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727A -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27A
KR20090072727A KR1020070140924A KR20070140924A KR20090072727A KR 20090072727 A KR20090072727 A KR 20090072727A KR 1020070140924 A KR1020070140924 A KR 1020070140924A KR 20070140924 A KR20070140924 A KR 20070140924A KR 20090072727 A KR20090072727 A KR 2009007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power
power
target
power contro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727A/ko
Publication of KR2009007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중 하나 이상의 목표전력을 설정하고,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설정된 목표전력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목표전력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미리 예약된 계약전력에 의해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로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목표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어컨 및 전력 소비 부하들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목표전력 제어 방법, 목표전력 제어시스템

Description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ARGET POWER OF TARGET POWER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로 일정에 따라 미리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목표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어컨 및 전력 소비 부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제어기는 한국전력에서 제공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각종 설비(조명시설, 에어컨 시설, 펌프 시설 등)의 사용을 목표전력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목표 전력이란 관리자가 건물 전체에서 하루 동안 사용할 소비 전력량을 기준으로 시간대별로 설정해 놓은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전력 제어기는 이와 같은 목표전력량을 기준으로 현재 누적 소비전력량을 만족하도록 각종 설비들을 제어한다.
기존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전력량계로부터 15분 주기로 들어오는 EOI 신호를 기준으로 현재 전력량계를 수집한다. 그리고, 현재 누적 전력량으로부터 15분 후의 예상 누적 전력량을 산출해낸다.
즉, 전력 제어기는 현재 소비전력을 전력량계로부터 수집하게 되는데, 우선, 전력량계는 15분 단위로 EOI 신호를 갱신하면서, 상기 EOI 신호를 전력 제어기로 보내고 그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전력 제어기는 15분간의 수요시한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기는 이전 수요 시한대의 현재 누적 전력량을 초기화하고, 15분 동안 주기적으로 현재 소비전력을 누적 수집하고, 예상 누적 전력량을 계산한다.
상기 전력제어기는 상기 예상 누적 전력량이 목표전력량을 초과했는지 판단하여 상기 예상 누적 전력량이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전력량을 초과하면 설비(에어컨 시스템, 직접 부하 등)를 오프 제어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설비를 온 제어한다.
상기 EOI 신호가 갱신되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력 제어의 경우, 전력 사용 상한선 내에서 에어컨 및 다른 전력 소비 부하의 사용을 조절하기 위해 목표 전력을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편의보다는 전력 사용 제어에 중점을 둔 제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한 날, 예컨데, 계절, 평일, 휴일마다 목표 전력을 변경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식은 목표전력을 관리함에 있어 하나의 목표전력에만 맞추어 전력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방식에 취하고 있으므로 목표전력의 변경시마다 다시 사용자가 바꾸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로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목표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어컨 및 전력 소비 부하들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은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중 하나 이상의 목표전력을 설정하고,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설정된 목표전력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목표전력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미리 예약된 계약전력에 의해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은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목표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목표전력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각의 목표전력으로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전력 DB에 설정된 각각의 목표전력에 의해 전력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된 목표전력이 동 일자 또는 동 시간대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두고 전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휴일별 목표전력의 입력시 토요일 목표전력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로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목표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에어컨 및 전력 소비 부하들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표전력 제어방법에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관리자에 의해 특정일 목표전력, 공휴일 목표전력, 계절별 목표 전력이 각각 설정되었는지 판단한 후 설정된 목표전력으로 목표전력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목표전력 제어시스템(10)과, 상기 목표전력 제어시스템(10)의 제어신호를 받아 전력소비 부하(30)인 에어컨, 공조기, 직접 부하 등의 전력을 제어하는 디맨드 컨트롤러(20)와, 에어컨, 공조기, 직접 부하 등으로 구성된 전력소비 부하(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목표전력 제어 방법이 수행된다.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표전력 제어시스템(10)에 특정일 목표전력, 공휴일 목표전력(토요일 목표전력), 계절별 목표전력을 설정하면, 상기 목표전력 제어시스템(10)이 먼저, 특정일 목표전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 후(S200) 설정되었으면 목표전력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미설정되었으면 다음으로 공휴일 목표전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201).
상기 공휴일 목표전력이 설정되었으면 다시 토요일 목표전력의 추가 설정이 되었는지 판단한 후(S202) 설정된 목표전력을 상기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상기 공휴일 목표전력이 미설정되었으면 다음으로 계절별 목표전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203).
상기 계절별 목표전력이 설정되면, 설정된 목표전력을 상기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만약 계절별 목표전력이 미설정되었으면 미리 예약되어있는 계약전력을 설정한다(S204).
상기와 같이 특정일 목표전력, 공휴일 목표전력(토요일 목표전력), 계절별 목표전력이 모두 설정되면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S205).
상기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되면 상기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각각의 목표전력에 따라 디맨드 컨트롤러(20)의 제어하에 에어컨, 공조기, 직접 부하 등의 전력소비부하(30)의 전력제어가 이루어진다(S206).
한편,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목표전력의 설정이 동 일자 또는 동 시간대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두고 전력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는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표전력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목표전력 제어시스템 20: 디맨드 컨트롤러
30: 전력소비부하

Claims (4)

  1.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중 하나 이상의 목표전력을 설정하고,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설정된 목표전력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목표전력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미리 예약된 계약전력에 의해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2. 특정일, 공휴일, 계절별 목표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목표전력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각의 목표전력으로 목표전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전력 DB에 설정된 각각의 목표전력에 의해 전력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목표전력이 동 일자 또는 동 시간대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두고 전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휴일별 목표전력의 입력시 토요일 목표전력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KR1020070140924A 2007-12-28 2007-12-28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KR20090072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4A KR20090072727A (ko) 2007-12-28 2007-12-28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4A KR20090072727A (ko) 2007-12-28 2007-12-28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7A true KR20090072727A (ko) 2009-07-02

Family

ID=4132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4A KR20090072727A (ko) 2007-12-28 2007-12-28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861A1 (ko) * 2011-02-14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요금제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861A1 (ko) * 2011-02-14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요금제에 따른 전력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848B2 (en) Dynamic load curtailment system and method
US8543248B2 (en) System for managing energy at loads
CN106505560B (zh) 一种基于响应优先级的多策略协调的电网优化运行方法
JP5945851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6592360B2 (ja) 電力管理方法
US20140042811A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US20140049053A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652272B1 (ko) 건물 및 빌딩의 멀티 오브젝티브 운영기술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2010233408A (ja) 充放電制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WO2013069619A1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
JP2018038238A (ja) 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6116970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装置及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JP4607533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17011905A (ja)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
JP2016127617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7118721A (ja) 発電システム
JP2014086367A (ja) 集合住宅における燃料電池の稼動制御方法および稼動制御システム
JP6016681B2 (ja) 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
KR20090072727A (ko) 목표전력 제어시스템의 목표전력 제어 방법
JP5980425B2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17112780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プログラム及び電力管理方法
CN116316654A (zh) 一种智能家用电器用电柔性负荷优化调度方法及系统
CN110798932B (zh) 路灯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5061395A (ja) エネルギー利用支援システムとその支援方法及び支援プログラム
Petrinska et 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ublic premises, based on evolutionary optimization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09

Effective date: 20141117