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166A -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166A
KR20090073166A KR1020097007771A KR20097007771A KR20090073166A KR 20090073166 A KR20090073166 A KR 20090073166A KR 1020097007771 A KR1020097007771 A KR 1020097007771A KR 20097007771 A KR20097007771 A KR 20097007771A KR 20090073166 A KR20090073166 A KR 2009007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uplink
signals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898B1 (ko
Inventor
준이 리
라지브 라로이아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7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업링크 대역폭을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P2P) 통신 시그널링 사용을 위해 공유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자신의 WAN 업링크 대역을 그 기지국을 네트워크 부착 지점(attachment)으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기지국은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를 자신의 WAN 업링크 대역폭, 예를 들어, 자신의 WAN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업링크 대역으로 주입한다. P2P 무선 단말은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고, 평가의 함수로서 P2P 전송을 제어한다. P2P 전송 제어는 평가된 기지국 신호의 함수로서 P2P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대역은 동일한 업링크 대역이다.

Description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DEVICE CONTROL}
본 발명은 출원번호가 60/845,053 이고, 2006 년 9월 15일에 출원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BEACONS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인 미국 가출원의 우선권을 향유하며, 이는 여기에 전체로서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용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련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P2P(peer to peer) 통신과 관련된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스펙트럼은 비싸고 가치있는 자원이다. 셀룰러 시스템들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시스템들에서, 때때로 WAN에 할당된 무선 스펙트럼은 충분히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충분히 사용되지 않은 에어 링크들(air links)을 감지하거나 및/또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발된다면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WAN에 의해 사용중이거나 할당된 스펙트럼들이 WAN 통신을 위한 스펙트럼의 사용을 상당히 간섭하지 않는 방법으로 P2P 통신들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업링크 대역폭을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P2P) 통신 시그널링 사용을 위해 공유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자신의 WAN 업링크 대역을 그 기지국을 네트워크 부착 지점(attachment)으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기지국 스텟(stet)은 예를 들어,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를 자신의 WAN 업링크 대역폭, 예를 들어, 자신의 WAN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업링크 대역으로 전송한다. P2P 무선 단말은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고, 기지국 신호를 검출하며, 수신된 기지국 신호를 평가하며, 평가의 함수로서 P2P 전송을 제어한다. P2P 전송의 제어는 평가된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함수로서 P2P 신호를 전송 및/또는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입된 신호들은 P2P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WAN 목적들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반면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주입된 신호는 P2P 및 WA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P2P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대역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 신호가 수신된 업링크 대역과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에, P2P 무선 단말은 단일 대역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신된 기지국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 또는 다른 방송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신호 평가 모듈;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은: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고,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송된 방송 신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은: 제 1 기간 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모듈;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 여기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상이함 - 무선 송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전형적인 다운링크/업링크 셀룰러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빙송 신호를 비전형적인 위치로 전송하고, 이 방송 신호는 P2P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모든 실시예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필수적이지 않으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들, 실시예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 예를 들어, P2P 통신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2 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단말, 예를 들어, P2P 통신들을 지원하는 모바일 노드의 도면.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
도 5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P2P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P2P 통신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모바일 노드와 같은 무선 단말의 도면.
도 7 은 도 7A 및 도 7B의 조합을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2P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P2P 통신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모바일 노드와 같은 무선 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통신 시스템 주파수 대역 사용 정보를 설명하는 테이블 및 예시적인 P2P 무선 단말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도시한 테이블을 포함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 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1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13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
도 14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및 주파수 대역 사용 테이블을 포함한 도면.
도 15 는 광역 네트워크가, 기지국이 P2P 잡음을 모니터하고 측정하는 침묵(silent) 기간을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몇가지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는 도 15의 예시의 연속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인 제어 값들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도면.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폭이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는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9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폭이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는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20은 수직 축상의 잡음 W 대 수평 축상의 α의 플롯을 나타낸 도면.
도 21의 수직 축상의 잡음 W 대 수평 축상의 α의 플롯을 나타낸 도면으로, 다른 셀 간섭의 상이한 레벨을 도 20의 다른 셀 간섭 레벨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2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력 제어 인자 α 의 선택을 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3 은 광역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서 시분할 듀플렉스(TDD)를 사용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대역폭 사용을 나타낸 도면.
도 24 은 광역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를 사용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대역폭을 나타낸 도면.
도 25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된 예시적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6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주파수 대역 및 광역 네트워크 통신 사용 및 P2P 사용 사이의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 사용을 나타낸 도면.
도 27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및 예시적인 타이밍 구조 정보.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29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1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 예를 들어, P2P 통신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100)이다. 예시적인 동작은 단계(102)에서 시작하며, 무선 통신 단말은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된다. 동작은 시작 단계(102)에서 단계(104)으로 진행한다. 단계(104)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검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대역폭은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 예를 들어, 업링크 톤(tone) 블록을 포함하는 OFDM 톤들의 세트,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캔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format)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캔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recurring) 타이밍 구조와 관련되거나 P2P 타이밍 구조에 대한 관련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 신호는 비콘 신호이고, 비콘 신호는 OFDM 심볼에서 적어도 세 개의 톤들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은 단계(104)에서 단계(106)으로 진행하고, 무선 통신 단말은 검출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평가는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 평가를 포함한다. 단계(106)은 서브-단계(110)을 포함한다. 서브-단계(110)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112)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단계(106)에서의 평가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기 설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된 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이하인 것이다. 기 설정된 임계값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가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P2P) 신호들을 보내는 경우에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예상되는 용인가능한(tolerable) 간섭의 기대(expected) 레벨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기준이 만족되면, 동작은 단계(112)에서 단계(114)으로 진행한다; 기준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동작은 단계(112)에서 단계(116)으로 진행한다. 단계(114)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P2P 신호를 전송하고, 반면에 단계(116)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은 P2P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한다.
동작은 단계(114)에서 단계(118)로 진행하고, 무선 통신 단말은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를 모나터링하며, 그리고 단계(120)에서, 기지국은 최근의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와 이전에 검출된 기지국 신호, 예를 들어, 단계(104)에서 검출된 신호, 사이에 전력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검출된 전력차이가 없는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은 P2P 전송들을 계속할 수 있도록 허용되고 동작은 단계(120)로부터 단계(118)로 되돌아가 추가 기지국 신호들을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전력 차이가 검출되는 경우, 동작은 단계(120)에서 단계(122)으로 진행한다.
단계(122)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전력 차이의 함수(function)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단계(122)은 서브-단계들(124, 126 및 128)을 포함한다. 서브-단계(124)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최근의 추가적인 기지국 신 호의 전력 레벨이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체크한다. 최근의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의 전력 레벨이 너무 높은 경우, 이는 무선 통신 단말이 기지국에 너무나 가까워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의 P2P 전송이 기지국 수신기의 관점에서 너무나 많은 간섭을 일으키고, 따라서 이러한 전송들은 허용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낸다. 이와 다르게, 최근의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의 전력 레벨이 너무 낮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가 기지국 신호에 대응하는 P2P 서비스 범위 밖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 단말은 상이한 종류의 스펙트럼 사용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 및/또는 상이한 기술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의 전송은 허용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낸다. 서브-단계(124)에서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의 전력 레벨이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에, 동작은 서브-단계(124)에서 서브-단계(12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서브-단계(124)에서 서브-단계(128)으로 진행한다.
서브-단계(126)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전력 차이의 함수(function)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고, P2P 전송들을 계속한다. 일부 시간들 동안, 전송 전력 조정은 상기 차이의 함수로서 전송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며, 반면에 다른 시간들에서는, 상기 차이의 함수로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차이의 함수로서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의 측정된 전력 레벨이 증가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무선 통신들은 자신의 P2P 시그널링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이와 다 르게, 무선 통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의 측정된 전력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무선 통신 단말들은 자신의 P2P 전송 시그널링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킨다. 반면에 또 다른 시간들에서는 상기 차이의 함수로서 무선 통신 단말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전송 전력 레벨을 상한 한도 레벨(cap level)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서브-단계(126)에서 단계(118)으로 진행하고, 무선 통신 단말은 추가 기지국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서브-단계(128)으로 돌아가서, 서브-단계(128)에서, 무선 통신 단말은 자신의 전송 전력을 0으로 조정하고 P2P 전송을 중지한다. 동작은 서브-단계(128)에서 단계(104)로 진행하며,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 신호를 스캔한다.
도 2 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단말(2300), 예를 들어, P2P 통신들을 지원하는 이동 노드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무선 단말(2300)은 수신기 모듈(2302), 송신기 모듈(2304), 프로세서(2306), 사용자 입출력 장치(user I/O devise; 2308), 및 메모리(23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2312)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2310)는 루틴들(routines; 2322) 및 데이터/정보(232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3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2322)을 실행하고 메모리(2310)의 데이터/정보(2324)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2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 예를 들어, 도 1 의 신호 흐름도(100)의 방법을 실행한다.
수신기 모듈(2302), 예를 들어 OFDM 수신기는, 수신기 안테나(2314)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단말은 신호들을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들은 비콘 신호들과 같은 방송 신호들을 포함하고, 비콘 신호들은 기지국에 의해 기지국의 업링크 셀룰러 통신들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예를 들어, 업링크 셀룰러 시그널링이 중지되는 기 설정된 시간 인터벌들 동안에 전송된다. 수신된 신호들은 또한 P2P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로부터의 P2P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P2P 신호들은 기지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되며, 적어도 일부 P2P 신호들은 업링크 셀룰러 통신들이 활성화되는 인터벌들 동안 통신된다. 수신기 모듈(2302)은 또한 수신될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튜너 모듈(2316)을 포함한다.
송신기 모듈(2304), 예를 들어, OFDM 송신기는, 송신기 안테나(2318)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단말은 P2P 신호들을 전송한다. 무선 전송 모듈(2304)의 P2P 신호들 전송은 기지국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들의 평가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스캔되는 잠재적인 셀룰러 업링크 대역폭에서 검출된 기 설정된 기지국 신호,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포맷(format)에 부합하는 비콘 신호, 예를 들어, 특정한 고 전력 OFDM 톤 또는 OFMD 심볼의 톤들의 세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대역이 P2P 통신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계속하여, 업링크 대역폭에서 수신된 기지국의 전력 레벨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2300)에 의해 사용되고, 최대로 허용가능한 P2P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송신기 모듈(2304)은 튜너 모듈(2320)을 포함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튜너 모듈(2320)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설정되어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튜너 모듈(2320)은 송신기(2304)가 업링크 셀룰러 대역에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일부 세트를 사용하도록, 그러나 모든 세트를 사용할 필요는 없도록, 동조(tune)하도 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통신 대역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것에 대응하는 업링크 셀룰러 통신 대역의 서브셋이다. 적어도 일부 전송된 P2P 신호들은 셀룰러 업링크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에어 링크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안테나가 수신기 모듈(2302) 및 송신기 모듈(2304) 둘 다를 위하여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양 튜너 모듈들(2316, 2320)은 P2P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대역, 예를 들어, 동일한 업링크 셀룰러 통신 대역에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들(2308)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들, 키보드, 키패드, 카메라, 스위치들,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2308)는 무선 단말(2300)의 사용자가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출력 데이터/정보에 액세스하며, 또한 무선 단말(230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 예를 들어 P2P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루틴들(2322)은 통신 루틴(2326) 및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328)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2326)은 무선 단말(23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328)은 무선 단말(2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328)은 스캐닝 모듈(2330), 신호 평가 모듈(2332),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전력 레벨 추적(tracking) 모듈(2334), 전력 제어 모듈(2336) 및 P2P 시그널링 모듈(2338)을 포함한다.
데이터/정보(2324)는 업링크 대역폭 데이터/정보(2344), 업링크 대역폭에서 방송되는 기지국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포맷(format) 정보(2350), 반복(recurring) 스케줄 정보(2352), 튜너 세팅 정보(2346), t0 시간에서 수신된 기지국 신호(2358), 수신된 기지국 신호(t0) 전력 레벨 정보(2360), t1 시간에서 수신된 기지국 신호(2362), 수신된 기지국 신호(t1) 전력 레벨 정보(2364), 전력 레벨 변경 정보(2366), 생성된 P2P 신호(2368), 및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 정보(2370)를 포함한다.
업링크 대역폭 데이터/정보(2344)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세트(제 1 주파수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정보(2346), ..., 제 N 주파수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정보(234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FDD를 사용하는 WAN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한 업링크 FDD 대역이 사용되고, 정보(2346)가 제 1 업링크 대역 및 대응하는 제 1 튜너 세팅을 식별하며, 정보(2348)는 상이한 업링크 대역 및 대응하는 상이한 튜너 세팅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들의 제 1 세트(2346)를 식별하는 정보는 업링크 셀룰러 통신 대역으로서 사용되는 연속적인 OFDM 톤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이는 P2P 통신들에도 사용된다.
업링크 대역폭에서 방송되는 기지국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포맷(format) 정보(2350)는 이러한 기지국 방송 신호들을 특성화하고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폭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비콘 신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작은 세트(예를 들어, OFDM 심벌의 1 내지 3 까지의 OOFDM 톤들)에 동일한 양의 에너지를 배치하고, 비교적 높은 전력 레벨로 그 신호를 전송한다. 포맷 정보(2350)는 예를 들어,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톤들의 세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반복 스케줄 정보(2352)는 셀룰러 업링크 및 다운링크 스케줄 정보 및 P2P 반복 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반복 스케줄 정보(2352)는 업링크 대역폭에서의 기지국 방송들의 기 설정된 시간들을 식별하는 정보(235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2354)는 스캐닝 모듈(2330)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예측되는 시간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튜너 세팅 정보(2356)는 튜너 모듈들(2316 및 2320)의 세팅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캔중인 업링크 대역에서 검출되는 기지국 방송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2300)은 P2P 통신들에도 사용가능한 업링크 셀룰러 대역을 식별하고, 튜너 모듈(2320)은 튜너 모듈(2316)이 현재 설정된 것과 동일한 세팅으로 설정될 수 있다.
t0 시간에서 수신된 기지국 신호(2358) 및 t1 시간에서 수신된 기지국 신호(2362)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스캐닝 모듈(2330)에 의해 검출된 방송 신호들에 대응한다. 수신된 기지국 신호들(2358, 2362)들은 신호 평가 모듈(2332)과 전력 측정 모듈(2342)에 의해 평가되어, 각각 수신된 기지국 신호(t(0)) 전력 레벨(2360) 및 수신된 기지국 신호(t(1)) 전력 레벨을 얻는다. 전력 레벨 변경 정보(2366)는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전력 레벨 추적 모듈(2334)의 출력이고, 전력 레벨 변경 정보(2366)는 전력 제어 모듈(2336)의 입력으로 사용되며, P2P신호들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스캐닝 모듈(2330)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한다. 예를 들어, 스캐닝 모듈(2330)은 기지국 업링크 대역폭,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들을 위한 FDD 대역인 기지국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고, 방송 신호,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폭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검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캐닝 모듈(2330)이 스캔되고 있는 업링크 대역폭에서 기지국 방송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는 데 실패하는 경우, 스캐닝 모듈(2330)은 다른 잠재적인 업링크 대역으로 스위치하여 스캔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캐닝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방송 신호의 존재를 검출한 후 및 P2P 신호를 전송한 후에도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한다.
신호 평가 모듈(2332)은 기지국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평가한다. 신호 평가 모듈(2332)은 전송 패턴 평가 모듈(2340) 및 전력 측정 모듈(2342)을 포함한다. 전송 패턴 평가 모듈(2340)은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전송 패턴 평가 모듈(2340)은 비교적 높은 전력 레벨을 지닌 수신된 OFDM 심볼에서 검출된 톤들의 세트와 같은 검출된 패턴을 예상된 신호를 특정하는 저장된 정보와 매치시킨다. 일부 실시예예서, 패턴은 변화하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일정한 시간을 호핑(hop) 일련의 톤 세트들을 포함한다. 전력 측정 모듈(234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전력 레벨,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에서 전송된 기지국으로부터의 비콘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콘 신호는 OFDM 심볼에서 3개 보다 적은 톤들을 포함하는 신호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추가적으로 검출된 신호들을 계속하여 평가,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수신된 방송 신호들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수신된 기지국 신호 전력 레벨 추적 모듈(2334)은 기지국으로부터 검출된 방 송 신호들의 수신된 전력 레벨의 변화를 계산한다. 전력 제어 모듈(2336)은 무선 단말(2300)에 의해 전송되는 P2P 신호들의 전송 전력 레벨을 수신된 기지국 방송 신호 전력 레벨 정보 및/또는 수신된 기지국 방송 신호 전력 레벨 정보의 변화들의 함수로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모듈(2336)은 연속되어 수신된 기지국 방송 신호들의 수신된 전력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P2P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때때로, 전력 제어 모듈(2336)은 P2P 전송 전력을 기지국 시그널링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응답하여 감소시킨다.
P2P 시그널링 모듈(2338)은 P2P 신호들(2368)을 생성하고, 송신기 모듈(2304)이 이러한 신호들을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2370)에 따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P2P 전송 전력 레벨은 전력 제어 모듈(2336)의 출력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을 작동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신호 흐름도(200)이다. 동작은 단계(2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기지국에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며 단계(204)로 진행한다.
단계(204)에서, 기지국은, 제 1 기간 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204)에서 단계(206)으로 진행한다.
단계(206)에서, 기지국은 제 2 기간 동안 전송한다. 단계(206)은 서브-단계들(208 내지 210)을 포함하고, 이는, 때때로,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서브-단계(208)에서, 기지국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셀룰러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이다. 서브-단계(210)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방송신호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 예를 들어, OFDM 심볼에서 3개 보다 적은 OFDM 톤들을 포함하는 OFDM 비콘 신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방송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 동안에 수신된다. 따라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은 또한 P2P 시그널링을 위해 동시에 사용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2400)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기지국(2400)은, 예를 들어, WAN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이고, FDD 업링크 대역 및 FDD 다운링크 대역을 사용한다. 이러한 예에서 계속하여, 기지국(2400)은 또한 방송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를 P2P 통신들을 지원하는 업링크 통신 대역으로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에 구현된 반복 타이밍 구조는 의도적으로 기 설정된 인터벌들 동안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을 중지하고, 이러한 인터벌들에서 기지국(2400)은 업링크 전송 대역으로 방송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기지국(2400)이 업링크 대역으로 신호를 방송하도록 할당된 상대적인 시간은 업링크 대역의 기지국을 향한 업링크 무선 단말 셀룰러 시그널링에 할당된 시간에 대하여 2% 이하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통신 대역은 셀룰러 업링크 통신들과 동시에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지국(2400)은 P2P 장치들로부터의 간섭을 관리하고, 이러한 간섭 관리는 업링크 통신 대역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에 변화를 주는 것을 포함한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P2P 장치들은 업링크 통신 대역의 기지국 방송 신호의 수신된 전력 레벨의 함수로서 자신들의 전송 전력 레벨들을 제어한다.
기지국(2400)은 수신기 모듈(2402), 송신기 모듈(2404), 프로세서(2406), 및 입/출력 언터페이스(I/O interface; 2408) 및 및 메모리(24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2412)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2410)은 루틴들(2418)및 데이터/정보(24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4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2418)을 수행하고 메모리(2410)의 데이터/정보(2420)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예를 들어, 도 3의 신호 흐름도(200)의 방법을 수행한다.
수신기 모듈(2402), 예를 들어, OFDM 수신기는, 수신 안테나(2414)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기지국(2400)은 제 1 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수신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전송한다.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 동안에 수신된다.
송신기 모듈(2404), 예를 들어, OFDM 송신기는, 송신 안테나(2416)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기지국(2400)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통해 셀룰러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제 2 기간 동안에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방송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고, 여기서, 제 1 기간은 제 2 기간과 시간적으로 오버래핑되지 않는다. 셀룰러 통신 장치들을 위해 의도된 다운링크 신호들은, 예를 들어, 다운링크 대역 비콘 신호들, 할당 신호들, 페이징(paging) 신호들 및 트래픽 신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기 모듈(2404)은 제 1 송신기 서브-모듈(2405) 및 제 2 송신기 서브-모듈(2407)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송신기 서브-모듈(2405)은 다운링크 셀룰러 시그널링에 사용되고, 제 2 송신기 서브-모듈(2407)은 비콘 신호와 같은 방송신호를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별개의 제 1 및 제 2 송신기 서브-모듈(2405, 2507)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이점 중 하나는, 제 1 송신기 서브-모듈(2405)은 다운링크 FDD 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P2P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방송 신호가 통신되는 UL TDD 대역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신기 모듈(2402)및 제 2 송신기 서브-모듈(2407)은 동일한 UL FDD 대역에 동조될(tuned) 수 있으며, 반면에 제 1 송신기 모듈(2405)는 DL FDD 대역에 동조될 수 있고, 다운링크 셀룰러 통신들은 서로방해받지 않는 방법으로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의 다른 이점은 셀룰러 통신들을 지원하는 기 존재하는 기지국들이 P2P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기지국에 제 2 송신기 서브-모듈(2407)을 삽입함으로써 동일한 업링크 FDD 대역을 일부 소프트웨어 수정, 예를 들어, 업링크 타이밍 구조를 변경하고 기지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시그널링 하는 짧은 인터벌 동안에 업링크 셀룰러 통신들을 중단 하는 것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8)는 기지국(2400)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예를 들어, 다른 기지국들, AAA 노드들, 홈 에이전트 노드들, 및/또는 인터넷을 연결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8)는, 기지국(2400)과 백홀(backhaul)네트워크를 연결함으로써, 기지국(2400)을 자신의 네트워크 부착 지점으로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이 상이한 기지국을 자신의 네트워크 부착 지점으로 사용하는 다른 셀룰러 통신 장치의 통신 세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루틴들(2418)은 통신 루틴(2422), 방송신호, 예를 들어, 비콘신호, 생성 모듈(2424), P2P 간섭 관리 모듈(2426), 셀룰러 다운링크 모듈(2428) 및 셀룰러 업링크 모듈(2430)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2422)은 기지국 (24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방송 신호 생성 모듈(2424)은 셀룰러 통신 장치들 및 P2P 통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방송 신호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242)에 의해 생성되는 다운링크 대역 방송 신호, 예를 들어, 다운 링크 대역 비콘 신호들의 적어도 일부는 기지국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셀, 섹터, 및/또는 부착(attachment) 지점 정보 등을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2424)에 의해 생성되는 업링크 대역 방송 신호들,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 비콘 신호들의 적어도 일부는 전송 전력 레벨 제어 신호들, 예를 들어, P2P 장치들의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신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송 신호 생성 모듈(2424)는 업링크 대역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2)과 다운링크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4)을 포함하고, 모듈(2432)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비콘 신호를 생성하며, 모듈(2434)는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비콘 신호를 생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대역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2)은 전력 레벨 모듈(2436)을 포함하고, 이는 P2P 간섭 관리 모듈(2426)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함수로서 업링크 대역의 비콘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대역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4)는 기지국 식별 정보를 다운링크 대역 비콘 신호에 통합하는 기지국 식별 모듈(243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 부착 지점(attachment)에 대응하는 생성된 다운링크 대역 비콘 신호는 동일한 전송 전력 레벨로 전송되고, 반면 생성된 업링크 대역 비콘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은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예를 들어, 기지국 수신기(2402)의 셀룰러 통신 업링크 신호들 수신과 관련되어 간섭을 일으키는 P2P 시그널링 관리의 일부로서 전송된다.
P2P 간섭 관리 모듈(2426)은 수신기 모듈(2402)에서 경험되는 P2P 시그널링 간섭 레벨들을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방송 신호(예를 들어, 비콘 신호)에 대한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에 의해 관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간섭관리 모듈(2426)은 모듈(2426)이 P2P 시그널링으로 인한 간섭 레벨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업링크 대역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결정하고, 모듈(2426)이 P2P 시그널링으로 인한 간섭 레벨의 증가를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업링크 대역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셀룰러 다운링크 모듈(2428)은 셀룰러 장치들(2450)을 향한 다운링크 신호들의 생성 및 전송을 제어한다. 셀룰러 업링크 모듈(2430)은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 부터의 업링크 시그널들의 수신 및 셀룰러 장치들(2448)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들을 획득하는 이러한 신호들로부터의 정보 복원(recovery)을 제어한다.
데이터/정보(2420)는 시간/주파수 구조 정보(2440), 방송 신호 포맷 정보(2442), 업링크 대역에서 전송되는 생성된 방송 신호(2444), 다운링크 대역(2446)에서 전송되는 생성된 방송 정보(2446), 셀룰러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들(2448) 및 셀룰러 장치들을 향한 다운링크 신호들(2450)을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구조 정보(2440)는 반복 시간 구조 정보(2452), 업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2454) 및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2456)을 포함한다. 반복 시간 구조 정보(2452)는 업링크 신호들의 시간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2458) 및 업링크 대역의 기지국 방송 신호들에 사용되는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2460)를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들의 시간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2458)는, 예를 들어, 액세스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 및 업링크 트래픽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대역의 기지국 방송 신호들에 사용되는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2460)는 업링크 대역의 방송 신호들, 예를 들어, 비콘 신호들의 기지국 전송에 사용되는 인터벌들을 식별하고, 이러한 인터벌 동안에는 일반적인 업링크 셀룰러 통신 시그널링은 중지된다. 따라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기지국 방송 신호,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기지국(2400)을 향한 셀룰러 업링크 신호들에 의해 간섭받지 않으며, P2P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한 방송 신호의 복원을 원활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대역의 기지국 방송 및 업링크 대역의 셀룰러 업링크 시그널링에 할당된 시간의 비율은 2% 이하이 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2454)는 기지국(2400)에 의해 셀룰러 업링크 FDD 대역으로 사용될 주파수들의 세트, 예를 들어 인접한 OFDM 톤들의 세트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이러한 대역에 대응하는 반송파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은 또한 업링크 셀룰러 통신과 동일한 에어 링크 자원들을 사용하는 P2P 통신의 적어도 일부에서 P2P 통신 대역으로서 사용된다. 기지국(2400)은 또한 방송신호를 업링크 통신 대역에서 전송한다.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2456)는 기지국(2400)에 의해 셀룰러 다운링크 FDD 대역으로 사용될 주파수들의 세트, 예를 들어 인접한 OFDM 톤들의 세트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이러한 대역에 대응하는 반송파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포맷 정보(2442), 예를 들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비콘 신호의 포맷을 식별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톤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정보, 예를 들어, 비콘 신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1 에서 3까지의 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톤들의 세트는 기 설정된 호핑 시퀀스(hopping sequence)에 따라 시간에 대하여 호핑되고, 이러한 정보는 정보(2442)에 포함된다.
업링크 대역에 대한 생성된 방송 신호(2444),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방송 신호 생성 모듈(2424)의 출력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2444)는 업링크 대역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2)의 출력이다. 다운링크 대역에 대한 생성된 방송 신호(2444), 예를 들어, 비콘 신호는 방송 신호 생성 모듈(2424)의 출력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2446)는 다운링크 대역 비콘 신호 생성 모듈(2434)의 출력이다.
도 5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P2P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700)이다. 동작은 단계(702)에서 시작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며 단계(704)로 진행하며, 단계(70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신호는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고, P2P 신호들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P2P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은,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일 수 있거나 때때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은 P2P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위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유지하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P2P 무선통신 장치를 단순한 디자인 및/또는 낮은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전에 전송을 위해 사용하지 않았던 대역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는 추가적인 복잡성이 존재한다.
이와 다르게, 제 1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기지국의 다운링크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은 기지국의 관점에서 더 수월하다:그러나, P2P. 무선 통신 장치가 두 개의 대역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P2P 무선 통신 장치는 추가적인 복잡성 및/또는 비용, 예를 들어, 다수의 수신기들 및/또는 대역들 사이의 스위칭과 연관된 복잡성을 요구한다.
동작은 단계(704)에서 단계(706)으로 진행한다. 단계(706)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신호의 측정, 예를 들어, 신호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708 및 722)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P2P 시그널링을 지원하나,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기지국으로 업링크 시그널링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722)은 선택가능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P2P 및 셀룰러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주어진 어느 시점 및 어느 시점 동안에 지원할 수 있으며, 동작은 스텝(708) 및 스텝(722) 중 하나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동시에 P2P 시그널링 및 셀룰러 시그널링을 지원하고, 동작은 단계(706)에서 단계(708) 및 단계(722)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은 P2P 시그널링을 위해 단계(706)에서 단계(708)으로 진행하고, 반면에 기지국을 향한 업링크 신호들을 위해서는 동작은 단계(706)에서 단계(722)으로 진행한다. 단계(708)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신호를 측정한 결과의 함수로서 적어도 일부의 P2P 신호 전송을 위한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단계(708)은 서브-단계들(710 및 712)을 포함한다. 서브-단계(71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에 대한 P2P 전송 전력을 상기 제 1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2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제한하는 제 1 함수를 사용하여,P2P 전송에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서브-단 계(712)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실제(actual) P2P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된 최대 P2P 전력 레벨 및 제2 P2P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P2P 신호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제 2 P2P 통신 장치,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신호 흐름도(700)의 동작을 수행하는 피어(peer) 장치는 P2P 통신 세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P2P 전송 전력 레벨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된 기지국 신호 및 P2P 신호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P2P 신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음: P2P 채널 상태(condition) 정보, P2P 데이터 레이트 정보, P2P 데이터 백로그(backlog) 정보, P2P 레이턴시(latency) 정보, 잡음(noise) 정보, 에러 레이트 정보, 서비스 레벨 정보 및 P2P 전력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거나 및/또는 하나를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제 P2P 전송 전력은 기 설정된 최대 P2P 전력 레벨이하로 제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일부 상태,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의 사용자 또는 특정한 서비스 레벨에서는, 실제 P2P 전송 레벨은 때때로 수신된 기지국 신호에 기반하는 기 설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초과, 예를 들어, 무효로 할 수 있다. 동작은 단계(708)에서 단계(714)로 진행한다.
단계(71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과 상이한 시점에서 제 2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716)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 2 신호의 측정,예를 들어 수신된 제 2 신호의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동작은 단계(716)에서 단계(718)로 진행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들은 수신된 제 2 신호의 측정된 전력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가 P2P 통신 신호들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718)에서 단계(720)으로 진행한다. 단 계(72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여야 한다고 결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의 다른 신호의 전력 측정으로 부터 무선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전송는 것이 허용된다고 결정할때까지 P2P 통신 신호들의 전송을 중단한다.
단계(722)로 되돌아와서, 단계(722)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고, 이 전송 전력 레벨은 적어도 일부의 P2P 신호 전송들에 이용되는 P2P 전송 전력 레벨보다 크다. 단계(722)는 서브-단계(724)를 포함한다. 서브-단계(72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기지국을 향한 전송 전력을 제어할 때 상기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상기 측정된 수신된 전력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제 1 함수와 상이한 제 2 함수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전송 신호 전력 레벨은 기지국에 전송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보다 적어도 10dBs 낮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P2P 통신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2900), 예를 들어 이동 노드와 같은 무선 단말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2900)는 WAN 업링크 대역을 P2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때때로 사용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29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2900)는 이러한 신호를 단말이 P2P 신호들을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으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 정보, 예를 들어,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한다.
무선 통신 장치(2900)는 수신기 모듈(2902), 송신기 모듈(2904), 사용자 입/ 출력 장치(2908), 프로세서(2906) 및 메모리(29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2912)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2910)는 루틴들(2918) 및 데이터/정보(29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9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2918)을 실행하고 메모리(2310)의 데이터/정보(292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29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구현한다.
수신기 모듈(2902), 예를 들어 OFDM 수신기는, 수신기 안테나(2914)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29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은 P2P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수신기 모듈(2902)은 또한 P2P 통신 신호들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시간 동안, 수신기 모듈(2902)은 다운링크 신호들, 예를 들어, 할당(assignment) 신호들 및 트래픽 신호들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이러한 기지국을 광역 네트워크의 부착(attachment) 지점으로 사용하며, 무선 통신 장치(2900)는 셀룰러 통신 장치로서 기능한다.
송신기 모듈(2904), 예를 들어, OFDM 송신기는, 송신기 안테나(2918)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는 P2P 신호들을 다른 무선 통신 장치들로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시간 인터벌들 동안, 송신기 모듈(2904)은 업링크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WAN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셀룰러 동작 모드로 기능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들(2908)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들, 키보드, 키패드, 카메라, 스위치들,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2908)는 무선 통신 장치(2900)의 사용자가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출력 데이터/정보에 액세스하며, 또한 무선 통신 장치(290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 예를 들어 P2P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루틴들(2918)은 통신 루틴(2922) 및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924)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2922)은 무선 통신 장치(29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924)은 측정 모듈(2926), 승인 모듈(2940), P2P 전송 제어 모듈(2941) 및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P2P 통신과 WAN 통신,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 제어 루틴(2924)은 광역 네트워크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을 포함한다.
측정 모듈(2926)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을 수행한다. 신호들(2942, 2944)은 측정 모듈(2926)의 입력을 나타내며 정보(2946,2948)는 측정 모듈(2926)의 출력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측정 모듈(2926)의 측정은 신호 전력 측정이다.
승인 모듈(2940)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측정된 전력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2900)가 P2P 신호들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때때로 그렇게 한다. 승인 모듈(2940)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측정된 전력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2900)가 P2P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허락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으며, 때때로 그렇게 한다. P2P 전송 승인 상태(2950)는 승인 모듈(2940)의 출력이고, P2P 전송 제어 모듈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P2P 전송 제어 모듈(2941)은 무선 송신기 모듈(2904)을 제어하고, 이로 인해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여야 한다고 결정한 후 무선 장치(2900)가 P2P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었다고 결정할 때까지 P2P 통신 신호들의 전송을 중단한다. 따라서, P2P 전송 제어 모듈(2941)은, P2P 전송 승인 상태(2950)을 이용하여, P2P 전송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어기를 작동시킨다.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측정 결과의 함수로서 P2P 신호 전송들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은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결정 서브-모듈(2930),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 결정 서브-모듈(2932) 및 제 1 함수(2934)를 포함한다.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은 제 1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에 대한 P2P 전송 전력을 상기 제 1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보다 높은 제 2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제한하는 제 1 함수(2934)를 이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은 P2P 전송 전력을 더 큰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들에 응답하여 더 낮은 레벨로 제한한다.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서브-모듈(2930)은 제 1 함수(2934)를 이용하여,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 서브-모듈(2932)는 실제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여기에 제 2 P2P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및 P2P 신호의 함수를 이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모듈(2932)는 실제 결정된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이하로 제어한다.
광역 네트워크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은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을 P2P 신호 전송의 적어도 일부에 사용되는 P2P 전송 전력 레벨보다 큰 전송 전력 레벨로 제어한다. WAN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은 제 2 함수(2938)을 포함하고, 제 2 함수(2938)은 제 1 함수(2934)와 상이하다. 광역 네트워크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 제어는 제 1 함수(2394)와 상이한 제 2 함수(2938)를 이용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된 전력 레벨에 기반하여 기지국에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기지국 신호 N(2944)은 측정 모듈(2926)에 의해 측정되어 신호 N 측정 정보(2948)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28) 및 WAN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 둘 다의 입력이다. P2P 모듈(2928)은 제 1 함수(2934)를 이용하여, 입력(2848)을 처리하고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2952)를 얻으며, 반면에 WAN 모듈(2936)은 제 2 함수(2938)을 이용하여 동일한 입력(2948)을 처리하고 결정된 최대 WAN 전송 전력 레벨(2956)을 얻으며, 결정된 최대 WAN 전송 전력 레벨(2956)은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2952)보다 더 높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2P 전송 신호 전력 레벨은 기지국에 전송된 신호의 전송 전력 레벨 보다 적어도 10dB 낮다. 예를 들어,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2952)는 측정된 기지국 신호의 동일한 값에 대하여 결정된 최대 WAN 전송 전 력 레벨(2956)보다 적어도 10dBs 낮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이 일부 위치에 있고 P2P 전송 전력 레벨 정보 및 WAN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동일한 수신된 기지국 신호 측정에 기반하여 결정한 경우, 결정된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2954)는 실제 WAN 전송 전력 레벨(2958)보다 적어도 10dBs 낮다.
데이터/정보(2920)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포함하고, 이러한 신호들은 전송 전력 레벨 정보(수신된 기지국 신호 1(2942), ..., 수신된 기지국 신호 N(2944))및 복수의 대응하는 신호 측정 정보(제 1 측정 정보(2946, ..., 신호 N 측정 정보(2948)) 각각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측정된다. 데이터/정보(2920)는 또한 P2P 전송 승인 상태 정보(2950)을 포함하고, 이는 무선 통신 장치(2900)가 현재 P2P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데이터/정보(2920)은 또한 서브-모듈(2930)의 출력인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2952) 및 서브-모듈(2932)의 출력인 결정된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2954)을 포함한다.
데이터/정보(2920)에 포함된, 시간/주파수 구조 정보(2960)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 예를 들어, WAN 업링크 대역폭 정보, WAN 업링크 반송파 정보 및 업링크 WAN 톤 세트 정보,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2964), 예를 들어, WAN 다운링크 대역폭 정보, WAN 다운링크 반송파 정보 및 다운링크 WAN톤 세트 정보 및 측정된 기지국의 위치를 식별하는 정보(2966)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P2P 통신 시그널링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WAN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P2P 신호들은 기지국을 향한 WAN 업링크 신호들에대해 간섭으로서 활동한다. 신호 는, 무선 통신 장치(2900)에 의해 수신되고, 측정되며, 측정값은 무선 통신 단말의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신호는 WAN 업링크 대역에서 통신되고,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호는 WAN 다운링크 대역에서 통신된다. 정보(2966)는 신호를 운반하는 WAN 대역을 식별하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신호에 대응하는 더 구체적인 정보, 예를 들어, 반복 타이밍 구조의 포인트 및/또는 신호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구체적인 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900)가 WAN 통신,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데이터/정보(2920)는 또한 결정된 최대 WAN 전송 전력 레벨 정보(2956) 및 결정된 실제 WAN 전송 전력 레벨 정보(2956) 및 결정된 실제 WAN 전송 전력 정보(2958)를 포함하고, 이들은 WAN 전송 전력 제어 모듈(2936)의 출력들이다.
도 7 은 도 7A 및 도 7B의 조합을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P2P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800)이다. 동작은 단계(8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며, 단계(804)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신호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은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신호는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인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고,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며, P2P 신호들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P2P 시그널링을 위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며, 때때로 그렇다.
동작은 단계(804)에서 단계(806)으로 진행한다. 단계(806)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신호의 측정, 예를 들어 신호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동작은 단계(806)에서 단계(808)로 진행한다.
단계(808)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팁(808)은 서브-단계들(810 및 812)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808)은 서브-단계(814 및 816)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808)은 서브-단계들(814 및 818)을 포함한다.
서브-단계(81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메모리에 액세스하고, 메모리는 상이한 서비스 레벨에 대응하는 저장된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나서, 서브-단계(812)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에 대응하는 저장된 전송 전력을 검색(retrieve)한다.
서브-단계(81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값을 복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값이 복원되는 신호는 단계(804)에서 수신된 제 1 신호이다. 동작은 서브-단계(814)에서 서브 단계들(816 및 818)중 하나로 진행한다. 서브-단계(816)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복원된 제어값을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로 사용한다. 이와 다르게, 서브-단계(818)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복원된 제어값 및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동작은 단계(808)에서 단계(820)으로 진행한다. 단계(82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신호의 측정의 결과 함수로서 P2P 전송 중 적어도 일부의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하고, 여기서, P2P 전송 전력의 제어는 제1 함수에 따른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리고 여기서 제 1 함수에 따라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 1 함수 내에서 결정된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측정된 수신된 전력 레벨에 더하여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단계(820)에서 연결 노드 A(822)를 통해 단계(824)로 진행한다.
단계(824)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신호가 수신되는 일 시점과는 상이한 시점에서 제 2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826)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 2 신호의 측정, 예를 들어 수신된 제 2 신호의 전력 측정을 수행한다. 동작은 단계(826)에서 단계(828)로 진행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제 2 수신된 신호의 측정된 전력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가 P2P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828)에서 단계(830)으로 진행한다. 단계(830)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가 P2P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여야 한다고 결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의 다른 신호의 전력을 측정함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결정할때까지 P2P 통신 신호들의 전송을 중단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P2P 통신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노드와 같은 무선 단말을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300)는 WAN 업링크 대역을 사용하여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때때로 그렇 게 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30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장치(3000)는 이러한 신호를 단말이 P2P 신호들을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으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 정보, 예를 들어,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한다.
무선 통신 장치(3000)는 수신기 모듈(3002), 송신기 모듈(3004), 사용자 입/출력 장치(3008), 프로세서(3006) 및 메모리(30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3012)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3010)는 루틴들(3018) 및 데이터/정보(30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0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3018)을 실행하고 메모리(2310)의 데이터/정보(302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30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 예를 들어, 도 7의 신호 흐름도(800)의 방법을 실행한다.
수신기 모듈(3002), 예를 들어 OFDM 수신기는, 수신기 안테나(3014)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30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은 P2P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수신기 모듈(3002)은 또한 P2P 통신 신호들을 수신한다. 송신기 모듈(3004), 예를 들어, OFDM 송신기는, 송신기 안테나(3018)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는 P2P 신호들을 다른 무선 통신 장치들로 전송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들(3008)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들, 키보드, 키패드, 카메라, 스위치들,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3008)는 무선 통신 장치(3000)의 사용자가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출력 데이터/정보에 액세스하며, 또한 무선 통신 장치(300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 예를 들어 P2P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루틴들(3018)은 통신 루틴(3022) 및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3024)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3022)은 무선 통신 장치(30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3024)은 측정 모듈(3026),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 서비스 레벨 식별 모듈(334) 및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3036)을 포함한다.
측정 모듈(3026)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을 수행한다. 수신된 기지국 신호 1(3044)는 측정 모듈(3026)의 입력을 나타내며 제 1 측정된 정보(3046) 측정 모듈(3026)의 출력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측정 모듈(3026)의 측정은 신호 전력 측정이다.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로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복원된 제어 파라메터, 예를 들어,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로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복원된 제어 파라메터, 예를 들어,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의 함 수로서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 및 복원된 제어 파라메터, 예를 들어,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의 함수로서 설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다음의 동작중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에 의해 결정한다:i) 복원된 값을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로 사용함 및 ii)복원된 제어 값 및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에 기반하여 전송 전력 제어 파라메터를 계산함.
서비스 레벨 식별 모듈(3034)는 무선 통신 장치(3000)에 대응하는 현재 서비스 레벨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3000)의 상이한 사용자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서비스 레벨들, 예를 들어, 긴급(emergency) 사용자들, 정부와 관련된 사용자들, 서비스 공급자 사용자들, 제 1 계층 조직 사용자들, 제 2 계층 조직 사용자들, 제 1 계층 개인 사용자들, 제 2 계층 개인 사용자들 등에 대응한다. 다른 예들에서, 상이한 서비스 레벨들은 상이한 타입의 통신 장치, 상이한 타입의 통신될 데이터, 상이한 양의 통신될 데이터 및/또는 상이한 레이턴시 고려사항(latency consideration)에 대응할 수 있다. 식별된 현재 서비스 레벨은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에 규정된다.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은 검색(retrieval) 모듈(3030) 및 제어 파라메터 복원 모듈(3032)을 포함한다. 검색 모듈(3030)은 무선 통신 장 치(3000)에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에 대응하는 저장된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검색한다. 따라서 검색 모듈(3030)은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을 입력으로서 이용하여, 서비스 레벨 대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매핑 정보(3060)에 억세스하고, 입력 서비스 레벨과 관련된 제어 파라메터를 얻는다.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248)는 검색모듈(3030)의 출력이다.
제어 파라메터 복원 모듈(3032)은 통신 장치(3000)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값을 복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값은 측정 모듈(3026)에 의해 측정된 신호와 동일한 신호, 예를 들어, 수신된 기지국 신호 1(3044)로부터 복원될 수 있다.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는 제어 파라메터 복원 모듈(3032)의 출력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원된 제어 값은 간섭레벨 표시자 값이다.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3036)은 수신된 기지국 신호의 측정값의 결과함수로서 P2P 신호 전송의 적어도 일부의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3036)은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결정 서브-모듈(3038) 및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 결정 서브-모듈(3040) 및 제 1 함수(3042)를 포함한다.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서브-모듈(3038)은 제 1 함수(3042)를 이용하여,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 서브-모듈(3040)는 실제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여기에 제 2 P2P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및 P2P 신호의 함수를 이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서브-모듈(3040)는 실제 결정된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이하로 제어한다.
P2P 전송 전력 레벨 제어 모듈(3036)은 결정된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3054)와 측정된 수신된 전력 레벨, 예를 들어, 제 1 신호 측정 정보(3046),를 P2P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 예를 들어,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3056)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의 일부 또는 모든 함수들은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3036)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데이터/정보(3020)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수신된 기지국 신호 1(3044)를 포함하고, 이러한 신호는 측정 모듈(3026)에 의해 측정되어 제 1 신호 측정 정보(3046)를 획득하고 이 신호(3046)는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정보(3020)는 또한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3054),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3056), 결정된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3058), 서비스 레밸 대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매핑 정보(3060) 및 타이밍 주파수 구조 정보(307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정보(3020)은 하나 이상의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 및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를 포함한다.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은 검색 모듈(3030)의 출력이며, 서비스 레벨 대 전력 제어 파라메터 매핑 정보(3060)의 제어 파라메터 값들(제어 파라메터 값 1(3066), ..., 제어 파라메터 값 M(3068))중 하나와 대응한다.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는 제어 파라메터 복원 모듈(3032)의 출력이고, 수신된 기지국 신호로부터 복원된 정보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가 복원된 수신된 기지국 신호는 전력이 측정된 수신된 기지국 신호, 예를 들어 수신된 기지국 신호 1(3044)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원된 제어 값은 간섭 레벨 표시자 값이다.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는 서비스 레벨 식별 모듈(3034)의 출력이며, 검색 모듈(3030)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는 대응하는 제어 파라메터 값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이 서비스 레벨 M(3064)을 나타내면, 검색 모듈(3030)은 제어 파라메터 값 M을 검색하고 이는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에 저장되어 있다.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3054)은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결정 모듈(3028)의 출력이다.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3054)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식별된 서비스 레벨(3052), 검색된 제어 파라메터(3048) 및 디코딩된 제어 파라메터(3050).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3054)는 P2P 전송 전력 제어 모듈(3036)에 의해 입력으로서 사용된다.
결정된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3056)은 최대 P2P 전송 전력 레벨 서브-모듈(3038)의 출력이고, 반면에 결정된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3058)은 실제 P2P 전송 전력 레벨 결정 서브-모듈(3040)의 출력이다.
서비스 레벨 대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 매핑 정보(3060)는 복수의 서비스 레벨들(서비스 레벨 1(3062), ..., 서비스 레벨 M(3064) 및 복수의 대응하는 제어 파라메터 값들(제어 파라메터 값 1(3066), ..., 제어 파라메터 값 M(3068)을 포함한다.
타이밍/주파수 구조 정보(3070)은, 데이터/정보(3020)의 일부로서 포함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3072), 예를 들어, WAN 업링크 대역폭 정보, WAN 업링크 반송파 정보 및 업링크 WAN 톤 세트 정보,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정보(3074),및 예를 들어, WAN 다운링크 대역폭 정보, WAN 다운링크 반송파 정보 및 다운링크 WAN 톤 세트 정보, 및 측정된 및/또는 디코딩된 기지국 신호들(3076)의 위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예서, P2P 통신 시그널링은 WAN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주파수 대역은 P2P 신호들과 함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며, P2P 신호들은 기지국을 향한 업링크 신호들에 대해 간섭으로서 작용한다. 무선 통신 장치(300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측정되고, 이러한 측정값들은 무선 통신 장치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수신된 기지국 신호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WAN 업링크 대역에서 통신되고, 반면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신호는 WAN 다운링크 대역에서 통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단말(3000)에 의해 수신된 신호 및 디코딩된 복원 정보, 예를 들어, 간섭 표시자를 복원하는 값,은 또한 무선 통신 장치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활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측정에 활용되는 동일한 기지국 신호는 정보가 그로부터 복원되는 디코딩된 신호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두 개의 상이한 수신된 신호들이 존재하고, 하나의 신호는 신호의 수신된 전력 레벨이 측정되고 활용되며, 다른 신호는 인코딩된 전력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인코딩된 간섭 표시자 값,을 전달한다. 정보가 그로부터 복원되는 기지국 신호, 예를 들어, 간섭 레벨 표시자 값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WAN 업링크 대역에서 통신되고, 반면에,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신호는 WAN 다운링크 대역에서 통신된다. 정보(3076)는 어느 WAN 대역이 측정된 기지국 신호를 운반하는지 및 일부 WAN 대역이 정보 복원에 사용되는 기지국 신호를 운반하는지를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3076)는 신호 또는 신호들에 대응하는 더 구체적인 정보, 예를 들어, 반복 타이밍 구조의 지점(point) 및/또는 신호 또는 신호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구체적인 톤 정보를 식별한다.
도 9는 통신 시스템(302) 주파수 대역 사용 정보를 설명하는 테이블(304) 및 예시적인 P2P 무선 단말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도시한 테이블(306)을 포함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300)이다.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302)은 셀(310)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기지국(308)을 포함한다. 기지국(308)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예를 들어, 다른 기지국들, 라우터들, AAA 노드들, 홈 에이전트 노드들, 제어 노드들 들과 연결 및/또는 네트워크 링크(309), 예를 들어 광통신(fiber optic) 링크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된다. 통신 시스템(302)에는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WT 1(312), ..., WT N 314)이 존재한다. 셀룰러 WT들(312,314)은 무선 링크(316,318)을 통해 각각 기지국(308)과 연결된다.
통신 시스템(302)에는 P2P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WT 1', WT 2'(328),WT 3', WT 4'(340))이 또한 존재한다. WT 1' 은 시간상으로 두 지점에서 보여지며, 이는 t0 시간에서 엘리먼트(324) 및 t1 시간에서 엘리먼트(326)로 표시된다. WT 1'의 동작은 화살표(334)에 의해 표시된다. WT 3'은 시간상으로 두 지점에서 보여지며, 이는 t0 시간에서 에서 엘리먼트(336) 및 t1 시간에서 엘리먼 트(338)로 표시된다. WT 3'의 동작은 화살표(334)에 의해 표시된다. WT1' 및 WT2'(328) 사이의 P2P 통신은 화살표(330 및 332)로 표시된다. WT 3'의 동작은 화살표(334)에 의해 표시된다. WT3' 및 WT4'(340) 사이의 P2P 통신은 화살표(342 및 344)로 표시된다.
기지국은 비콘 신호(320)를 업링크 대역에서 전송한다. 비콘 신호는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검출되고 측정된다. 수신된 비콘 신호의 전력 측정은 무선 단말이 P2P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허용되었는지 여부 및, 전송이 허용된 경우에 전송 전력 레벨(예를 들어, 최대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도록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P2P 무선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기지국(308)부근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원(322)은 예시적인 P2P 제한 영역을 나타내고, 이영역에서 P2P 무선 단말이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제한된다. 기지국(308)에 근접한 영역에서, P2P 무선 단말들로부터 P2P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레벨들로 신호가 전송되는 것은 기지국의 수신기의 관점에서 너무 많은 간섭을 발생시켜 셀룰러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단말들(312, ..., 314)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을 복원하고 디코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따라서, P2P 무선 단말 전송들은 허용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주파수 대역 정보 테이블(304)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열(348)은 주파수 대역 A 가 셀룰러 무선 단말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한 셀룰러 다운링크 대역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두 번째 열(350)은 주파수 대역 B 가:(i)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되고 셀룰러 무선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셀룰러 업링크 대역; (ii) P2P 무선 단말 들에 의해 사용되고 수신되도록 의도되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P2P 비콘 신호를 운반하는 대역; (iii)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되고 P2P 무선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P2P대역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금부터 P2P 무선 단말 전력 정보 테이블(306)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열(352)는 여기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P2P 무선 단말들(WT 1', WT 2', WT 3', WT 4')을 식별한다. 두 째 열(354)은 t0 또는 t1 인, 시점을 식별한다. 세 번째 열(356)은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 레벨 정보를 나타내며 동일한 행에는 동일한 행에 표시된 시간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 레벨 정보가 표시된다. 테이블(306)의 정보는 WT 1' 전송 전력 레벨이 시간 t0 에서 t1 동안에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시간 동안 WT 1' 은 기지국(308)으로부터 멀어지고, 이 시간 동안 WT1'의 관점에서 비콘 신호(320)의 측정된 전력 레벨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WT 1'이 이 시간 동안 제한된 지역(zone) 밖에 남아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테이블(306)의 이러한 정보는 또한 WT3'의 전송 전력 레벨이 시간 t1 에서 t0 동안 감소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WT 3' 이 기지국(308)을 향해 이동하고 이 시간 동안 WT3'의 관점에서 비콘 신호(320)의 측정된 전력 레벨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WT 3'이 이 시간 동안 제한된 지역(zone) 밖에 남아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테이블(306)에 설명된 전력 레벨은 무선 단말에 최대 허용가능한 전송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테이블(306)에 설명된 전력 레벨은 실제 전송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일부 무선 단말들은 다수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P2P 및 셀룰러 통신 동작 모드를 지원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나타낸 것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402), P2P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무선 단말 1(404), ..., 무선 단말 N(410)), 광역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무선 단말 2(406), ..., 무선 단말 n(412)), 및 P2P 시그널링 및 광역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둘 다 지원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무선 단말 3(408), ..., 무선 단말 M(414))을 포함한다.
기지국(402)은 P2P 간섭 관리 모듈(416), 간섭 신호 측정 모듈(418), 및 송신기 모듈(420)을 포함한다. P2P 간섭 관리 모듈(416)은 P2P 전송 전력 레벨 제어 값을 결정한다. 송신기 모듈(420)은 결정된 P2P 전송 전력 레벨 제어 값을, 예를 들어, 통신된 표시자 값으로서, 전송한다. 간섭 신호 측정 모듈(418)은 널(null) 업링크 전송 기간동안 신호 간섭을 측정하고, P2P 간섭 관리 모듈(416)에 측정된 신호 간섭 정보를 공급한다.
무선 단말 1(404)은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22), P2P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24), 차이 업데이팅(difference updating) 모듈(426) 및 메모리(428)를 포함한다. 메모리(428)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된 기 설정된 차이 표시 정보(430)를 포함한다. 저장된 기 설정된 차이 표시 정보(430)는 복수의 표시자들(표시자 1(442), ..., 표시자 N(444)을 포함하고, 이들은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 되고, 각각 차이 값(차이 1(446), ..., 차이 N(448))에 대응한다.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22)은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402)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한다. P2P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24)은 P2P 전송 전력을 제 1 함수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측정된 전력의 함수로서 제어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은 최대 허용된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이다. 차이 업데이팅 모듈(426)은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402)으로부터 차이 표시자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차이 값에 기반하여 제 1 함수를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이는 기 설정된 양이고, 표시자 및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차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428)는 액세스되고, 액세스된 값은 제 1 함수에 의해 사용된다.
무선 단말 2(406)은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32) 및 광역 네트워크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34)를 포함한다.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32)은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402)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광역 네트워크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34)은 무선 단말 2과 관련한 광대역 신호 전송 전력을 제 2 함수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된 전력의 함수로서 제어하고, 여기서 제 2 함수는 제 1 함수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역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은 최대 광역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2 함수는 측정된 수신된 신호 전력의 주어진 값에 대하여 제 1 함수보다 더 높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된 수신된 신호 전력의 주어진 값에 대하여 제 1 및 2 함수에 의해 결정된 전송 전력 사이 의 차이는 dB 단위로 적어도 10dBs 차이가 난다.
무선 단말 3(408)은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36), P2P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38) 및 광역 네트워크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40)을 포함한다. 수신된 신호 전력 측정 모듈(436)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한다. P2P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38)은 제 1 함수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측정된 전력의 함수로서 P2P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광역 네트워크 신호 전송 전력 제어 모듈(440)은 제 2 함수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측정된 전력의 함수로서 광역 신호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며, 제 2 함수는 제 1 함수와 상이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듈(440)에 의해 사용되는 제 2 함수는 측정된 수신된 신호 전력의 주어진 값에 대하여 모듈(438)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함수보다 더 높은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된 수신된 신호 전력의 주어진 값에 대하여 제 1 및 2 함수에 의해 결정된 전송 전력 사이의 차이는 dB 단위로 적어도 10dBs 차이가 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T 3(408)의 모듈(438)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함수는 WT 1(404)의 모듈(424)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함수와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T 3(408)의 모듈(440)에 의해 사용되는 제 2 함수는 WT 2(406)의 모듈(434)에 의해 사용되는 제 2 함수와 동일하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500)이다. 예시적인 방법의 동작은 단계(502)에서 시작하여 단계(504)으로 진행한다. 단계(504)에서, 기지국은 간섭 버짓(budget) 정보를 저장한다. 동작은 단계(504)에서 단계(506) 및 단계(508)로 진행한다.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단계(508)에서,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기(synchronization)를 유지하도록 동작하여,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널 기간이 동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널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대역폭의 적어도 일 부분이 의도적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다.
단계(506)으로 돌아가서, 단계(506)에서는, 기지국은 업링크 널 기간동안 배경 간섭(background interference)를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510)에서, 기지국은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측정된 배경 간섭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단계(510)은 서브-단계(512)를 포함한다. 서브-단계(512)에서, 기지국은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와 측정된 배경 간섭을 함께 사용하여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생성한다. 서브-단계(512)는 서브-단계들(514, 516, 518 및 520)을 포함한다. 서브-단계(514)에서, 기지국은 측정된 배경 간섭이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간섭 버짓 제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버짓 제한이 초과된 경우, 동작은 서브-단계(514)에서 서브-단계(51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서브-단계(514)에서 서브-단계(518)로 진행한다.
서브-단계(516)에서, 기지국은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수정하고, 수정된 전송 전력 제어 값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 이상으로 제한한다. 서브-단계(518)으로 돌아가서, 서브-단계(518)에서, 기지국은 측정된 배경 간섭이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간섭 버짓 제한 이하인지, 예를 들어, 적어도 기 설정된 임계값만큼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브-단계(518)에서, 측정된 배경 간섭이 간섭 버짓 이하여서 테스트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동작은 서브-단계(518)에서 서브-단계(520)으로 진행한다. 서브-단계(520)에서, 기지국은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수정하고, 수정된 전송 전력 제어 값은 P2P 전송 전력 레벨을 이전의 전송 전력 제어 값에 의하여 제어된 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증가시킨다.
동작은 단계(510)에서 단계(522)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결정된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전송한다.
도 1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600)이다. 예시적인 방법의 동작은 단계(602)에서 시작하여 단계(604)으로 진행한다. 단계(604)에서, 기지국은 간섭 버짓(budget) 정보를 저장한다. 동작은 단계(604)에서 단계(606) 및 단계(608)로 진행한다.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단계(608)에서,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기(synchronization)를 유지하도록 동작하여,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널 기간이 동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널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대역폭의 적어도 일 부분이 의도적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다.
단계(606)으로 돌아가서, 단계(606)에서는, 기지국은 제 1 업링크 널 기간동안 배경 간섭(background interference)를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610)에서, 기지국은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측정된 배경 간섭의 함수로서 결정 한다. 단계(610)은 단계(612)으로 진행한다. 단계(612)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전송한다. 동작은 단계(612)에서 단계(614)으로 진행한다.
단계(614)에서는, 기지국은 제 2 업링크 널 기간동안 배경 간섭(background interference)를 측정하고, 단계(616)에서, 기지국은 제 1 업링크 널 간격 및 제 2 업링크 널 간격에 대응하는 측정값들로부터 측정된 배경 간섭의 변화를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616)에서 단계(618)로 진행한다.
단계(618)에서, 기지국은 제 2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제 2 업링크 널 간격에 대응하는 배경 간섭 및 측정된 배경 간섭의 결정된 변화의 함수로서 결정하고, 그리고 나서 단계(620)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제 2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전송한다. 동작은 단계(620)에서 단계(622)으로 진행한다.
단계(622)에서, 기지국은, 제 3 업링크 널 기간 동안, 배경 간섭을 측정하고, 단계(624)에서 기지국은 제 2 업링크 널 간격 및 제 3 업링크 널 간격에 대응하는 측정값들로부터 측정된 배경 간섭의 변화를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624)에서 단계(62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 및 제 2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 사이의 차이를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626)에서 단계(628)로 진행한다.
단계(628)에서 기지국은 제 3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제 3 업링크 널 기간에 대응하는 측정된 배경 간섭, 제 2 및 제 3 업링크 널 기간들 사이의 측정된 배경 간섭의 결정된 변화, 및 이전에 전송된 두 개의 전력 제어 값들의 결정된 차 이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628)에서 단계(6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결정된 제 3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전송한다.
도 13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2800)을 도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기지국(2800)은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동일한 에어 링크 자원들로 전송하는 P2P 무선 단말들로부터의 간섭의 수신을 관리한다. 예시적인 기지국(2800)은 P2P 무선 단말들에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업링크 전력 제어 신호를 결정하고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2800)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전력 제어 신호는 무선 단말들에 의해서도 사용되고, 이러한 단말들은 기지국을 네트워크 부착지점으로 사용하며, 업링크 신호들을 기지국에 전송하여 전송 전력 레벨들을 제어한다.
예시적인 기지국(2800)은 수신기 모듈(2802), 송신기 모듈(2804), 프로세서(280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2808) 및 메모리(2810)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2812)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기 모듈(2802), 예를 들어, OFDM 수신기는, 수신 안테나(2814)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기지국(2800)은 무선 단말, 예를 들어, 셀룰러 모드에서 기능하고 기지국(2800)을 네트워크 부착지점으로 사용하는 무선 단말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수신기 모듈은 또한 지역(local) 근처에서 작동하는 P2P 통신 장치들로부터 간섭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모듈(2802)은 또한 인접한 셀들의 셀룰러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시그널링으로 인한 간섭을 수신한다.
송신기 모듈(2804), 예를 들어, OFDM 송신기는, 송신 안테나(2816)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기지국(2800)은 다운링크 신호들을 기지국(2800)을 네트워크 부착 지점(attachment)으로 사용하는 무선 단말들에 전송한다. 송신기 모듈(2804)은 또한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 신호들을 전송하고, 이로 인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을 제어하며, P2P 무선 단말들은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을 P2P 시그널링에 이용하며, 따라서 기지국 수신기 모듈(2802)의 관점에서 간섭을 발생시킨다.
메모리(2810)은 루틴들(2818)및 데이터/정보(28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8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2818)을 수행하고 메모리(2810)의 데이터/정보(2820)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수행한다. 루틴들(2818)은 통신 루틴(2822), 간섭 특정 모듈(2824),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 및 무선 단말 전력 제어 신호 전송 모듈(283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루틴들(2818)은 광역 네트워크 동기 모듈(2828) 및 간섭 타입 분리 모듈(2832)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2822)은 기지국(28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간섭 측정 모듈(2824)는 업링크 널 기간들 동안에 배경 간섭을 측정한다.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측정된 배경 간섭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업링크 전력 제어 값을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 및 측정된 배경 간섭의 조합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력 제어 값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생 성한다. 무선 단말 전력 제어 신호 전송 제어 모듈(2830)은 송신기 모듈(2804)을 제어하여 생성된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신호, 예를 들어, 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2850)을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모듈(2830)은 송신기 모듈(2804)을 제어하여, 반복 스케줄에 따라 생성된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모듈(2830)은 간섭 레벨 정보의 함수로서 전송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측정된 배경 간섭 및 이전의 측정으로부터의 측정된 배경 간섭 값의 변화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두 개의 이전에 전송된 전력 제어 값들 사이의 차이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상기 측정된 배경 간섭이 상기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간섭 버짓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P2P 전송 전력 레벨들을 상기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보다 더 크게 제한하는 수정된 전송 전력 제어 값으로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에 의해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 전력 제어 모듈(2826)은 상기 측정된 배경 간섭이 상기 간섭 버짓 제한 미만인 경우,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P2P 전송 전력 레벨들을 이전의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에 의해 제어되는 레벨들보다 높은 레벨로 증가시키는 수정된 전송 전력 제어 값으로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에 의해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을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더 높은 레벨로의 변경 은 측정된 간섭이 간섭 버짓 제한보다 적어도 기 설정된 임계값만큼 작을 때 수행된다.
따라서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의 값은 기지국(2800)에 의해 사용되어 P2P 통신의 전송 전력 레벨을 통제하는데 사용되고, 이로인해 기지국(2800)을 향하는 업링크 신호들의 간섭에 영향을 준다.
광역 네트워크 동기 모듈(2828)은 인접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기(synchronization)를 유지하도록 동작하여,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업링크 널 기간이 동기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간섭 타입 분리 모듈(2832)는 P2P 통신을 원인으로 하는 업링크 간섭 기여 양의 추정값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간섭 타입 분리 모듈(2832)은 제어된 변화 레벨을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에 의도적으로 입력하고, 다른 간섭 원인들(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장치들이 업링크 신호들을 기지국(2800)과 동기화되지 않은 인접한 셀로 전송하는 것)로부터 P2P 간섭을 분리하고자 하는 것의 일부로서 차후의 업링크 널 기간 동안 간섭 측정에서 관측된 효과를 계산한다.
데이터/정보(2820)은 시간/주파수 구조 정보(2834),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2840), 복수의 간섭 측정 정보(업링크 간섭 측정 정보 1(2846), ..., 업링크 간섭 측정 정보 N(2848))의 세트들 및 복수의 생성된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들(제 1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2850), ..., 제 M 업링크 전송 전력 제어 값(2852)을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구조 정보(2834)는 반복 시간 구조 정보(2836)을 포함한다. 반복 시간 구조 정보(2836)는 업링크 널 기간을 식별하는 정보(283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널 기간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대역폭의 적어도 일 부분이 의도적으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기간과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널 기간은 기지국(2800)을 부착 지점(attachment)으로 사용하는 무선 단말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장치들이 의도적으로 기지국(2800)에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이다. 이 기간 동안, P2P 무선 단말 시그널링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계속된다. 따라서, 기지국(2800)은 이 기간 동안 배경 간섭을 측정할 수 있다. 인접한 기지국들이 동기화되어 업링크 널 기간들이 동시인 경우, 이러한 기간들 동안 측정된 잡음은 P2P 시그널링과 연관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한 기지국들이 동기화되지 않고, 동일한 업링크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업링크 널 기간동안 측정된 간섭은 P2P 무선 단말들과 인접한 기지국들에 대응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 둘 다로부터의 간섭들을 포함한다.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2840)는 배경 간섭 제한 정보(2842)를 포함하고, 임계값 정보(2844)를 포함한다.
도 14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902) 및 주파수 대역 사용 테이블(904)을 포함한 도면(900)이다.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900)에서 광역 네트워크는 P2P 통신과 대역폭을 공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광역 네트워크는 배치된 시스템에 대응하고, P2P 성능들은 애드-온(add on) 및/또는 업그레이 드 특성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902)은 처음에 WAN 및 P2P 성능들 둘 다를 포함하여 배치된다. 주파수 대역 사용 테이블(904)은 두 종류의 실시예들을 표시하고, 이들은 예시적인 시스템(902)에 대응한다. 제 1 타입의 실시예, 타입 A 실시예에서, 광역 네트워크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를 사용하고, 광역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업링크 대역은 P2P 통신 활동과 대역폭을 공유한다. 제 2 타입의 실시예, 타입 B 실시예들에서, 광역 네트워크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와 동일한 대역에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를 사용하고, 광역 대역은 P2P 통신 활동과 업링크 타임 슬롯(time slot)을 공유한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두 타입 모두에서, 광역 네트워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시그널링은 P2P 통신 장치에 의한 P2P 통신의 수신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P2P 통신 장치들간의 P2P 통신 신호들은 광역 네트워크의 업링크 신호들 수신과 기지국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902)은 기지국(906), 광역 네트워크 무선 단말(908), 예를 들어, 셀룰러 모바일 노드, 제 1 P2P 무선 단말(910) 및 제 2 P2P 무선 단말(912)을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광역 네트워크 무선 단말(908)이 기지국(906)으로 업링크 신호(914)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기지국(906)은 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PC1 으로 측정한다. 제 2 P2P 무선 단말(912)의 관점에서 신호(914)는 광역 네트워크 무선 단말(908)로부터의 간섭(916)으로 보인다. 이제, 제 1 P2P 무선 단말(910)이 P2P 신호(918)를 제 2 P2P 무선 단말(912)로 전송한다고 가정한 다. 기지국(906)의 관점에서 신호(918)는 제 1 P2P 무선 단말(910)로부터의 간섭(920)으로 보인다. 기지국(906)은 이 간섭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PP1으로 측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광역 시스템에 주어지고, 간섭은 기지국에서 관리된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값 α는 (PP1/PC1) ≤α 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α는 -10 dB, -20 dB, 또는 -30 dB 들과 같은 값이다. 하나의 광역 네트워크의 무선 단말 업링크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기지국 수신과의 간섭을 야기하는 하나의 P2P 무선 단말에 관련한 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송하고, 간섭에 기여하는 복수의 P2P 무선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거나, 때때로 존재하며, 기지국에, 기지국이 복원하고자 하는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광역 네트워크 무선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거나, 때때로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따라서,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간섭을 관리하는 , 제어 인자 α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좌우되거나, 때때로 좌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 인자 α는 사용자들의 수,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의 활성 사용자들의 수 및/또는 활성 P2P 사용자들의 수에 좌우된다.
도 15 는 광역 네트워크가 기지국이 P2P 잡음을 모니터하고 측정하는 침묵(silent) 기간을 가지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1002)이다. 예시적인 도면(1002)은 기지국(1004)을 포함하고, 이는 대응하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1006)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은 적어도 1 킬로미터의 반지름을 지닌다. 셀 내에서, 셀룰러 동작 모드로 기능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WT A(1008), WT B(1010), WT C(1012), WT D(1014))이 존재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들(1008, 1010, 1012, 1014)은 기지국(1004)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고 기지국(1004)으로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한다. 그러나, 이 시점은 광역 네트워크 단말들(1008, 1010, 1012, 1014)들이 일부 업링크 신호들도 전송하지 않는 의도적인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침묵(silent) 기간과 대응한다.
셀(1006)은 또한 P2P 동작 모드에서 기능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WT 1(1016), WT 2(1018), WT 3(1020), WT 4(1022))을 포함한다. P2P 통신은 이 기간동안 제한되지 않는다. P2P WT 1은 P2P 무선 단말 2(1018)로 P2P 신호(1024)를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된 P2P 신호(1024)는 기지국(1004)의 수신기의 관점에서는 P2P 잡음 간섭 신호(1026)로 보여진다. P2P WT 3(1020)이 P2P 무선 단말 4(1022)로 P2P 신호(1028)을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된 P2P 신호(1028)는 기지국(1004)의 수신기의 관점에서는 P2P 잡음 간섭 신호(1030)로 보여진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몇가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1102)이며, 이는 도 15의 예시의 연속이다. 기지국(1004)은 전력 제어 값 α를 측정된 P2P 간섭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기지국은 그러고 나서 이 제어 값 α를 무선 신호(1104)를 통해 방송하여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제어 값 α에 대해 단일 값을 방송한다; 그러나, 값은 방송 신호(1104)를 수신하는 상이한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해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거나, 때때로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드에서 작동하는 무선 단말들의 세트는(WT A(1008), WT B(1010), WT C(1012), WT D(1014)) 제 1 전력 제어 함수 f1(α)(1106)를 사용하고,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결정하며, 반면에 P2P 모드에서 작동하는 무선 단말들의 세트(WT 1(1016), WT 2(1018), WT 3(1020), WT 4(1022))는 제 2 전력 제어 함수 f2(α)(1108)을 사용하고, 전송 전력 제어 파라메터를 결정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인 제어 값들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1200)의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은 방송 전력 제어 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자신의 전력 제어 값을 결정하여 수신된 값의 함수 및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로서 사용한다. 상이한 레벨들은 상이한 종류들, 상이한 서비스들의 타입들 및/또는 서비스의 상이한 사용자들 및 상이한 서비스 레벨들의 맵에 대응할 수 있거나 때때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상이한 우선순위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 예를 들어, 음성, 레이턴시 민감형 데이터(latency critical data), 및 최선 노력(best effort) 타입 데이터와 연관된다. 예시적인 상이한 서비스 타입들은, 예를 들어, 긴급 통신 서비스들 및 통상의 통신들을 포함한다. 상이한 타입의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경찰, 소방, 긴급 서비스들과 같은 높은 우선순위의 사용자들, 높은 서비스 레벨 계획에 가입된 중간 우선순위의 사용자들, 및 낮은 서비스 레벨 계획에 가입된 낮은 우선순위의 사용자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원된 전력 제어 값은 우선순위 레벨의 함수로서 수정된다.
예시적인 테이블(1200)에서, 첫 번째 열(1202)은 예시적인 수신된 제어 값α를 표시하고, 두 번째 열(1204)은 예시적인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 1 제어 값 α1을 표시하고, 세 번째 열(1206)은 예시적인 대응하는 제 2 서비스 레벨 제어 값 α2을 표시하며, 네 번째 열(1208)은 예시적인 제 3 서비스 레벨 제어 값 α3을 표시한다. 첫 번째 행(1210)은 룩-업 테이블(1200)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10 dB 을 표시하는 방송 전력 제어 값을 수신하고, 단말의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이 (서비스 레벨 1, 서비스 레벨 2, 서비스 레벨 3)인 경우, 무선 단말이 자신의 전력 제어값으로 각각 (-10dB, -15dB, -20dB)를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두 번째 행(1212)은 룩-업 테이블(1200)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20 dB 을 표시하는 방송 전력 제어 값을 수신하고, 단말의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이 (서비스 레벨 1, 서비스 레벨 2, 서비스 레벨 3)인 경우, 무선 단말이 자신의 전력 제어값으로 (-20dB, -25dB, -30dB)를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세 번째 행(1214)은 룩-업 테이블(1200)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30 dB 을 표시하는 방송 전력 제어 값을 수신하고, 단말의 대응하는 서비스 레벨이 (서비스 레벨 1, 서비스 레벨 2, 서비스 레벨 3)인 경우, 무선 단말이 자신의 전력 제어값으로 각각 (-30dB, -35dB, -40dB)를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폭이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는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1300)이다.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동작들이 동기화되는 셀룰러 시스템의 일 부로서 동작하는 기지국이다.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동기는 범용(universal) 업링크 널 기간들을 구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러한 기간동안에 광역 네트워크 무선 단말 셀 업링크 시그널링은 공통적으로 중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널 기간들은 배경 간섭의 측정에 사용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서, 배경 간섭 W 는 W = 열잡음(thermal noise) + P2P 잡음에 근접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고, 전력 제어 인자 α를 결정하고 방송하며, 이는 근처의 무선 단말들에 의해 수신된다.
동작은 단계(13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초기화는 전력 제어 인자 α에 대한 디폴트 값의 사용을 포함하고, 전력 제어 인자는 무선 단말들로 방송된다. 동작은 단계(1302)에서 단계(1304)로 진행한다. 단계(1304)에서, 기지국은 배경 간섭 W을 널 인터벌, 예를 들어, WAN 무선 단말들이 시그널링을 중지하도록 제어되는 업링크 널 인터벌 동안에 측정한다.
동작은 단계(1304)에서 단계(1306)으로 진행한다. 단계(1306)에서, 기지국은 전력 제어 인자 α를 측정된 배경 간섭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W 가 증가하면, α가 W의 적어도 일부 비-널(non-null)에 대해 증가하도록 하는 함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1306)의 결정은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와의 비교를 포함한다. 동작은 단계(1306)에서 단계(1308)로 진행한다.
단계(1308)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전력 제어 인자 α를 방송한다. 동작은 단계(1308)에서 단계(1304)로 진행하고, 여기서 배경 간섭에 대한 다른 측정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경 간섭에 대한 다수의 측정들이 수행되고, 다수의 널 인터벌들에 대응하여 방송되는 결정된 전력 제어 인자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단계(1308)에서 결정된 전력 제어 인자를 방송하기 전의 널 인터벌들에 대응하는 한 세트의 배경 측정들(예를 들어, 단계(1304)의 다중 반복)을 수행한다.
도 19 는 다양한 실시예들 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이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는 기지국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1400)이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동작하며,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기지국들 사이의 동작들이 동기화되지 않은 기지국이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업링크 널 기간들은 기지국에 의해 배경간섭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웃한 셀들의 동작들이 동기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웃한 셀들로부터의 간섭 레벨들이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배경 간섭의 P2P 컴포넌트들을 추출하는 것을 인접한 기지국들이 동기화되고 의도적인 업링크 널들의 발생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제어되는 경우보다 더 어렵게 만든다. 기지국은 간섭을 제어하고자 하고, 전력 제어 인자 α를 결정하고 방송하며, 이는 근처의 무선 단말들에 의해 수신된다. 이 실시예의 특징에 따라, 기지국은 의도적으로 자신이 방송하는 방송되는 전력 제어 인자를, 제어된 입력으로서,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가변시킨다
동작은 단계(14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며, 단계(1404)로 진행한다. 단계(1404)에서, 기지국은 전력 제어 인자 α1을 방송한다. 이 지점에서 α1 은 초기화로부터 획득된 디폴트값이다. 그리고 나서, 단계(1406)에서, 기지국은 배경 간섭 W1 을 널 인터벌, 예를 들어, 기지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들이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의도적으로 제한되는 업링크 WAN 널 인터벌동안에 측정한다. 동작은 단계(1406)에서 단계(1408)로 진행한다.
단계(1408)에서, 기지국은 전력 제어 인자를 제 2 전력 제어 인자 α2 를 결정하기 위해 조정한다. 예를 들어, α2 = α1 + Δα 이고, 여기서, Δα 는 0이 아닌 값이며,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Δα는 α1의 크기에 비해 작은 크기, 예를 들어, α1의 25% 이하를 가질 수 있다. 동작은 단계(1408)에서 단계(141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새로운 전력 제어 인자 α2 를 전송한다. 동작은 단계(1410)에서 단계(1412)로 진행한다.
단계(1412)에서, 기지국은 널 인터벌 동안에 배경 간섭 W2 를 측정한다. 동작은 단계(1412)에서 단계(1414)로 진행한다. 단계(1414)에서, 기지국은 전력 제어 인자 α3 를 측정된 배경 간섭의 변화 및 전송된 전력 제어 인자들의 차이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α3 는 ΔW 와 Δα의 함수로서 결정되며, 여기서 ΔW = W2 - W1 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α3 은 다음 중 하나이다: α3 = α3 + Δα 및 α3 = α1 - Δα. 동작은 단계(1414)에서 단계(141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α1 = α3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동작은 단계(1404)로 진행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전력 제어 인자 α1을 방송한다.
도 20은 수직 축(1502)상의 잡음 W 대 수평 축(1504)상의 α의 플롯(plot)을 도시한 것이다. 노이즈 W 는, 업링크 신호들을 복원할때 기지국에서 수신된 잡음을 나타내며, P2P 잡음 및 다른 셀 간섭을 포함한다. 변수 α는 전력 제어 인자이다. 곡선(1506)은 다른 셀 간섭(1508)에 대응하는 α에 대한 W의 특성 곡선이다. 제 1 기지국에 대응하는 의도적인 업링크 널 시간 인터벌동안, 제 1 기지국은 의도적으로 무선 단말들을 부착 지점으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들이 업링크 시그널링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의도적인 업링크 널 시간 간격 동안, 셀 내에서의 P2P 동작(activity)은 계속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P2P 동작은 제 1 기지국 수신기에 의해 잡음으로서 취급되고 측정된 잡음 W에 기여한다.
이제, 인접한 기지국이 제 1 기지국과 관련하여 비동시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한다. 인접한 기지국이 제 1 기지국과 관련하여 비동시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인접한 기지국의 의도적인 업링크 널 시간 간격은 제 1 기지국의 의도적인 널 시간 간격들과 반드시 오버랩되지는 않는다. 인접한 기지국의 업링크 시그널링은 또한 측정되는 잡음 W에 기여하고, 측정되는 잡음 W는 제 1 기지국의 의도적인 업링크 널 기간들 동안에 제 1 기지국에 의하여 측정된다.
W 대 α 특성 곡선(1506)은 다른 셀 간섭(1508)의 주어진 레벨에 대응하고, 이는 최소 간섭 레벨을 나타낸다. 곡선(1506)의 일 지점 상에서의 동작이 포화(saturation)에 근접하는 경우, α의 증가는 잡음 W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상당한(significant) 개선을 이끌어 낼 수 없다. α의 증가는 P2P 시그널링 전송 전력의 제한과 대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는 P2P 전송 전력 레벨들을 추가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셀룰러 무선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의 수신을 중대하게 개선하지 못한다. 그러나; 높은 기울기를 가지는 곡선(1506)위의 지점에서 동작하는 경우, α 의 작은 증가는 잡음 W의 레벨에 상당한 변화 감소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때로, α 을 감소시켜 셀 기반 무선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의 복원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전송 전력 레벨들의 작은 저하(throtlling back)은, 이러한 상태들 하에서는 업링크 시그널링 복원 및/또는 스루풋(thorughput)에 중대한 향상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양호한 광역, 예를 들어, 셀룰러 기반 통신 수신에 P2P 시그널링에대한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그러나, P2P 통신 스루풋이 주어진 요구되는 셀 기반 업링크 수신 품질(quality)의 특정 레벨내에서 최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 대 α 특성 곡선(1506)이 다른 셀 간섭의 함수로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다른 셀 간섭은 제 1 셀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변화할 수 있거나, 때때로 그렇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태들, 인접한 셀의 셀룰러 기반 무선 단말 사용자의 수, 인접한 셀 업링크 트래픽 로드(load) 등으로 인하여 제 1 기지국이 경험하는 간섭은 다른 레벨로 변화할 수 있다. 도 21 의 플롯(1600)은 다른 셀 간섭(1608)의 상이한 레벨을 도 20의 다른 셀 간섭 레벨(1508)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1 은 상이한 특성 곡선(1606)을 특성 커브(1506)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잡음 측정값들에 응답하여 사용되는 전력 제어 인자 α 의 선택을 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특성 곡선(1506)에 대응하는 수직 축(1502)상의 잡음 W 대 수평 축(1504)상의 α의 플롯(1700)을 도시한 것이다. 동작하는 시간에,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이 도 20의 다른 셀 간섭 레벨(1508)에 대응하는 특성 곡선(1506)상에서 작동하는 중임을 알지 못할 수 있으며, 곡선(1506)은 도 21의 곡선(1506) 및 곡선(1606)을 포함하는 곡선들의 집합 중 하나이다.
제 1 기지국은 α를 초기값 α1(1702)로 설정하고, 이는 방송된다. 값α1(1702)은 제 1 기지국의 셀 내의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어 그들의 P2P 전송전력을 제어한다. 제 1 기지국의 의도적인 업링크 널 기간동안, 제 1 기지국은 수신된 잡음 레벨 W를 W1(1706)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기지국은 의도적으로 α1의 값을 Δα만큼 변경하고, α2(1710)를 얻는다. 이는 의도적으로 수신된 노이즈 레벨을 특성 곡선(1506)상의 상이한 지점으로(1704 에서 1712까지) 이끄는데 사용되는 제어된 입력을 나타낸다. 제 1 기지국은 파라메터 α2(1710)을 방송한다. 값 α2(1720)은 제 1 기지국의 셀내의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어 그들 의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제 1 기지국의 의도적인 업링크 널 기간 동안, 제 1 기지국은 수신된 잡음 레벨 W 을 W2(1714)로 측정한다. 제 1 기지국은 W 의 변화를 ΔW(1716)으로 측정한다. 제 1 기지국은 그리고 나서 α의 새로운 값을 입력된 변경(driving) 값 Δα, 측정된 응답 ΔW, 및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의 일부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기지국은 α의 새로운 값을 잡음 측정 지점, 예를 들어, W1 또는 W2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로서 결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기지국 α의 새로운 값을 α3으로 설정하며, ΔW가 작은 경우에 지점(171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α31-Δα 이고; 반면에, 제 1 기지국은 α의 새로운 값을 α3으로 설정하며, ΔW가 큰 경우에 지점(172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α32+Δα 이며, 크고 작음의 결정은 기설정된 저장된 간섭 버짓 정보와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전력 제어 인자 α3은 그리고 나서 제 1 기지국에 의해 방송되어 셀내의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들을 제어한다.
도 23 은 광역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서 시분할 듀플렉스(TDD)를 사용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대역폭 사용을 도시한 도면(1800)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응하는 광역 네트워크에 관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사이의 변화 패턴으로 공유된다. 예를 들어, 광역,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TDD 대역은 블록들(1804, 1806, 1808, 1810)로 표시된 (업링크, 다운링크, 업링크, 다운링크)에 의해 시간 라인(1802)에 따라 각 각 사용된다. 전형적인 셀룰러 기반 활동들에 더하여, 기지국은 P2P 방송 신호(들), 예를 들어, 비콘 신호 및/또는 다른 방송 신호들을 일반적으로 광대역 업링크 시그널링에 의해 예약된 인터벌 동안 전송한다. 이는 블록들(1804, 1808)의 시간 인터벌들에 각각 대응하는 신호들(1812, 1814)에 의해 나타난다. 또한, 광역 네트워크에 사용되도록 지정된 시간 인터벌들, 예를 들어, 셀룰러 업링크는 또한 P2P 시그널링에 사용되고, 동일한 TDD 대역이 사용되며, 이는 P2P 블록들(1816, 1818)과 각각 동시인 셀룰러 업링크 블록들(1804, 1808)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다.
도 24 은 광역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를 사용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대역폭을 도시한 도면(1900)이다. 광역 네트워크에 대하여, 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응하여,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의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FDD 광대역 업링크 대역은 주파수 축(1902)을 따라 블록(1904)으로 표시되고, FDD 광대역 다운링크 대역은 블록(1906)으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대역은 인접해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대역은 인접하지 않는 부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대역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대역들 중 다른 하나의 상이한 두 부분에 포함된다.
일반적인 FFD 광역 업링크 대역에서 셀룰러 기반 업링크 시그널링에 더하여, 이러한 대역은 P2P 시그널링과 연관된 다른 활동들에 사용된다. 도 24 에서, 업링크 대역(1904)는 또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어 P2P 방송 신호(들)(1908)을 전송한 다, 예를 들어, 비콘 신호 및/또는 다른 방송신호들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어 P2P 무선 단말들에 의해 사용된다. P2P 무선 단말들은 또한 P2P 시그널링에 대한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며, 이는 주파수 축(1902)에 위치한 FDD 광대역 업링크 대역(1904)과 대응하는 블록(191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다.
도 25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된 예시적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2000)를 나타낸 것이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2000)는 광역 네트워크 통신 및 P2P 통신 둘 다를 지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0)는 광역 네트워크 통신에 FDD를 사용하고 P2P 통신에 TDD를 사용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WAN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다. 무선 통신 장치(2000)는 무선 송신기 모듈(2002), 사용자 입/출력 장치(2004), 프로세서(2006) 및 메모리(2008)를 포함하고 이들은 버스(2010)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들(2004)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들, 키보드, 키패드, 카메라, 스위치들,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출력 장치(2004)는 무선 통신 장치(2000)의 사용자가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출력 데이터/정보에 액세스하며, 또한 무선 통신 장치(2000)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를 WAN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것, 통신 장치를 P2P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것, 통신 장치를 WAN 통신 및 P2P 통신 둘 다를 허용하는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P2P 통신을 선택하고, 통신 장치는 자동 으로 WAN 페이징 신호들(paging signals)을 모니터 할 수 있는 WAN 동작 모드로 반복적으로 스위칭한다. 사용자가 통신 장치를 WAN 시그널링 및 P2P 시그널링 둘 다 지원하는 동작 모드로 설정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장치는 적어도 수신 우선선위 고려조건(consideration)들 및 핸드오프(hand off) 고려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로서 모드들 사이를 스위칭한다.
메모리(2008)는 루틴들(2050) 및 데이터/정보(205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06), 예를 들어, CPU는 루틴들(2050)을 실행하고 메모리(2008)의 데이터/정보(2052)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20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구현한다.
무선 송신기 모듈(2002)은 듀플렉서 모듈(2024), 송신기 체인(transmitter chain; 2001), 제 1 수신기 체인(2003), 제 2 수신기 체인(2005), 스위치(2032),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ADC; 2034)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2016)을 포함한다. DSP(2016)은 디지털 전송 신호 모듈(2042), 모드 제어 모듈(2044) 및 디지털 수신 신호 모듈(2046)을 포함한다. 송신기 체인(2001)은 제 1 RF 주파수, 예를 들어, fUL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전송 신호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수신기 체인(2003)은 제 2 RF 주파수, 예를 들어 fDL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수신기 체인(2005)은 RF 주파수, 예를 들어 fUL(2026)로 표시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기 체인(2001)은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기(DAC; 2018), 믹서(mixer; 2020) 및 전력 증폭기(PA; 2022)를 포함한다. 디지털 전송 신호 모듈(2042)은 디지털 신호를 DAC(2018)에 출력하고, DAC(20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믹서(2020)로 입력되고, 믹서(2020)는 업링크 주파수(fUL),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통신 대역 반송파 주파수인 입력 또한 가지고 있다. 믹서(2020)의 출력은 전력 증폭기(2022)로 입력되고, 증폭기(2022)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듀플렉서 모듈(2024)로 출력한다. 듀플렉서 모듈(2024)는 수신된 증폭된 신호와 연결되고, 이는 안테나(2012)로 전송되며, 이를 통해 통신 장치(2000)는 신호들을 전송한다. 전송된 신호들은 무선 통신 장치(2000)가 WAN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하고, 통신 장치가 P2P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P2P 신호들을 포함한다.
제 1 수신기 체인(2003)은 제 1 대역 통과 필터(BPF1; 2028)와 믹서(2030)를 포함한다; 제 2 수신기 체인(2005)은 제 2 대역 통과 필터(BPF2; 2038)와 믹서(204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2000)가 WAN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는,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스위치(2032)를 제어하여 제 1 수신기 체인(2030)의 출력을 ADC(2034)와 연결한다. 이와 다르게, 무선 통신 장치가 P2P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는,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스위치(2032)를 제어하여 제 2 수신기 체인(2005)의 출력을 ADC(2034)와 연결한다.
스위치(2032)가 모드 제어 모듈(2044)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수신기 체 인(2003)이 ADC(2034)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2012)를 통해 수신되고, 듀플렉서 모듈(2024)을 통해, BPF1(2028)에 연결된다. 제 1 대역 통과 필터(2028)의 출력은 믹서(2030)에 입력된다. 믹서(2030)의 다른 입력은 다운링크 주파수(fDL; 2036),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통신 대역 반송파 주파수이다. 믹서 모듈(2030)은 반송파 주파수를 제거하여, 예를 들어,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얻는다. 출력 신호, 예를 들어,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는 스위치(2032)를 통해 ADC 변환기(2034)로 공급된다. ADC 변환기(2034)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 표현(representation)을 얻고, 이는 디지털 수신 신호 모듈(2046)로 공급된다.
스위치(2032)가 제어 모듈(2044)에 의해 제어되어 제 2 수신기 체인(2003)이 ADC(2034)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P2P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P2P 신호들은 안테나(2014)를 통해 수신되고, BPF2(2038)와 연결된다. 제 2 대역 통과 필터(2038)의 출력은 믹서(2040)로 입력된다. 믹서(2040)의 다른 입력은 업링크 주파수(fUL; 2026),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통신 대역 반송파 주파수이며, 이 주파수는 또한 P2P 시그널링에도 사용된다. 믹서 모듈(2040)은 반송파 주파수를 제거하여, 예를 들어,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얻는다. 출력 신호, 예를 들어,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는 스위치(2032)를 통해 ADC 변환기(2034)로 공급된다. ADC 변환기(2034)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 표현(representation)을 얻고, 이는 디지털 수신 신호 모듈(2046)로 공급된다.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제 1 및 제 2 수신기 체인들(2003,2005)사이의 사용을 주어진 시간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이 사용하도록 선택한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 중 하나의 함수로서 스위칭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동작 모드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동작 모드, 예를 들어, 광대역 FDD 동작 모드이고, 제 2 동작 모드는 P2P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시분할(TDD) P2P 동작 모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자동으로 스위칭을 제어하고, 이는 통신 장치(2000)에 의해 구현된 광역 네트워크 수신 스케줄의 함수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케줄링 정보는 광역 네트워크 페이징 메세지가 다중-모드 통신 장치(200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때를 표시하고,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상기 장치(2000)를 제어하여 광역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가 다중-모드 통신 장치(2000)에 의해 수신되는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기 장치(2000)가 제 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WAN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선택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위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수신 우선순위 정보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위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핸드오프 표시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위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스케줄 정보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P2P 통신이 높은 WAN 시그널링이 예상되는 특정한 시간들 동안 제한되어, 간섭을 줄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 위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위치들은 셀룰러 커버리지(coverage) 영역 외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른 위치들은 기지국에 너무 가까워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P2P 시그널링을 허용할 수 없으며, 이는 기지국 수신기에서의 간섭에 대한 고려 또는 특정 지역에서 WAN 시그널링이나 P2P 시그널링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하는 권한이 없는 서비스 공급자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장치(2000)가 유지되고 있는 링크상에서 검출된 채널 품질 변화에 응답하여 모드들을 스위치하도록 한다.
루틴들(2050)은 통신 루틴(2054) 및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056)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2054)는 무선 통신 장치(20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 제어 루틴들(2056)은 입/출력 모듈(2058), 주파수 대역 모듈(2060), 페이징 모듈(206), 광역 네트워크 제어 모듈(2064) P2P 제어 모듈(2066), 수신 우선순위 모듈(2068), 핸드오프(handoff) 모듈(2070)을 포함한다. 데이터/정보(2052)는 스케줄 정보(2072), 사용자 모드 선택 정보(2074), 광역 네트워크 신호들(2076), P2P 신호들(2078) 핸드오프 표시 신호들(2080) 및 현재 모드를 식별하는 정보(2082)를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2058)은 사용자 입/출력 장치들(2004)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모드 선택 정보(2074), 예를 들어, WAN 시그널링을 선택한 사용자의 서택, P2P 시그널링을 인에이블 하는 사용자의 선택, 장치를 WAN 및 P2P 동작들 사이에서 수신 우선순위 정보 및/또는 핸드오프 정보의 함수로서 스위칭하는 모드에 놓는 사용자의 선택등을 수신한다.
주파수 대역 모듈(2060)은 전송기 체인(2001) 및 제 2 수신기 체인(200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입력 신호들(fUL; 2026)을 선택하고 설정하며, 제 1 수신기 체인(2003)에 의해 사용되는 fDL(2036)을 설정한다.
페이징 모듈(2062)는 페이징과 관련된 동작들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2P 동작들이 인에이블 되고, 무선 통신 장치(2000)가 P2P 시그널링을 먼저 사용하여 동작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0)는 반복되는 스케줄 내에서 WAN 페이징 인터벌들 동안에 WAN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스위치된다.
WAN 제어 모듈(2064)는 WAN 모드에서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전송 신호 모듈(2042)이 업링크 신호들을 생성하여 네트워크의 부착 지점(attachment)으로 활동하는 기지국에 통신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수신 신호 모듈(2046)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P2P 제어 모듈(2066)은 P2P 모드에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전송 신호 모듈이 P2P 신호들을 생성하여 P2P 모드에서 작동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수신 신호 모듈(2046)이 P2P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P2P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수신 우선순위 모듈(2068)은 주어진 시간에서 WAN 네트워크 통신이 우선순위를 가지는지 또는 P2P 시그널링이 우선순위를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듈(2068)에 의한 결정은 모드 제어 모듈(2044)에 의해 사용되며, 모드 제어 모듈(2044)은 교대의 수신기 체인들(2003, 2005)사이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WAN 통신 또는 P2P 통신을 각각 구현한다. 따라서,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수신 우선순위 정보의 함수로서 WAN 모드와 P2P 모드 사이를 스위치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우선순위는 P2P 시그널링에 우선하여 WAN 시그널링에 주어진다; 그러나 적어도 사용자들의 일부 타입들 및/또는 시그널링 우선순위의 일부 타입들, 예를 들어, 긴급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사용자들 및/또는 신호들에 대해서는 우선순위가 광역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앞서 P2P 시그널링에 주어진다. 다른 예로서, 우선순위는 경쟁하는 레이턴시 고려 및/또는 서비스 레벨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주어진다.
핸드오프 모듈(2070)은 P2P 시그널링이 핸드오프의 일부를 위해 사용될 것인지 아니면 또는 WAN 시그널링이 핸드오프의 일부를 위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핸드오프 모듈(2070)은 핸드오프 표시자 신호들(2080)을 생성하고,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이에 응답하여 모드를 스위치한다. 일부 핸드오프 제어 신호들(2080)은 P2P 통신링크로부터 광역 네트워크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를 표시하고, 이로 인해 P2P 동작 모드에서 광역 네트워크 동작 모드로 스위치하게 한다. 다른 핸드오프 제어 신호들(2080)은 광역 네트워크 통신 링크로부터 P2P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를 표시하고, 이로 인해 광역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서 P2P 동작 모드로 스위치하게 한다.
스케줄 정보(2072)는 WAN 스케줄 정보(2084) 및 P2P 스케줄 정보(2086)을 포함한다. WAN 스케줄 정보(2084)는 업링크 타이밍/주파수 구조를 정의하는 정보 및 다운링크 타이밍/주파수 구조를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WAN 스케줄링 정 보(2084)는 WAN 페이징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P2P 동작들은 WAN 페이징 인터벌들의 적어도 일부 동안 중지되어 무선 통신 장치들의 WAN 페이징 액세스를 지원한다. P2P 스케줄 정보(2086)는 상이한 반복 P2P 타이밍 구조에서 P2P 인터벌들, 예를 들어, 피어 발견(peer discovery) 인터벌들, P2P 페이징 인터벌들 및 트래픽 인터벌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모드 선택 정보(2074)는 입/출력 모듈(2058)로부터의 정보(2074)를 포함하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명령된 또는 요청된 모드 선호도,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모드, P2P 모두, 또는 통신 장치(2000)가 자동으로 WAN 모드 및 P2P 모드 사이를, 예를 들어, 신호 품질, 우선순위, 로딩 및/또는 핸드오프 정보의 함수로서 번갈아 교대하도록 허용하는 모드를 식별한다.
WAN 신호들은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들 및 전송될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들은, 예를 들어, 비콘 신호들, 파일럿 채널 신호들, 동기 신호들, 전력 제어 신호들, 타이밍 제어 신호들, 페이징 신호들, 할당 신호들, 및 트래픽 채널 신호들으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들은, 예를 들어, 액세스 신호들, 타이밍 제어 신호들, 에어 링크 자원 요청 신호들 및 채널 상태 보고들을 포함하는 전용 제어 채널 신호들, 페이지 요청 신호들 및 업링크 트래픽 채널 신호들을 포함한다.
P2P 신호들은 P2P 전송 신호들 및 P2P 수신 신호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P2P 전송 신호들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2000)를 식별하는 사용자 비콘 신호, P2P 페이징 신호, P2P 트래픽 요청 신호, 및 P2P 트래픽 신호를 포함한다. 예시적 인 P2P 수신 신호들은, 예를 들어, 로컬 근처의 다른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사용자 비콘들, P2P 페이징 신호들, P2P 트래픽 요청 신호들, 및 P2P 트래픽 신호들을 포함한다.
핸드오프 표시자 신호들(2080)은 핸드오프 모듈(2070)의 출력이며 모드 제어 모듈(2044)에 의해 사용된다. 현재 모드 정보(2082)는 모드 제어 모듈(2044)에 의해 설정된 현재 모드를 표시하고 이는 모드 제어 신호(2048)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수신기 체인(2003) 또는 제 2 수신기 체인(2005)중 어느 것이 사용중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안테나가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인 스위치는 제 1 수신기 체인(2003) 및 제 2 수신기 체인(2005) 중 하나를 듀플렉서 모듈(2024)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추가적인 스위치의 동작은 스위치(2032)의 동작과 조정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 모듈(2024)은 사용되지 않고, 별개의 안테나가 송신기 및 수신기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스위치는 제 1 수신기 체인(2003) 및 제 2 수신기 체인(2005)을 수신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추가적인 스위치의 동작은 스위치(2032)의 동작과 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들은 상이한 하드웨어 장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대역 통과 필터들은 프로그램 가능하며 다양한 필터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믹서는 믹서들(2030, 2040) 대신에 사용되고, 주파수 입력은 모드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fDL 및 fUL 사이에서 제어가능하게 스위치 되며, 대역 통과 필터는 모드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스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SP(2016)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 예를 들어, 모드 제어 모듈(2044)은 루틴들(2050)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08)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무선 송신기 모듈(2002)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인 무선 송신기 모듈 및 개인 무선 수신기 모듈은 무선 송수신기(transceiver) 모듈(2002)대신에 구현된다.
도 26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주파수 대역 및 광역 네트워크 통신 사용 및 P2P 사용 사이의 공유되는 주파수 대역 사용을 나타낸 도면(2100)이다. 광역 네트워크 통신 대역으로 사용되는 대역은 또한 P2P TDD 수신기 대역 및 P2P TDD 송신기 대역으로서의 사용에 할당된다. 일 예로서, 도 26 에 나타난 대역은 도 25의 다중-모드, 예를 들어, 상이한 위치들 및/또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사용가능 및/또는 사용되는 WAN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대역의 쌍(pair)을 가진, 무선 통신 장치(20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수평 축(2101)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주파수 fUL1(2103)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02), P2P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2106) 및 P2P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2108)이 존재한다.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02)은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04)와 쌍 을 이룬다. 주파수 fDL1 (2105)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 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04)이 존재한다.
유사하게, 주파수 fUL2(2113)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12), P2P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2116) 및 P2P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2118)이 존재한다.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12)은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14)와 쌍을 이룬다. 주파수 fDL2(2115)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14)이 존재한다.
유사하게, 주파수 fUL3(2123)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22), P2P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2126) 및 P2P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2128)이 존재한다. 광역 네트워크 업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22)은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24)와 쌍을 이룬다. 주파수 fDL3(2125)에 대응하여, 광역 네트워크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대역(2124)이 존재한다.
도 25 의 예시적인 장치(2000)를 고려한다. 통신 장치는 도 26 의 3 개의 주파수 쌍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예를 들어, 두번째 쌍이 선택되었다고 생각한다. WAN 및 P2P 전송 시그널링 둘 다에 이용되는 송신기 체인(2001) 및 P2P 신호 수신에 사용되는 수신기 체인(2005)은 fUL2에 동조된다(tuned). WAN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수신기 체인(2003)은, fDL2에 동조된다.
도 27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2200) 및 예시적인 타이밍 구조(2250)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의 동작은 단계(22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된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5의 장치(2000)이다. 동작은 시작 단계(2202)에서 단계(2204)로 진행한다. 단계(2204)에서, 무선 장치는 자신의 송신기 체인을 제 1 주파수 대역에 동조시키고, 이 송신기 체인은 업링크 신호들 및 P2P 신호들 둘 다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단계(2206)에서, 무선 장치는 자신의 제 1 수신기 체인을 제 2 주파수 대역에 동조시키고, 이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며, 제 1 수신기 체인은 WAN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단계(2208)에서, 무선 장치는 자신의 제 2 수신기 체인을 제 1 주파수 대역에 동조시키고, 제 2 수신기 체인은 P2P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동작은 단계(2208)에서 단계(2210)으로 진행한다.
단계(2210)에서, 무선 장치는 P2P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동작의 선택을 표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2212)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P2P 모드를 사용될 제 1 동작 모드로서 인에이블한다. 동작은 단계(2212)에서 단계(2214)로 진행한다. 단계(2214)에서, 무선 장치는 자동으로 P2P 모드 및 WAN 동작 모드 사이를 기 설정된 스케줄 내의 WAN 페이징 인터벌들의 함수로서 스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25의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2000)를 고려하여, 페이징 인터벌을 표시하는 스케줄이 발생하면,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스위치(2032)를 제어하여 제 1 수신기 체인(2003)이 ADC(2034)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페이징 인터벌을 표시하는 스케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모드 제어 모듈(2044)은 스위치(2032)를 제어하여 제 2 수신기 체인(2005)이 ADC(2034)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27 의 도면(2250)은 예시적인 타이밍 구조 정보를 표시한 것이며, 이는 예시적인 WAN 페이징 인터벌들(2254, 2258) 및 예시적인 P2P 인터벌들(2256,2260)을 예시적인 반복 타이밍 구조에서의 시간 축(2252)을 따라 식별한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2500)이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5 의 장치(2000)이다. 동작은 단계(25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다중-모드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며, 단계(2504)로 진행한다. 단계(2504)에서, 무선 단말은 제 1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업링크/다운링크 쌍, 예를 들어 튜너 주파수 설정들과 연관된 FDD 주파수 대역들의 쌍을 복수의 선택적인 쌍들 중에서 선택한다. 도 26의 도면(2100)은 예시적인 세 개의 FDD 업링크/다운링크 쌍들을 나타낸 것이다.
동작은 단계(2504)에서 단계(250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1 송신기 체인을 동조시켜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단계(2508)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수신기 체인을 동조시켜 제 2 RF 주파수를 지니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한다. 동작은 단계(2508)에서 단계(2510)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2 수신기 체인을 동조시켜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들(2506, 2508 및 2510)은 병렬로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RF 주파수는 단계(25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업링크에 대응하고, 제 2 RF 주파수는 단계(25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다운링크에 대응한다.
동작은 단계(2510)에서 단계(2512)로 진행한다. 단계(2512)에서,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모드, 예를 들어, P2P 통신 모드 또는 광역 네트워크 모드 선택을 식별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2512)에서 단계(2514)로 진행한다. 단계(2514)에서 통신 장치는 상이한 경로를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P2P 모드가 단계(2512)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에이블 되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P2P 모드가 인에이블 되는 경우, 동작은 단계(2514)에서 단계(2516)으로 진행한다. P2P 모드가 이에이블 되지 않는 경우, 동작은 단계(2514)에서 단계(2518)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FDD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송신기 체인 및 제 1 수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단계(2516)으로 되돌아와서, 단계(2516)에서, 통신 장치는 모드 제어 모듈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인지의 함수로서 제 1 및 제 2 수신기 체인의 사용을 스위치한다. 이러한 스위칭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간섭없이 자동 또는 반-자동 방법으로 수행된다. 단계(2516)은 서브-단계들(2520, 2524, 2526, 2528, 2530 및 2532)를 포함한다. 서브-단계(2520)에서, 통신 장치는 통산 장치에 의해 구현된 WAN 수신 스케줄에서 시간 인터벌을 식별하고, 그리고 나서 서브-단계(2524)에서, 통신 장치는 WAN 수신 스케줄의 식별된 시간 인터벌이 WAN 페이징 인터벌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페이징 인터벌이 표시되면, 동작은 서브-단계(2524)에서 서브-단계(252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서브-단계(2524)에서 서브-단계(2528)로 진행한다.
서브-단계(2526)으로 되돌아와서, 서브-단계(2526)에서, 통신 장치의 모드 제어 모듈는 제 1 모드, 예를 들어, FDD WAN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서브-단계(2530)에서, 통신 장치들은 스위치하여 제 1 수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서브-단계(2528)으로 돌아와서, 서브-단계(2528)에서, 통신 장치의 모드 제어 모듈은 제 2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서브-단계(2532)에서, 통신 장치들은 스위치하여 제 2 수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동작이 서브-단계(2530)을 거쳐 진행한 경우, 동작은 단계(2534)로 진행한다; 반면에 동작이 서브-단계(2532)을 거쳐 진행한 경우, 동작은 단계(2536)으로 진행한다. 단계(2534)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FDD WAN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1 수신기 체인을 사용하여 WAN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한다. 단계(2536)에서, 통신 장치는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2 수신기 체인 및 송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P2P 동작을 인에이이블한 경우, 통신 장치는 우세하게 제 2 모드에서 제 2 수신기 체인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WAN 타이밍 구조의 적어도 일부 페이징 인터벌들동안에, 통신 장치는 제 1 모드에서 제 1 수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동작은 단계(2534) 및 단계(2536) 중 하나에서 단계(2516)으로 진행하여, 다른 시간 인터벌에 관계된 스위칭 및 모드를 식별하고 고려한다.
도 29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 작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2600)이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5 의 장치(2000)이다. 동작은 단계(26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다중-모드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어, 단계(2604)로 진행한다. 단계(2604)에서, 무선 단말은 제 1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업링/다운링크 쌍, 예를 들어, 튜너 주파수 설정들과 관련된 FDD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선택가능한 쌍들 중에서 선택한다. 도 26 의 도면 2100은 예시적인 세 개의 FDD 업링크/다운링크 쌍들을 도시한 것이다.
동작은 단계(2604)에서 단계(2606)으로 진행하고, 통신 장치는 제 1 송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전송 신호들을 생성하며, 단계(2608)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수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2 RF 주파수를 갖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한다. 동작은 단계(2608)에서 단계(261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2 수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들(2606, 2608 및 2610)은 병렬로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RF 주파수는 단계(26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업링크에 대응하고, 제 2 RF 주파수는 단계(26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다운링크에 대응한다.
동작은 단계(2610)에서 단계(2612)로 진행한다. 단계(2612)에서, 통신 장치는 모드 제어 모듈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되는 제 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FDD 모듈 및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인지의 함수로서 제 1 및 제 2 수신기 체인의 사용을 스위치한다. 예를 들 어, 다중-모드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가 광역 네트워크 FDD 모드인지 P2P 모드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송신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수신에 관하여, 다중-모드 통신 장치는 WAN FDD 모드인 경우 제 1 수신기 체인을 사용하고, P2P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제 2 수신기 체인을 사용한다. 따라서, WAN 통신은 FDD 이고, WAN FDD 업링크 대역을 공유하는 P2P 통신에서 P2P 통신은 TDD이다.
단계(2612)는 서브-단계들(2614, 2616 및 2618)을 포함한다. 서브-단계(2614)에서, 통신 장치는 광역 네트워크 신호 수신에 대응하는 수신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서브-단계(2616)에서, 통신 장치는 P2P 신호들 수신에 대응하는 수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서브-단계(2618)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및 제 2 모드 사이에서 상대 수신 우선순위의 함수로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
동작은 단계(2612)의 출력에서부터 단계(2612)의 입력으로 진행한다. 시간에 따라 수신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특정한 사용자, 서비스 레벨 정보, 통신될 데이터의 타입, 통신될 데이터의 양, 레이턴시 고려조건들 등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거나, 때로 변화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 방법의 신호 흐름도(2700)이다.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5의 장치(2000)이다. 동작은 단계(27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다중-모드 통신 장치는 전원이 켜지고 초기화되어 단계(2704)로 진행한다. 단계(2704)에서, 무선 단말은 제 1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업링크/다운링크 쌍, 예를 들어 튜너 주파수 설정들과 연관된 FDD 주파수 대역의 한 쌍을 복수의 선택가능한 쌍들 중에서 선택한다. 도 26 의 도면(2100)은 세 개의 예시적인 FDD 업링크/다운링크 쌍들을 도시한 것이다.
동작은 단계(2704)에서 단계(270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1 송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단계(2708)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수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2 RF 주파수를 지니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한다. 동작은 단계(2708)에서 단계(2710)로 진행하고, 여기서 통신 장치는 제 2 수신기 체인을 동조화하여 제 1 RF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들(2706, 2708 및 2710)은 병렬로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RF 주파수는 단계(27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업링크에 대응하고, 제 2 RF 주파수는 단계(2704)에서 선택된 FDD 쌍의 FDD 다운링크에 대응한다.
동작은 단계(2710)에서 단계(2712)로 진행한다. 단계(2712)에서, 통신 장치는 핸드오프 표시 신호를 모니터한다. 검출된 핸드오프 표시 신호에 대해서, 동작은 단계(2712)에서 단계(2714)로 진행한다.
단계(2714)에서, 통신 장치는 핸드오프가 P2P 통신 링크에서 WAN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프가 P2P 통신 링크에서 WAN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로 결정되는 경우, 동작은 단계(2714)에서 단계(271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2714)에서 단계(2718)로 진행한다.
단계(2718)에서, 통신 장치는 핸드오프가 WAN 통신 링크에서 P2P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프가 WAN 통신 링크에서 P2P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프로 결정되는 경우, 동작은 단계(2718)에서 단계(2720)으로 진행한 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2718)에서 단계(2712)으로 진행하며, 이는 링크의 타입이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핸드오프가 WAN 네트워크 내에 상이한 기지국들이나 상이한 기지국 섹터들 사이에서 발생하고 리시버들 사이의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계(2716)으로 돌아와서, 단계(2716)에서, 통신 장치는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WAN 동작 모드로 스위치한다. 단계(2720)으로 돌아와서, 단계(2720)에서, 통신 장치는 제 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WAN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로 스위치한다. 동작은 단계들(2716 및 2720)에서 단계(2722)로 진행한다.
단계(2722)에서, 통신 장치는 모드 제어 모듈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되는 제 1 동작 모드,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FDD 모듈 및 제 2 동작 모드, 예를 들어, P2P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인지의 함수로서 제 1 및 제 2 수신기 체인의 사용을 스위치한다. 예를 들어, 동작이 단계(2716)을 따라 진행한 경우, 수신기 체인 사용 전이(transition)가 제 2 수신기 체인에서 제 1 수신기 체인으로 발생하도록 스위칭이 일어난다. 이러한 예에서 계속하여, 동작이 단계(2720)을 따라 진행한 경우, 그리고 나서, 수신기 체인 사용 전이(transition)가 제 1 수신기 체인에서 제 2 수신기 체인으로 발생하도록 스위칭이 일어난다. 동작은 단계(2722)에서 단계(2712)로 진행하여 추가적인 핸드오프 표시자 신호들을 모니터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송신기 체인은 WAN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셀 룰러 동작 모드 및 P2P 동작 모드, 예를 들어,TDD P2P 동작 모드 둘 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WAN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P2P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비교하면 상이한 수신기 체인이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DD P2P 동작 모드는 전송 및 수신 둘 다에 대하여 WAN에서의 업링크 시그널링에 쓰이는 것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DD 및 FD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기반의 통신 시스템은 광역 네트워크의 업링크, 예를 들어, 셀 기반의 업링크 시그널링에도 사용되는 에어 링크 자원들을 공유하는 P2P 시그널링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P2P 시그널링을 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DD 및 FD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셀룰러 기반 통신 시스템은 수정되어 일반적으로 광역 네트워크의 업링크, 예를 들어, 셀 기반의 업링크 시그널링을 위해 예약된 에어 링크 자원들을 공유하는 P2P 시그널링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P2P 시그널링을 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기반 시그널링을 지원하지만, P2P 시그널링을 지원하지 않는 많은 기존의 통신 장치들을 본 통신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시스템은 P2P 통신을 지원하지만 셀 기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의 혼합을 지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시스템은 P2P 통신과 셀 기반 통신 둘 다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의 혼합을 지원한다.
주로 OFDM 시스템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음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들은 비-OFDM 시스템 및/또는 비-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통 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 일부 예시적인 시스템들은 P2P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기술들의 혼합, 예를 들어, 일부 OFDM 타입 신호들 및 일부 CDMA 타입 신호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여기에 설명된 노드들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에 대응하는 단계들, 예를 들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는 것, 기지국 신호를 평가하는 것, 전송 전력 레벨 제어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것,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것, 간섭을 측정하는 것, 전송 전력 제어 값을 결정하는 것, 전송 전력 제어 파라메터를 전송하는 것,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모듈들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많은 방법들 및 방법 단계들은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계로 실행가능한 동작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메모리와 같은 기계로 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RAM, 플로피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목적의 컴퓨터를 가지고 또는 전술한 방법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노드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기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기계가 실행할 수 있는 동작을 포함하고, 기계,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연관된 하드웨어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계-판독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방법들 및 장치들에 대한 다양한 추가적인 변화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능력을 가진 자에게는 전술한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다. 이러한 변화는 발 명의 기술적 범위 이내로 생각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들은 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또는 액세스 노드와 모바일 노드 사이에 무선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다양한 다른 타입입의 통신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거나, 이러한 기술들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노드들은 OFDM 및/또는 CDMA를 이용하는 모바일 노드에 통신 링크를 구현하는 기지국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노드들은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데이터 어시스턴츠(PDAs), 또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방법을 실행하기위한 수신기/송신기 회로, 로직 및/또는 루틴들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들로서 구현된다.

Claims (70)

  1. 무선 통신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비콘 신호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 신호를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및
    상기 기지국 신호의 계속된 모니터링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은 장치들이 신호들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들의 세트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OFDM 심볼의 3개 보다 적은 톤들을 포함하는 신호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한 후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를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된 전력사이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단말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캐닝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신호 평가 모듈;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비콘 신호인, 무선 통신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평가 모듈은 상기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하는 전송 패턴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 시그널링을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기지국 시그널링의 계속된 모니터링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전력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은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주파수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저장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을 가지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기 설정된 포맷을 식별하는 저장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시간에 전송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업링크 대역폭내에 상기 기 설정된 기지국 전송 시간을 식별하는 저장된 반복(recurring) 스케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튜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너는 P2P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주파수들의 세트 중 일부를 사용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통신 단말.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평가 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OFDM 심볼의 3 개 톤들 보다 적은 톤들을 포함하는 신호인. 무선 통신 단말.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모듈은 상기 P2P 신호를 전송한 후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를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하고,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추가적인 기지국 신호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된 전력 사이의 차이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전송 전력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23. 무선 통신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는 스캐닝 수단;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수단;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비콘 신호인, 무선 통신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수단은,
    상기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은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주파수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을 지니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포맷을 식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수단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평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무선 통신 단말이 방법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비콘 신호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은 장치들이 신호들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35.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업링크 대역폭을 스캔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며;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어-투-피어(peer-to-peer;P2P)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비콘 신호인,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여 P2P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구성은 상기 기지국 신호의 전송 패턴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구성을 더 포함하는,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은 장치들이 신호들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는 기 설정된 포맷을 지니는, 장치.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프로세서 구성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
  41.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 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고,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인,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 신호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P2P)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방법.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동안에 수신되는, 방법.
  46. 기지국으로서,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모듈;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 여기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상이함 - 무선 송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간은 비-오버래핑(non-overlapping)되는, 기지국.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될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신호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기지국.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는 P2P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기지국.
  51.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동안에 수신되는, 기지국.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에 더하여, 상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에서도 비콘 신호들을 전송하는, 기지국.
  53.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은 셀룰러 통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은 P2P 통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54.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는 셀룰러 통신 장치에 의해 기지국 식별에 이용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는 P2P 통신 장치에 의해 P2P 전송 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기지국.
  55. 기지국으로서,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 수단;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 여기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 및 상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상이함 - 무선 송신기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신호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기지국.
  58.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동안에 수신되는, 기지국.
  59.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에 더하여, 상기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에서도 비콘 신호들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은 셀룰러 통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업링크 대역에서의 비콘 신호들은 P2P 통신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61. 기지국이 방법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고,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 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는 P2P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동안에 수신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66. 장치로서,
    제 1 기간동안,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고,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인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기간동안 방송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비콘 신호인, 장치.
  68.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장치.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는 P2P 전력 전송 레벨 제어 신호인, 장치.
  70.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장치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상기 업링크 신호들과 간섭하는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P2P 통신 신호들이 존재하는 제 1 기간동안에 수신되는, 장치.
KR1020097007771A 2006-09-15 2007-09-13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110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505306P 2006-09-15 2006-09-15
US60/845,053 2006-09-15
US11/764,332 2007-06-18
US11/764,332 US8929281B2 (en) 2006-09-15 2007-06-18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device
PCT/US2007/078435 WO2008034023A1 (en) 2006-09-15 2007-09-13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device contro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821A Division KR101165165B1 (ko) 2006-09-15 2007-09-13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166A true KR20090073166A (ko) 2009-07-02
KR101110898B1 KR101110898B1 (ko) 2012-03-14

Family

ID=389507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71A KR101110898B1 (ko) 2006-09-15 2007-09-13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17007821A KR101165165B1 (ko) 2006-09-15 2007-09-13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821A KR101165165B1 (ko) 2006-09-15 2007-09-13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29281B2 (ko)
EP (1) EP2062448B1 (ko)
JP (2) JP5155321B2 (ko)
KR (2) KR101110898B1 (ko)
TW (1) TW200830758A (ko)
WO (1) WO20080340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7702B2 (en) 2009-07-22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due to peer-to-peer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3305B2 (en) * 2004-12-13 2012-01-2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ellular network and integrated broadcast television (TV) downlink with intelligent service control with feedback information
US8634869B2 (en) * 2006-09-1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supporting both wide area network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369800B2 (en) * 2006-09-15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52317B2 (en) * 2006-09-1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WAN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526410B2 (en) 2007-07-06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interference management when sharing downlink bandwidth between wide area network usage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730841B2 (en) * 2007-07-06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Peer to peer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for use of both WAN uplink and downlink bands
US7949005B2 (en) * 2007-09-25 2011-05-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s
US8072917B2 (en) * 2007-10-31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699362B2 (en) * 2007-12-28 2014-04-15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554200B2 (en) * 2008-09-12 2013-10-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for device to-device communication
CN101383666B (zh) * 2008-09-25 2012-0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信号带宽的功率校准方法
US8520524B2 (en) * 2008-11-1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transmitter and/or receiver communications decisions
US8582492B2 (en) 2008-11-10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including a dynamic receiver yielding threshold
US8693336B2 (en) * 2008-11-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decision methods and apparatus
US8526461B2 (en) 2008-11-10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including a dynamic transmitter yielding threshold
KR101619446B1 (ko) * 2008-12-02 201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mimo시스템에 있어서 rs 전송 방법
US8112108B2 (en) * 2008-12-17 2012-0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acilitating and/or making wireless resource reuse decisions
US9025536B2 (en) * 2009-03-2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whitespace communication
US8275407B2 (en) * 2009-07-24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transmission power levels
JP5737461B2 (ja) * 2009-07-31 2015-06-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87909B2 (ja) * 2009-10-05 2013-04-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WO2011052965A2 (en) * 2009-10-28 2011-05-05 Lg Electronics Inc. Dynamic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276708B2 (en) * 2009-12-21 2016-03-01 Nokia Technologies Oy Secondary system usage in multicarrier networks
US20110243093A1 (en) * 2010-04-05 2011-10-06 Tom Ch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Uplink Synchronization in TD-SCDMA Handover
US8504052B2 (en) 2010-05-06 2013-08-06 Nokia Corporation Measurements and fast power adjustments in D2D communications
JP5617676B2 (ja) * 2010-07-07 2014-11-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10517098B2 (en) * 2010-07-30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KR101962245B1 (ko) 2011-09-23 2019-03-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단말과 협대역 단말을 함께 운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협대역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US9137655B2 (en) 2011-10-07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s
WO2013141546A1 (ko) * 2012-03-18 201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JP5883339B2 (ja) * 2012-04-06 2016-03-15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ローカルエリア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9705645B2 (en) 2012-04-18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RQ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0154499B2 (en) 2012-05-21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har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in multi-cel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351144B2 (en) * 2012-06-04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based on detection of other RF activity
CN104380770B (zh) * 2012-06-19 2019-04-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d2d发现的方法和装置
WO2014002585A1 (ja) * 2012-06-27 2014-01-0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WO2014000235A1 (zh) * 2012-06-28 2014-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设备和系统
US9402261B2 (en) 2012-08-14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plink data signals simultaneously with device to device data signals
WO2014042568A1 (en) 2012-09-17 2014-03-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o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d2d communication
US9860929B2 (en) * 2012-09-18 2018-01-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device discovery in device to-device (D2D)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3781181B (zh) * 2012-10-22 2017-05-2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tdd系统用户调度方法、装置、系统和基站
US9124377B2 (en) 2012-11-07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n LTE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JP6115913B2 (ja) * 2013-02-04 2017-04-19 株式会社Kddi総合研究所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94002B2 (ja) 2013-02-08 2018-03-14 株式会社Nttドコモ 距離推定方法、及びユーザ装置
KR102213461B1 (ko) * 2013-02-15 2021-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 수행을 위한 전력 제어 및 다중화 방법 및 장치
EP3399808B1 (en) * 2013-02-15 2021-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and multiplexing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A2814303A1 (en) 2013-04-26 2014-10-26 Cellphone-Mat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KR101979807B1 (ko) * 2013-05-06 2019-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 방법
WO2014200307A1 (en) 2013-06-13 2014-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US20150043446A1 (en) * 2013-08-12 2015-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device to device and lte wan communication using single communication chain
CN103457774A (zh) * 2013-09-05 2013-12-18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实现网络双上行自动切换备份的方法
US9806827B2 (en) 2013-09-13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172098B2 (en) * 2014-05-29 2019-01-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for mitigating device-to-device interference to adjacent networks
KR102280577B1 (ko) 2014-08-01 2021-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6517921B2 (ja) * 2015-04-09 2019-05-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70064638A1 (en) * 2015-09-01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d2d/wan coexistence networks
EP3349517A4 (en) * 2015-10-30 2018-1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sending method and device
CN109196792B (zh) 2016-06-17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道校正方法、装置及通信系统
WO2018031870A1 (en) * 2016-08-11 2018-02-15 Donomo Innovations, Inc. Method of selecting reception resource and method of csi-rs transmission
WO2019032033A1 (en) * 2017-08-11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 OF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FOR NR OPEN-LOOP UPLINK POWER CONTROL
JP2021511696A (ja) * 2017-12-08 2021-05-06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情報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102464909B1 (ko) 2018-09-27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224732B (zh) * 2018-11-26 2022-04-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用于网络设备的数据分发方法、装置及数据传输系统
US11690024B2 (en) * 2021-01-27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client device regulation mode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1837A (en) 1994-03-07 1996-02-13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llocation using power control and mobile-assisted handover measurements
CA2148179A1 (en) 1994-05-13 1995-11-14 Said S. Saadeh Cordless modem system having multiple base and remote stations which are interusable and secure
SE9401713D0 (sv) 1994-05-16 1994-05-16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att förbättra mätnoggrannheten vid handoverbeslut
US5488631A (en) 1994-10-31 1996-01-30 Radio Connect Corporation Wireless direct-sequence spread spectrum TDMA communications system
US5903618A (en) * 1995-07-18 1999-05-11 Casio Computer Co., Ltd. Multimod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473623B1 (en) 1996-04-18 2002-10-29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self-calib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77809B1 (en) 1997-09-16 2002-04-2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US6175745B1 (en) 1997-12-24 2001-0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itial transmit power determination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US6775548B1 (en) 1998-06-22 2004-08-10 Nokia Mobile Phones Ltd. Access channel for reduced access delay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0036702A (ja) 1998-07-21 2000-02-02 Hitachi Ltd 無線端末
US6377608B1 (en) 1998-09-30 2002-04-23 Intersil Americas Inc. Pulsed beacon-based interference reduction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6252865B1 (en) 1998-10-02 2001-06-26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 power control of signals transmitted on a multiple access channel
US6272340B1 (en) 1999-03-24 2001-08-07 Trw Inc. Load shedding method to enhance uplink margin with combined FDMA/TDMA uplinks
US6823195B1 (en) 2000-06-30 2004-11-23 Peter V. Boesen Ultra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sensing device and method
US6415146B1 (en) 1999-05-25 2002-07-02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system enabling mobile-to-mobile communication
US6594251B1 (en) 1999-07-06 2003-07-15 Cisco Technology Inc. Polling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US6577670B1 (en) 1999-08-20 2003-06-10 Intersil Americas Inc. Programmable filtering mechanism to allow bandwidth overlap betwee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hopping transmitter
US6580704B1 (en) 1999-08-26 2003-06-17 Nokia Corporation Direct m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mobile terminals in access point controlled wireless LAN systems
US6917789B1 (en) 1999-10-21 2005-07-12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radio transceiver with an antenna matching circuit
US6658262B1 (en) 1999-12-27 2003-12-02 Telefonaktiebol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order message management
US6687509B2 (en) 1999-12-29 2004-02-03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Backhaul power control system in a wireless repeater
FI109953B (fi) 2000-02-17 2002-10-31 Nokia Corp Yhteyksien käsitteleminen matkaviestinverkossa
JP2001238251A (ja) 2000-02-23 2001-08-31 Nec Corp セルラシステムの隣接キャリア周波数干渉回避方法、移動局、及び基地局制御装置
US7158484B1 (en) 2000-02-25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opology sensing in networks with mobile nodes
US7248841B2 (en) 2000-06-13 2007-07-24 Agee Brian 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wireless multipoint electromagnetic communication networks
JP2001358651A (ja) 2000-06-16 2001-12-26 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 Res Lab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6748246B1 (en) 2000-07-05 2004-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technology in a multi-mode terminal
US6754484B1 (en) 2000-07-10 2004-06-22 Nokia Corporation Short messaging using information beacons
US6834045B1 (en) 2000-07-11 2004-12-21 Lappetelaeinen Antti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requency allocation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to attain statistical spreading of electromagnetic energy
SG96568A1 (en) 2000-09-21 2003-06-16 Univ Singapore Beam synthesis method for downlink beamforming in f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36663B1 (en) 2000-09-22 2004-12-28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network cache function
JP3813431B2 (ja) 2000-09-29 2006-08-23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
US6807165B2 (en) 2000-11-08 2004-10-19 Meshnetworks, Inc. Time division protocol for an ad-hoc, peer-to-peer radio network having coordinating channel access to shared parallel data channels with separate reservation channel
US6757522B1 (en) 2000-12-11 2004-06-29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determining carrier-to-noise ratio of selected channels in an access network
US6823003B2 (en) 2001-01-15 2004-11-23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path transceiver amplif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EA005472B1 (ru) 2001-02-12 2005-02-24 Ай Си О СЕРВИСИЗ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язи
US6937641B2 (en) 2001-02-28 2005-08-30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Power-controlled random access
US6675012B2 (en) 2001-03-08 2004-01-06 Nokia Mobile Phones, Lt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eporting a measurement summary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2290328A (ja) 2001-03-27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装置とこの送信電力制御装置を搭載する移動無線機
EP1378145A1 (en) 2001-03-28 2004-0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management for point-to-multipoin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842433B2 (en) 2001-04-24 2005-01-11 Widera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computerized distributor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JP2002325281A (ja) 2001-04-26 2002-11-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制御方式
US6836666B2 (en) 2001-05-08 2004-12-2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to control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21454B1 (en) 2001-05-10 2003-09-16 Vectrad Networks Corporation Adaptive beam pattern antennas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point to multipoint RF data transmissions
US6843597B1 (en) 2001-05-15 2005-01-18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 fast two-loop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3802372B2 (ja) * 2001-05-16 2006-07-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US7587017B2 (en) 2001-05-17 2009-09-08 Ut-Battelle, Llc Carrier phase synchronization system for improved amplitude modulation and television broadcast reception
US6909706B2 (en) 2001-05-23 2005-06-21 Pemstar, Inc. Multicast wireless ad hoc packet routing
US6914894B2 (en) 2001-05-23 2005-07-05 Pemstar, Inc. Role-based IP multicast addressing in a wireless LAN
GB2377128B (en) 2001-06-29 2004-09-08 Nokia Corp Automatic gain control
KR100426357B1 (ko) 2001-08-08 2004-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품질 및 자원관리를 위한스케줄링 방법
US6983166B2 (en) 2001-08-20 2006-01-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channel with multiple format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420228B2 (ja) 2001-09-07 2003-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干渉波電力測定装置、干渉波電力測定方法、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248570B2 (en) * 2001-09-17 2007-07-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bandwidth usage of a communication channel by wireless network nodes
US7006799B2 (en) 2001-09-30 2006-02-28 Harrow Products Llc Energy saving motor-driven locking subsystem
US7248559B2 (en) 2001-10-17 2007-07-24 Nortel Networks Limited Scattered pilot pattern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for MIMO-OFDM systems
US7071776B2 (en) 2001-10-22 2006-07-04 Kyocera Wireles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in a communication device
US6710651B2 (en) 2001-10-22 2004-03-23 Kyocera Wireles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640045A (zh) 2001-12-05 2005-07-13 高通股份有限公司 调整通信系统服务质量的系统与方法
US7151795B1 (en) 2001-12-31 2006-12-19 Arraycom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tral efficiency using mitigated power near band-edge
US7366135B2 (en) 2002-03-14 2008-04-29 Kddi R & D Laboratories Inc. Radio channel assign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f program for controlling radio node
US7203472B2 (en) 2002-03-15 2007-04-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alibration technique for RF performance tuning
US6882851B2 (en) 2002-03-21 2005-04-19 Cognio, Inc. Ad-hoc control protocol governing use of an unlicensed or shared radio frequency band
US7012978B2 (en) 2002-03-26 2006-03-14 Intel Corporation Robust multiple chain receiver
JP4221958B2 (ja) 2002-06-19 2009-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7050405B2 (en) 2002-08-23 2006-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85498B2 (en) * 2002-08-26 2006-01-10 Flarion Technologies, Inc. Beacon signaling in a wireless system
US6763013B2 (en) 2002-09-0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ncluding neighbor discovery in a mobile ad hoc network
CN100403052C (zh) 2002-09-06 2008-07-16 诺基亚公司 用于估计移动设备的位置的方法和系统
US6859488B2 (en) 2002-09-25 2005-02-22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Detection of impulse noise using unused codes in CDMA systems
CN100469188C (zh) 2002-09-27 2009-03-11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请求和控制无线通信网络中的接入
US7492743B2 (en) 2002-09-30 2009-02-17 Intel Corporation Assigning training sequences based on spatia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016673B2 (en) 2002-10-01 2006-03-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ith controlled WTRU peer-to-peer communications
US7020442B2 (en) 2002-10-02 2006-03-28 Csi Wireless Llc System and method for WLAN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AU2003279816A1 (en) * 2002-10-24 2004-05-13 Widefi,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peater with in-band control channel
GB2396775B (en) 2002-12-23 2005-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for mobil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218948B2 (en)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CN1527635A (zh) * 2003-03-07 2004-09-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建立无线对等通信的方法及系统
CN1527622A (zh) * 2003-03-07 2004-09-08 �ʼҷ����ֵ��ӹɷ����޹�˾ 无线通信网络中点到点对等通信的上行链路同步保持的方法和装置
CN1527623A (zh) 2003-03-07 2004-09-08 �ʼҷ����ֵ��ӹɷ����޹�˾ 无线通信网络中点到点对等通信无线链接建立和保持的方法与装置
CN1527634A (zh) 2003-03-07 2004-09-08 �ʼҷ����ֵ��ӹɷ����޹�˾ 保持对等通信中移动终端的上行链路控制的方法及系统
US7123590B2 (en) 2003-03-18 2006-10-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wireless link using configurable channels and rates
CN1535036A (zh) 2003-04-01 2004-10-06 �ʼҷ����ֵ��ӹɷ����޹�˾ 在无线通信网络中用于点到点通信管理的方法及系统
CN1536925A (zh) 2003-04-11 2004-10-13 �ʼҷ����ֵ��ӹɷ����޹�˾ 在tdd cdma通信体系中支持p2p通信的方法和装置
US7013143B2 (en) 2003-04-30 2006-03-14 Motorola, Inc. HARQ ACK/NAK cod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CN1549612A (zh) * 2003-05-19 2004-11-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点到点对等通信的上行链路同步保持的方法和装置
CN1549474A (zh) 2003-05-19 2004-11-24 �ʼҷ����ֵ��ӹɷ����޹�˾ 在tdd cdma通信体系中支持p2p通信的方法和装置
KR100542101B1 (ko) 2003-06-02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US7184478B2 (en) * 2003-06-19 2007-02-27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High speed circuits for electronic dispersion compensation
US7522919B2 (en) 2003-07-14 2009-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s to periodic sile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025315A1 (en) 2003-07-31 2005-02-03 Kreitzer Stuart S.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mmunications amo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092353B2 (en) 2003-10-17 2006-08-1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arch methods and apparatus
US7539507B2 (en)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KR100534594B1 (ko) 2003-12-27 2005-1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반송파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적응형 하향링크패킷 전송방법
US20050143119A1 (en) 2003-12-31 2005-06-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ividual power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WAN)
US8169889B2 (en)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JP2005236696A (ja) 2004-02-19 2005-09-02 Fuji Xerox Co Ltd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95497B2 (ja) 2004-03-10 2006-07-12 株式会社東芝 デュアル無線端末装置およびデュアル無線システム
US7907898B2 (en) 2004-03-26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inter-piconet routing
US7548758B2 (en) 2004-04-02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s
JP4425709B2 (ja) 2004-05-27 2010-03-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60006725A (ko) 2004-07-16 200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장치
JP2008507883A (ja) 2004-07-22 2008-03-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ノード間で通信する方法
CN1735224A (zh) 2004-08-10 2006-02-1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限制p2p通信干扰的方法和装置
WO2006038786A1 (en) 2004-10-07 2006-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uplink load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84444A1 (en) 2004-10-20 2006-04-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cognitive transceiver for ad hoc networking
US8594704B2 (en) 2004-12-16 2013-11-26 Atc Technologies, Llc Location-based broadcast messaging for radioterminal users
WO2006064411A2 (en) 2004-12-17 2006-06-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2p communication
EP1834455B1 (en) 2004-12-28 2013-06-26 ST-Ericsson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instant messaging
JP4558511B2 (ja) 2005-01-05 2010-10-06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無線通信端末
US20060176815A1 (en) 2005-02-04 2006-08-10 Picot Carol M Method for reverse link overload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29871A (en) 2005-06-30 2007-03-07 Nokia Corp Method of implementing 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APSD) between a terminal and an access point
JP4922677B2 (ja) 2005-07-01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20070011171A1 (en) 2005-07-08 2007-01-11 Nurminen Jukka 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functionality
US7567791B2 (en) 2005-09-19 2009-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erm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US7573865B2 (en) * 2005-09-20 2009-08-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synchronizing a wireless device using an external clock
US7953417B2 (en) 2005-11-04 2011-05-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signaling a preferred link among a plurality of maintained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JP4933558B2 (ja) 2005-11-11 2012-05-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ピア・ツー・ピア通信の干渉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734292B2 (en) * 2005-12-07 2010-06-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support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and billing methods based on the same
US7447174B2 (en) 2006-01-10 2008-11-04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ode mobility based on network topology chan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288196B1 (en) 2006-01-11 2018-02-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synchronization
US8804884B2 (en) 2006-02-06 2014-08-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co-channel interference
US20070195731A1 (en) 2006-02-21 2007-08-23 Camp William O Jr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ablishing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connection
US7489905B2 (en) 2006-03-01 2009-02-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for determining RF path loss between an RF source and an RF receiver with hysteresis and related methods
CN101375567B (zh) 2006-03-16 2013-01-23 英特尔公司 采用递归滤波的信道估计方法和具有干扰感知解调的多载波接收器
US20070233832A1 (en) 2006-03-30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distributed hash table node ID collision detection
US20070237217A1 (en) 2006-04-06 2007-10-11 Zukang Shen User schedul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systems
JP4927943B2 (ja) 2006-05-19 2012-05-0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スタ/スレーブ構成を有する無線中継器
US20070286171A1 (en) 2006-05-23 2007-12-13 Huapeng Guan Multi-mode voice instant messaging internet phone (VIMIP) handset device
US8923267B2 (en) 2006-06-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igh speed peer-to-peer connectivity between wireless devices
US8169977B2 (en) 2006-07-14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noi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761087B2 (en) 2006-07-21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hrough a multi-mode wireless terminal device
US8839362B2 (en) 2006-07-31 2014-09-1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t power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7974633B2 (en) 2006-08-18 2011-07-05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sensor geolocation
US8452317B2 (en) 2006-09-1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WAN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369800B2 (en) 2006-09-15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634869B2 (en) 2006-09-1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supporting both wide area network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7620415B2 (en) 2006-09-19 2009-11-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control
US8014359B2 (en) 2006-10-27 2011-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adio resources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parameters on a random access channel
JP4935896B2 (ja) 2007-03-15 2012-05-2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US8902933B2 (en) 2007-05-02 2014-12-02 Tyco Fire & Security Gmb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0818B2 (en) 2007-06-07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 handover under radio link failure
US8521194B2 (en) 2007-07-1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paging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8417205B2 (en) 2007-09-17 2013-04-09 Sun Management, Llc Antenna selection scheme for multiple antennae
US8140012B1 (en) 2007-10-25 2012-03-20 At&T Mobility Ii Llc Bluetooth security profile
ES2632862T3 (es) 2007-12-20 2017-09-15 Golden Valley Holdings Limited Equipos y métodos para sincronización de cronometraje de enlace ascendente
JP4548487B2 (ja) 2008-01-11 2010-09-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49638B2 (en) 2008-03-31 2012-08-2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participating in a peer-to-peer network
KR101527107B1 (ko) 2009-02-02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열잡음 전력 및 상향링크 간섭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05210A2 (en) 2009-03-12 2010-09-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Vehicle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US8260197B2 (en) 2010-02-11 2012-09-04 Kabushiki Kaisha Kenwood Radio repeating system, radio repeating apparatus, radio terminal operating method and radio repeating method
US9137713B2 (en) 2010-09-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hand-in to a femto node
US8521158B2 (en) 2010-11-30 2013-08-27 Motorola Solu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base station radiated effective transmit power for performing an automatic roaming
US8543065B2 (en) 2010-11-30 2013-09-2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for using effective radiated transmit power of a base sta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determine uplink transmission range and/or to adjust transmit pow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7702B2 (en) 2009-07-22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due to peer-to-peer communication
KR20150006481A (ko) * 2009-07-22 2015-01-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의 완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10668B2 (en) 2009-07-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due to peer-to-peer communication
KR20160075809A (ko) * 2009-07-22 2016-06-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의 완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4023A1 (en) 2008-03-20
JP5405609B2 (ja) 2014-02-05
US8929281B2 (en) 2015-01-06
KR101110898B1 (ko) 2012-03-14
JP2010504048A (ja) 2010-02-04
JP2012157022A (ja) 2012-08-16
TW200830758A (en) 2008-07-16
JP5155321B2 (ja) 2013-03-06
EP2062448B1 (en) 2017-03-01
US20080069033A1 (en) 2008-03-20
KR20110039588A (ko) 2011-04-19
EP2062448A1 (en) 2009-05-27
KR101165165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898B1 (ko) 피어 투 피어 장치 제어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120293B1 (ko) 혼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또는 간섭 관리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166958B1 (ko) 광역 네트워크 시그널링과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을 모두 지원하는 다중-모드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들
CN101543121B (zh) 与混合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和/或干扰管理相关的方法和装置
KR101086134B1 (ko) Wan 시그널링 및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혼합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또는 간섭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92442A (ko) 페이징 및 p2p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