Va, Vs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 타이밍은 상기 Va, Vs 전압이 실제로 인가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신호이고, 즉, Va, Vs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의 기준이 되는 Vcc ON 신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Va, Vs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기준 신호인 Vcc ON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Vcc 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30)를 통해 공급되는 멀티 전압을 차단(Off) 한 후 재공급(ON)해야 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멀티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30)에 순간적으로 릴레이 오프 -> 릴레이 온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생한 릴레이 오프 -> 릴레이 온 신호를 토대로 릴레이 오프가 이루어지고 400msec 후에 상기 공급되는 Vcc 전원이 오프(off)되며, 상기 Vcc 전원이 오프된 후 50msec가 경과되면, 다시 릴레이 온 신호 및 Vcc 온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400msec는 상기 릴레이 오프가 완전히 이루어지기 위한 최소 시간이고, 상기 50msec는 상기 Vcc가 완전히 오프되기 위한 시간이다.
즉, 상기 전원 공급부(3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발생시킨 릴레이 오프 -> 릴레이 온 신호로 멀티 전압을 약 450msec동안 오프한 후 다시 온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a 및 Vs의 기준 타이밍인 Vcc ON을 생성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Va 및 Vs 전압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상기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파워 온 시퀀스를 재수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릴레이 오프 신호 -> 릴레이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Va 및 Vs 전압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타이밍을 제공해줌으로써, 파워 시퀀스(Power Sequence)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
이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 신호의 입력 상태를 체크한다(S20).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비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즉,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존재 여부, 상기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외부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실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0) 영상신호의 입력상태가 비정상적이면,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공급되는 Va, Vs 전압을 차단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40).
그리고,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즉, 실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50)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계속적으로 비정상적이면, 상기 절전 모드를 유지한다(S60). 즉, 상기 Va, Vs 차단 및 Vcc 전원 공급을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S50)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가 정상적이면, 릴레이 오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Vcc 전원을 오프한다(S70).
이어서, 상기 Vcc 전원이 오프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릴레이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프한 Vcc 전원의 온 신호를 출력한다(S80).
그리고, 상기 출력된 Vcc 전원의 온 신호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경과 후 Va, Vs 전압을 공급한다(S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은 절전 모드 해제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이 인가되는 기준 타이밍을 제공해줌으로써, 파워 시퀀스(Power Sequence)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오방전 및 잔상을 제거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절전 모드 해제시 파워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 해제시 파워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영상신호 처리부 20: 디스플레이 모듈
30: 전원 공급부 40: 제어부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에 따라 절전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고, 상기 진입한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의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타이밍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Sustain) 전압의 인가시점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타이밍은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Vcc ON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멀티 전압을 순간적으로 차단한 후 재공급하기 위한 파워 시퀀스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는 특정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절전 모드의 해제 여부에 따라 상기 차단한 특정 전원을 재공급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을 차단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Sustain) 전압이 공급되는 시점의 기준이 되는 Vcc ON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Vcc ON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는 멀티 전압을 순간적으로 차단한 후 재공급하기 위한 파워 시퀀스를 발생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Vcc ON 신호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후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을 공급하여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되는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의 차단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을 재공급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을 제공하는 파워 시퀀스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시퀀스는 순간적으로 릴레이 오프 및 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어드레스 전압 및 서스테인 전압의 기준 인가 시점인 Vcc 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32964A 2007-12-18 2007-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20090065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964A KR20090065592A (ko) 2007-12-18 2007-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964A KR20090065592A (ko) 2007-12-18 2007-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592A true KR20090065592A (ko) 2009-06-23

Family

ID=4099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964A KR20090065592A (ko) 2007-12-18 2007-12-1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5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09642B (zh) * 2009-07-14 2011-07-20 深圳晶辰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等离子显示器电源时序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09642B (zh) * 2009-07-14 2011-07-20 深圳晶辰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等离子显示器电源时序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8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3772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n on-screen display of a display device
KR100751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1786201A2 (en) Display device having plurality of power suppl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6559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20080022608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429218B1 (ko) 피디피 모듈 보호회로 및 그 방법
KR20020057563A (ko) 피디피 티브이의 전원 제어장치
KR1005869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JPWO2007004304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449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원공급 장치
KR1006378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돌입전류 저감장치
KR1005894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996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214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00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JP2011119998A (ja) テレビ
KR100778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KR100759907B1 (ko) 잔상제거를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67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vsc 보드 자동 인식 장치및 방법
US20030107563A1 (en) Driving system and driving program for flat display apparatus
KR20060083620A (ko) 모니터의 절전장치
KR2003009158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43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7862B1 (ko) Lcd 모니터의 과도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